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正義

예기정의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陸曰
하여 可以爲政也라하니라
[疏]正義曰 : 案鄭目錄云 “名曰大學者, 以其記博學, 可以爲政也.
此於別錄屬通論.”
此大學之篇, 論學成之事, 能治其國, 章明其德於天下, 却本明德, 所由先從誠意爲始.


大學 第四十二
육덕명陸德明이 말하였다.
정현鄭玄이 ‘〈대학大學〉이라고 한 것은 이 박학博學에 대해 기록하고 있어 〈이것으로〉 정사政事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정의왈正義曰 : 정현鄭玄의 《삼례목록三禮目錄》을 살펴보니 “〈대학大學〉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이 〈이〉 박학博學에 대해 기록하고 있어 〈이것으로〉 정사政事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칠략별록七略別錄》에서 〈통론通論〉에 들어 있다.”라고 하였다.
이 〈대학〉은 학문을 완성하는 일이 그 나라를 잘 다스려 천하에 자신의 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것이라는 것을 논하였지만 도리어 을 밝히는 것에 뿌리를 두어, 그 방법은 먼저 자기의 생각을 정성스럽게 함[誠意]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역주
역주1 大學 第四十二 : 《大學》은 원래 《禮記》의 제42편이다. 漢나라‧唐나라의 학자들은 이를 특별히 귀하게 여기지 않았으나, 《玉海》 권34 〈聖文 御書 天聖賜進士大學篇〉에 “宋 仁宗 天聖 8년(1030)에 새로 급제한 王拱辰에게 《대학》 1軸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司馬光(宋)이 《大學廣義》 1권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으니(《皇淸文潁》 권13 劉藻의 〈經解〉), 《대학》이 《예기》에서 독립한 것은 아마 宋 仁宗 때부터이고 《대학》에 주석한 것은 사마광부터일 것이다. 程子는 이를 초학자가 德에 들어가는 문이라고 表章하여 《論語》‧《孟子》‧《中庸》과 함께 자제들을 가르쳤고, 朱熹가 《大學章句》를 지으면서부터 단행본으로 천하에 크게 유포되기 시작하였다.
역주2 鄭云……可以爲政也 : 鄭玄의 《三禮目錄》 〈禮記 上〉에 나온다.
역주3 大學 : 朱熹는 〈大學章句序〉에서 “《대학》은 옛날 太學에서 사람을 가르치던 방법에 관한 책이다.”라고 하였고, 또 주석에서 ‘大人之學’으로 풀이하였으니, 어린이들이 배우는 《小學》에 상대하여 成人들이 배우는 책이라는 의미이다. 반면 鄭玄(後漢)은 ‘大學’을 ‘博學에 대해 기록한 책’이라고 풀이하여 정치에 관련된 책으로 여겼다.
역주4 以其記博學 : 鄭玄의 《三禮目錄》에서 《禮記》의 첫 편 〈曲禮 上〉의 解題에는 “名曰曲禮者 以其篇記五禮之事(‘曲禮’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그 편이 五禮의 일을 기록하였기 때문이다.)”라고 하였고, 나머지 편에는 모두 ‘其篇’의 ‘篇’자가 생략되었다. 따라서 ‘篇’자를 보충하여 해석하였다.(袁均(淸) 輯, 《鄭氏佚書》) 朱熹의 性理學과 王守仁(明)의 陽明學이 소홀하게 여기는 ‘博學’의 강조는 《대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예기정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