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明心寶鑑

명심보감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不如不言이니라
一言不中이면 千語無用이니라
曰 口舌者 禍患之門이요 滅身之斧也니라
利人之言 煖如綿絮하고傷人之語 利如荊하여 重値千金이요一語傷人 痛如刀割이니라
口是傷人斧 言是割舌刀閉口深藏舌이면니라
逢人하고 未可全抛一片心이니不怕虎生三 只恐人情兩이니라
酒逢知己千鍾少一句多니라


유회가 말하였다.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하다.”
[해설] 이 글은 말이 다 말이 아니라, 이치에 맞아야 하는 것이라고 가르쳐 주고 있다.
한 마디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천 마디 말이 쓸모 없다.
[해설] 이 글도 철저하게 조리에 맞는 언어구사를 당부한 것이다.
군평君平이 말하였다. “입과 혀는 재앙과 근심의 이요, 몸을 망치는 도끼이다.”
[출전]풍도馮道에 “口是禍之門이요 舌是斬身刀이니 閉口深藏舌하여 安身處處牢하라”는 글이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전해 내려 오는 금언金言인 듯하다.
[해설] 입과 혀는 재앙과 근심의 근원이며 사람 죽이는 도구일 수 있으니, 말을 삼가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을 이롭게 하는 말은 따뜻하기 솜과 같고, 사람을 상하게 하는 말은 날카롭기가 가시 같아서, 한 마디 말이 사람을 이롭게 함은 소중한 것이 천금으로 값나가고, 한 마디 말이 사람을 속상하게 함은 아프기가 칼로 베는 것과 같다.
[출전] ‘一語傷人에 痛如刀割이니라’가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傷人一語이면 利如刀割이니라 : 남을 한 마디 말로 해치면, 날카롭기가 칼로 베는 것과 같다.”로 되어 있다.
[해설] 단 한마디의 언어 구사의 이로움과 해로움의 차이에 대해 말하고 있다.
입은 바로 사람을 상하게 하는 도끼요 말은 바로 혀를 베는 칼이니, 입을 막고 혀를 깊이 감추면 몸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 가는 곳마다 확고할 것이다.
[해설] 여기서도 말은 조심스럽게 해야 함을 경계하고 있다.
사람을 만나거든 우선 말을 3만 하되 자기가 지니고 있는 한 조각 마음을 다 털어 버리지 말지니, 호랑이의 세 개의 입을 두려워하지 말고 단지 사람의 두 마음을 두려워하라.
[출전] ‘逢人且說三分話하되 未可全抛一片心이니’는 나라 석도원釋道源편저編著한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에 보이는데, 《증광현문增廣賢文》에도 소개되어 있다.
[해설] 남을 만나면 자신의 의사意思를 대부분 감추고 3만 표현할 것을 요청하고 있는데, 사람들의 이중적 속 마음이란 호랑이의 세개 입보다 두려운 것일지 모르기 때문이다.
술은 나를 알아주는 친구를 만나면 천 잔도 적고, 말은 기회를 맞추지 않으면 한 마디도 많다.
[출전]명현집明賢集》에는 “酒逢知己千杯少요 話不投機半句多니라”로 되어 있다.
[해설] 술이란 지기知己를 만나면 아무리 마셔도 아쉽지만, 말이란 시의적절時宜適切하지 않으면 한 마디도 많다는 말이다.


역주
역주1 言語篇 : 이 편은 ‘신중한 언어 표현’ 곧 입 조심을 권고한다. 음식을 잘못 먹으면 병이 되고[病從口入], 말 한마디 잘못하면 큰 재앙이 된다[禍從口入]. 따라서 ‘부드러운 혀로 쉽게 놀리는 입’이야말로 매우 조심해야 한다.
이 같은 의미에서 말 한 마디 잘못하여 재앙을 입거나, 자칫 남을 크게 속상하게 할지도 모른다는 점을 이 편은 역설한다.
역주2 劉會 : 未詳이다.
역주3 言不中理 : ‘주어+술어+보어’의 관계로 되어 있고, 여기서 中理(이치에 맞다)는 ‘時宜適切하다’는 의미이다.
역주4 君平 : 前漢 武帝 때의 嚴君平이라는 說과, 蜀漢 사람으로 성은 嚴, 이름은 遵, 군평이 字인 《老子指揮》를 쓴 사람이라는 說이 있는데 자세하지 않다.
역주5 : 音이 ‘극’(가시)으로 棗(대추 조)와 구별된다는 점을 유의할 만하다.
역주6 一言利人 : ‘一言半句’로 된 통행본이 있다.
역주7 安身處處牢 : ‘어디를 가나 몸이 편안한 것은 확실하다’의 의미이다. 牢: 굳을 뢰
역주8 : ‘우선’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역주9 三分 : ‘分’은 量詞로, 삼분은 3割이다.
역주10 : 數量 修辭로 갯수, 명수 등을 나타낸다.
역주11 : 모양이나 종류를 말한다.
역주12 話不投機 : 말이 적절한 기회나 상대방의 마음을 살피지 않는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18. 언어편 63
동영상 재생
2 18. 언어편 118
동영상 재생
3 18. 언어편 67
동영상 재생
4 18. 언어편 164
동영상 재생
5 18. 언어편 114

명심보감 책은 2019.04.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