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尉繚子直解

울료자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울료자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天官 蓋論 卽兵家陰陽書也
以其中 有天官二字故 取以名篇이라
天官書 按綱目集覧 漢武元封二年 德星下 引用云 天官書 라하니 是亦證焉이라
梁惠王 問尉繚子曰
黄帝刑德 可以百勝이라하니 有之乎
原注
梁惠王 問於尉繚子曰
黄帝刑德之說 可以百戰百勝이라하니 有之否乎
梁惠王 魏侯이요 都大梁하고 僭稱王者也
黄帝 解見問對하니라
尉繚子對曰
刑以伐之하고 德以守之 非所謂天官時日陰陽向背也 黄帝者 人事而已矣
何者
今有城 東西攻不能取하고 南北攻不能取하나니 四方 豈無順時乗之者邪잇가
原注
尉繚子對曰
刑以伐人하고 德以自守 非所謂天官時日與陰陽向背也 黄帝者 盡乎人事而已矣
今有城焉 東西兩方攻之라도 不能取하고 南北兩方攻之라도 亦不能取하니 四方 豈無順時而乗之者邪잇가
이나 不能取者 城高池深하고 兵器備具하고 財穀多積하고 豪士一謀者也일새니이다
原注
이나 不能取之者 城之高也하고 池之深也하며 守禦之兵器具備也하고 資財糧穀之多積也하며 豪傑之士 同心而一謀也일새니이다
此卽孟子所謂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之義
若城下池淺守弱이면 則取之矣 由是觀之컨대 天官時日 不若人事也니이다
原注
若城卑下하고 池狹淺하고 守者又怯弱이면 則必取之矣
由此觀之컨대 天官時日 不如盡人事而已矣니이다
按天官曰 背水 爲絶紀하고 向阪陣 爲廢軍이라하나
武王伐紂 背濟水하고 向山阪而陣하여 以二萬二千五百人으로 擊紂之億萬而滅商하니 豈紂不得天官之陣哉잇가
原注
按天官曰 背水陳 爲之絶紀하고 向阪陣 爲之廢軍이라하나
周武王伐紂之時 背濟水하고 向山阪而爲陣하여 以二萬二千五百人으로 擊紂之億萬而滅殷商하니 豈紂獨不得天官之陣哉잇가
二萬二千五百人 蓋以革車三百輛而言이니 共三萬人이로되 除將重車七千五百人外하면 戰士止有二萬二千五百人也
背水陣者 敵在吾前하고 水在吾後也 向阪陣者 敵處其高하고 我處其下也
絶紀, 廢軍 謂陷之死地하여 有廢絶之形하고 無生全之勢也
武王背濟水하고 向山阪而勝紂者 以有道伐無道하고 以至仁伐至不仁하여 紂雖得天官之陣이나 何益於用哉
楚將公子心 與齊人戰할새 時有星出하여 柄在齊하니 柄所在勝하여 不可撃이라한대
公子心曰 彗星何知
以彗鬪者 固倒而勝焉이라하고 明日 與齊戰하여 大破之하니이다
黄帝曰 先神先鬼하여 先稽我智라하니 謂之天官 人事而已니이다
原注
昔春秋時 楚將公子心 與齊人戰할새 有彗星出하여 其柄在齊하니
柄所在處勝하여 人言不可撃이라한대
公子心曰 彗星有何知焉이리오
以彗鬪者 固倒而取勝焉이라하고 明日 與齊戰하여 遂大破之하니이다
黄帝有曰 先信之於神하고 聽之於鬼 不若先稽我之智耳라하니 謂之天官 在盡乎人事而已니이다


原注
천관天官시일時日지간支干(干支)에 고허孤虛왕상旺相의 일을 논한 것이니, 바로 병가兵家음양서陰陽書이다.
이 가운데에 ‘천관天官’ 두 글자가 있기 때문에 취하여 편을 이름한 것이다.
천관서天官書는 살펴보건대 《자치통감강목집람資治通鑑綱目集覧》에 무제武帝 원봉元封 2년(B.C. 109)의 덕성德星 아래에 인용하기를 “천관서天官書에 ‘경성景星덕성德星이다.’ 했다.” 하였으니, 이것이 또한 증거이다.
혜왕惠王울료자尉繚子에게 물었다.
황제黄帝의 형벌과 이 백 번 승리할 수 있다고 하니, 이러한 것이 있는가?”
黃帝黃帝
原注
혜왕惠王울료자尉繚子에게 물었다.
황제黄帝의 형벌과 의 말(내용)이 백 번 싸워 백 번 승리할 수 있다고 하니, 이러한 것이 있는가?”
혜왕惠王나라 제후諸侯이니 이름이 이고, 대량大梁에 도읍하여 참람하게 이라 칭한 자이다.
황제黄帝는 설명이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에 보인다.
울료자尉繚子가 대답하였다.
“형벌로써 정벌하고 으로써 지키는 것은 이른바 천관天官시일時日음양陰陽향배向背라는 것이 아니니, 황제黄帝는 사람의 일일 뿐입니다.
어째서이겠습니까?
지금 한 이 있는데, 동쪽과 서쪽에서 공격하여도 함락하지 못하고, 남쪽과 북쪽에서 공격하여도 함락하지 못하니, 사방에서 어찌 좋은 시운을 순히 타는 자가 없겠습니까.
原注
울료자尉繚子가 대답하였다.
“형벌로써 남을 정벌하고 으로써 자신을 지키는 것은 이른바 천관天官시일時日음양陰陽향배向背라는 것이 아니니, 황제黄帝는 사람의 일을 다했을 뿐입니다.
지금 한 이 있는데, 동쪽과 서쪽 두 방위에서 공격하여도 점령하지 못하고, 남쪽과 북쪽 두 방위에서 공격하여도 점령하지 못하니, 사방에서 〈공격함에〉 어찌 좋은 시운을 순히 타는 자가 없겠습니까.”
이는 바로 《맹자孟子》에 이른바 ‘3리 되는 작은 과 7리 되는 외성外城을 포위하여 공격하여도 이기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포위 공격하면 반드시 천시天時를 얻을 때가 있으련마는 그런데도 이기지 못함은, 이는 천시天時지리地利만 못한 것이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을 점령하지 못하는 것은, 이 높고 해자가 깊으며 병기兵器가 구비되고 재물과 곡식이 많이 저축되어 있으며, 호걸스러운 선비가 한결같이 도모하기 때문입니다.
原注
“그러나 을 점령하지 못하는 이유는, 이 높고 해자가 깊으며 성을 지키는 병기兵器가 구비되어 있고 재물과 곡식이 많이 저축되어 있으며 호걸스러운 선비가 한마음으로 한결같이 도모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바로 《맹자孟子》에 이른바 ‘천시天時지리地利만 못하고, 지리地利인화人和만 못하다.’는 뜻이다.
만약 성이 낮고 해자가 얕고 수비가 약하면 점령하게 되니, 이것을 가지고 살펴보건대, 천관天官시일時日은 사람의 일만 못합니다.
原注
“만약 성이 낮고 해자가 좁고 얕으며, 지키는 자가 또 겁이 많고 나약하면 반드시 점령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로 말미암아 살펴보건대, 천관天官시일時日인사人事를 다하는 것만 못한 것입니다.”
천관서天官書를 살펴보건대, 여기에 이르기를 ‘배수진背水陣절기絶紀라 하고 향판진向阪陣폐군廢軍이라 한다.’ 하였으나,
무왕武王주왕紂王을 정벌할 적에 제수濟水를 등 뒤에 두고 산판山阪을 향해 을 쳐서 2만 2,500명을 가지고 주왕紂王의 억만 대군을 공격하여 나라를 멸망시켰으니, 어찌 주왕紂王천관天官을 얻지 못했겠습니까.
原注
천관서天官書를 살펴보면 ‘배수진背水陣절기絶紀라 하고 향판진向阪陣폐군廢軍이라 한다.’ 하였으나,
무왕武王주왕紂王을 정벌할 적에 제수濟水를 등 뒤에 두고 산판山阪을 향하고서 을 쳐서 2만 2,500명을 가지고 주왕紂王의 억만(십만) 대군을 공격하여 나라를 멸망시켰으니, 어찌 주왕紂王이 유독 천관天官을 얻지 못했겠습니까.”
2만 2,500명은 혁거革車 300을 가지고 말한 것이니, 병사가 모두 3만 명이나 치중거輜重車에 있는 7,500명을 제외하면 전투하는 군사는 다만 2만 2,500명이 있는 것이다.
배수진背水陣이란 이 우리의 앞에 있고 물이 우리의 뒤에 있는 것이요, 향판진向阪陣이란 이 높은 곳에 위치하고 우리가 그 아래에 있는 것이다.
절기絶紀폐군廢軍은 죽을 땅에 빠져서, 폐하고 끊어지는 형세만 있고 살아서 온전한 형세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무왕武王제수濟水를 등 뒤에 두고 산판山阪을 향해 주왕紂王을 이겼던 것은, 가 있는 사람으로서 가 없는 사람을 정벌하고, 지극히 한 자로서 지극히 하지 못한 자를 공격하여, 마음이 같고 이 같은 신하들과 함께 마음이 떠나고 이 떠난 주왕紂王을 공격했기 때문이니, 주왕紂王이 비록 천관天官을 얻었으나 사용함에 무슨 유익함이 있었겠는가.
나라 장수인 공자公子 나라와 싸울 적에, 당시 혜성彗星이 출현하여 혜성彗星의 자루가 나라에 있자, 혜성彗星의 자루가 있는 곳이 승리한다 하여 사람들이 ‘나라를 공격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자 공자公子 이 말하기를 ‘혜성彗星이 무엇을 알겠는가.
빗자루를 가지고 싸우는 자는 진실로 빗자루를 거꾸로 잡아 공격하여야 승리한다.’ 하고는, 다음날 나라와 싸워 대파大破하였습니다.
황제黄帝가 말하기를 ‘에 앞서서 먼저 나의 지혜를 상고한다.’ 하였으니, 천관天官은 사람의 일을 말한 것일 뿐입니다.”
原注
“옛날 춘추春秋 때에 나라 장수 공자公子 나라와 싸울 적에, 혜성彗星이 출현하여 그 자루가 나라에 있었는데,
세성의 자루가 있는 곳이 승리한다고 하여, 사람들이 ‘공격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하자,
공자公子 이 말하기를 ‘혜성彗星이 무엇을 알겠는가.
빗자루를 가지고 남과 싸우는 자는 진실로 빗자루를 거꾸로 잡고 싸워야 승리한다.’ 하고는, 다음날 나라와 싸워서 마침내 대파大破하였습니다.
황제黄帝는 말하기를 ‘먼저 을 믿고 를 따르는 것이, 먼저 나의 지혜를 상고하는 것만 못하다.’ 하였으니, 천관天官은 사람의 일을 다함에 있을 뿐임을 말한 것입니다.”


역주
역주1 時日支干孤虛旺相之事 : 時는 四時이고 日은 날짜이며, 支는 十二支이고 干은 十干이다. 孤虛는 日辰에 기운이 완전하지 않음을 이르는바, 예를 들면 甲子日로부터 癸酉日까지가 10일간인데, 여기에는 地支 중 戌과 亥가 빠지므로 戌과 亥는 孤가 되고 戌과 亥의 반대 방향인 辰과 巳는 虛가 되는 따위이다. 旺相은 기운이 왕성하고 딴 기운이 도와줌이 있음을 이른다.
干支를 五行에 배합하면 十干에 있어 甲‧乙은 木, 丙‧丁은 火, 戊‧己는 土, 庚‧辛은 金, 壬‧癸는 水가 되며, 十二支는 寅(정월)‧卯(2월)는 木, 辰(3월)은 土, 巳(4월)‧午(5월)는 火, 未(6월)는 土, 申(7월)‧酉(8월)는 金, 戌(9월)은 土, 亥(10월)‧子(11월)는 水, 丑(12월)은 土가 된다. 그러므로 봄 3개월은 木이, 여름 3개월은 火가, 가을 3개월은 金이, 겨울 3개월은 水가 왕성하며, 3월‧6월‧9월‧12월의 4개월은 土가 각각 木‧火‧金‧水에 붙어 왕성하다.
相은 ‘도와주다’의 뜻으로 낳아줌을 이른다. 木은 火를 낳고 火는 土를 낳고 土는 金을 낳고 金은 水를 낳고 水는 다시 木을 낳는데, 봄 3개월간은 木이 旺이 되고 火가 相이 되며, 여름 3개월간은 火가 旺이 되고 土가 相이 되며, 가을 3개월간은 金이 旺이 되고 水가 相이 되며, 겨울 3개월간은 水가 旺이 되고 木이 相이 되는 것이다.
역주2 景星者 德星也 : 景星은 고대에 王道政治가 행해지는 태평한 시대에만 나타난다고 하는 상서로운 별을 이른다. 德星은 景星의 별칭이다.
역주3 : 앵
역주4 三里之城……是天時不如地利之義 : 이 내용은 《孟子》 〈公孫丑 下〉에 그대로 보인다.
역주5 : 陣의 本字이다.
역주6 以同心同德而伐離心離德也 : 이 내용은 《書經》 〈泰誓 中〉의 “受(紂王)는 億兆의 보통 사람이 있으나 마음이 이반되고 德이 이반되지만, 나는 亂을 다스리는 臣下 10인이 있는데 마음이 같고 德이 같으니, 〈受가〉 비록 지극히 친한 친척들이 있으나 나의 仁人만 못하다.[受有億兆夷人 離心離德 予有亂臣十人 同心同德 雖有周親 不如仁人]”라는 구절을 원용한 것이다.
역주7 : 세
역주8 (星與之)[帚與人] : 저본의 ‘星與之’는 明本에 의거하여 ‘帚與人’으로 바로잡았다.

울료자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