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心經附註

심경부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詩云 潛雖伏矣 亦孔之昭라하니
故君子 하나니 君子之所不可及者 其惟人之所不見乎인저
詩云 相在爾室컨대 尙不愧于屋漏라하니
故君子 不動而敬하며 不言而信이니라
原注
[原註]
○ 程子曰
始於不欺暗室이니라
原注
不愧屋漏與謹獨氣象이니라
原注
○ 朱子曰
人之所不見 此君子謹獨之事也
君子之戒謹恐懼 無時不然하여 하니 則其爲己之功 益加密矣로다
原注
[附註]
○ 司馬溫公 嘗言吾無過人者어니와 但平生所爲 未嘗有不可對人言者耳라하니라
原注
○ 朱子曰
하니 學者持此 則心常不放矣리라
原注
[按] 愼獨 乃學者第一義而不可忽者
誠能體溫公之事하여 爲力行之師하고 味朱子之言하여 爲持守之地 則庶乎有以得之矣리라
原注
○ 西山眞氏曰
人心至靈하니 毫髮之微라도 少有自欺 必有不能慊於中者 此所謂疚也 此所謂
惟夫處幽如顯하고 視獨如衆하여 反之於己 無所疚惡焉이니 此君子之所以大過人而人之所不能及也
又引詩하여 謂處室之時 當無愧於屋漏
故君子靜而常敬하고 而常信하여 不待動作言語而後 見也
存養之功 至此하니 非盛德이면 其孰能之乎리오
原注
臨川吳氏曰
夫易以溺人汙人者 色與貨也
非理非義之事 雖甚不良之人이라도 往往畏人之知而不敢肆어니와 苟人所不知之地 一時不勝其利欲之私 則於所不當爲 保其不爲之乎
無一不可與人言, 無一不可與天知 眞能愼獨者也
然斯事也 儒者 猶或難之니라
莊子曰 爲不善乎顯明之中이면 人得而誅之 爲不善於幽闇之中이면 鬼得而誅之라하니 君子 言人하고 不言鬼하며 言是非하고 不言禍福이어늘 而莊子云爾 將以警夫中人以下者與인저


13. 시운잠수복의장詩云潛雖伏矣章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물고기가 비록 물속에 잠겨 엎드려 있으나 또한 심히 밝게 드러난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안으로 살펴서 하자瑕疵가 없어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으니, 군자의 미칠 수 없는 점은 오직 사람들이 보지 않는 바일 것이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네가 방안에 있는 것을 살펴보건대 오히려 옥루屋漏(방안의 구석)에도 부끄럽지 않다.” 하였다.
그러므로 군자는 하지 않아도 공경하며 말하지 않아도 믿는 것이다.
原注
[原註]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학문學問은 어두운 방에서 속이지 않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옥루屋漏에 부끄럽지 않은 것과 신독愼獨은 마음을 잡아 기르는 기상이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사람들이 보지 않는 바는 군자가 신독愼獨하는 일이다.
상문上文을 이어서 군자君子계근공구戒謹恐懼가 어느 때이고 그렇지 않음이 없어서 말하고 동하기를 기다린 뒤에 공경하고 믿는 것이 아님을 말하였으니, 그렇다면 자신을 위하는 공부가 더욱더 치밀한 것이다.”
原注
[附註]
사마온공司馬溫公(司馬光)이 일찍이 말씀하기를 “내 남보다 나은 것이 없지만 다만 평소 행한 바가 일찍이 남을 대하여 말할 수 없는 것은 없다.” 하였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삼국시대三國時代주연朱然이 종일토록 공경하고 공경하여 마치 행진行陣에 있는 듯이 하였으니, 배우는 자가 이러한 마음을 갖는다면 마음을 항상 잃지 않을 것이다.”
原注
[按]신독愼獨은 바로 배우는 자들의 첫 번째 로서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진실로 사마온공司馬溫公의 일을 체행體行하여 힘써 행하는 스승으로 삼고, 주자朱子의 말씀을 음미하여 잡아 지키는 터전으로 삼는다면 거의 얻음이 있을 것이다.
原注
서산진씨西山眞氏가 말하였다.
“사람의 마음이 지극히 신령스러우니 털끝 만한 작은 것이라도 조금만 스스로 속이는 것이 있으면 반드시 심중心中에 만족하지 못함이 있는 것이니, 이것이 이른바 (하자)이고 이것이 이른바 (부끄러움)이다.
오직 그윽한 곳에 처하기를 드러난 곳과 같이 하고, 홀로를 보기를 사람들 가운데에 있는 것과 같이 여겨, 자기 몸에 돌이켜 봄에 하자와 부끄러움이 없게 할 것이니, 이것이 군자가 보통 사람들보다 크게 뛰어나서 보통 사람들이 미칠 수 없는 것이다.
또 《시경詩經》을 인용하여 방안에 거처할 때에 마땅히 옥루屋漏에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고요할 때에도 항상 공경하고 침묵할 때에도 항상 믿게 하여 동작動作언어言語를 기다린 뒤에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말하였다.
존양存養의 공부가 이에 이르니, 성덕盛德이 아니면 그 누가 이에 능하겠는가.”
原注
임천오씨臨川吳氏(吳澄)가 말하였다.
“사람을 쉽게 빠뜨리고 사람을 쉽게 더럽히는 것은 여색女色재화財貨이다.
도리가 아니고 가 아닌 일은 비록 심히 불량한 사람이라도 왕왕 남들이 알까 두려워하여 감히 제멋대로 하지 못하지만 만일 남들이 알지 못하는 곳에 일시적으로 이욕利慾의 사사로움을 이기지 못하면 마땅히 하지 않아야 할 것을 하지 않음을 보장할 수 있겠는가.
안숙자顔叔子가 날이 새도록 촛불을 잡고 있었던 것과 양백기楊伯起(楊震)가 늦은 밤에 황금을 물리친 것과 사마군실司馬君實(司馬光)과 조열도趙閱道(趙抃)가 행한 바를 한 가지도 남에게 말할 수 없는 것이 없고 한 가지도 하늘에게 알리지 못할 것이 없었던 것은 참으로 홀로를 삼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은 유자儒者들도 오히려 혹 하기가 어렵다.
장자莊子가 말하기를 ‘드러나고 밝은 가운데에서 불선不善을 하면 사람들이 주벌할 수 있고, 어두운 가운데에 불선不善을 하면 귀신이 주벌할 수 있다’하였으니, 군자는 사람을 말하고 귀신을 말하지 않으며 옳고 그름을 말하고 을 말하지 않는데, 장자莊子가 이와 같이 말한 것은 장차 중인中人 이하의 사람들을 깨우치고자 해서였을 것이다.”


역주
역주1 詩云潛雖伏矣章 : 《中庸章句》 33章에 보인다.
역주2 [釋疑]內省不疚 無惡(오)於志 : 《中庸》의 首章은 먼저 體를 말하고 나중에 用을 말하였으며, 마지막 章은 먼저 用을 말하고 뒤에 體를 말하였다. 首章의 體는 戒愼恐懼와 存養으로 天理를 보존하는 것이고, 用은 愼獨과 省察로 人欲을 막는 것이다. 마지막 章의 用은 ‘물고기가 물속에 잠겨 엎드려 있으나 또한 심히 밝게 드러난다[潛雖伏矣 亦孔之昭]’는 것으로 省察이고, 體는 ‘네가 방안에 있는 것을 살펴보건대 오히려 屋漏에도 부끄럽지 않다[相在爾室 尙不愧于屋漏]’는 것으로 存養이다. [補註] 앞에 인용한 시는 《詩經》 〈小雅 正月〉에 보이고, 뒤에 인용한 시는 〈大雅 抑〉에 보인다.
역주3 [刊補]又曰條 : 살펴보건대 宋나라의 諸儒들은 모두 戒愼과 恐懼를 愼獨의 일로 여겼는데, 朱子에 와서야 비로소 나누어 두 가지 공부로 삼았다. 朱子는 일찍이 말씀하기를 “程子가 ‘不愧屋漏與謹獨’이라 말씀하였으니, 두 단어 사이에 특별히 與字를 놓은 것은 진실로 이미 두 가지 일로 나눈 것인데, 당시에 그 말을 들은 자들이 살피지 못했을 뿐이다.” 하였다. [補註]朱子의 集註를 근거하면 戒愼과 恐懼는 마음이 靜할 때의 存天理工夫로 致中에 속하는 바 《大學》의 正心에 해당하고, 愼獨은 마음이 動할 때의 遏人欲工夫로 致知에 속하는 바 《大學》의 誠意에 해당한다.
역주4 [釋疑]持養 : 敬을 지켜 涵養하는 것이다.
역주5 [刊補]承上文 又言 : 살펴보건대 承字 위에 圈點을 치고 ‘又曰’ 두 글자가 있어야 한다.
역주6 [譯註]不待言動而後敬信 : 말하고 동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공경하고 믿는 것으로 위에 보이는 不動而敬과 不言而信을 합하여 말한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해석할 경우 而後의 後字가 생략되므로 ‘말하고 동하기를 기다린 뒤에 공경하고 믿는 것이 아님’으로 풀이하였음을 밝혀둔다.
역주7 [釋疑]三國朱然 …… 如在行陣 : 朱然은 三國時代 吳나라의 장수이니, 《三國志》에 보인다. 자질이 보통사람보다 뛰어났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역주8 : 오
역주9 : 默
역주10 [釋疑]顔叔子之達朝秉燭 : 《史記》에 顔叔子가 홀로 한 방에 앉아 있었는데, 밤에 큰 비가 오자 한 여자가 投宿하였다. 顔叔子는 그녀로 하여금 촛불을 밝히게 하였으며, 촛불이 다 타버리자 집의 기둥을 쪼개 계속해서 불을 밝혀 날이 새도록 멈추지 않았다.
역주11 [釋疑]楊伯起之暮夜卻(却)金 司馬君實趙閱道之所爲 : 楊伯起는 楊震으로 伯起는 그의 字이며 司馬君實은 司馬光으로 君實은 그의 字인데, 내용이 위에 보인다. 閱道는 宋나라의 명재상인 趙抃의 字이다. 그는 날마다 자기가 행한 일을 밤이면 반드시 衣冠을 갖추고 노천에 앉아 香을 사르고 아홉 번 절하며 하늘에 아뢰었으니, 바르지 못하여 하늘에 고할 수 없는 일은 감히 하지 않은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2. 시운잠수복의장(1) 291
동영상 재생
2 2. 시운잠수복의장(2) 22
동영상 재생
3 2. 시운잠수복의장(3) 54
동영상 재생
4 2. 시운잠수복의장(4) 62
동영상 재생
5 2. 시운잠수복의장(5) 165
동영상 재생
6 2. 시운잠수복의장(6) 211

심경부주 책은 2019.05.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