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孫子髓

손자수

해제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이라하니 善用兵者 惟死地是求하나니 何云誤居耶
衆寡不相恃 舊註云 衆者 大陣也 寡者 大陣之小陣이라하니 誤矣
只當以分合言이니라
古之所謂善用兵一段 題矩曰 合利 切定九地說이니 卽九地中之利
合字 有審時, 度勢, 相機, 因變意하니 承上死地則戰하여 言動卽戰也
合利 是兵入死地어든 而我以節制之兵衝擊也라하고
周魯觀曰 動無主하여 以利爲主하니 死地求生 卽死地之利也라하고
侯天放曰 此 專承死地則戰而言之라하니라
按火攻篇 亦有合於利而動하고 不合於利而止之語하니 蓋泛論也 安所從見承死地而言乎
九地一篇 旣專論死地어늘 而歷敍九地之後 便次此節이라 三家之說如是하니
而顧行文如何耳 何可强解리오
運兵計謀 爲不可測 舊註云 運我兵機하여 令敵人不可測이라하니 誤矣
正使自己士衆으로 不測吾計
便承以投之無所往耳
以率然으로 爲相應之速이라하니 誤矣
以携手 爲擧手指揮하니 誤矣
言擧三軍而若携一人之手也
其所安之居하고 迂其所趨之道하여 無使人能慮라하니
皆未瑩矣
若無緣而去安從危하고 舍近卽遠이면 則非以愚之 乃反擾之 豈理也哉
易其居 所以警也 是也
迂其道 所以詭也 是也
若直前徑犯이면 則衆心畏憚故也
過則從 以爲過詿誤也 人有誤失하여 陷在危難이면 則皆聽從이라하니 誤矣
豈可作過失解리오
只是甚底意니라
以四五者 爲指九地言이라하니 誤矣
若以四五合爲九하여 而爲謂九地라하면 則謂五利爲二三者可乎
此必有闕誤
若曰四當作此 五當作三이라하면 則卽指上三者而言也어니와 若九地則不須於此段 更提也니라
犯三軍之犯 用也라하니 誤矣
不依訓하고 因文起意 則大不可也
能爲勝敗 爲能爲勝兵而使敵敗라하니 誤矣
如此文法 從何見之
以順詳之詳으로 爲審察하고 以厲於廊廟之厲 訓嚴, 訓惕 皆不穩妥
微與之期 潛也 潛往赴期也
劉寅曰 微 無也 先奪敵人之所顧愛호되 無與之相期也라하니라
按期者 待人之辭也 未審
此時 與敵爲期乎
與吾士卒爲期乎
抑謂內應之期乎
當如字讀이라
猶予也


가림賈林사지死地에 대하여 “잘못해서 이러한 사지死地에 주둔하였을 경우에는 속히 싸우면 산다.” 하였는데, 용병用兵을 잘하는 자는 오직 사지死地를 찾으니, 어찌 잘못 주둔했다고 말한단 말인가.
‘병력이 많은 부대와 적은 부대가 서로 믿지 못하게 한다.[衆寡不相恃]’를 구주舊註에는 “은 큰 이고 는 큰 의 작은 이다.” 하였으니, 잘못이다.
다만 마땅히 분산과 집합으로 말해야 한다.
고지소위선용병古之所謂善用兵’ 한 단락에 대하여, 제구題矩는 “이익에 부합한다는 것은 구지九地에 매우 적합하니, 는 바로 구지九地 가운데의 이익이다.
’자에는 때를 살피고 를 헤아리고 기회를 살피고 변화를 이용한다는 뜻이 있으니, 위의 ‘사지死地에서는 결사적으로 싸워야 한다.’는 글을 이어서 함이 바로 싸움임을 말한 것이다.
‘이익에 부합한다.’는 것은 군대가 사지死地에 들어갔으면 내가 절제節制하는 군대로 충격衝擊하는 것이다.” 하였고,
주로관周魯觀은 말하기를 “출동할 적에 일정한 주장이 없어서 이익을 위주로 하니, 사지死地에서 삶을 구함은 바로 사지死地의 이익이다.” 하였고,
후천방侯天放은 말하기를 “이는 오로지 ‘사지死地에서는 결사적으로 싸워야 한다.’는 글을 이어서 말한 것이다.” 하였다.
살펴보건대, 〈화공火攻〉에도 “이익에 부합하면 출동하고 이익에 부합하지 않으면 중지하여야 한다.”라는 글이 있는데, 이는 범연히 논한 것일 뿐, 사지死地를 이어 말하였음을 어디에서 볼 수 있겠는가.
구지九地〉 한 편은 오로지 사지死地를 논하였는데 아홉 가지 지형을 차례로 서술한 뒤에 곧 이 절을 다음에 두었으므로, 삼가三家이 이와 같은 것이다.
글을 씀이 어떠한지를 돌아볼 뿐이니, 어찌 억지로 해석할 수 있겠는가.
운병계모運兵計謀 위불가측爲不可測’을 구주舊註에는 “우리 병기兵機를 운용하여 적으로 하여금 측량해서 헤아릴 수 없게 하는 것이다.” 하였으니, 잘못이다.
이는 바로 자기 병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계책을 측량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망할 곳이 없는 곳으로 병력을 투입한다.’는 글로 뒤를 이은 것이다.
솔연率然을 “서로 대응하기를 신속히 하는 것이다.” 하였으니, 잘못이다.
솔연率然은 본래 뱀의 이름인데, 뱀을 가지고 명명命名한 까닭은 아마도 이 뱀이 신속히 대응하기 때문일 것이다.
휴수携手’를 “손을 들어 지휘하는 것이다.” 하였으니, 잘못이다.
삼군三軍을 총동원하되, 한 사람의 손을 잡는 것과 같이 함을 말한 것이다.
두목杜牧이 말하기를 “‘주둔하는 지역을 바꿈[易其居]’은 편안함을 버리고 위험함을 따르는 것이요, ‘길을 우회함[迂其途]’은 가까운 곳을 버리고 먼 곳으로 가는 것이다.” 하였고, 매요신梅堯臣은 “편안한 거처를 바꾸고 달려가는 길을 우회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생각하지 못하게 한 것이다.” 하였으니.
모두 분명하지 않다.
만약 이유 없이 편안한 곳을 버리고 위태로움을 따르고, 가까운 곳을 버리고 먼 곳으로 간다면, 군사들을 어리석게 하는 것이 아니고 도리어 동요시키는 것이니, 어찌 이치에 맞겠는가.
‘주둔하는 지역을 바꿈’은 장병들을 경계시키기 위한 것이니, 《오자吳子》에 “군대를 오랫동안 정체시키고 이동시키지 않으면 장병들이 태만해진다.”는 것이 이것이다.
‘길을 우회함’은 적을 속이기 위한 것이니, 나라 군대가 연잠延岑의 군대 뒤로 돌아 나온 경우가 이것이다.
만약 곧장 앞으로 나아가 범한다면 장병들의 마음이 두려워하고 꺼리기 때문이다.
과즉종過則從’에 대해 “는 잘못이니, 사람이 잘못이 있어서 위험하고 어려운 곳에 빠져 있으면 장수인 나의 말을 모두 듣고 따른다.” 하였으니, 잘못이다.
어찌 ‘’를 과실過失로 해석할 수 있겠는가.
’는 다만 하다는 뜻이다.
사오四五’에 대해 “‘아홉 가지 지형[九地]’을 말한 것이다.” 하였으니, 잘못이다.
만약 “4와 5를 합하면 9가 된다고 해서 아홉 가지 지형이라고 말한다면, ‘다섯 가지 이로움[五利]’은 2와 3을 합쳤다고 말할 수 있는데, 이것이 되겠는가.
여기에는 반드시 탈자脫字오자誤字가 있을 것이다.
만약 “자는 마땅히 ‘’가 되어야 하고, 자는 마땅히 ‘’이 되어야 한다.”고 한다면, 바로 위의 세 가지 일을 가리켜 말한 것이 되지만, 만약 아홉 가지 지형이라면 이 단락에서 다시 제기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범삼군犯三軍’의 을 “은 쓰는 것이다.” 하였으니, 잘못이다.
훈고訓詁를 따르지 않고 글에 따라 제멋대로 해석한다면 크게 옳지 않다.
능위승패能爲勝敗’를 “능히 승리하는 군대가 되어서 적으로 하여금 패하게 한다.” 하였으니, 잘못이다.
이와 같은 문법文法을 어디에서 보았는가.
순상順詳’의 ‘’을 “자세히 살피다.”라 하고, ‘여어낭묘厲於廊廟’의 ‘’를 함으로 하고 두려움으로 하는 것은 모두 온당치 못하다.
미여지기微與之期’의 ‘’는 은밀함이니, 은밀히 시기時期에 맞춰 달려가는 것이다.
유인劉寅은 말하기를 “‘’는 이니, 적이 돌아보고 아끼고 의지하고 믿는 곳을 먼저 빼앗되 더불어 기약하지 말아야 한다.” 하였다.
살펴보건대, ‘’라는 것은 남을 기다린다는 말이니, 알지 못하겠다.
이때에 적과 기약하는가?
우리 병사들과 기약하는가?
아니면 내응內應하는 기약을 말하는가?
’는 마땅히 본자本字(은미함)와 같이 읽어야 한다.
’는 ‘(보여줌)’와 같다.


역주
역주1 賈林……速戰則生 : 이 부분은 《孫子十家註》 본편의 “不疾戰則亡者 爲死地” 아래의 주석에 보인다.
역주2 : 탁
역주3 以率然……則殆以速也 : 率에 ‘빠르다’는 뜻이 있으므로 혹자는 ‘率然’을 뱀의 이름으로 보지 않고, 뱀이 신속히 대응하는 것으로 본 것이다. 그러나 이 뱀을 ‘率然’이라고 이름한 것은 역시 신속히 대응하기 때문임을 말한 것이다.
역주4 杜牧曰……無使人能慮 : 杜牧과 梅堯臣의 설은 《孫子十家註》 본편의 “易其居 迂其途 使人不得慮” 아래의 주석에 보인다.
역주5 : 경
역주6 吳子曰……將士懈怠 : 이 내용은 《吳子》 〈論將〉에 보인다.
역주7 漢兵繞出延岑軍後 : 延岑은 後漢 건국 당시 蜀 지방을 점거하고 있던 군벌 公孫述의 장수이다. 光武帝 建武 11년(35)에 光武帝의 장수 臧宮이 沅水에 진을 치고 있는 延岑을 공격하였는데, 새벽에 수많은 旗幟를 늘어세우고 산에 올라가 요란하게 북을 치며 오른쪽에는 步兵, 왼쪽에는 騎兵을 배열하여 함성을 지르게 하고, 기병으로 하여금 延岑 軍의 뒤로 돌아 기습하게 하였다. 延岑은 漢軍이 갑자기 들이닥치자, 크게 두려워하고 어찌할 바를 몰랐다. 臧宮이 이 틈을 타 공격을 가하여 대파하였다. 《資治通鑑 권42 漢紀 世祖光武皇帝》
역주8 (誥)[詁] : 저본에는 ‘誥’로 되어있으나 文理에 따라 ‘詁’로 바로잡았다.

손자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