동양고전종합DB

尉繚子直解

울료자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울료자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踵者 足後 追迹繼踵也 踵軍 繼後之軍也
首有踵軍二字故 以名篇하니라
所謂踵軍者 去大軍百里라가 期於會地하여 爲三日熟食하고 前軍而行하여
爲戰合之表하고 合表어든 乃起踵軍호되 饗士하여 使爲之戰勢하니 是謂趨戰者也니라
原注
所謂踵軍者 相去大軍一百里라가 期於會戰之地하여 하고 前軍而行하여
爲戰陣會合之表柱하고 會合表柱어든 乃起踵軍이니
하여 使爲戰陣之勢하니 此所謂趨戰者也
興軍者 前踵軍而行하니 合表乃起호되 去大軍一倍其道하여 去踵軍百里
期於會地하여 爲六日熟食하여 使爲戰備하고
分卒據要害라가 戰利則追北호되 按兵而趨之하며 踵軍 遇有還者어든 誅之하니 所謂諸將之兵在四奇之内者 勝也니라
原注
興軍者 前踵軍而行하니 會合表柱하여 乃起호되 相去大軍一倍其道하니 踵軍 去大軍百里하고 興軍 比踵軍 加一倍也
興軍又與踵軍相去百里
期於會戰之地하여 爲六日熟食하여 使爲戰陳之備하고
分士卒하여 據守要害之地라가 戰利則追其敗北者호되 當按兵而趨之하여 勿使軍亂而不齊也
踵軍在後라가 遇有退還者어든 誅之 所謂諸將之兵 勝也
兵有什伍하고 有分有合하여 豫爲之職하여 守要塞關梁而分居之라가 戰合表起어든 卽皆會也
大軍 爲計日之食하여호되 戰具 無不及也하며 令行而起하고 不如令者 有誅니라
原注
有什有伍하고 有分有合하여 豫先爲之職主하여 使守要塞關梁而分居之라가 戰合而表起어든 卽諸軍皆會也
大軍 爲計日之食하고 亦起호되 合用之戰具 無不及也
各軍 俱要聽大將之令行而起하고 不如令者 則有誅
凡稱分塞者 四境之内 當興軍, 踵軍旣行이면 則四境之民 無得行者니라
原注
四境之内 當興軍與踵軍旣行之時하면 則四境之民 無敢得行者하니 恐泄吾情也
奉王之命하여 授持符節 名爲順職之吏 非順職之吏而行者 誅之
戰合表起하면 順職之吏乃行하여 用以相參이라
欲戰이면 先安内也니라
原注
奉王之命令하여 授持符節 此名爲順職之吏 非是順職之吏而行者 誅之
戰旣合하고 表旣起하면 順職之吏乃行하여 이라
欲戰이면 必先安内也


原注
은 발의 뒤꿈치이니 발꿈치를 따라 이어가는 것이요, 종군踵軍은 뒤를 이어가는 군대이다.
첫머리에 ‘종군踵軍’ 두 글자가 있으므로, 이를 편명으로 삼은 것이다.
이른바 종군踵軍이란 본대인 대군大軍과 100리쯤 떨어져 있다가 회전會戰할 자리에 모이기로 약속하여, 3일 동안 먹을 밥을 지어 가지고 대군보다 먼저 출동한다.
전진戰陣에 회합할 표시 기둥을 설치하고 표시 기둥이 만들어지면 이에 종군踵軍을 출발시키되, 병사들에게 연향을 베풀어 전투의 기세를 북돋우니, 이것을 일러 ‘전쟁할 지역으로 달려가는 자’라 하는 것이다.
原注
이른바 종군踵軍이란 본대인 대군大軍과 100리쯤 떨어져 있다가 회전會戰할 자리에 다시 모이기로 약속하여, 3일 동안 먹을 밥을 지어 가지고 대군보다 먼저 출동한다.
전진戰陣에 회합할 표시 기둥을 설치하고, 표시 기둥이 만들어지면 곧바로 종군踵軍을 출발시킨다.
그런 뒤에 병사들에게 연향을 베풀어 전진戰陣의 기세를 북돋우니, 이것을 일러 ‘전투할 지역으로 달려가는 자’라 하는 것이다.
흥군興軍종군踵軍보다 먼저 출동하니, 회합할 표시 기둥을 설치하면 곧바로 출발하되 대군大軍과의 거리를 곱절쯤 더 떨어지게 해서 종군踵軍과 100리쯤 떨어진 거리에 있게 한다.
회전會戰할 장소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여 6일 동안 먹을 밥을 지어 가지고 가서 전투 준비를 하게 한다.
병사들을 나누어 요해처를 점거하고 있다가 싸워서 승리하면 패주하는 적을 추격하되 군대를 질서정연하게 정돈하여 달려가며, 종군踵軍은 후퇴하여 돌아오는 자를 만나면 죽이니, 이른바 ‘제장諸將의 군대는 사기四奇의 안에 있는 가 이긴다.’는 것이다.
原注
흥군興軍종군踵軍보다 먼저 출동하니, 회합할 표시 기둥을 설치하면 곧바로 출발하되 대군大軍과의 거리를 곱절쯤 더 떨어지게 하니, 종군踵軍대군大軍과 100리쯤 떨어져 있고 흥군興軍종군踵軍에 비하여 곱절을 더 떨어지게 한다.
그러므로 흥군興軍은 또 종군踵軍과의 거리가 100리쯤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회전會戰할 장소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여 6일 동안 먹을 밥을 지어 가지고 가서 전진戰陣을 대비한다.
병사들을 나누어 요해처를 점거해서 지키다가 전투하여 승리하면 패주하는 적들을 추격하되, 군대를 정돈하고 달려가서 군대가 혼란하여 정돈되지 않음이 없게 하여야 한다.
종군踵軍이 뒤에 있다가 〈본대本隊 중에〉 후퇴하여 돌아오는 자를 만나면 죽이니, 이른바 ‘제장諸將의 군대는 사기四奇의 안에 있는 가 이긴다.’는 것이다.
군대에는 가 있고 분산과 집합이 있어서 미리 직책을 분담하여 요새와 관문과 교량을 지키면서 나누어 주둔하고 있다가, 전투가 벌어져 표시 기둥이 설치되면 즉시 모두 집합한다.
대군大軍은 날짜를 계산하여 밥을 지어 가지고 출발하되, 전쟁 도구를 마련하지 않음이 없게 하며, 명령이 내려지면 출동하고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에게는 주벌誅罰을 내린다.
原注
군대에는 가 있고 분산과 집합이 있어서 미리 직책을 분담하여 요새와 관문과 교량을 지키면서 나누어 주둔하고 있다가, 전투가 벌어져 표시 기둥이 설치되면 즉시 여러 군대가 모두 집합하는 것이다.
대군大軍 또한 날짜를 계산하여 먹을 밥을 지어 가지고 출동하되, 마땅히 사용해야 할 전쟁 도구를 제때에 만들지 않음이 없게 한다.
각 군이 모두 대장의 명령을 따라 출동하고,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에게는 주벌誅罰을 내린다.
무릇 분새分塞라고 칭해지는 곳은, 사방 국경 안에 흥군興軍종군踵軍이 이미 출동하였으면 사방 경내의 백성들이 통행하지 못하게 한다.
原注
무릇 분새分塞라고 칭해지는 곳은, 사방 국경 안에 흥군興軍종군踵軍이 이미 출동하고 나면 사방 경내의 백성들이 감히 제멋대로 통행하는 자가 없게 하여야 하니, 이는 우리의 실정을 누설할까 염려해서이다.
의 명령을 받들어 부절符節을 받아 소지한 자를 이름하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라 하니,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가 아니면서 통행하는 자는 주벌한다.
전쟁이 벌어져 표시 기둥이 설치되면,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가 마침내 출행하여 부절을 가지고 서로 참조한다.
그러므로 전투하고자 하면 먼저 안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
原注
의 명령을 받들어 부절符節을 소지하는 자를 이름하여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라 하니,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가 아니면서 통행하는 자는 주벌한다.
전투가 이미 벌어지고 표시 기둥이 설치되면,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가 마침내 출행하여 부절을 가지고 서로 참조한다.
그러므로 전투하고자 하면 반드시 먼저 안을 편안히 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爲三日熟食 : 漢文大系本 〈補註〉에는 이 구절에 대해 “미리 지은 밥을 가지고 행군하는 것은 빨리 도착하기 위해서이다.[行負熟食者 欲速至也]”라고 풀이하고 있다.
역주2 爲戰陣會合之表柱……饗食士卒 : 漢文大系本에는 이 부분이 “戰陣에 회합할 표시 기둥을 설치하고, 踵軍의 표시 기둥과 大軍의 표시 기둥이 서로 부합한 뒤에 踵軍을 출발시켜 호응하게 하되, 다시 병사들에게 연향을 베풀어준다.[爲戰陣會合之表記 踵軍之表 與大軍之表相合 然後起而應之 再饗食士卒]”라고 부연 설명되어 있다.
역주3 在四奇之内者 : 四奇는 八陣 중 네 종류의 奇陣을 이른다. 八陣은 원래 黃帝 때에 風后가 만들었다는 여덟 가지 형태의 兵陣으로, 天‧地‧風‧雲‧虎翼‧蛇蟠‧飛龍‧鳥翔이 있는데, 이 중에 虎翼‧蛇蟠‧飛龍‧鳥翔을 四奇라 하고, 天‧地‧風‧雲을 四正이라 한다. 전투에서 서로 陣을 치고 정면으로 대치하는 군대를 正이라 하고, 매복하여 기습하는 유격부대를 奇라 한다. 《握奇經》
역주4 大凡稱分塞者……恐泄吾情也 : 漢文大系本에는 이 부분이 “무릇 비록 分塞라고 말하였으나 해당 지역 사방 경계 안에는 일찍이 사람의 통행을 허용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그러나 지금 興軍과 踵軍이 이미 출동하고 난 이후에는 奸細(간사한 첩자)가 숨어들어 군대의 실정을 누설할까 두려우므로, 비록 자국의 사방 경계 안에 사는 人民이라 할지라도 금하여 통행을 허락하지 않는 것이다.[大凡雖云分塞 而四境之内 未嘗不容人行 今自當興軍踵軍旣行之後 則恐藏奸細 洩軍情 雖則吾之四境人民亦禁 而不許行者矣]”라고 부연 설명되어 있다.
역주5 分塞 : 지역을 나누어 요해처를 차단해서 통행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본서의 〈分塞令〉편에 내용이 자세히 보인다.
역주6 [妄] : 저본에는 ‘妄’자가 없으나, 漢文大系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用之以相參 : 漢文大系本 〈補註〉에는 이 구절에 대해 “軍務를 참조하는 것이다.[參軍務也]”라고 풀이하고 있다.

울료자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