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明心寶鑑

명심보감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景行錄云 坐密室하고 如六馬 可免過니라
云 富貴智力求인대 仲尼年少合封侯世人 不解靑天意하고 空使身心半夜愁이니라
戒子弟曰 人雖至愚 責人則明하고雖有聰明이나 恕己則昏이니以責人之心으로 責己하고恕己之心으로 恕人이면 則不患不到聖賢地位也니라
子曰 聰明思睿라도以愚하고天下라도 守之以讓하고勇力振世라도 守之以怯하고 富有四海라도 守之以謙이니라
云 薄施厚望者 不報하고貴而忘賤者 不久니라
施恩이어든 勿求報하고與人이어든 勿追悔하라
曰 膽欲大而心欲小하고知欲圓而行欲方이니라
念念臨戰日하고心心常似過橋時니라
朝朝樂이요日日憂니라
曰 守口如甁하고
心不이면 面無慙色이니라
人無百歲人이나作千年計니라
六悔銘云 官行失時悔 富不儉用貧時悔藝不少學過時悔 見事不學用時悔醉後狂言醒時悔 安不將息病時悔니라
益智書云 有事而家富而住이언정 不有事而住金屋이요寧無病而食麤飯이언정 不有病而服良藥이니라
心安茅屋穩이요性定菜羹香이니라
景行錄云 責人者 不改過니라
夙興夜寐하여 人不知 天必知之飽食煖衣하여自衛者 身雖安이나
以愛妻子之心으로 事親이면 則曲盡其孝以保富貴之心으로 奉君이면이요 以責人之心으로 責己 則寡過以恕己之心으로 恕人이면 則全交니라
爾謀不이면 悔之何及이며이면 敎之何益이리오專則背道 私意確則滅公이니라
生事事生이요


《경행록》에 말하였다. “밀실密室에 앉았어도 마치 네거리를 통과하는 것처럼 하고, 작은 마음을 제어하기를 마치 여섯 필의 말을 부리듯 하면 허물을 면할 수 있다.”
[해설] 이 글이 추구하는 의미는 《중용》의 ‘신독愼獨’과 통한다. 아무도 보지 않는 홀로 있을 때 삼가는 삶의 태도, 곧 비밀스런 방에 앉았어도 마치 네거리의 공개된 장소를 지나가는 것처럼 하고, 사방 한 치의 내면의 세계인 마음을 제어하기를 마치 여섯 필의 말을 부리듯 할 때 허물을 면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격양시》에 말하였다. “부귀를 만약 지혜와 힘으로 구할 수 있다면, 중니仲尼(孔子)도 젊은 나이에 제후에 봉해졌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푸른 하늘의 뜻을 알지 못하고, 부질없이 몸과 마음으로 하여금 한 밤중까지 근심하게 한다.”
[해설] 부귀 같은 것은 운명적인 것이 없지 않은데, 부질없이 그것들을 좇는 세태를 꼬집은 것이다.
범충선공이 자제를 경계하여 말하였다. “사람이 비록 어리석을지라도 남을 꾸짖는 데엔 밝고, 비록 총명함이 있다 해도 자기를 용서하는 데엔 어둡다. 너희들은 항상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써 자기를 꾸짖고,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써 남을 용서한다면, 성현의 경지에 이르지 못함을 근심할 것이 없다.”
[출전] 1)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後集 범순인조范純仁條에 보이고, 《소학小學》〈嘉言 제오第五칠십일장七十一章〉에도 소개되어 있다.
2) “責人之心으로 責己하고 恕己之心으로 恕人이면 ....”은 《중용中庸》〈十三章〉 주자朱子장재張載의 글을 인용하고 있는 곳에 “張子所謂以愛己之心愛人則盡仁 .... 以責人之心責己則盡道”로 보이고, 《증광현문增廣賢文》에도 보인다.
[해설] 늘 남을 꾸짖는 마음을 가지고 자기를 문책問責하고,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을 가지고 남을 용서하면 성현聖賢의 경지에 이르지 못할까 근심할 것이 없다는 말이다.
공자가 말하였다. “총명하고 생각이 밝더라도 어리석음으로 〈자기를〉 지키고, 공이 천하를 덮을 만하더라도 겸양으로 지키고, 용맹이 세상에 떨칠지라도 겁냄으로써 지키고, 부유하기가 온 세상을 차지할 정도라도 겸손으로써 지키는 것이다.”
[출전]공자가어孔子家語권제이卷第二삼서三恕〉에 “子路進曰 敢問持滿有道乎아 : 자로가 나아가 말하기를, ‘만족을 견지하는 데 방법이 있습니까?’라고 하자”라는 글에 이어지는 공자의 대답이다.
[해설] 이 글도 마찬가지로 겸손한 삶의 자세를 우리에게 촉구한 것이다.
《소서》에 말하였다. “박하게 베풀고 후하게 바라는 사람에게는 보답이 없고, 몸이 귀하게 되어 천했던 때를 잊는 자는 오래가지 못한다.”
[출전] 이 글은 《소서素書》〈遵義章 제오第五〉에 보인다.
[해설] 사람이란 조금 베풀고 많이 받기를 바라는데 그런 사람에게는 보답이 없고, 사회적 위치가 높게 되었을 때 비천했던 때를 잊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사람은 오래도록 좋은 위치를 보존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은혜를 베풀었다면 보답을 구하지 말고, 남에게 주었거든 후회하지 말라.
[해설] 뭔가 남에게 좋은 일을 하면 꼭 알아주기를 바라거나 생색을 낼 때가 있다. 이 글은 이런 점을 경계시킨 것이다.
손사막이 말하였다. “담력은 크고자 하되 마음 가짐은 섬세하고자 하고, 지혜는 원만하고자 하되 행동은 방정하고자 하라.”
[출전] 1) 《당서唐書》〈隱逸列傳〉에 보이고, 《소학小學》〈嘉言 제오第五오십칠장五十七章〉에도 소개되어 있다.
[해설] 이 글은 담대하면서도 치밀한 내면의 세계와 정돈된 외면적 삶을 요구하고 있다.
생각마다 싸움터에 나아가는 것처럼 임해야 하고, 마음마다 늘 다리를 건너는 것처럼 할 것이다.
법을 두려워하면 아침마다 즐거울 것이요, 공적公的인 일을 속이면 날마다 근심한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 보인다.
주문공이 말하였다. “입 지키기를 병과 같이 하고, 뜻 막기를 성을 지키는 것처럼 하라.”
[출전] 1) 주자의 〈경재잠敬齋箴〉에 보이고, 《증광현문增廣賢文》에도 소개되어 있다.
[해설] 입을 무겁게 지키기를 뚜껑이 닫혀 있는 병과 같이 하고, 개인적인 욕구에서 비롯된 의지의 표현을 막기를 성을 지키는 것처럼 하라는 것이다.
마음이 남을 저버리지 않았으면 얼굴에 부끄러운 빛이 없다.
[해설] 남을 등지는 마음을 먹지 않았으면 얼굴에 부끄러운 빛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람은 백 살을 사는 사람이 없건만 부질없이 천 년의 계획을 세운다.
[출전] 1) 나라 때 이루어진 《악부고사樂府古辭》〈西門行〉에 “人生不滿百이나 常懷千載憂니라 : 사람살이 백 년을 못 채우면서 늘 천 년의 근심을 품는다.”로 되어 있다.
2) 《명현집明賢集》에는 “人生不滿百이나 常懷千歲憂니라”로 되어 있다.
3)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生年不滿百이나 常懷千歲憂니라”로 소개되어 있다.
[해설] 우리가 100살을 채우기 어렵건만 마치 천 년을 살 것처럼 부질 없는 계획을 세우는 것을 꼬집고 있다.
구래공寇萊公의 《육회명六悔銘》에 말하였다. “관원은 사사롭고 굽은 일을 행하면 벼슬을 잃을 때 뉘우치게 되고, 부자는 검소하지 않으면 가난해졌을 때 뉘우치고, 재주는 어렸을 때 배우지 않으면 시기가 지났을 때 뉘우치고, 일을 보고 배우지 않으면 필요할 때 뉘우치고, 취한 뒤에 함부로 말하면 술이 깨었을 때 뉘우치고, 몸이 편안할 때 조심하지 않으면 병이 들었을 때 뉘우칠 것이다.”
[해설] 이 글은 관원과 부자, 재주와 배움, 술취함과 건강 등 여섯 가지에 걸친 후회할지도 모를 일을 미리 경계하는 말로, 상반된 상황과 조건을 소홀히 하지 말 것을 당부한 것이다.
익지서益智書》에 말하였다. “차라리 아무 사고 없이 집이 가난할지언정 사고 있으면서 집이 부유하지 말 것이요, 차라리 사고 없이 나쁜 집에서 살지언정 사고 있으면서 좋은 집에 살지 말 것이요, 차라리 병이 없이 거친 밥을 먹을지언정 병이 있어 좋은 약을 먹지 말 것이다.”
[해설] 사고와 질병이 잦은 부잣집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사고와 질병없이 편히 사는 것이 낫다.
마음이 안정되면 모옥茅屋안온安穩하고, 성품이 안정되면 나물국도 향기롭다.
[해설] 마음이 편안하고 품성이 안정되면 아무리 볼 품 없는 음식도 향기롭다는 말로 사는 환경이나 생활수준이 좀 낮아도 자족自足할 수 있다는 말이다.
《경행록》에 말하였다. “남을 꾸짖는 자는 사귐을 온전히 할 수 없고, 자기를 용서하는 사람은 허물을 고치지 못한다.”
[해설] 남을 이해하려 하지 않는 자나 자기의 허물을 너그러이 보아 넘기는 자가 경계할 일을 지적하고 있다.
아침 일찍 일어나고 밤 늦게 자서 충성과 효도를 생각하는 사람들은 인간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하늘이 반드시 알아줄 것이요, 배 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어 안락하게 제몸만 보호하는 자는 몸은 비록 편안하겠지만 그 자손은 어떻게 할 것인가?
[해설] 진정한 충성과 효도는 세상 사람들이 알지 못하더라도 결국에 하늘이 알아줄 것이요, 제몸만 보호하는 이기주의자는 후대를 생각하지 않는 행위라는 점을 말하고 있다.
아내와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으로써 어버이를 섬긴다면 그 효도가 극진할 것이요, 부귀를 보전하려는 마음으로 임금을 받든다면 그 어느 곳에 간들 충성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요, 남을 책망하는 마음으로 자기를 책망하면 허물이 적을 것이요,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한다면 사귐을 온전히 할 것이다.
[해설] 세상사람들이, 아내와 자식을 아끼는 마음으로 부모를 섬긴다면 지극한 효도가 되고, 자기의 재산과 사회적 명예를 보전하려는 마음으로 일하면 충성스럽고 남과 자기의 입장을 생각하면서 스스로를 꾸짖고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한다면 온전한 인격자人格者가 될 것이나, 현실은 그 반대라는 해석을 할 수 있다.
너의 꾀가 좋지 못하면 후회한들 어찌 미치겠으며, 너의 소견이 좋지 못하면 가르친들 무엇이 이로우리오? 자기 이익만 생각하면 도에 어그러지고, 사사로운 뜻이 굳으면 하게 된다.
[해설] 우리의 꾀하는 바가 옳지 못하면 후회가 뒤따를 것이며, 견해가 바르지 못하면 가르쳐도 소용이 없다. 이렇듯 자기 이익과 사사로운 뜻만 있다면 사회나 국가를 망친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일을 만들면 일이 생기고, 일을 덜면 일이 줄어든다.
[해설] 부질없이 일을 만들어 하기 시작하면 한정이 없으니 꼭 해야할 일인지 생각한 다음 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많은 일이 줄어들 것이다.


역주
역주1 存心篇 : 이 편은 마음의 보존, 곧 움직이지 않는 평정 상태의 마음을 유지할 것을 촉구한다. 곧 마음 쓰기를 매우 신중하게 하라는 글인데, ‘存心’은 본래 《맹자》에 나오는 말이다. 맹자는 “그 마음을 보존하여 그 본성을 기르는 것은 하늘을 섬기는 것이다. : 存其心 養其性 所以事天也”(《孟子》〈盡心章句 上〉 1장)라고 하여, 본래적 자연적 善한 마음을 잃지 말 것[放心]을 우리에게 요청하였는데, 이 같은 논조가 이 글에 흐른다.
역주2 通衢(통구) : 사통팔달(四通八達)의 큰 길.
역주3 寸心 : 方寸之心. 곧 사방 한 치의 마음이란 말로 마음을 뜻한다.
역주4 擊壤詩 : 송나라 康節 邵雍의 시이다. 그의 저서 《伊川擊壤集》〈20권〉에 들어 있는데, 그 스스로 농사를 지으면서 이런 시를 지었다고 한다.
역주5 : 以의 의미이다.
역주6 范忠宣公 : 송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純仁, 자는 堯夫, 충선은 그의 시호이다. 벼슬은 中書侍郞에 이르렀는데, 剛直하여 불의에 조금도 굽히지 않았고, 王安石의 新法의 不便을 거리낌없이 상소하여 그의 미움을 샀다.
역주7 爾曹 : 여기서 爾는 ‘너’의 뜻 외에 ‘가깝다[邇]’, ‘~일 뿐이다’의 의미가 있고, 曹는 복수접미사이다.
역주8 : 원문에는 當으로 되어 있다.
역주9 : 之는 모두 자기 자신을 가리킨다.
역주10 : ‘덮다’(포함하다)의 의미이다.
역주11 素書 : 秦나라 黃石公이 지은 1권으로 된 兵家書이다. 原始章, 正道章, 求人之志章, 本德宗道章, 遵義章, 安禮章 등 6장으로 되어 있다.
역주12 孫思邈 : 唐나라 사람으로, 諸子百家의 학설에 정통했고, 陰陽․推步․醫藥에도 통했다고 한다. 隋나라 文帝와 당나라 太宗이 벼슬을 주어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고, 100살에 죽었다. 저서에 《千金要方》,《福祿論》,《攝生眞錄》 등이 있다.
역주13 :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는 ‘~해야 한다’의 조동사이다.
역주14 : ‘似’와 마찬가지로, ‘~처럼 하다’는 의미의 전치사성 동사로 쓰였다.
역주15 懼法 : 법률의 위엄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역주16 欺公 : 간사한 일을 저지르는 犯法 행위를 말한다.
역주17 朱文公 : 송나라 학자이자 사상가 朱子(1130~1200)이다. 이름은 熹, 자는 元晦․仲晦이고, 호는 晦庵(회암)․紫陽(자양)․晦翁(회옹), 文은 그의 시호다. 高宗․孝宗․光宗․寧宗의 4대에 걸쳐 벼슬했다.이른바 二程子, 곧 程明道와 程伊川 형제의 학설을 정리하여 성리학을 집대성하였는데, 그런 까닭에 성리학을 朱子學이라고도 한다. 저서에《四書集註》,《資治通鑑綱目》,《近思錄》,《小學》 등이 있다. 南宋 高宗 建炎 4년(고려 인종 8년, 1130)에 나서 寧宗 慶元 6년(1200)에 71세로 죽었다.
역주18 守口如甁하고 防意如城하라 : 여기서 ‘如’는 전치사성 동사로서, ‘~처럼 하다’로 해석한다.
역주19 : ‘~을 등지다’ 또는 ‘~을 저버리다’로 해석된다.
역주20 : ‘굽다’의 의미인 만큼, ‘왜곡하여’ 또는 ‘왜곡되이’로 번역해도 좋겠다.
역주21 寇萊公 : 송나라 때 사람 寇準이다. 자는 平仲, 시호는 忠愍. 구래공이란 뒤에 萊國公에 봉해졌기 때문에 부르게 된 것이다. 벼슬은 同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렀고, 저서에 《巴東集》이 있다.
역주22 私曲 : 公과 直의 상대개념으로 ‘사사롭고 바르지 못한 것’을 말한다.
역주23 寧~莫(不) : ‘차라리 ~할지언정 ~말라’를 의미하는 문장구조이다. “寧爲鷄口이언정 無爲牛後하라 : 닭 대가리가 될지언정 소 꼬리가 되지 말라.”
역주24 無事 : 일 없음, 곧 사고 없음을 말한다.
역주25 茅屋 : 초가집으로 金屋에 비해 형편없이 안 좋은 집이다.
역주26 不全 : 부분 부정을 나타낸다.
역주27 : 자신의 입장에서 상대를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自恕는 자기 자신을 상대화시켜 합리화하는 것이다.
역주28 所思忠孝者 : ‘所~者’는 사람일 경우 ‘~하는 사람’, 사물일 경우 ‘~하는 것’으로 번역하면 된다.
역주29 怡然 : 然은 소리나 모습을 묘사한 말 뒤에 붙는 접미사이다. 例): 欣然有喜色
역주30 其如子孫 : ‘其’는 어기사로 ‘그럴 경우’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역주31 無往不忠 : 여기서 ‘往’은 ‘어디 간들’, ‘하는 일마다’의 의미인데, ‘無往不~’은 ‘無不~’구조로서 이중부정 곧 강한 긍정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역주32 : 여기서는 ‘착하다[善]’는 뜻으로 쓰였으나, 일반적으로 ‘감추다[藏]’, ‘五臟’의 의미로도 쓰인다.
역주33 : ‘見’은 所見이다.
역주34 : ‘좋다’의 의미이다.
역주35 利心 :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는 마음’이다.
역주36 : 여기서는 ‘줄이다’(생)의 의미를 갖지만, 일반적으로 ‘살피다’(성)의 뜻으로 쓰인다.
역주37 生事事生이요 省事事省이니라 : 前後句 모두 조건절+주절의 관계로 되어 있다. 따라서 ‘生事則事生이요 省事則事省이니라’로 보충함직하다.
동영상 재생
1 7. 존심편 58
동영상 재생
2 7. 존심편 53
동영상 재생
3 7. 존심편 205
동영상 재생
4 7. 존심편 68
동영상 재생
5 7. 존심편 67
동영상 재생
6 7. 존심편 270
동영상 재생
7 7. 존심편 224
동영상 재생
8 7. 존심편 230
동영상 재생
9 7. 존심편 42

명심보감 책은 2019.04.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