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明心寶鑑

명심보감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司馬溫公曰 毋得專行하고 必咨稟於家長이니라
待客不豊이요治家 不得不儉이니라
太公曰 痴人 畏婦하고賢女 敬夫니라
凡使奴僕 先念飢寒이니라
子孝이요家和萬事成이니라
時時防火發하고夜夜備賊來니라
景行錄云 觀朝夕之早晏하여卜人家之興替니라
曰 婚娶而論財 夷虜之道也니라


사마온공司馬溫公이 말하였다. “무릇 손아래 사람들은 일의 크고 작음이 없이 제멋대로 행동하지 말고 반드시 가장家長에게 여쭈어야 한다.”
[해설] 이 글은 경험이 많은 집안의 어른과 의논하여 일을 결정하라는 말이다.
손님을 접대함에 풍성하게 하지 않을 수 없으며, 가정을 다스림에 검소하지 않을 수 없다.
[해설] 손님 접대는 온갖 성의를 다하되 풍성하게 해야 하며, 가정을 꾸리는 것은 반드시 검소하여야 함을 말하고 있다.
태공이 말하였다. “어리석은 사람은 아내를 두려워하고, 어진 여자는 남편을 공경한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痴人은 畏婦하고 賢婦는 敬夫니라”로 되어 있고 《금병매사화金甁梅詞話》 20에는 “自古痴人畏婦요 賢女敬夫니라”로 되어 있다.
[해설] 어리석은 사람은 아내에 종속되어 제 역할을 못하고, 어진 여자는 남편을 삼가 대하여 가정의 평안을 도모한다는 말이다.
무릇 노복을 부림에는 먼저 배고픔과 추위를 생각하라.
[해설]율곡栗谷이이李珥도 그의 《격몽요결擊蒙要訣》 〈거가장居家章제팔第八〉에서 비복婢僕은 주인의 수고로움을 대신해주는 사람이므로 무엇보다도 그들의 춥고 배고픔을 생각하여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 글과 통한다.
자식이 효도하면 어버이가 즐겁고,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
[해설] 어버이 뜻대로 자식의 본분을 다하는 것보다 더 큰 어버이의 즐거움은 없고, 아울러 가족 구성원이 서로 화목하면 온갖 일이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때때로 불이 나는 것을 막고, 밤마다 도적이 오는 것을 방비하라.
[해설] 재앙은 뜻하지 않게 생기는 것이므로, 늘 대비하여야 한다는 말이다.
《경행록》에 말하였다. “아침 저녁의 이르고 늦음을 보아, 그 사람의 집이 흥하고 쇠함을 알 수 있다.”
[출전]방씨가훈龐氏家訓》에는 “觀人家起臥之早晩하여 而知其興衰니라”로 되어 있고,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視寢興之早晩하여 知人家之興敗니라”로 되어 있다.
[해설] 이 글은 농경사회 촌락村落의 밥 지을 때 연기 피어 오르는 굴뚝을 연상하게 한다. 굴뚝의 연기가 이르고 늦은 것을 보아 그 집의 근면에 따른 흥함과 쇠함을 알아차릴 수 있다는 말이다.
문중자文仲子가 말하였다. “혼인하고 장가드는 데 재물을 논하는 것은 오랑캐의 도리이다.”
[출전]중설中說》〈事君〉에 보이는데, 《소학小學》〈嘉言 사십장四十章〉에도 소개되어 있다.
[해설] 이 글은 마치 오늘날 혼수감으로 자가용 자동차, 아파트 한 채 등등을 지참할 것을 요구하는 일부 몰지각한 결혼 조건의 논의를 들여다 보고 평한 것과 같은 말이다.


역주
역주1 治家篇 : 우리에게 익숙한 ‘家和萬事成’이라는 글이 실려 있는 이 편은 모든 것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집단으로서 가정을 꾸려가는 방법에 대해 말하고 있다.
손님을 접대하는 법, 아내에 대한 남편의 태도, 결혼에 임하는 방법 등에 대해 이 글은 논의하고 있는데, “혼인하고 장가드는 데 재물을 논하는 것은 오랑캐의 도리이다.”라는 글은 매사에 재물만을 추구하는 우리를 나무라고 있다.
역주2 凡諸卑幼 事無大小히 : ‘凡諸卑幼는 事無大小히’로 끊음직하다.
역주3 不得 : ‘不能(不可)’과 같아서 불가능을 나타내는 조동사 역할을 한다.
역주4 雙親 : 兩親과 같음.
역주5 可以 : ‘以’는 ‘以此’(이로써)이고, 觀朝夕之早晏에 걸린다.
역주6 文仲子 : 隋나라 王通(584~618)의 시호이다. 그는 隋나라 末期의 저명한 학자로서 字는 仲淹이다. 그의 저서(10권) 《中說》은 《文仲子》라 부르기도 하는데, 門人과의 문답을 기록한 것으로, 《論語》를 본받아 지은 것이다. 王道, 天地, 事君, 周公, 問易, 禮樂, 述史, 魏相, 立命, 關朗 등 10편으로 되어 있다. 〈太平十二策〉을 조정에 올렸으나 채택되지 않자 河汾에 돌아가 후학을 가르치는데 힘썼다. 房玄齡, 魏徵 등이 그에게 임금 돕는 길을 물었다 한다.
동영상 재생
1 15. 치가편 96
동영상 재생
2 15. 치가편 45
동영상 재생
3 15. 치가편 29
동영상 재생
4 15. 치가편 59
동영상 재생
5 15. 치가편 18
동영상 재생
6 15. 치가편 142
동영상 재생
7 15. 치가편 73

명심보감 책은 2019.04.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