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明心寶鑑

명심보감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子曰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하여 久而不聞其香이나 卽與之化矣與不善人居 如入鮑魚之肆하여 久而不聞其臭 亦與之化矣하고 漆之所藏者이라是以 君子 必愼其所與處者焉이니라
家語云 與同行이면 如霧露中行하여 雖不濕衣라도 時時有潤하고同行이면 如厠中坐하여 雖不汚衣라도 時時聞臭니라
子曰 善與人交로다 久而敬온여
相識 滿天下하되 知心能幾人
酒食兄弟로되 急難之朋 一個無니라
不結要種이요無義 不可交니라
君子之交 淡如水하고小人之交 甘若醴니라
路遙知馬力이요日久


공자가 말하였다. “선한 사람과 같이 거처하면 지초芝草난초蘭草가 있는 방안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되면 그 냄새를 맡지 못하나 곧 그 향기와 더불어 동화同化되고, 선하지 못한 사람과 같이 있으면 생선 가게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되면 그 악취를 맡지 못하나 또한 그 냄새와 더불어 동화되나니, 붉은 단사丹砂를 지니면 붉어지고 검은 옻을 지니면 검어진다. 그러므로 군자君子는 반드시 그 더불어 사는 자를 삼가야 한다.”
[출전]공자가어孔子家語권제사卷第四육본六本〉에 보인다.
[해설] 난초의 향기와 생선 가게의 악취가 자신도 모르게 젖어드는 것을 들어, 인간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음을 말하고 있다. 곧 교유관계交遊關係에 특히 유의할 것을 당부한 것으로,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도 같은 맥락이다.
가어家語》에 말하였다. “좋은 사람과 동행하면 마치 안개 속을 가는 것과 같아서 비록 옷은 젖지 않더라도 때때로 윤택함이 있고, 무식한 사람과 동행하면 마치 뒷간에 앉은 것 같아서 비록 옷은 더럽히지 않더라도 때때로 그 냄새를 맡게 된다.”
[해설] 사람은 교우관계交友關係가 암암리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공자가 말하였다. “안평중晏平仲은 사람과 사귀기를 잘한다. 오래되어도 공경하는구나.”
[출전]논어論語》〈公冶長 십육장十六章〉에 그대로 보인다.
[해설] 일반적으로 오래 사귀면 처음과 같은 공경심은 없어진다. 그러나 안평중은 사람을 오래도록 사귀었어도 공경하는 마음을 그치지 않았으니 사람 사귀기를 잘한 것이라는 공자의 칭찬이다.
서로 얼굴을 아는 사람은 온 세상에 가득하지만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 몇이나 될 수 있겠는가?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相識滿天下하되 知心能幾人고 相逢好似初相識이면 到老無怨恨心이라 : 서로 얼굴을 아는 사람이 온 세상에 가득하지만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서로 만나는 것이 처음 서로 알 때처럼 좋으면 늙어도 원한의 마음이 없을 것이다.”로 소개되어 있다.
[해설] 서로 알고 지내는 사람은 많지만 속 심정까지 알아주는 사람은 얼마 안된다는 말이다.
술이나 음식을 함께할 때 형제 같은 친구는 많으나, 급하고 어려울 때 도와줄 친구는 하나도 없다.
[출전]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有酒有肉多兄弟요 急難何曾見一人인가 : 술이 있고 고기가 있으면 형제처럼 지내는 친구가 있지만, 위급하고 어려우면 언제 일찍이 한 사람인들 찾아볼 수 있던가?”로 되어 있다.
[해설] 일반적으로 말하는 술 친구는 많으나, 어려울 때 도와주는 진정한 친구는 극히 적다는 것이다.
열매를 맺지 않는 꽃은 심으려 하지 말고, 의리 없는 친구는 사귀지 말라.
[해설] 열매 맺지 못할 꽃은 아예 씨를 뿌리지 말고, 의리 없는 친구는 사귀지 말라는 말이다.
군자의 사귐은 담박하기가 물 같고, 소인의 사귐은 달콤하기가 단술 같다.
[출전] 1) 《장자莊子》〈山木〉 5장에 거의 비슷한 글이 보인다.
“君子之交는 淡若水하고 小人之交는 甘若醴하나니 君子는 淡以親하고 小人은 甘以絶이니라 : 군자의 교제는 담백하기가 물과 같고 소인의 교제는 달기가 단술과 같다. 군자는 담백하기 때문에 가까워지고 소인은 달기 때문에 끊어진다.”
2) 《예기禮記》〈表記〉에는 “君子之接如水하고 小人之接如醴하나니 君子淡以成이요 小人甘以壞이니라”로 되어 있다.
3)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君子之交淡以成하고 小人之交甘以壞니라”로 되어 있다.
[해설] 이상적 도덕을 갖춘 군자는 세상의 이해와 관계없이 사귀므로 물맛처럼 담백하고, 소인은 이해利害결부結付하여 사귀므로 단술처럼 일시적이어서 깨지기 쉽다는 말이다.
길이 멀어야 말의 힘을 알고, 날이 오래되어야 사람의 마음을 본다.
[출전]사림광기事林廣記》〈前集九 결교경어結交警語〉에는 “路遙知馬力이요 事久見人心이니라”로 보이고,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그대로 소개되어 있다.
[해설] 길이 멀면 말의 능력을 알듯, 사람은 오래 사귀어야 그 마음을 알게 된다는 말이다.


역주
역주1 交友篇 : 이 편에서 우리는 “열매를 맺지 않는 꽃은 심지 말고, 의리 없는 친구는 사귀지 말라.”라든가, “길이 멀어야 말의 힘을 알고, 날이 오래되어야 사람의 마음을 본다.”는 글귀들을 접하게 된다. 이 글을 통해 붕우관계 곧 공부하는 집단에 요구되는 제반 사항들, 예컨대 사귀는 방법과 친분관계의 유지와 그 중요성, 참다운 친구의 의미에 대하여 되돌아보게 될 것이다.
역주2 丹之所藏者 : 여기서 ‘之’는 공히 목적격이다. 따라서 ‘~을’로 해석해야 한다. 여기서는 語勢를 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역주3 好人 : 秋適本에는 ‘好人’이 ‘好學人’으로 되어 있다.
역주4 無識人 : 一本에는 ‘不好人’으로 되어 있다.
역주5 晏平仲 : 춘추시대 齊나라 大夫 晏嬰(안영)으로, 仲平은 그의 자다. 그는 재상의 지위에까지 올랐지만 청렴하고 검소하여, 가죽 옷 한 벌을 30년이나 입었고, 고기를 별로 먹지 않았으며, 그의 아내는 비단웃을 입지 않았다고 한다. 나중 사람이 그의 言行과 간단한 말을 모아 《晏子春秋》 8권을 편찬했는데, 지금 전하는 것은 僞書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역주6 : 友人 상대방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이다.
역주7 : ‘箇’, ‘介’, ‘个’와 같이, 갯수, 명수를 나타내는 수량 수사이다.
역주8 : 여기서 ‘씨’, ‘종자’의 의미이다.
역주9 : ‘~하지 말라’(止, 勿)는 의미의 금지사이다.
역주10 : 관형격이다.
역주11 路遙……見人心이니라 : ‘路遙라야 知馬力이요 日久라야 見人心이니라’로 끊어 현토해 봄직하다.
동영상 재생
1 19. 교우편 333
동영상 재생
2 19. 교우편 158
동영상 재생
3 19. 교우편 128
동영상 재생
4 19. 교우편 47
동영상 재생
5 19. 교우편 38
동영상 재생
6 19. 교우편 66
동영상 재생
7 19. 교우편 35
동영상 재생
8 19. 교우편 34
동영상 재생
9 19. 교우편 62

명심보감 책은 2019.04.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