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孫子髓

손자수

해제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志士 每秋夜涔寂 落葉撲窓하고 竹涼乍侵이면 悄對螢燈하고 看劍引杯하며 抽古人書하여 讀數篇이라가 竟爲之拍案掀髯하여 以紓其胷中湮欝之氣하니 當此之時하여 吾知其所讀者必兵書也로라
旣而泛覽諸家하여 博而約之하면 則吾又知其必歸於孫子하니 이라
라하니 是則註釋之所以獨多也
魏晉迄明 凡八十餘家로되 兼又文章 하여 多得言外之意하여 有非後世能言之士 所可幾及이라
이나 往往瑕不掩瑜하니 豈以下筆在得意後하여 務於矜伐而未暇攻苦歟
劉寅說 極淺近하니 可無譏리오마는 而今偏列於武學하니 豈刊行時他善本 未及東來歟
余少喜兵家言하여 讀史至有國戰守하면 未嘗不三하여
擬以勝敗之迹으로 參徵於孫子러니 先我而이라
更思以으로 翼附於孫子러니 先我而하여 爲窅然綴作者
久之 晩有幽憂之疾하여 無意於當世하여 養疴山齋하니 容易得閒이라
兒子頭角稍長하여 하여 請業甚勤이어늘 取刊本하여 試使讀之로되 而粹駁兼收하여 欠於折中하고 語氣萎하여 苦不當意
性又褊拗하여 不能苟從하고 竊不自揆하여 每手疏數則而課之하니 蓋以
編旣成 有騁談之客 曰 吾少志於此하여 閱亦多矣
孫子一書 欠爲註家所寃이로되 千載之下 莫有白者러니
今子是編 專推究用心하여 下字處 幾乎剝其膚而精入髓矣 盍以是名之리오
余笑而首肯하고 遂名之曰孫子髓라하노라


기인畸人지사志士들이 매번 고요한 가을밤에 낙엽이 창문을 때리고 대나무 숲의 차가운 기운이 침입해오면, 근심스레 등잔불을 대하며 을 보고 술잔을 들면서 고인古人의 책을 뽑아 몇 편을 읽다가 끝내 책상을 치고 수염을 쓰다듬으면서 가슴의 답답한 기운을 펼치게 되니, 이때를 당하여 나는 그들이 읽는 책이 반드시 병서兵書임을 아노라.
이윽고 제가諸家의 설을 두루 살펴 널리 보고 요약하면 나는 또 반드시 《손자孫子》로 돌아올 줄을 아니, 이는 천하 사람들의 기호가 똑같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라 문황文皇 또한 말하기를 “여러 병서兵書가 《손자孫子》를 벗어날 것이 없다.” 하였으니, 이 때문에 《손자孫子》의 주석서가 유독 많은 것이다.
으로부터 나라에 이르기까지 주석註釋을 낸 자가 모두 80여 인데, 조맹덕曹孟德을 첫 번째로 꼽으니, 이는 다만 용병술이 손오孫吳에 방불할 뿐만이 아니요, 겸하여 또 그의 문장文章나라 사마씨司馬氏의 시작이 되어서 《손자孫子》의 글에 나타난 뜻 이외의 의미를 많이 깨달아, 후세에 글을 잘하는 선비가 능히 바라고 미칠 바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왕왕 의 티가 아름다운 을 가리지 못하니, 이는 어찌 조맹덕曹孟德이 득의양양한 뒤에 주석을 쓰면서 자신의 지식을 자랑함을 힘쓰고, 《손자孫子》를 열심히 공부할 겨를이 없어서가 아니겠는가.
유인劉寅은 지극히 천근淺近하니 비판이 없을 수 있겠는가마는 지금 유독 무학武學에 나열되어 있으니, 이는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병서兵書를 간행할 적에 다른 좋은 이 미처 들어오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젊어서부터 병가兵家의 글을 좋아하여 역사책을 읽다가 국가의 전쟁과 수비에 이르면 일찍이 세 번 반복하여 읽지 않은 적이 없었다.
이에 승패勝敗의 자취를 가지고 《손자孫子》에 참고하고 징험하려고 하였는데, 나보다 먼저 등정라鄧廷羅가 《병경兵鏡》이라는 책을 지었다.
다시 생각하기를 육자六子가 남긴 말을 가지고 《손자孫子》에 부익附翼할까 하였는데, 나보다 먼저 이탁오李卓吾가 《참동參同》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아득히 작자作者가 되었다.
얼마 후에 나는 뒤늦게 깊이 간직한 속병을 앓고 당세에 뜻이 없어 산재山齋에서 병을 조섭하니, 한가한 시간을 얻기가 용이하였다.
아들이 재주와 기개가 차츰 자라서 대장장이의 아들이 갖옷 만들기를 배우기에 뜻을 둔 것처럼 학업을 매우 부지런히 청하였는데, 간행되어 있는 들의 여러 해석을 취하여 한번 읽게 하였으나, 순수함과 잡박雜駁함이 함께 실려 있어서 절충하기에 부족하였고, 문장의 기운이 약해 마음에 합당하지 못하여 괴로웠다.
나는 또 성품이 편협하여 구차히 남의 말을 따르지 못하고는 스스로 자신을 헤아리지 않고 매번 손수 몇 쪽을 써서 공부를 시키니, 남이 한 번 하면 자기는 백 번 하는 공부로, 이렇게 하면 아무리 어리석은 자라도 한 번은 통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책이 이루어지자 담론談論하는 손님이 급히 찬성하여 말하기를 “내 젊어서 여기에 뜻을 두어 책을 본 것이 또한 많았습니다.
손자孫子》 한 책은 유감스럽게도 주석가들에 의해 잘못 해석되었는데, 천 년 뒤에도 이것을 밝히는 자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그대의 이 책은 오로지 손자孫子용심用心을 미루어 구명究明해서 글자를 놓은 것이 거의 살을 파고 정수精髓에 들어갔으니, 어찌 이것으로 이름하지 않겠습니까.” 하였다.
내가 웃고 고개를 끄덕이고서 마침내 이름을 《손자수孫子髓》라 하였다.


역주
역주1 畸人 : 倚人과 같은 말로, 독특한 志行으로 세상과 화합하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莊子》 〈大宗師〉에 “子貢이 묻기를 ‘감히 倚人에 대해 묻습니다.’ 하니, 孔子가 말씀하였다. ‘倚人은 사람에게는 불우하나 하늘과는 대등한(짝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하늘의 소인이 인간에 있어서는 군자이고, 인간의 군자가 하늘에 있어서는 소인이 되는 것이다.」 한 것이다.’[子貢曰 敢問倚人 曰 倚人者 倚於人而侔於天 故曰 天之小人 人之君子 人之君子 天之小人也]”라고 보인다. 畸를 奇로 보아 ‘인간에 있어서 기이함‘으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역주2 由天下有同耆焉 : 천하 사람들의 생각이나 기호가 비슷하다는 의미로, 《孟子》 〈告子 上〉의 “입이 맛에 있어서 똑같이 즐김이 있으니, 易牙는 우리 입이 즐기는 것을 먼저 안 자이다.[口之於味 有同耆也 易牙先得我口之所耆者也]”라는 구절을 원용한 것이다.
역주3 唐文皇亦云 諸兵書無出孫子 : 唐文皇은 唐 太宗으로, 이 내용은 《李衛公問對》 〈中卷〉에 보인다.
역주4 曹孟德而爲稱首 不止用兵髣髴孫吳 : 孟德은 後漢 말기의 丞相인 曹操의 자인데, 첫 번째로 《孫子》에 주석을 달았다. 孫吳는 孫子(孫武)와 吳子(吳起)의 병칭이다. 曹操는 당대 최고의 兵略家로 後漢 말의 혼란기에 봉기한 群雄들을 뛰어난 용병술로 평정하였는바, 諸葛亮의 〈後出師表〉에 “曹操는 지모와 계략이 보통 사람보다 크게 뛰어나 용병술이 孫吳와 방불하다.”라고 보인다.
역주5 權輿典午 : 權輿는 시작을 뜻하며, 典은 司를 午는 十二地支의 馬로 典午는 司馬를 뜻하는바, 司馬는 晉나라의 國姓으로 곧 晉나라 文章의 시조가 되었음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晉나라의 초대 황제인 司馬炎은 司馬昭의 아들이고 司馬懿의 손자로 魏나라를 찬탈하여 晉나라를 세웠는데, 晉나라는 魏나라의 文章制度를 따랐다.
역주6 : 복
역주7 鄧廷羅有兵鏡之撰 : 鄧廷羅는 淸나라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호는 偶樵, 자는 叔奇이다. 順治 연간에 貢生에 선발되었고, 벼슬이 知湖廣荊南道에 이르렀다. 중국 역대 名將들의 用兵과 機略을 다룬 《兵鏡備考》‧《兵鏡或問》‧《孫子集注》를 지었는데, 여기서 말한 《兵鏡》은 세 책을 통괄하여 이른 것으로 보인다.
역주8 六子之緖言 : 六子는 孫武를 제외한 나머지 武經七書의 저자들인 吳起‧司馬穰苴‧尉繚‧李靖‧黃石公‧呂望을 이른다. 緖言은 이들이 남긴 가르침을 의미한다.
역주9 李卓吾有參同之述 : 卓吾는 李贄(1527~1602)의 자이다. 明나라 晉江 사람으로 禪學을 좋아하였으며, 뒤에 머리를 깎고 佛法을 숭상하며 禮敎를 무시하다가 탄핵받고 옥중에서 죽었다. 《參同》을 지은 것은 자세하지 않다.
역주10 有志學裘 : 자손으로서 조상의 世業에 뜻을 두었음을 이른다. 《禮記》 〈學記〉에 “풀무질을 잘하는 대장장이의 아들은 반드시 갖옷 만드는 것을 배우게 되고, 활을 잘 만드는 사람의 아들은 반드시 키를 만드는 것을 배우게 된다.[良冶之子 必學爲裘 良弓之子 必學爲箕]”라고 한 구절을 원용한 것이다.
역주11 (暈)[彙] : 저본에는 ‘暈’으로 되어있으나 문맥에 맞게 ‘彙’로 수정하였다.
역주12 : 날
역주13 百己之工 容有一得之愚耳 : ‘百己之工’은 《中庸》 제20장의 “남이 한 번에 능하거든 나는 백 번을 하며, 남이 열 번에 능하거든 나는 천 번을 하여야 한다.[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라는 구절에서 온 것이며, ‘一得之愚’는 《史記》 권92 〈淮陰侯列傳〉에 “어리석은 자라도 천 번을 생각하면 반드시 한 번은 옳은 생각을 한다.[愚者千慮 必有一得]”하는 구절에서 온 것으로, 다소의 식견이 있음을 겸손히 말한 것이다.
역주14 亟相然可 : 相은 도움이며 可는 상대방의 말에 동의하는 것으로, 급히 찬성함을 이른 것이다.

손자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