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正義

예기정의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27. 大哉
聖人之道
洋洋乎發育萬物하여 이로다
[注]育 生也
高大也
優優大哉
待其人然後이니라
故曰 苟不至德이면 至道不凝焉이라하니라
[注]言爲政在人하고 政由禮也
猶成也
[疏]‘大哉’至‘凝焉’
○正義曰 : 此一節明聖人之道高大, 苟非至德, 其道不成.
洋洋, 謂道德充滿之貌, 天下洋洋.
育, 生也.
峻, 高也.
言聖人之道, 高大與山相似, 上極於天.
○‘優優大哉’, 優優, 寬裕之貌, 聖人優優然寬裕其道.
‘禮儀三百’者, 周禮有三百六十官, 言三百者, 擧其成數耳.
○‘威儀三千’者, 卽儀禮行事之威儀.
儀禮雖十七篇, 其中事有三千.
○‘待其人然後 行’者, 言三百‧三千之禮, 必待賢人然後施行其事.
○‘故曰 苟不至德 至道不凝焉’, 凝, 成也.
古語先有其文, 今夫子旣言三百‧三千, 待其賢人始行,
故引古語證之.
苟, 誠也.
不, 非也.
苟誠非至德之人, 則聖人至極之道不可成也.
俗本‘不’作‘非’也.


위대하도다.
성인聖人여.
〈성인의 도가 천하에〉 가득 차 만물을 〈무성하게〉 자라게 하여 〈성인의 도가〉 높고 큼이 하늘에 이르렀도다.
은 자라남이다.
은 높고 큼이다.
〈모자람 없이〉 넉넉하고도 크도다.
예의禮儀가 삼백 가지이며 위의威儀가 삼천 가지로다.
현인賢人을 기다린 뒤에야 행해진다.
그러므로 ‘진실로 지극한 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지극한 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다.
정사政事를 함은 사람에게 달려 있고, 정사는 에 바탕을 둠을 말한 것이다.
(이루어지다)과 같다.
의 [大哉]에서 [凝焉]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한 단락은 성인聖人가 높고 크니, 진실로 지극한 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그 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밝힌 것이다.
양양洋洋도덕道德이 가득 찬 모습을 이르니, 천하에 가득 찬 것이다.
은 자라남이다.
은 높음이다.
성인의 도가 높고 큼이 산과 서로 비슷하니 높이 하늘에 이르렀음을 말한 것이다.
○[優優大哉]우우優優는 넉넉[寬裕]한 모습이니, 성인聖人이 그 를 여유 있게 넉넉히 가진 것이다.
[禮儀三百] 《주례周禮》에 360가지 이 있으니, ‘삼백三百’이라고 말한 것은 그 성수成數를 든 것이다.
○[威儀三千] 바로 《의례儀禮》의 일을 행하는 위의威儀이다.
의례儀禮》는 17편이나, 그 가운데 일이 삼천 가지가 있다.
○[待其人然後 行] 삼백 가지와 삼천 가지의 는 반드시 현인賢人을 기다린 뒤에 그 일이 시행됨을 말한 것이다.
○[故曰 苟不至德 至道不凝焉]은 이루어짐[成]이다.
옛말에 먼저 그런 글이 있었는데, 지금 부자夫子(孔子)가 삼백 가지와 삼천 가지〈의 〉는 그 현인賢人을 기다린 뒤에야 비로소 행해진다고 말하였다.
그러므로 옛말을 인용하여 증명한 것이다.
(진실로)이다.
(아니다)이다.
진실로 지극한 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성인聖人의 지극한 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속본俗本에는 ‘’이 ‘’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峻極于天 : 朱熹는 “峻極于天은 다만 천지의 사이를 가득 채웠다는 뜻이다.[峻極于天 只是充塞天地底意思]”라고 하였다.(《朱子語類》 〈中庸 三〉 第27章 學蒙의 기록)
역주2 禮儀三百 威儀三千 : 朱熹는 “禮儀는 經禮, 威儀는 曲禮”라고 하였다. 赤塚 忠(日)은 “禮儀는 吉禮‧凶禮‧軍禮‧賓禮‧嘉禮 등의 인간관계의 규범을 말하고, 威儀는 인간의 행동에 관한 규범을 말한다.”라고 하였다.(《中庸 新釋漢文大系》)
역주3 [然] : 저본에는 ‘然’이 없으나, 阮刻本에 “이 本에는 ‘然’자가 빠져 있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然’을 보충하였다.

예기정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