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明心寶鑑

명심보감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景行錄云 知足可樂이요務貪則憂니라
知足 貧賤亦樂이요不知足者 富貴亦憂니라
徒傷神이요 니라
知足常足이면 終身不辱하고知止常止 終身無恥니라
招損하고 謙受益이니라
安分曰 安分身無辱이요心自閑이라雖居이나 却是出人間이니라
子曰 不在其하여는 不謀其이니라


《경행록》에 말하였다. “만족할 줄 알면 즐거울 수 있을 것이요, 탐욕을 채우는 일에 힘쓰면 근심하게 된다.”
[출전] 당초 도가철학道家哲學의 창시자 노자는 ‘만족할 줄 아는 인생의 태도’를 우리에게 권장하였다. 다음 노자의 《도덕경》 44장 안의 내용과 그 흐름이 이어진다. “名與身孰親고 身與貨孰多오 得與亡孰病이오 是故로 甚愛必大費요 多藏必厚亡이라 知足不辱이요 知止不殆이니 可以長久리라 : 이름과 몸은 어느 것을 더 친애해야 하는가? 이름을 숭상하는 사람은 반드시 그 몸을 소홀하게 다룰 것이다. 몸과 재물은 어느 것이 비중이 더 큰가? 재물을 탐내 싫어할 줄 모르는 사람은 반드시 그 몸을 가볍게 여길 것이다. 이름이나 재물을 얻는 것과 잃는 것은 어느 편이 사람을 병되게 할 것인가? 명리名利를 얻기 위해 그 몸을 손상한다면 얻는 것이 그를 병들게 할 것이다. 이 때문에 재물을 지나치게 사랑하면 반드시 크게 허비하게 되고, 재물을 많이 감추면 반드시 많이 잃게 될 것이다. 만족할 줄 알면 욕됨이 없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으리니 이렇게 하면 장구할 수 있을 것이다.”
[해설] 만족할 줄 모르는 세태에 일침一針을 가한 것이다. 위만 쳐다볼 것이 아니라 때로는 아래를 내려다 보는 태도도 필요하며, 한정없이 탐욕을 부리면 얻어지기는커녕 근심만 늘어날 것이다.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가난하고 천하여도 즐거울 것이요, 만족할 줄 모르는 사람은 하고 하여도 역시 근심한다.
[해설]《도덕경》 44장의 글과 흐름이 비슷하다. 만족을 모르면 아무리 부귀해도 행복을 모르는 불행한 사람이 된다. 가난해도 분수를 편안하게 여기는 사람만이 참다운 행복을 아는 법이다.
지나친 생각은 오직 정신을 상할 뿐이요, 허망한 행동은 도리어 재앙을 부른다.
[해설] 지나치게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은 정신 건강을 해칠 뿐이며, 경거망동輕擧妄動은 도리어 재앙을 부른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만족할 줄 알아 늘 만족스러워하면 종신토록 욕되지 아니하고, 그칠 줄을 알아 늘 그치면 종신토록 부끄러움이 없을 것이다.
[출전] 이 글도 마찬가지로 노자 《도덕경》이 권하는 ‘만족할 줄 아는 인생의 태도’의 내용이 함축되어 있다. 《도덕경》 44장 참조.
[해설] 사람은 만족해야 할 때 만족하지 못하고 멈추어야 할 때 멈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치, 사회, 경제 등에 걸친 우리의 처지에 늘 만족하고, 적정선에서 멈춰 서서 우리를 되돌아보는 자기성찰을 늘 수행遂行할 때, 굴욕과 수치는 우리의 생애를 마칠 때까지 없을 것임을 말하고 있다.
《서경》에 말하였다. “가득차면 덜림을 부르고 겸손하면 이익을 받는다.”
[출전]서경書經》〈大禹謨 이십일장二十一章〉에 보인다.
“三旬을 苗(묘)民이 逆命이어늘 益이 贊于禹曰 惟德은 動天이라 無遠不届(계)하나니 滿招損하고 謙受益이 時乃天道이니이다 : 30일을 의 백성이 을 거스르거늘, 임금을 도와 이르되 ‘은 하늘을 움직이는지라 먼데 이르지 아니함이 없나니 자만은 손해를 부르고 겸손은 이익을 받음 이것이 곧 하늘의 도리이다’ 하였다.”
삼순三旬: 삼십일三十日. : 돕다. : 속자俗字로 ‘이르다’의 뜻. : ‘’의 뜻이다.
[해설] 이 글은 가득 채우거나 자만할 때의 단점과 겸양謙讓의 장점에 대해 말하고 있다. 우리가 욕망이나 욕구를 가득 채우고 자만할 때 우리에겐 잃는 일만 남을 것이고, 이에 반해 겸손한 삶을 견지할 때 어디로부턴가 보탬의 일이 생길 것이라는 말이다.
안분음安分吟》에 말하였다. “분수에 편안하면 몸에 욕됨이 없을 것이요, 기미를 알면 마음이 저절로 한가할 것이다. 비록 인간 세상에 살더라도 도리어 인간 세상을 벗어나는 것이다.”
[해설] 앞 글과 마찬가지로 분수에 편안해 하여 기미를 알아차리면, 속세를 벗어난 것 같은 한가로운 상태에 접어들 것임을 말하고 있다.
공자가 말하였다.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정사政事를 도모하지 않는 것이다.”
[출전]논어論語》〈泰伯 십사장十四章〉 전체이다.
[해설] 자기의 직분만 다할 뿐, 그 외의 일에 관여關與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역주
역주1 安分篇 : 이 편은 자신의 분수에 편안해 하는 삶을 권한다. 분수 곧 우리에게 주어진 직분, 조건, 처지, 환경 등에 만족하여 안정을 찾는 삶을 권고한다. 사람이란 끝없는 욕망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본인의 역량이나 상황과는 무관하게 살아감으로써 오히려 불행할 때가 있다. 이런 점에 유의하는 삶, 곧 만족할 줄 아는 삶의 자세를 우리에게 촉구한 글이다.
역주2 :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로, 꾸며 주는 성분이 앞에 위치하는 것이 특색이며 수식성분이 뒤에 위치하는 ‘所’와 구별된다.
역주3 : ‘猥濫된’의 의미이다.
역주4 妄動 : 輕擧妄動이다.
역주5 : ‘도리어’의 의미인데, 이 외에 ‘돌이키다’, ‘반성하다’의 의미로 자주 쓰인다.
역주6 : ‘부르다(招致하다)’의 의미이고 이 외에 ‘다하다’(致知, 致中和), ‘마치다’, ‘맡기다’(見危致命)의 의미를 지닌다.
역주7 : 《書經》이다. 삼경 또는 오경의 하나로, 중국의 堯舜 때부터 周나라에 이르기까지 正史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것인데, 공자가 수집하였다고 전해진다. 宋나라 때 蔡沈이 해설한 것을 《書傳》이라고 하는데, 모두 20권 58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주8 滿 : ‘가득 채우다’, ‘自滿하다’의 뜻이다.
역주9 : 吟은 詩體의 이름이다.
역주10 : 미처 드러나지 않은 기미나 조짐을 가리킨다.
역주11 人世上 : 인간 세상이다.
역주12 : 位는 職位를 말한다.
역주13 : 政務이다.
동영상 재생
1 6. 안분편 44
동영상 재생
2 6. 안분편 49
동영상 재생
3 6. 안분편 104
동영상 재생
4 6. 안분편 73

명심보감 책은 2019.04.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