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明心寶鑑

명심보감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印觀 賣綿於市할새以穀買之而還이러니 攫其綿하여어늘 印觀 歸于署調曰 鳶汝綿於吾家 還汝하노라 署調曰 鳶 攫綿與汝 天也리오 印觀曰 然則還汝穀하리라 署調曰 吾與汝者市二日이니 穀已汝矣라하고 二人 相讓이라가 幷棄於市하니 掌市官하여 並賜爵하니라
少貧甚러니 一日朝 婢兒踊躍獻七兩錢曰 此在鼎中하니이요 天賜天賜니이다 公驚曰 是何金고하고 卽書失金人하여而待러니 俄而姓劉者來問書意어늘 公悉言之한대 劉曰 하니 果天賜也닛고 公曰 非吾物 劉俯伏曰 昨夜라가 還憐家勢蕭條而施之러니 今感公之廉价하고하여 誓不更盜하고 願欲常侍하오니 勿慮取之하소서 公卽還金曰 金不可取라하고 終不受하니라 公爲判書하고 爲憲宗國舅하며 劉亦하여 身家大昌하니라
高句麗之女 幼時 好啼러니 王戱曰 以汝하리라 及長高氏한대이라하여 固辭하고 終爲溫達之妻하니라溫達 家貧하여 行乞養母하니 時人 目爲愚溫達也러라 一日 溫達 自山中으로 負楡皮而來하니 王女訪見曰 라하고 乃賣首飾하여 而買田宅器物하고 多養馬以資溫達하여 終爲顯榮하니라


인관印觀이 장에서 솜을 파는데 서조署調라는 사람이 곡식으로써 솜을 사 가지고 돌아가더니 솔개가 그 솜을 채 가지고 인관의 집에 떨어뜨렸다. 인관이 서조에게 솜을 돌려 보내며 말하기를, “솔개가 너의 솜을 내 집에 떨어뜨렸으므로 너에게 돌려 보낸다.” 하니, 서조는 말하기를, “솔개가 솜을 채다가 너에게 준 것은 하늘이 한 일이다. 내가 어찌 받겠는가?” 하였다. 인관이 말하기를, “그렇다면 〈솜 값으로 받은〉 너의 곡식을 돌려보내겠다.” 하자, 서조가 말하기를, “내가 너에게 준 지가 벌써 두 장이 지났으니, 곡식은 이미 너에게 귀속되었다.” 하였다. 두 사람이 서로 사양하다가 솜과 곡식을 다 함께 장에 버리니, 시장을 맡아 다스리는 관원이 이 사실을 임금께 아뢰어 모두 벼슬을 주었다.
[출전]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에 이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해설] 솜장사 인관印觀과 그에게서 솜을 산 서조署調 사이의 욕심 없는 삶과 거기에 대해 보답 받는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홍공洪公기섭耆燮이 젊었을 때 가난하여 매우 무료無聊하였는데, 하루는(어느 날) 아침에 어린 계집종이 기쁜 듯 뛰어와 돈 일곱 냥을 바치며 말하기를, “이것이 솥 안에 있었으니, 쌀이 몇 섬일 수 있고, 나무가 몇 바리일 수 있습니다. 참으로 하늘이 주신 것입니다.” 하였다. 공이 놀라 말하기를, “이것이 어찌된 돈인가?” 하고 곧 돈 잃은 사람은 와서 찾아가라는 글을 써서 대문에 붙여 놓고 기다렸다.
얼마 후 유가劉哥라는 사람이 찾아와 글 뜻을 묻자, 공은 자세히 그 내용을 말해 주었다. 유가가 말하기를, “이치상 남의 솥 안에 돈을 잃는 일은 없으니, 참으로 하늘이 주신 것입니다. 왜 취하지 않으십니까?” 하였다. 공이 말하기를, “나의 물건이 아닌데 어찌 하겠는가?” 하였다. 유가가 엎드려 말하기를, “소인이 어젯밤에 솥을 훔치러 왔다가 도리어 가세家勢가 너무 쓸쓸한 것을 불쌍히 여겨 이것을 놓고 돌아갔습니다. 지금 공의 청렴淸廉에 감동하고 양심良心이 저절로 우러나 도둑질을 아니할 것을 맹세하고, 앞으로는 항상 옆에서 모시기를 원하오니 염려마시고 취하소서.” 하였다.
공이 곧장 돈을 돌려주며 말하기를, “네가 착하게 된 것은 좋으나 이 돈은 취할 수 없다.” 하고 끝내 받지 않았다. 뒤에 공은 판서가 되고 그의 아들 재룡在龍헌종憲宗국구國舅(임금의 장인)가 되었으며, 유가 또한 신임을 얻어 몸과 집안이 크게 번창하였다.
[출전]대동기문大東奇聞권지사卷之四헌종조憲宗朝홍기섭인류군자견뢰洪耆燮因劉君子見賴〉에도 보인다.
[해설] 이 글도 청렴한 선비 홍기섭洪耆燮유가劉哥라는 양심 있는 도둑 사이에 벌어진 선행善行이 나중에 보답받는 과정을 엮은 것인데, 《주역周易》의 “적선지가積善之家필유여경必有餘慶 : 선을 쌓는 집에는 경사慶事가 있다”라는 대목을 떠올리게 한다.
고구려 평원왕平原王의 딸이 어렸을 때 울기를 좋아하니, 왕이 희롱하여 말하기를, “너를 장차 바보 온달溫達에게 시집보내리라”하였다. 〈딸이〉 자라자 상부上部고씨高氏에게 시집을 보내려 하니 딸이 임금은 식언食言을 해서는 안된다 하여 굳이 사양하고 마침내 온달의 아내가 되었다.
온달溫達은 집이 가난하여 돌아다니며 빌어다가 어머니를 봉양하니 당시 사람들이 지목指目하여 바보 온달이라고 한 것이다. 하루는 온달이 산 속으로부터 느릅나무 껍질을 짊어지고 돌아오니, 임금의 딸이 찾아와 보고 말하기를, “나는 바로 그대의 아내입니다” 하고는 머리의 장식물을 팔아 밭과 집과 기물을 꽤 풍부豊富하게 사들이고, 말을 많이 길러 온달을 도와 마침내 영달하게 되었다.
[출전]삼국사기三國史記권제사십오卷第四十五열전列傳온달溫達〉에 이 같은 내용이 보인다.
[해설] 고구려 평원왕平原王의 딸 평강공주平康公主와 이른바 바보 온달 사이의 혼인에 얽힌, 속물 근성을 떨쳐버린 소박한 삶이 종국에는 영달한다고 우리에게 큰 의미를 던져준다.


역주
역주1 廉義篇 : 이 편은 매우 어려운 처지에도 청렴하고 의로운 삶을 꿋꿋하게 영위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솜장사 印觀과 솜 구매자 署調 사이의 욕심 없는 삶, 솥 속의 돈 일곱 냥을 놓고 洪耆燮과 도둑이 벌이는 실랑이, 그리고 고구려 평원왕의 딸이 온갖 부귀영화를 뿌리치고 바보 溫達에게 시집간 설화를 통해 청렴하고 의로운 삶이 얼마나 아름다운 것인지를 우리에게 일깨우고 있다.
역주2 有署調者 : 여기서 有는 해석되지 않는 助字이다.
역주3 有鳶 : 여기서 有는 ‘어떤’으로 해석해봄직한 助字이다.
역주4 印觀 : 署調와 마찬가지로 신라 때 사람이다.
역주5 : 墜(추)와 비슷한 글자이므로 기억해 둘만하다.
역주6 吾何受爲 : 어떤 통행본에 ‘吾何爲受’로 되어 있는데, 무방하다. 전자이든 후자이든 爲가 何에 걸려 ‘무엇 때문에’, ‘어찌’의 의미를 나타낸다.
역주7 : 歸屬의 의미로 보는 것이 뜻을 분명하게 해준다.
역주8 以聞王 : 여기서 以는 以此이므로 ‘이것(이 소식)을 왕에게 들려주다(아뢰다)’로 해석하면 된다.
역주9 洪公耆燮 : 姓과 이름 사이에 존칭을 넣은 것이다. 때로는 성과 이름 사이에 관직명이나 사회적 지위를 넣기도 한다. 홍기섭은 조선 純祖 때의 사람으로, 南陽 洪氏이다.
역주10 無聊 :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원문에는 ‘無料’로 되어 있으나 뜻이 분명치 않아 통행본을 따랐다.
역주11 米可數石 : 여기서 ‘可’는 가능을 나타내므로 ‘쌀로 치면 여러 석을 살 수 있다’는 의미이다.
역주12 柴可數馱 : 여기서의 ‘可’도 마찬가지로 가능을 나타내므로 ‘땔나무를 몇 바리를 살 수 있다’의 의미이다. 馱은 말이나 짐승의 등에 싣는 짐의 단위인데, 그 俗字는 馱이다.
역주13 推去 : ‘찾아가다’의 의미이다.
역주14 : 무리(복수)를 나타낸다.
역주15 付之門楣 : 술어(付)+목적어(之, 지시대명사)+보어(門楣)의 관계로 되어 있다.
역주16 理無失金於人之鼎內 : 여기서 理는 ‘이치로 볼 때’, ‘이치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겠다.
역주17 盍取之 : 여기서 ‘盍’은 ‘何不’이고, ‘之’는 지시대명사로 錢을 가리킨다.
역주18 小的 : 小底의 音이 轉化된 것으로, 小兒나 노비가 주인에 대하여, 평민이 官府에 대해 일컫는 말로,‘저’, ‘소인’ 정도의 낮추는 말이고, 的은 조사로서 관례적으로 쓰이는 것이다.
역주19 爲窃鼎來 : 여기서 ‘爲’는 去聲으로 ‘위하여’의 의미이다. 다음의 ‘還’은 ‘도리어’로 해석하면 좋다.
역주20 良心自發 : ‘良心’은 《맹자》 〈告子章句 上〉 8장에 언급되는 말로 ‘인간 본연의 착한 마음’이다.
역주21 汝之爲良則善矣 : 여기서 ‘之’는 주격이고, ‘爲良’은 ‘착하게 되다’로 해석하는 것이 좋고, 矣는 추측형, 미래형 종결사로 약한 단정을 나타낸다.
역주22 其子在龍 : 洪耆燮의 아들 在龍으로 憲宗의 丈人이다. 그의 字는 景天으로 益豐府院君에 封해졌다.
역주23 見信 : 여기서 ‘見’은 동작을 ‘받다’, ‘당하다’의 의미이다.
역주24 平原王 : 고구려 제25대 왕(在位期間: 559~590)이다.
역주25 : ‘돌아가다’, ‘시집가다’의 의미로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이다.
역주26 溫達 : 고구려 평원왕 때의 장군으로 北周 武帝의 군사를 쳐서 功을 세워 大兄이라는 벼슬에 올랐다.
역주27 下嫁 : 신하에게 낮추어 시집가는 것을 말한다.
역주28 上部 : ‘上部’는 고구려 王權 伸張策의 하나로 두었던 五部(上(東),西,南,北,中)의 하나이다.
역주29 女以王不可食言 : 여기서 ‘以’는‘以爲’의 의미 곧 謂(말하다, 생각하다)와 같다.
역주30 : 문맥이 바뀔 때 쓰는 어조사이나, 드물게 ‘아마’의 의미로 쓰인다. 따라서 ‘아마 ~였던 것 같다’로 해석해 볼 만하다.
역주31 吾乃子之匹也 : 여기서 乃는 ‘곧’의 의미이고, 子는 2인칭 대명사이다.
역주32 頗富 : ‘자못 豊富하게 하다’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듯하다.
동영상 재생
1 24. 염의편 453
동영상 재생
2 24. 염의편 858
동영상 재생
3 24. 염의편 499

명심보감 책은 2019.04.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