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心經附註

심경부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37. 尊德性齋銘
尊德性齋銘曰
惟皇上帝 降此下民하시니 何以予之
曰義與仁이라
維義與仁 維帝之則이니 欽斯承斯라도 猶懼弗克이어늘 孰昏且狂하야 苟賤汙卑
淫視傾聽하며 惰其四支하야 褻天之明하고하야 하니
我其鑒此하야 祗栗厥心하야 有幽其室 이라
執玉奉盈하야 須臾顚沛
하니 其敢或怠
原注
[附註]
○ 朱子自序云 以道問學名齋어늘 予謂當以尊德性易之라한대 允夫請銘일새 因爲作此하니라
原注
[按] 允夫이니 婺源人이라
從學朱子하니 所著有尊德性齋集이라
原注
[按] 朱子平日敎人 以尊德性道問學二者 不可有偏重之失이라하시니 其見于言者可考也
不能盡錄일새 하노라
原注
② 又曰
若於道理上 看未精이어든 便須於尊德性上 用功이요 若德性上 有不足이어든 便須於講學上著力이니 二者竝行이면 庶互相發明하야 可到廣大輝光之地리라
原注
③ 又曰
學者工夫 唯在居敬窮理二事하니 此二事互相發이라
能窮理則居敬工夫日益進이요 能居敬則窮理工夫日益密이니라
原注
④ 答書曰
居敬窮理二者 不可偏廢 偏廢則德孤하야 니라
原注
⑤ 答書曰
程夫子涵養 必以敬이요 而進學則在致知라하시니 此兩言者 如車兩輪하고 如鳥兩翼하야 未有廢其一而可行可飛者也
原注
⑥ 答書曰
今日之弊 務講學者 多闕於踐履하고 專踐履者 又遂以講學爲無益이라하니 殊不知因踐履之實하야 致講學之功하야 使所知益明이면 則所守日固하야 與彼區區口耳之間者 固不可同日語矣니라
原注
① 朱子曰 痛理會一番相似然後 涵養將去라하시고 因自云 某如今 雖便靜坐라도 하니 若未能識得이면 涵養箇甚이리오
原注
[按] 朱子中歲 恐學者交修之功不逮하야 而或至於不振하고 且擇善之未精하야 而或流於異學之空虛也
故於道問學 爲重하시니 하노라
原注
② 又曰
萬事在窮理하니 , 理不明이면 看如何地持守 也只是空이니라
原注
③ 問 致知涵養先後한대 曰 須先致知하고 後涵養이니라
問 伊川 言未有致知而不在敬이라하시니 如何잇고 曰 此是大綱說이니라
原注
④ 又曰
하노니 實以而得之로라
原注
⑤ 答書曰
嘗聞學之雜者 似博하고 라하니 惟先博而後約然後 能不流於雜而不揜於陋也
中庸 明善 居誠身之前하고 大學 誠意 在格物之後하니 此聖賢之言 可考者然也니라
原注
[按] 學 欲博이요 不欲雜이며 欲約이요 不欲陋 乃五峯胡氏之言이니라
原注
⑥ 答書曰
古人之學 以致知爲先하니 致知之方 在乎格物이라
格物云者 河南夫子所謂或讀書하야 講明義理하고 尙論古人하야 別其是非하고 或應接事物하야 而處其當否 皆格物之事也
則行無不力하야 而遇事 不患其無立矣니라
原注
⑦ 答書曰
天下事物之理 方冊聖賢之言 皆須子細反復究竟이니 至於持守하야는 却無許多事
若覺得未穩이어든 只有默默加功하야 著力向前耳어늘 今聞廢書不講하고 而反以持守之事 爲講說之資라하니 是乃兩失其宜
하야 只成得而已니라
原注
⑧ 答書曰
尹和靖門人 贊其師云 丕哉 聖謨六經之編 耳順心得하야 如誦己言이라하니 要當至此地位라야 始是讀書人耳니라
原注
⑨ 答書曰
學者 息却하고 除却許多閑雜說話하야 著實讀書 初時 儘且이어니와 久之 自有見處리라
最怕人라하야 不務하고 不專口耳하면 下梢 說得하야 都無收拾이니
이라 直是可니라
原注
⑩ 答書曰
趁此光陰未至晩暮之時하야 做些著實하야 積累將去호되 只將排比章句, 玩索文理底工夫하야 換了許多杜撰計較하야 別尋路脉底心力이라야 須是實有用力處 久之 自然心地平夷하고 見理明徹하야 庶幾此學有傳하야 不至虛負平生也리라
原注
① 朱子曰
伊川 只說一箇主一之謂敬이요 無適之謂一이라하시니 只是如此 別更無事
某向來 自說得尊德性一邊 輕了러니 今覺得未是호니 上面 便是一箇
有這坏子라야 學問之功 方有措處니라
原注
[按] 以學者專講說而廢涵養하야 將流於言語文字之陋而不自覺이라
故又於尊德性 爲重하야 旣爲程允夫作銘하시고 且屢有懲于從遊者하시니 蓋定論也
故心經 以是終焉하니 後之學者 誠力於斯而知所이면 則德可修, 道可凝하야 而作聖之功 可幾矣리라
原注
② 又曰
不尊德性이면 則懈怠弛慢矣 何從而進이리오
原注
或人 請諸經之疑한대 先生旣答之하시고 復曰
今雖盡與公說하고 公盡曉得이라도 不於自家心地上做工夫 亦不濟事니라
○ 又曰
這源頭是甚麽
只在身己上固有底仁義禮智 皆廣而充之하야 若火之始然, 泉之始達 這箇是源頭
見得這箇了라야 方可以講學이니 恰如人 知得合當行이요聖賢言語하야一般이니라
原注
③ 一日 謂諸生曰
某患學者하야 姑欲令先通曉文義하야 就文求意러니 往往又只守定冊子上言語하니 却看得不切己
須是將切己看하야 玩味入心하야 力去行之라야 方有所益이니라
原注
問 平日讀書時 似亦有所見이라가 旣釋書則이니 不知病根安在로소이다
此乃不求之於身하고 而專求之於書 固應如此니라
凡吾身日用之間 無非道 書則所以此心耳
故必先求之於身而後 求之於書 則讀書方有味니라
○ 問向蒙見敎 讀書 須要涵養이요 須要浹洽이라하시니이다 孟子千言萬語 只是論心이니 七篇之書 是涵養工夫否잇가
某爲見人讀書 所以說讀書 須當涵養하야 令胸中有所得耳러니
如吾友所說一件意思하야 硬要하니 看書 豈是如此리오
又一士友曰 先生涵泳之說 乃杜元凱之意로소이다
亦不用이니 所謂涵泳 是子細讀書之異名也
大率與人說話 便是難하니 某只說一箇涵泳이어늘 一人 差排하고 一人 硬來解說하니 此是隨語生解하야 支離延蔓이라
少間展轉하면 只是添得多 說得遠이니 如此讀書 全不是自做工夫 全無리니 可知是使人說學 是空談이로다
原注
④ 葉賀孫 問 往前承誨 只就窮理說較多러니 此來 如尊德性, 致廣大, 極高明上一截 數數蒙提警하오니 此意是如何잇고
已前에도 也說了어니와 이러니 但覺得近日諸公 去理會窮理工夫多하니 又自漸漸일새니라
原注
又曰
今有學者在某門者 其於考理 非不精當이라 說得來 然所爲却顚倒錯繆하야 全然與所知者相反하니
人只管道某不合하야 라하나니
實是理會得이어니 某如何不與他說이리오
然所爲背馳者 只是不曾在源頭上用力하고 일새니라
原注
問 今只論涵養하고 却不講究하면 雖能閑邪存誠, 懲忿窒慾이나 至處事差失則奈何잇고
未說到差處
如此類 不難知로되 人却放肆不恭敬하나니 如一箇大公至正之路 甚分明이로되 不肯行하고 却尋得하야 與自家私意合이어든 便稱是道理라하나니 今人 每每如此하니라
原注
⑥ 答書曰
所喩曲折及 三復𢥠然하야 所警於昏惰者厚矣
大抵子思以來敎人之法 惟以尊德性道問學兩事 爲用力之要어시늘 今子靜所說 專是尊德性事 而熹平日所論 却是道問學上多了
所以爲彼學者 多持守可觀이나 而看得義理 全不子細하고 又別說一種杜撰道理하야 하야 不肯放下하고
而熹 自覺雖於義理上 不敢亂說이나 却於緊要 多不得力하니
今當反身用力하야 去短集長이면 庶幾不墮一邊耳니라
原注
⑦ 答書曰
涵養一節 疑古人 直自小學中涵養成就
所以大學之道 只從格物做起러니 今人 從前無此工夫하고 但見大學以格物爲先하야 便欲只以思慮知識求之하고 更不於操存處用力하나니 縱使窺測得十分이라도 亦無實地可據
大抵敬字 是徹上徹下之意 格物致知 乃其間節次進步處니라
原注
⑧ 答書曰
日前爲學 緩於反己하니 追思凡百컨대 多可悔者
所論著文字 亦坐此病하야 多無實處하니 回首茫然하야 計非歲月功夫 所能救治
以此愈不自快로라
前時 猶得敬夫, 伯恭 時惠規益이라 得以警省이러니 二友云亡하니 耳中 絶不聞此等이라
今乃深有望於吾子하노니 自此惠書 痛加乃君子愛人之意也니라
原注
⑨ 又曰
近覺向來爲學 實有向外浮泛之弊하니 不惟自誤 而誤人亦不少
方別尋得一頭緖호니 似差簡約端的하니 始知文字言語之外
恨未得面論也로라
原注
⑩ 答何叔京書曰
若使道 可以多聞博觀而得인댄 則世之知道者爲不少矣리라
某近日因事하야 方有少省發處하니 今乃曉然無疑로라
日用之間 觀此流行之體 初無間斷處하고 有下功夫處하니 乃知日前自誑誑人之罪 蓋不可勝贖也
此與守書冊, 泥言語 全無交涉하니 幸於日用間察之하라
知此則知仁矣리라
原注
又曰
某緣日前無深探力行之志하야 凡所論說 皆出入口耳之餘
以故 全不得力하니 今方覺悟하야 欲勇革舊習이나 而血氣已衰하고 心志亦不復彊하니 不知終能有所濟否也로라
原注
⑪ 答程允夫書曰
大槩此事 以涵養本原爲先이요 講論經旨 特以輔此而已어늘 向來 泛濫出入하야 無所適從하니 名爲學問이나 而實何有리오
亦可笑耳로다
原注
爲學 直是先要立本이니 文義 却可且與說出正意하야 令其寬心玩味 未可便令考校同異, 硏究纖密이니 恐其意思促迫하야 難得長進이라
어든 略擧一二節目하야 漸次理會라도 蓋未晩也
此是向來어늘 今幸見得하니 却須勇革이요 不可하야 却誤人也니라
原注
北溪陳氏曰
老先生平日敎人 最喫緊處 尊德性, 道問學二件工夫 固不偏廢로되 而所大段著力處 却多在道問學上이어늘
江西一派 却只是厭煩就簡하야 偏在尊德性上去하니 先生 蓋深病之하시니라 [按]
朱子晩年答項平父及林擇之劉子澄何叔京程允夫黃直卿書 其言如此어시늘 朱子沒後 陳氏之言 如彼하니 則考亭之學 固不俟一再傳而未免失眞者矣
宜臨川吳氏 於北溪 有不能滿焉이니 殆此類也夫인저
原注
○ 勉齋黃氏答書曰
러니 夫子恐其識見易差하사 於是 以博文約禮對言하시니 博文先而約禮後 博文易而約禮難이어늘
後來學者 專務其所易而常憚其所難하니 此道之所以無傳이라
須是如中庸之旨하야 戒懼謹獨으로 爲終身事業하야 不可須臾廢 而講學窮理 所以求其明且正耳 若但務學이요 而於身心 不加意하면 恐全不成學問也로라
詞氣容止之間 應事接物之際 察其中理不中理 十得其七八矣리니 以此律之 庶不至流而爲口耳之學也리라
嘗觀明道先生 語謝上蔡云 諸公來此하야 只是學某說話라하야시늘 上蔡請益한대 明道云 且靜坐하라하시니
程門如上蔡 可謂務實爲己者也로되 明道尙以此箴之하시니 使視今之學者 則豈不大爲之太息乎
老矣 他無所望於世 只是望得先師之學有傳이라
故不自知其僭越하야 及於此也로라
原注
○ 又曰
每念先師以一生辛苦著書하야 惠後學하시니 光明이어늘 而諸生 莫有能達其旨趣者하고 又復數年 傳習益訛하니 先師之目 將不瞑於地下矣시리라
原注
洙泗以還 博文約禮 兩極其至者 先生一人而已
先生敎人 規模廣大而科級甚嚴하야 循循有序하야 不容躐等이요 至於切己務實, 辨別義利, 毋自欺, 謹其獨之戒하야는 未嘗不丁寧懇到하야 提耳而極言之러시니
必三歎焉하시며 晩見諸生 繞於文義之間하시고 深慮斯道之無傳하야 始頗指示本體하야 使深思而自得之하시니 其望於學者 益切矣로다
原注
古者敎人爲學 以躬行爲本이요 躬行 以孝弟爲先하고 文則行有餘力而後學之하니 所謂文者 又禮樂射御書數之謂 非言語文字之末이러니 今之學者 乃或反是하니 豈因講造化性命之高遠하야 反忘之切近乎
二程先生 推明周子之說하야 以達於孔孟하시고 由性命而歸之躬行하사 其說 未嘗不하시니 後有學者 宜已不待他求어늘 不幸二程旣歿 門人弟子 多而不自知하고 雖晦翁先生이사도 初年 이러시니
後始一切反而歸之平實하사 平生用功 多於論語하시며 平生說論語 多主孝弟忠信하시고 至其言太極性命等說 乃因一時行輩儒先 相與講論而發하시니라
文公旣歿 其學 雖盛行이나 學者乃不于其切實而獨于其高遠하야 講學 捨論語不言而必先大易하고 說論語 捨孝弟忠信不言而獨講一貫하야 凡皆文公平日之所深戒 學者乃自偏徇而莫知返하야 入耳出口하야 無關躬行이라
竊嘗譬之컨대 酌水者其源하나니 浚其源 爲酌水計也어늘其水而不酌 何義也 食實者 必漑其根하나니 漑其根 爲食實地也어늘 反棄其實而不食 何見也 正躬行者 必精性理하나니 精性理 爲正躬行設也어늘 反置躬行於不問 何爲邪
漢唐老師宿儒 泥於訓詁하야 多不精義理러니 近世 三尺童子 承襲緖餘하야 皆能言義理 然能言而不能行하야 反出漢唐諸儒下하니 是不痛省而速反之하면 流弊當何如邪
竊意儒先講貫已精之餘 正學者敬信服行之日이니 由儒先之發明하야 以反求乎孔子之大旨하고 知性命之從來하야 以歸宿於孝弟之實行이니 又可更求多於言語間哉
原注
○ 又曰
理有自然이라 本不待言이언마는 夫子有不得已而見於答問者 亦皆正爲學者躬行而發이러시니
周程旣歿 學者談虛하야 以僞易眞하야 이어늘
文公先生 於是 力主知行之說하야 必使先明義理하야 別白是非然後 見之躬行이라야 可免陷入異端之弊라하시니
此其捄世之心 甚切하고 析理之說 甚精하니 學者因其言之已明하야 正其身之所行이면 爲聖爲賢 何所不可리오
顧乃掇拾緖餘하고 增衍浮說하야 徒有終身之議論하고 竟無一日之躬行하야 甚至借以하고 轉以欺世하야 風俗大壞하야 甚不忍言하니 文公所以講明之初意 夫豈若是리오
然則吾徒 其可不重加警省而以多言爲能哉
原注
○ 臨川吳氏曰
天之所以生人 人之所以爲人 以此德性也
然自聖傳不嗣 士學靡宗하야 漢唐千餘年間 로되 而原本 竟昧昧也
逮夫周程張邵興하야 始能上通孟氏而爲一이러니 하여는 文義之精密 又孟氏以來所未有者어늘
其學徒 往往滯於此而溺其心하나니 夫旣以世儒記誦詞章으로 爲俗學矣어늘 而其爲學 亦未離乎言語文字之末하니 此則以後朱門末學之而未有能救之者也
夫所貴乎聖人之學 以能全天之所以與我者爾 天之與我 德性 是也
是爲形質血氣之主宰 舍此而他求 所學 何學哉
亦不過爲資器之超於人이니 而謂有得於聖學則未也
況止於訓詁之精, 講說之密 如北溪之陳 雙峯之饒 則與彼記誦詞章之俗學으로 相去何能以寸哉
聖學 大明於宋代로되 而踵其後者如此하니 可嘆已
澄也於文義하야 毫分縷析하야 每猶以陳爲未精하고 饒爲未密也라하야 墮此 하니
自今以往으로 一日之內 子而亥 一月之內 朔而晦 一歲之內 春而冬하야 如天之運轉하고 如日月之往來하야 不使有須臾之間斷이면 則於尊之之道 殆庶幾乎인저
於此 有未能이면 則問於人하고 學於己하야 而必欲其至 若其用力之方 非言之可喩
原注
[按] 學者之弊 非馳心簡捷하야 蕩而爲異學之空虛 則極意鑽硏하야 流而爲俗學之卑陋하나니 在先哲之時 已然이온 而況後此三百年之久哉
勉齋黃氏, 果齋李氏 親受業考亭而得其傳者로되 其隱憂如此하고 慈溪黃氏, 臨川吳氏 皆私淑考亭而與聞斯道者로되 又如此하니 則其知之眞, 見之的 誠若有天相其間하야 而不使斯道之終晦于天下也
學者於此 痛心刻骨하야 以朱子爲師하고 以敬爲入道之要하야 求放心, 尊德性而輔之以學問호되 先之以力行하고 堅之以持守하야 俾空虛者反就乎平實하고 卑近者上達于高明이면 則聖門全體大用之學 或庶幾焉이요 而此經所摭 亦不爲空言矣리니 有志之士 願相與勉之어다


37. 주자朱子 존덕성재명尊德性齋銘
주자朱子의 〈존덕성재명尊德性齋銘〉에 말씀하였다.
“훌륭하신 상제上帝가 이 하민下民을 내리시니, 무엇을 주었는가?
이다.
상제上帝법칙法則이니, 이것을 공경하고 이것을 받들더라도 오히려 잘하지 못할까 두려운데, 어찌 어둡고 또 미친 짓을 하여 구차하게 천하고 또 낮게 하는가.
흘겨보고 귀를 기울여 들으며 사지四肢를 게을리하여 하늘의 명명明命을 더럽히고 사람의 윤기倫紀를 함부로 하여 이 하류下流로 돌아가는 것을 달게 여기니, 여러 이 모여든다.
나는 이것을 거울로 삼아서 이 마음을 공경하고 조심하여 그윽한 방에서도 혁연赫然히 임한 듯이 하노라.
을 잡은 듯이, 가득한 물을 받들 듯이 조심하여 수유須臾전패顚沛에도 그대로 지켜야 한다.
책임은 무겁고 갈 길은 머니, 감히 혹시라도 태만히 할 수 있겠는가.”
原注
[附註]
주자朱子자서自序에 “내제內弟정윤부程允夫도문학道問學으로 서재書齋의 이름을 지었기에 나는 ‘마땅히 존덕성尊德性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하였더니, 윤부允夫을 지어줄 것을 청하므로 인하여 이것을 지었다.”하였다.
原注
[按]윤부允夫의 이름은 이니 무원婺源 사람이다.
주자朱子를 따라 배웠으니, 저서로는 《존덕성재집尊德性齋集》이 있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덕성德性을 높이면서 문학問學으로 말미암으며 나를 글로써 넓히고 나를 로써 요약要約하여 두 가지로 공부를 해서 모두 편벽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原注
[按]주자朱子가 평소 사람을 가르칠 적에 존덕성尊德性도문학道問學 두 가지를 어느 한 가지도 편중偏重되게 하는 잘못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하셨으니, 말씀에 나타난 것을 상고할 수 있다.
다 기록할 수 없으므로 이제 모두 여섯 조목을 뽑아 붙인다.
原注
② 또 말씀하였다.
“만약 도리상道理上에 봄이 정밀하지 못하거든 모름지기 존덕성상尊德性上에 공부를 해야 할 것이요, 만약 덕성상德性上에 부족함이 있거든 모름지기 강학상講學上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니, 두 가지가 병행되면 거의 서로 발명되어서 광대하고 빛나는 경지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原注
③ 또 말씀하였다.
“배우는 자의 공부는 오직 거경居敬(尊德性)과 궁리窮理(道問學) 두 가지 일에 달려 있으니, 이 두 가지 일은 상호相互 발명發明된다.
궁리窮理를 하면 거경居敬공부가 날로 더욱 진전되고 거경居敬을 하면 궁리窮理공부가 날로 더욱 치밀해진다.”
原注
풍작숙馮作肅(馮允中)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거경居敬궁리窮理 두 가지를 어느 한 가지도 버려서는 안 되니, 어느 한 가지를 버리면 이 외로워져서 이로운 바가 없다.”
原注
손경보孫敬甫(孫自修)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정부자程夫子의 ‘함양涵養은 반드시 으로 하고 학문에 나아감은 치지致知에 있다’는 이 두 말씀은 수레의 두 바퀴와 같고 새의 양 날개와 같아서, 그 하나를 버리고서는 갈 수 있고 날 수 있는 것이 있지 않다.
세상이 쇠하고 가 쇠미해져서 이단異端봉기蜂起하여, 이 사이에 완전히 이단異端에서 나왔으나 오히려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잃지 않는 자가 있고 그 나머지는 모두 사사로움을 꾸미고 도리道理를 위반하니, 학문學問이라고 이를 수 없다.”
原注
왕자충王子充(王不著)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오늘날의 병폐는 강학講學을 힘쓰는 자는 대부분 천리踐履에 부족하고 천리踐履만을 오로지 하는 자는 또 마침내 강학講學을 무익하다고 하니, 자못 천리踐履의 실제로 인하여 강학講學의 공부를 지극히 해서 아는 바가 더욱 밝아지면 지키는 바가 더욱 견고해져 저 입과 귀의 사이에 구구하게 하는 자와는 진실로 같은 등급으로 말할 수 없음을 알지 못한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기를 “이치를 통렬히 한 번 살펴 알기를 혈전血戰을 하듯이 한 뒤에야 함양涵養하여 갈 수 있는 것이다.”하시고는 인하여 스스로 말씀하기를 “내 지금에는 비록 정좌靜坐를 하더라도 도리道理가 저절로 보이니, 만약 도리道理를 알지 못한다면 무엇을 함양涵養하겠는가.”하였다.
原注
[按]주자朱子중년中年에 배우는 자들이 을 서로 닦는 공부가 미치지 못하여 혹 떨치지 못함에 이를까 두려워하고, 또 택선擇善하게 하지 못하여 혹 이단異端공허空虛함에 흐를까 두려워하였다.
그러므로 도문학道問學에 치중하셨으니, 이제 모두 열 조목을 뽑아 붙인다.
原注
② 또 말씀하였다.
만사萬事궁리窮理에 달려 있으니, 경도經道(常道)가 바르지 못하고 이치가 밝지 못하면 아무리 잡아 지키는 것을 보려 하나 단지 공허空虛할 뿐이다.”
原注
치지致知함양涵養선후先後를 묻자, 대답하기를 “모름지기 먼저 치지致知를 하고 뒤에 함양涵養을 하여야 한다.”하였다.
이천伊川은 ‘치지致知를 하면서 에 있지 않은 자는 있지 않다’고 말씀하였으니, 어떻습니까?”하고 묻자, 대답하기를 “이것은 대강大綱을 말씀한 것이다.”하였다.
原注
④ 또 말씀하였다.
“나는 감히 스스로 혼매昏昧할 수 없으니, 실로 한 푼 한 푼 쌓고 한 치 한 치 쌓아서 얻었노라.”
原注
왕태초汪太初(汪楚材)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일찍이 듣건대 ‘배움이 잡박한 자는 해박該博한 듯하고 요약要約한 자는 고루한 듯하다’ 하였으니, 먼저 박학博學을 한 뒤에 요약要約하여야 잡박함에 흐르지 않고 고루함에 가리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중용中庸》에 명선明善성신誠身의 앞에 있고 《대학大學》에 성의誠意격물格物의 뒤에 있는 것이니, 이는 성현聖賢의 말씀 중에 상고할 만한 것이 이러하다.”
原注
[按] ‘학문學問은 해박하고자 할 것이요 잡되고자 하지 않으며, 요약要約하고자 할 것이요 고루固陋하고자 하지 않는다’는 것은 바로 오봉호씨五峯胡氏(胡宏)의 말씀이다.
原注
조민표趙民表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옛사람의 학문은 치지致知를 우선으로 하였으니, 치지致知하는 방법은 격물格物에 달려 있다.
격물格物이란 하남부자河南夫子(程子)의 이른바 ‘혹 책을 읽어 의리義理강명講明하고 위로 고인古人을 논하여 옳고 그름을 분별하고, 혹 사물을 응접하여 마땅한지 마땅하지 않은지를 처리한다’는 것이 모두 격물格物의 일이다.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지식이 지극해지면 행함에 힘쓰지 않음이 없어서 일을 만남에 성립하지 못함을 걱정할 것이 없다.”
原注
유공도劉公度(劉孟容)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천하 사물의 이치와 방책方冊에 있는 성현聖賢의 말씀을 모두 모름지기 자세히 반복하여 연구하여야 하니, 잡아지킴에 이르러서는 허다한 일이 없다.
일에 만약 온당하지 못함을 깨달았거든 다만 묵묵히 공부를 더하여 힘을 써서 앞을 향해 나아갈 뿐인데, 이제 들으니 책을 폐하여 익히지 않고 도리어 잡아지키는 일을 강설講說하는 자료資料로 삼는다 하니, 이는 바로 두 가지 모두 마땅함을 잃는 것이다.
결국에는 희롱하여 거둠이 없어서 단지 두찬杜撰(억지 논리)과 날합捏合(주워 맞춤)을 이룰 뿐이다.”
原注
범문숙范文叔(范仲黼)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윤화정尹和靖문인門人들이 그 스승을 칭찬하여 말하기를 ‘위대한 성인聖人의 가르침과 육경六經의 책을 귀로 들으면 순하고 마음에 터득하여 자신의 말을 외우듯이 하였다’ 하였으니, 요컨대 이러한 경지에 이르러야 비로소 독서讀書한 사람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原注
유정부劉定夫(劉孟容)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요컨대 배우는 자들은 수많은 광망狂妄심신心身을 쉬게 하고 허다한 쓸데없고 잡된 말을 제거하여 착실히 책을 읽어야 할 것이니, 처음에는 진실로 책의 행간行間이나 찾고 글자나 세겠지만 오래되면 자연 보는 곳이 있게 될 것이다.
가장 두려운 것은 사람들이 ‘학문은 책에 있지 않다’고 말하여 책보는 것을 힘쓰지 않고, 입으로 외며 귀로 듣는 것을 전일하게 하지 않으면 결국(종말)에는 장황하게 말만 하여 전혀 수습함이 없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단지 한바탕 크게 공허할 뿐이니, 참으로 미워할 만하다.”
原注
유계장劉季章(劉黼)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광음光陰(年歲)이 아직 노년 시절에 이르지 않은 이때에 착실着實기지基址를 만들어 쌓아 나가되 다만 장구章句를 배열하고 문리文理완색玩索하는 공부를 가지고 허다한 두찬杜撰계교計較하는 마음을 써서 별도의 노맥路脈을 찾는 심력心力과 바꾸어야 모름지기 실제로 힘을 쓸 곳이 있을 것이니, 오래하면 자연 심지心地가 평탄해지고 이치를 봄이 명철해져서 거의 이 학문이 전해짐이 있어 헛되이 평생을 저버리는 데에 이르지 않을 것이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이천伊川은 다만 ‘하나를 주장함을 이라 이르고 딴 데로 감이 없는 것을 이라 이른다’고 말씀하셨으니, 다만 이와 같이 할 뿐이요 별도로 다시 딴 일이 없다.
나는 그 동안 스스로 말할 적에 존덕성尊德性 한 쪽을 가볍게 여겼는데, 이제 옳지 못함을 깨달았으니, 상면上面일절一截(尊德性을 가리킴)이 바로 하나의 배자坏子(본질)이다.
배자坏子가 있어야 학문學問의 공부가 비로소 둘 곳이 있게 된다.”
原注
[按]주자朱子는 말년에 배우는 자들이 오로지 강설講說만 힘쓰고 함양涵養을 폐하여 장차 언어言語문자文字의 고루함으로 흘러가는데도 스스로 깨닫지 못한다 하였다.
이 때문에 또 존덕성尊德性에 치중하여 이미 정윤부程允夫를 위해 을 지으시고 또 여러 번 종유從遊하는 자들에게 징계하셨으니, 이는 정론定論이다.
그러므로 《심경心經》을 이것으로 끝마쳤으니, 후세의 배우는 자들이 진실로 여기에 힘써서 귀수歸宿할 바를 안다면 이 닦아지고 가 응집되어 성인聖人이 되는 공부를 거의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모두 12조목을 뽑아 붙였다.
原注
② 또 말씀하였다.
덕성德性을 높이지 않으면 마음이 해이해지고 태만해지니, 학문이 어디로부터 진전되겠는가.”
原注
혹자가 여러 경서經書의 의심스러운 부분을 묻자, 선생은 이미 답하시고 다시 말씀하였다.
“지금 비록 에게 다 말해 주고 공이 다 깨닫는다 하더라도 자신의 심지상心地上에 공부를 하지 않는다면 또한 일을 이루지 못한다.”
○ 또 말씀하였다.
“지금 도리道理를 이해하되 만약 이 원두源頭를 알지 못하면 모두 쓸데없는 말이다.
원두源頭는 무엇인가?
다만 자기 신상身上고유固有인의예지仁義禮智를 다 넓혀 채워서 불이 처음 타오르듯이 하고 샘물이 처음 나오듯이 하는 것이 바로 이 원두源頭이다.
이것을 보아야 비로소 강학講學할 수가 있으니, 마치 사람이 마땅히 행해야 할 것을 알고 다만 성현聖賢언어言語를 빌어서 길잡이로 삼는 것과 같다.”
原注
③ 하루는 제생諸生들에게 말씀하였다.
“나는 배우는 자들이 공허함을 말하고 기묘함을 말하는 것을 걱정하여 우선 먼저 글뜻을 통달하고서 글에 나아가 뜻을 찾게 하고자 하였는데, 결국에는 왕왕 또 다만 책자상冊子上언어言語만을 지키고 있으니, 도리어 봄이 자신에게 절실하지 않다.
반드시 자신에게 절실한 것을 보아서 완미玩味하여 마음속에 넣어서 힘써 행하여야 비로소 유익함이 있을 것이다.”
原注
“평소 독서할 때에는 또한 보이는 것이 있는 듯하다가도 이미 책을 놓고 나면 책과 별도가 되어 마찬가지이니, 병통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습니다.”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이는 바로 자기 몸에서 찾지 않고 오로지 책에서만 찾기 때문에 진실로 이와 같은 것이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을 함은 자신에게 말미암으니 남에게서 말미암겠는가’ 하였다.
무릇 내 몸이 일상생활 하는 사이가 모두 이니, 책은 이 마음을 붙여 모이게 하는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먼저 자기 몸에서 찾은 뒤에 책에서 찾아야 하니, 이렇게 하면 책을 읽음에 비로소 맛이 있을 것이다.”
○ “지난번 가르침을 받을 적에 ‘독서는 모름지기 함양涵養하여야 하고 모름지기 무젖고자 하여야 한다’고 하셨습니다.”하고는 인하여 말하기를 “맹자孟子의 천 마디 만 마디 말씀이 다만 이 마음을 논한 것이니, 《맹자孟子》 7을 이와 같이 마음을 논한 것으로 보는 것이 함양하는 공부입니까?”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내가 사람들이 독서함에 거칠고 소홀한 것을 보았기 때문에 ‘독서는 모름지기 함양涵養하여 흉중胸中에 얻는 바가 있게 하여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만약 그대의 말과 같다면 또 한 가지 생각을 갖다 붙여서 억지로 차배差排(지시)하고자 하는 것이니, 책을 보는 것을 어찌 이와 같이 하겠는가.”
또 한 사우士友가 말하기를 “선생의 함영涵泳에 대한 말씀은 바로 두원개杜元凱(杜預)의 우유優柔한다는 뜻이겠습니다.”하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해설(설명)한 것이 아니니, 이른바 함영涵泳이란 것은 자세히 독서함을 일컫는 딴 명칭인 것이다.
대체로 사람들에게 말해주는 것이 어려우니, 나는 다만 한 개의 함영涵泳을 말했을 뿐인데, 한 사람은 억지로 차배差排하고 한 사람은 억지로 해설하니, 이는 말에 따라 해석을 만들어내어서 지리하고 산만해지는 것이다.
조금만 전전展轉하면 다만 보탠 것이 많아지고 말이 고원해지니 이와 같이 독서한다면 전혀 스스로 하는 공부가 아니요, 유래한 곳이 없으니 사람으로 하여금 학문學問을 말하게 하는 것이 공허한 담론임을 알겠다.”
原注
섭하손葉賀孫이 “전에 가르침을 받들 적에는 다만 궁리상窮理上에 나아가 말씀한 것이 많았는데, 근래에는 존덕성尊德性치광대致廣大, 극고명極高明 일절一截을 자주 제기하고 깨우치심을 받사오니, 이 뜻이 어떠합니까?”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이전에도 말했지만 다만 두 가지를 뒤섞어(겸하여) 말했었는데, 단지 근래에는 제공諸公들이 궁리窮理공부를 이해함이 많으니, 또 스스로 점점 자기 몸에 절실하지 않음을 느꼈기 때문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지금 나의 문하門下에서 배우는 자가 이치를 상고함에 정밀하고 마땅하지 않음이 없어서 말을 함에는 물샐 틈이 없지만 행하는 바가 전도顚倒되고 착란錯亂하여 전혀 아는 것과 상반相反된다.
사람들은 다만 내가 문인門人들을 올바르게 인도하지 않아서 지금에 그들로 인해 를 입는다고 말하니,
이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지 못해서이다. ‘문인門人들이 실제로 알고 있으니, 내 어찌 그들에게 말해 주지 않겠는가’
그러나 행하는 바가 아는 바와 배치되는 것은 다만 일찍이 원두상源頭上에 힘을 쓰지 않고 다만 헛되기 때문이다.”
原注
요덕명廖德明이 “지금 다만 마음을 함양涵養하는 것만 논하고 학문學問강구講究하지 않는다면 비록 간사함을 막고 을 보존하며 성냄을 징계하고 욕심을 막을 수는 있으나 일을 처리함에 이르러 차질이 생기면 어찌합니까?”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차질이 생기는 것은 굳이 말할 것이 없다.
우선 이른바 ‘거처함에 공손히 하고 일을 집행함에 공경히 한다’는 것에 만약 공손하고 공경하지 않는다면 곧 방사함을 이룬다.
이와 같은 를 알기가 어렵지 않은데도 사람들은 방사하여 공손하고 공경하지 않으니, 마치 하나의 대공지정大公至正한 길이 매우 분명한데도 그 길로 가려 하지 않고 도리어 작은 한 길을 찾는 것과 같아 자신의 사사로운 뜻과 부합하면 곧 이것을 도리道理라고 일컬으니, 지금 사람들은 언제나 이와 같다.”
原注
항평보項平父(項安世)에게 답한 편지에 말씀하였다.
“말씀해 준 곡절曲折육국정陸國正(陸九淵)에 대한 말씀을 세 번 반복하여 읽으니, 마음이 두려워져 어둡고 태만함을 경계함이 많았다.
대저 자사子思 이래로 사람을 가르치는 방법은 오직 존덕성尊德性도문학道問學 두 가지 일로 공부하는 요점을 삼았는데, 지금 육자정陸子靜이 말하는 것은 오로지 존덕성尊德性의 일이고 내가 평소에 논한 것은 도문학상道問學上에 말한 것이 많다.
그러므로 저(陸九淵)의 배우는 자들은 잡아 지키는 것은 볼 만한 것이 많으나 의리義理를 보는 것은 전혀 자세하지 못하고, 또 별도로 일종一種도리道理를 꿰어 맞추어 말해서 자신의 행위를 가리고 덮어 놓아버리려고 하지 않는다.
그리고 또 나는 스스로 생각해 보니, 비록 의리義理 에 있어서는 감히 어지럽게 말하지 않으나 자신을 위하고 남을 위하는 긴요한 공부에 있어서는 득력得力하지 못한 것이 많다.
지금 마땅히 자신에게 돌이켜 공부하여 단점을 버리고 장점을 모은다면 거의 한 쪽으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原注
임택지林擇之(林用中)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함양涵養에 관한 한 은 의심컨대 옛사람들은 곧바로 《소학小學》 가운데에서 함양涵養하여 성취成就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대학大學》의 는 다만 격물格物로부터 시작하였는데, 지금 사람들은 종전에 이러한 함양공부가 없으면서 다만 《대학大學》에 격물格物로써 우선을 삼은 것을 보고는 다만 사려思慮지식知識으로 구하려 하고 다시는 조존操存하는 곳에 힘을 쓰지 않으니, 비록 십분十分 살펴보고 헤아린다 하더라도 근거할 만한 실제가 없다.
대저 경자敬字상하上下를 통하는 뜻이요, 격물格物치지致知는 그 사이에 차례로 진보하는 곳이다.”
原注
유자징劉子澄(劉淸之)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일전日前에는 학문을 한 것이 자신에 돌이킴에 느슨하였으니, 모든 것을 추후에 생각해 보건대 후회할 만한 것이 많다.
논저論著문자文字도 이런 병통에 걸려 착실着實하지 못한 부분이 많으니, 돌이켜 봄에 아득하여, 생각해 보건대 일 년이나 몇 달의 공부로 능히 구제할 수 있는 바가 아니다.
이 때문에 더욱 스스로 상쾌하지 못하다.
전에는 그래도 경부敬夫(張栻)와 백공伯恭(呂祖謙)이 때때로 바로잡아주어서 경계하고 살필 수 있었는데 두 벗이 죽고 나니, 귀에 전혀 이러한 말을 듣지 못한다.
지금 그대에게 깊이 기대하나니, 이로부터 보내 주는 편지에 통렬히 꾸짖어 가르쳐 주는 것이 바로 군자君子가 사람을 사랑하는 뜻이다.”
原注
⑨ 또 말씀하였다.
“근래에 생각해 보니, 향래向來(그 동안)에 학문한 것이 실로 밖을 향하여 절실하지 않은 폐단이 있었으니, 다만 자신을 그르칠 뿐만 아니라 남을 그르침이 또한 적지 않다.
이제 막 별도로 한 가지 단서를 찾았는데, 조금 간략하면서 분명한 듯하니, 비로소 문자文字언어言語 이외에 참으로 따로 마음을 쓸 곳이 있음을 알았다.
대면하여 논하지 못함이 한스럽다.”
原注
하숙경何叔京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만약 를 많이 듣고 널리 보아서 얻을 수 있다면 세상에 를 아는 자가 적지 않을 것이다.
내가 근래에 일로 인하여 바야흐로 조금 살펴 발명發明한 것이 있으니, 예컨대 ‘솔개가 날고 물고기가 뛰논다’는 것을 명도明道가 ‘반드시 일삼는 바가 있으면서도 효과를 미리 기대하지 말라’는 뜻과 같다고 하신 것을 지금에야 비로소 환히 깨달아 의심이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일상생활하는 사이에 이 유행流行하는 본체本體가 애당초 간단間斷하는 곳이 없으며 공부에 하수下手(착수)할 수 있는 곳이 있음을 보았으니, 마침내 일전에 자신을 속이고 남을 속인 죄를 이루 다 속죄贖罪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서책書冊을 지키고 언어言語에 집착하는 것과는 전혀 상관이 없으니, 부디 일상생활 하는 사이에 이것을 살피기 바란다.
이것을 알면 곧 을 알게 될 것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내가 일전日前에는 깊이 탐구하고 힘써 행하는 뜻이 없어 무릇 논설論說한 것이 모두 입에서 나오고 귀로 들어가는 여습餘習일 뿐이었다.
이 때문에 전혀 득력得力하지 못하였는데, 이제야 비로소 깨달아 용감하게 옛 습관을 고치려 하나 혈기血氣가 이미 쇠하고 심지心志 또한 다시 강하지 못하니, 마침내 이루는 바가 있을지 모르겠다.”
原注
정윤부程允夫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대개 이 일은 본원本原함양涵養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고, 경전經傳의 뜻을 강론함은 다만 이것을 돕는 것일 뿐인데, 그 동안 지나치게 출입出入해서 주장하여 따르는 바가 없었으니, 명색은 학문을 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는 무엇이 있겠는가.
또한 가소로울 뿐이다.”
原注
황직경黃直卿(黃榦)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학문을 함은 곧바로 먼저 근본을 세워야 하니 글뜻은 우선 올바른 뜻을 말해 주어서 마음을 너그럽게 하여 완미玩味하게 할 것이요, 동이同異를 상고하고 섬밀纖密한 것을 연구하게 해서는 안 되니 이렇게 하면 의사意思가 촉박하여 큰 진전을 얻기 어려울까 두렵다.
장래(미래)에 큰 뜻을 보거든 대략 한두 절목節目을 들어 점차 이해하더라도 늦지 않을 것이다.
이것이 그 동안의 잘못인데 지금 다행히 발견하였으니, 모름지기 용감하게 고쳐야 할 것이요, 남의 비난과 비웃음을 구차히 피하려 하여 사람을 그르쳐서는 안 될 것이다.”
原注
북계진씨北溪陳氏가 말하였다.
노선생老先生(朱子)이 평소 사람을 가르칠 적에 가장 긴요하게 여긴 곳은 존덕성尊德性도문학道問學 두 가지 공부를 진실로 어느 한쪽도 폐하지 않는 것이었는데, 대단하게 힘을 쓰신 곳은 대부분 도문학상道問學上에 있으셨다.
그런데 강서江西(陸九淵)의 한 학파學派는 다만 번거로움을 싫어하고 간략함에 나아가려 하여 유독 존덕성尊德性 에만 공부해 가니, 선생이 이것을 깊이 병통으로 여기셨다.”
[按]주자朱子가 말년에 항평보項平父, 임택지林擇之, 유자징劉子澄, 하숙경何叔京, 정윤부程允夫, 황직경黃直卿에게 답한 편지에 그 말씀이 이와 같으셨는데, 주자朱子가 별세한 뒤에 진씨陳氏의 말이 저와 같으니, 그렇다면 고정考亭학통學統이 진실로 한두 번 전해지기도 전에 진면목眞面目을 잃음을 면치 못한 것이다.
임천오씨臨川吳氏북계진씨北溪陳氏에 대하여 불만족스럽게 여기는 것이 당연하니, 아마도 이러한 따위 때문이었을 것이다.
原注
면재황씨勉齋黃氏이경자李敬子(李燔)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옛날 성현聖賢들이 학문學問을 말씀한 것은 모두 신심상身心上에 나아가 공부하여 인심人心도심道心, 경이직내敬以直內의이방외義以方外를 모두 강학講學에 가까운 부분으로 설명하지 않았는데, 주부자朱夫子가 〈사람들의〉 식견이 잘못되기 쉬울까 두려워하시어 이에 박문博文약례約禮로 상대하여 말씀하였으니, 박문博文이 먼저이고 약례約禮가 뒤이며, 박문博文이 쉽고 약례約禮가 어렵다.
후세의 학자들은 쉬운 것만 오로지 힘쓰고 항상 어려운 것을 꺼리니, 이 때문에 가 전해지지 못한 것이다.
모름지기 《중용中庸》의 내용과 같이 하여 계구戒懼신독愼獨으로 평생의 사업事業을 삼아서 잠시도 버리지 말 것이요, 강학講學궁리窮理는 분명하고 또 바른 것을 구하는 것일 뿐이니, 만약 단지 강학講學만 힘쓰고 신심身心에 유념하지 않는다면 전혀 학문을 이루지 못할까 두렵다.
사람들이 마음을 감추고 있어서 측량할 수 없으니, 한 가지로써 다하고자 한다면 를 버리고 무엇으로 하겠는가.
말소리와 행동거지의 사이와 사물을 응접하는 사이에 도리道理에 맞는가 맞지 않는가를 살핀다면 열 가지 중에 일곱 여덟은 얻을 것이니, 이러한 방식으로 다스리면 흘러가서 구이口耳학문學問이 되지 않을 것이다.
일찍이 명도선생明道先生사상채謝上蔡에게 말씀한 것을 보니, ‘제공諸公들이 이곳에 와서 단지 나의 말만 배운다’ 하시므로 상채上蔡가 더 말씀해 줄 것을 청하자 명도明道께서는 ‘우선 정좌靜坐하라’ 하셨으니,
정자程子의 문하에 상채上蔡와 같은 이는 실제를 힘쓰고 자신을 위하는 공부를 한 자라고 이를 만한데도 명도明道께서 오히려 이로써 경계하셨으니, 만일 지금의 배우는 자들을 보신다면 어찌 크게 탄식하지 않으시겠는가.
나는 이미 늙어서 달리 세상에 바랄 것이 없고 오직 선사先師(朱子)의 학통學統이 전해짐이 있기를 바랄 뿐이다.
이 때문에 스스로 참람함을 알지 못하고 이와 같이 말함에 이르게 되었다.”
原注
또 말하였다.
“언제나 선사先師(朱子)께서 일생동안 신고辛苦하여 책을 지어서 후학後學들을 가르쳐 주신 것을 생각해 보니, 광명光明하고 빛나는데도 제생諸生들은 그 지취旨趣를 통달한 자가 없고 또 다시 몇 년이 지남에 전습傳習함이 더욱 잘못되니, 선사先師의 눈이 장차 지하에서 감기지 못하실 것이다.”
原注
과재이씨果齋李氏(李方子)가 말하였다.
수사洙泗(孔孟) 이후로 박문博文약례約禮 두 가지를 모두 지극하게 한 자는 선생(朱子) 한 분뿐이다.
선생은 사람을 가르칠 적에 규모規模광대廣大하고 과급科級(등급)이 매우 엄격하여 차근차근 순서가 있어서 등급을 건너뛰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몸에 간절히 하고 실제를 힘쓰며 를 변별하고 스스로 속이지 말며 홀로를 삼가라는 경계에 이르러서는 일찍이 정녕丁寧하고 간곡히 하여 귀에 대고 극진히 말씀하지 않음이 없으셨다.
언제나 남헌장공南軒張公의 ‘위한 바가 없이 한다’는 말씀을 욀 때에는 반드시 세 번 감탄하셨으며, 말년에 제생諸生들이 글뜻의 사이에 얽매이는 것을 보시고는 이 가 전해지지 않을 것을 깊이 우려하시어 비로소 본체本體를 가리켜 보여주어서 깊이 생각하여 스스로 터득하게 하였으니, 배우는 자들에게 바람이 더욱 간절하다.”
原注
자계황씨慈溪黃氏(黃震)가 말하였다.
“옛날에 사람을 가르치고 학문을 함은 궁행躬行을 근본으로 삼았고 궁행躬行효제孝悌를 우선으로 삼았으며, 은 실행하고 여력餘力(여가)이 있은 뒤에 배웠으니, 이른바 이라는 것은 또 를 말한 것이요, 언어言語문자文字의 지엽적이 것이 아니었는데, 지금의 배우는 자들은 마침내 혹 이와 반대로 하니, 어찌 조화造化성명性命고원高遠진리眞理를 강론함으로 인하여 도리어 효제孝悌근신謹信절근切近도리道理를 잊는단 말인가.
이정선생二程先生주자周子의 말씀을 미루어 밝혀서 공맹孔孟에 도달하시고 성명性命으로 말미암아 궁행躬行에 돌려서 그 말씀이 일찍이 을 겸하여 들지 않은 적이 없으셨으니, 후세에 배우는 자들은 마땅히 이미 달리 구할 필요가 없는데, 불행히 이정二程이 별세하시자 문인門人 제자弟子들이 대부분 선학禪學으로 은근히 옮겨 가면서도 스스로 알지 못하였고, 비록 회옹선생晦翁先生께서도 초년初年에는 또한 거의 선학禪學에 빠질 뻔하였다.
그러다가 뒤에 비로소 일체 돌이켜서 평실平實한 데로 돌아와 평소 공부하신 것이 《논어論語》에 많았으며, 평소 《논어論語》를 설명할 적에 대부분 효제충신孝悌忠信을 주장하시고 태극太極성명性命 등의 말을 설명함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한 때의 행배行輩(동년배)나 선유先儒들과 서로 더불어 강론함으로 인하여 말씀하신 것이다.
문공文公(朱子)이 별세하시자 이 학문이 비록 성행하고 있으나 배우는 자들이 마침내 절실한 것을 하지 않고 오직 고원高遠한 것만을 하여서 강학講學할 적에 《논어論語》를 버리고 말하지 않고는 반드시 《대역大易》 (周易)을 먼저하고 《논어論語》를 말할 때에 효제충신孝悌忠信을 버리고 말하지 않고는 오직 일이관지一以貫之만을 논하여, 무릇 문공文公이 평소 깊이 경계하신 것을 배우는 자들이 마침내 스스로 편벽되이 따르고 돌아올 줄을 몰라서 단지 귀에 들어가고 입으로 나와 궁행躬行과 상관이 없게 한다.
삼가 일찍이 비유하건대 물을 떠서 마시려는 자는 반드시 근원根源을 깊이 파니, 근원根源을 깊이 파는 것은 물을 떠서 마시기 위한 계책인데 도리어 그 물을 버리고 떠서 마시지 않음은 무슨 (뜻)이며, 열매를 따서 먹으려는 자는 반드시 뿌리에 물을 주니, 뿌리에 물을 주는 것은 열매를 따 먹기 위한 것인데 도리어 그 열매를 버리고 먹지 않음은 무슨 소견이며, 궁행躬行을 바르게 하려는 자는 반드시 성리性理를 정밀하게 연구하니, 성리性理를 정밀하게 연구하는 것은 궁행躬行을 바로 하기 위한 것인데 도리어 궁행躬行불문不問에 내버려 둠은 어째서인가?
노사숙유老師宿儒들은 훈고訓詁에 빠져서 대부분 의리義理에 정밀하지 못하였는데, 근세에는 삼척동자三尺童子도 실마리(전통)를 이어 받아 모두 의리義理를 잘 말하나 말만 잘하고 행실을 잘하지 못하여 도리어 의 여러 유자儒者들보다 못하니, 이것을 통렬히 반성하고 속히 되돌리지 않는다면 말류末流폐단弊端이 마땅히 어떠하겠는가.
삼가 생각하건대 선유先儒들이 강론하여 꿰뚫기를 이미 정밀하게 한 나머지는 바로 배우는 자가 공경히 믿고 깊이 생각하여 행하여야 할 때이니, 선유先儒발명發明으로 말미암아 공자孔子대지大旨를 되찾고 성명性命소종래所從來를 알아 효제孝悌의 실제 행실로 귀수歸宿하여야 할 것이니, 또 어찌 다시 언어言語 사이에 많음을 구할 것이 있겠는가.”
原注
또 말하였다.
“이치는 저절로 그러함이 있어 본래 말할 필요가 없지만 부자夫子(孔子)께서 부득이하여 문답에 나타낸 것이 있으니, 이 또한 모두 바로 배우는 자들의 궁행躬行을 위하여 말씀하신 것이다.
주자周子정자程子가 별세하자 배우는 자들이 공허한 것을 말하여 거짓으로 진실을 바꾸어서 시비是非가 어지러워졌는데,
문공선생文公先生이 이에 의 말씀을 강력히 주장하여 ‘반드시 먼저 의리義理를 밝혀서 옳고 그름을 분별한 뒤에 궁행躬行에 나타내야 이단異端에 빠져 들어 가는 병폐를 면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이는 세상을 구제하려는 마음이 매우 간절하고 이치를 분석하는 말씀이 매우 정밀하니, 배우는 자가 그 말씀의 분명함으로 인하여 자기 몸의 행하는 바를 바르게 한다면 성인聖人이 되고 현인賢人이 됨이 어찌 불가하겠는가.
그런데 도리어 마침내 실마리를 주워 모으고 부황浮荒한 말을 더 보태어서 한갓 종신終身토록 의논함만 있고 마침내 단 하루도 궁행躬行함이 없어서 심지어는 〈학문學問을〉 빌어 간사함을 문식文飾하고 전전하여 세상을 속여서 풍속이 크게 파괴되어 차마 말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으니, 문공文公강명講明하신 바의 처음 뜻이 어찌 이와 같겠는가.
그렇다면 우리들이 거듭 경계하고 살핌을 가하지 않고 말만 많이 하는 것을 능사로 삼을 수 있겠는가.”
原注
임천오씨臨川吳氏(吳澄)가 말하였다.
“하늘이 사람을 낸 소이所以와 사람이 사람이 된 소이所以는 이 덕성德性 때문이다.
그러나 성인聖人의 전함이 이어지지 않음으로부터 사자士子들의 학문學問종주宗主가 없어서 천여 년 사이에 동자董子(董仲舒)와 한자韓子(韓愈) 두 분의 의희依稀(흐릿함)한 몇 마디 말씀이 에 가까웠으나 본원本原은 끝내 어두웠다.
그러다가 주자周子정자程子, 장자張子소자邵子가 나와서 비로소 위로 맹씨孟氏를 통하여 하나가 되었는데, 정씨程氏가 네 번 전수하여 주자朱子에 이르러서는 글뜻의 정밀함이 또 맹씨孟氏 이래로 일찍이 없었던 것이었다.
그런데도 그 학도學徒들이 왕왕 이에 집착하여 마음을 빠뜨리니, 〈주자朱子는〉 이미 세유世儒(俗儒)들의 기송사장記誦詞章속학俗學이라 하였는데 그들이 학문함 역시 지엽적인 언어와 문자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으니, 이는 가정嘉定 이후 주문朱門 말학末學의 병폐로 이것을 바로잡은 자가 있지 못하다.
성인聖人의 학문을 소중히 여기는 까닭은 하늘이 나에게 주신 것을 온전히 하기 위해서일 뿐이니, ‘하늘이 나에게 주었다’는 것은 덕성德性이 바로 이것이다.
이것이 인의예지仁義禮智의 근본이 되며 이것이 형질혈기形質血氣의 주재가 되니, 이것을 버리고 달리 구한다면 배우는 것이 무슨 배움이겠는가.
가령 행실이 사마문정공司馬文正公(司馬光)과 같고 재주가 제갈충무후諸葛忠武侯(諸葛亮)와 같더라도 익히면서 밝게 알지 못하고 행하면서 살피지 못함이 됨을 면치 못한다.
또한 자품資稟기국器局이 보통사람보다 뛰어남에 불과하니, 성학聖學에 얻음이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하물며 훈고訓詁의 정밀함과 강설講說의 치밀함에 그쳐, 북계진씨北溪陳氏쌍봉요씨雙峯饒氏와 같다면 저 기송사장記誦詞章속학俗學과의 거리가 어찌 한 치나 되겠는가.
성학聖學송대宋代에 크게 밝아졌는데도 그 뒤를 이은 자가 이와 같으니, 한탄스러울 뿐이다.
나는 글뜻을 깊이 연구하여 세밀하게 나누고 자세하게 분석하면서 매양 진씨陳氏도 정밀하지 못하다 여기고 요씨饒氏도 치밀하지 못하다 여겨 이 과구科臼(구덩이) 속에 떨어진 지 40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그 잘못됨을 깨달았다.
지금 이후로는 하루의 안에 자시子時부터 해시亥時까지, 한 달의 안에 초하루부터 그믐까지, 일년의 안에 봄부터 겨울까지 항상 나의 덕성德性이 밝고 밝아 하늘이 운전運轉(운행)함과 같고 해와 달이 왕래往來함과 같음을 보아서 잠시라도 간단間斷함이 없게 하려 하니, 이렇게 한다면 이 덕성德性을 공경히 받드는 도리에 거의 가까울 것이다.
이에 능하지 못함이 있으면 남에게 묻고 자신에게 배워서 반드시 이르고자 해야 할 것이니, 힘쓰는 방법으로 말하면 말로 다 형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중용中庸》의 수장首章정완訂頑의 마지막 편을 음미하여 스스로 깨달아야 할 것이다.”
原注
[按] 배우는 자들의 병폐는 간략하고 빠른 데에 마음을 치달려서 흘러가 공허空虛이학異學을 하지 않으면, 뜻을 다하여 〈성명性命을〉 연구해서 흘러가 비루한 속학俗學을 하고 마니, 선철先哲의 시대에도 이미 그러하였는데, 하물며 3백 년이 지난 지금에 있어서이겠는가.
면재황씨勉齋黃氏과재이씨果齋李氏는 친히 고정考亭(朱子)에게 수업하여 전수傳授를 얻은 자인데도 속으로 걱정함이 이와 같았고, 자계황씨慈溪黃氏임천오씨臨川吳氏는 모두 고정考亭에게 사숙私淑하여 이 를 들은 자인데도 공공연히 말씀함이 이와 같았으니, 그렇다면 그 지식의 참됨과 소견의 분명함이 진실로 하늘이 그 사이에 도와 주어서 이 로 하여금 끝내 천하天下에 어두워지지 않게 한 듯하다.
배우는 자가 이에 대하여 마음을 아파하고 뼈에 새겨서 주자朱子를 스승으로 삼고 에 들어가는 요점으로 삼아 방심放心을 찾고 덕성德性을 공경히 받들며 학문學問으로써 보조하되 먼저 역행力行을 하고 굳게 잡아 지켜서 공허한 것으로 하여금 돌아와 평실平實함에 나아가고 비근卑近한 것으로 하여금 위로 고명高明함에 통달하게 한다면 성문聖門전체全體 대용大用학문學問이 혹 거의 가까울 것이요, 이 《심경心經》에 뽑은 것도 빈말이 되지 않을 것이니, 뜻이 있는 선비들은 부디 서로 더불어 힘쓸지어다.


역주
역주1 [刊補]人之紀 : 살펴보건대 《書經》 〈商書 伊訓〉 註에 “人紀는 三綱과 五常이다.”하였고, 張氏는 “君臣, 父子, 兄弟, 夫婦, 長幼, 朋友間에는 禮義로 서로 맺어져야 하니, 이를 人紀라 한다.”하였으며, 《禮記》 〈禮運〉에는 “禮義를 紀로 삼는다.”하였다.
역주2 [釋疑]甘此下流 : 《論語》 〈子張〉에 子貢이 말하기를 “紂의 不善함이 이와 같이 심하지는 않았다. 이 때문에 君子가 下流에 거하는 것을 싫어하니, 下流에 있으면 天下의 惡이 모두 돌아온다.”하였다.
역주3 [釋疑]衆惡之委 : 委는 돌아옴이다.
역주4 [釋疑]有赫其臨 : 臨은 上帝가 너에게 降臨함을 이른다.
역주5 [釋疑]任重道悠 : 짐(책임)이 무겁고 갈 길이 먼 것으로, 《論語》 〈泰伯〉에 曾子가 말씀하기를 “仁으로 자기의 임무를 삼으니 책임이 무겁지 않은가. 죽은 뒤에야 끝나니 갈 길이 멀지 않은가.”하였으니, 悠는 먼 것이다.
역주6 [釋疑]內弟程允夫 : 朱子의 祖母는 바로 程允夫의 祖父의 누이이니, 程允夫는 곧 朱子의 中表弟이다. [補註]中表는 內外從間을 가리키는 바, 程允夫는 朱子의 陳外四寸 아우이며 中表弟가 아니다. 또 세속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外家는 外家가 아니고 內家이므로 內弟라고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역주7 [譯註]尊德性而道問學 …… 都不偏 : ‘博我以文 約我以禮’는 《論語》 〈子罕〉에 보이는 顔淵의 말로 孔子가 자신을 글로써 博學하게 하고 禮로써 요약하였음을 나타낸 것인 바, 보통 博文‧約禮로 줄여 쓴다. 尊德性은 存心工夫이고 道問學은 致知工夫이며, 博文은 致知工夫이고 約禮는 力行工夫이다. 尊德性의 存心工夫 역시 力行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으나 存心은 行에만 그치지 않고 知‧行을 모두 포함한다. 왜냐하면 存心은 마음을 수양하여 보존하는 것으로 居敬에 해당하는 바, 이것이 없이는 致知工夫를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存心과 致知, 致知와 力行 중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힘을 다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역주8 [譯註]今摭附凡六條 : 六條는 朱子曰條부터 그 아래 ‘又曰若於道理上’條, ‘又曰學者工夫’條, ‘答馮作肅書曰’條, ‘答孫敬甫書’條, ‘答王子充書曰’條까지의 여섯 조목을 가리킨다.
역주9 [釋疑]馮作肅 : 이름은 允中이다.
역주10 [釋疑]無所利矣 : 위의 〈坤卦六二章〉(敬以直內章)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11 [釋疑]孫敬甫 : 이름은 自修이다.
역주12 [刊補]可飛者也 〈世衰道微 異端蜂起〉 : 《朱子大全》에는 也字 다음에 ‘世衰道微 異端蜂起’ 여덟 글자가 있다.
역주13 [釋疑]其間 …… 而猶不失於爲己者 : 陸象山(陸九淵)과 같은 따위이다.
역주14 [釋疑]其他 : 異端으로서 爲己의 실제가 없는 자를 이른다.
역주15 [釋疑]王子充 : 이름은 不著이니, 朱子의 門人이다.
역주16 [釋疑]血戰 : 피를 흘리며 서로 싸우듯이 하는 것이다.
역주17 [釋疑]道理自見(현) : 이미 통렬히 이해하였기 때문에 비록 靜坐를 하여도 이와 같은 것이다.
역주18 [譯註]今摭附凡十條 : 十條는 ‘朱子曰痛理會一番’條부터 그 아래 ‘又曰萬事在窮理’條, ‘問致知涵養先後’條, ‘又曰某不敢自昧’條, ‘答汪太初書’條, ‘答趙民表書’條, ‘答劉公度書’條, ‘答范文叔書’條, ‘答劉定夫書’條, ‘答劉季章書’條까지의 열 조목을 가리킨다.
역주19 [釋疑]經不正 : 《孟子》 〈盡心 下〉의 註에 “經은 萬世에 바꿀 수 없는 떳떳한 道이니, 세상이 쇠하고 道가 미미해져서 큰 經道가 바루어지지 못했다.”하였다.
역주20 [釋疑]不敢自昧 : 감히 昏廢하지 못한다는 말과 같다.
역주21 [釋疑]銖累寸積 : 《尙書》의 註에 “천 2백 개의 기장은 그 무게가 12銖이다.”하였다. ○ 銖는 輕重으로 말하였고 寸은 長短으로 말하였다.
역주22 [釋疑]汪太初 : 이름은 楚材이니, 朱子의 曾祖母인 汪氏와 同姓間이다.
역주23 [刊補]約者似陋 : 사람들은 陋字의 뜻을 汚(더러움)로만 알고 《韻書》에서 말한 窄(좁음)과 狹(협소함)의 뜻은 모른다. ○ ‘約者似陋’는 마땅히 ‘陋者似約’으로 써야 한다. [補註]博과 約은 상대가 되므로 一理있는 주장이라고 생각한다. 즉 학문이 雜駁한 자는 該博한 것처럼 보이고 학문이 固陋한 자는 要約한 것처럼 보임을 말한 것이다.
역주24 [釋疑]趙民表 : 자세하지 않다.
역주25 [刊補]格物知至 : ‘格物’은 ‘物格’으로 써야 할 듯하다.
역주26 [釋疑]劉公度 : 이름은 孟容이다.
역주27 [釋疑]下梢 弄得無收殺(쇄) : 下梢는 末梢와 같고 無收殺(무수쇄)는 沒合殺(몰합쇄)와 같으니, 殺는 의심컨대 語助辭인 듯하다. [補註]末梢는 終末, 終局, 結局이란 말과 같다.
역주28 [釋疑]杜撰捏合 : 杜撰은 前人의 말을 막고(무시하고) 자신의 뜻으로 함부로 지어내는 것이다. 혹자는 말하기를 “옛날 杜默이란 사람이 詩를 지을 적에 律(격식)에 맞지 않는 것이 많으니, 당시 일을 말할 적에 格式에 합하지 않는 것을 杜撰이라 했다.” 한다. 捏은 비틀어 취하는 것이다. ○ 이치를 연구하고 그대로 행하면 이치가 자연 진실한 곳에 모이는데, 지금 劉公度는 이치를 알지 못하고 억지로 자신의 뜻으로 지어내고 附會하여 행하기 때문에 말한 것이다.
역주29 [釋疑]范文叔 : 이름은 仲黼이니, 朱子의 門人에는 끼지 못하였으나 僞學黨에 들어 있다.
역주30 [釋疑]劉定夫 : 《朱子大全》에 보이나 이름은 자세하지 않다.
역주31 [釋疑]要得 : 讀書에까지 해석한다.
역주32 [釋疑]許多狂妄身心 : 禪學하는 자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역주33 [釋疑]尋行數墨 : 簡冊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行間을 찾고 먹으로 쓴 글자를 세는 것이니, 한갓 紙上에 있는 말만 읽고 의미를 깊이 알지 못하는 것이다.
역주34 [刊補]說學不在書 : 陸象山의 학문을 가리킨다.
역주35 [釋疑]佔畢 : 《禮記》 〈學記〉의 註에 “佔은 보는 것이요 畢은 簡冊이다.”하였다.
역주36 [釋疑]張皇 : 鋪張하여 크게 하는 것이다.
역주37 [釋疑]只是一場大脫空 : ‘오직 한바탕 크게 疎脫하고 空虛하다’는 뜻이다. 또 ‘한 지위 헛것이다’로 해석하기도 한다.
역주38 : 오
역주39 [釋疑]劉季章 : 이름은 黻이다.
역주40 [釋疑]基趾 : 趾는 마땅히 土邊을 따라 址로 써야 한다.
역주41 [刊補]一截 : 一段이란 말과 같다.
역주42 [釋疑]坏子 : 坏(배)는 마땅히 坯가 되어야 하니, 기와를 아직 굽지 않은 것으로 本質을 말한다.
역주43 [刊補]朱子晩歲 : 살펴보건대 篁墩은 朱子가 ‘尊德性’으로 末學의 폐단을 바로잡았다고 논하였으니, 또한 좋은 말이다. 다만 篁墩의 생각이 朱子가 末年에 ‘道問學’을 완전히 버리고 오로지 ‘尊德性’만 가지고 공부를 하였다고 여겨서 “이것이 定論이다.”라고 말했다면 이것은 크게 옳지 않다. 朱子는 단지 道問學만 하는 폐단을 바로잡으려 한 것일 뿐이니, 어찌 편중함이 있었겠는가. 여기에 뽑은 12조목이 모두 朱子의 晩年說이라 하였으나 朱子가 石子重과 程允夫 등에게 답한 편지는 40세 이전의 것이었으니, 晩年이 되기 전에 폐단을 바로잡은 뜻이 본래 이와 같았던 것이다.
역주44 [釋疑]歸宿 : 끝내 그치고 정할 곳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역주45 [譯註]今摭附凡十一{二}條 : 원래는 ‘十一條’로 표시되어 있으나 모두 12조목이며, 退溪의 〈心經後論〉에도 “誠有如此註所引十二條之說” 이라고 하여 12조목임을 밝혔으므로 이에 의거하여 수정하였다. 十二條는 ‘朱子曰伊川’條부터 그 아래 ‘又曰不尊德性’條, ‘一日謂諸生曰’條, ‘葉賀孫問’條, ‘廖德明問’條, ‘答項平父書’條, ‘答林擇之書’條, ‘答劉子澄書’條, ‘又曰近覺向來爲學’條, ‘答何叔京書’條, ‘答程允夫書’條, ‘答黃直卿書’條까지의 열두 조목을 가리킨다.
역주46 [刊補]又曰 如今理會道理 若不識箇頭 : 이 한 단락은 李方子를 훈계한 것으로 《朱子語類》에 보인다. 혹자는 ‘箇頭’의 頭字 앞에 源字가 있어야 한다고 의심하나, 본문에 무릇 세 번 ‘箇頭’를 일컬었는데 모두 源字가 없다.
역주47 [刊補]假借 : 가져온다(빌어오다)는 말과 같다.
역주48 [釋疑]引路 : 길잡이이다.
역주49 [釋疑]談空說妙 : 禪學하는 자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역주50 [譯註]下梢頭 : 頭는 上과 같은 뜻으로 별의미가 없는 듯하다.
역주51 [釋疑]別是一般 : 책과 서로 연관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52 [譯註]古人曰 爲仁由己而由人乎哉 : 《論語》 〈顔淵〉에 보이는 孔子의 말씀이다.
역주53 [刊補]接湊 : 連接시켜 모으는 뜻이다.
역주54 [釋疑]因言 : 물은 자가 인하여 말한 것이다.
역주55 [釋疑]如此看 : 모두 마음을 논한 것으로 《孟子》 7편을 보는 것이다.
역주56 [釋疑]鹵莽(노무) : 마음을 쓰지 않는 것이다.
역주57 [釋疑]襯貼 : 貼은 세속의 이른바 褙貼(배접)이라는 것과 같다. 孟子가 마음을 논하지 않은 곳을 억지로 마음을 논했다고 보면 이는 마치 다른 한 물건을 가지고 이 물건 위에 붙이는 것과 같은 것이다.
역주58 [釋疑]差排 : 사람을 시켜서 어떤 일을 하게 하는 것을 差라 하니, 의심컨대 분부하고 使令한다는 뜻인 듯하다. 《孟子》 7편의 글을 모두 이렇게 찾아본다면 이것은 억지로 差排하는 것이다.
역주59 [釋疑]優而柔之 : 《左傳》의 序文에 “넉넉히 놀아서 江海가 적시는 것과 같고 膏澤이 윤택하게 하는 것과 같다.[優而柔之 如江海之浸 如膏澤之潤]”하였다. [補註] 축약하여 優柔로 쓰기도 하고 優遊(游)로 쓰기도 한다.
역주60 [釋疑]如此解說 : 杜元凱(杜預)의 말로 해설하는 것이다.
역주61 [釋疑]硬來 : 來는 語助辭이다.
역주62 [釋疑]巴鼻 : ‘닿을 데’, 또는 ‘잡을 데’로 해석한다. ○ 《語類》에 ‘沒巴沒鼻’라 하였으니, 漢語(중국어)에 禽獸의 꼬리를 尾巴라 이른다. 그렇다면 巴는 곧 꼬리요 鼻는 곧 머리이니, 이는 머리도 없고 꼬리도 없다는 뜻인 듯하다. 또 一說에는 큰 뱀을 巴라고 한다. 일찍이 보니 中國人들은 큰 뱀을 만났을 때에 작은 회초리를 사용하여 한 번 뱀의 머리를 때리면 뱀이 곧 죽는다. 그러니 이른바 巴鼻라는 것은 요긴하고 절실한 곳을 가리키는 뜻인 듯하다. [補註]由來, 根據의 뜻이다.
역주63 [釋疑]只是夾雜說 : 尊德性과 道問學 두 가지 공부를 겸하여 말한 것이다.
역주64 [釋疑]不著(착)身己 : 窮理에만 專念하고 尊德性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병통이 있는 것이다.
역주65 [釋疑]置水不漏 : 치밀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66 [釋疑]引他 : 門人을 引接하는 것이다.
역주67 [釋疑]如今被他累 : 先生(朱子) 또한 門人들의 累를 입음을 말한 것이다. 只管道의 뜻이 여기까지이다.
역주68 [釋疑]却不知渠 : 渠는 門人을 가리키니, 却不知의 뜻은 他說까지이다.
역주69 [釋疑]只是徒然耳 : 그 理會하는 바가 徒然(空然)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70 [釋疑]廖德明 : 자는 子晦이니, 朱子의 門人이다.
역주71 [釋疑]未說到差處 …… 便成放肆 : 廖德明의 뜻은 만약 강구하여 이치를 밝히지 않으면 일을 처리할 때에 착오가 생긴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이런 질문을 한 것인데, 朱子는 답하기를 “일을 처리할 때에 생기는 착오는 굳이 말할 것이 없고, 예컨대 거처하고 일을 집행할 적에 만약 공경하지 않으면 곧 放肆함을 이루니, 이것은 이미 잘못된 것이다.” 라고 한 것이다.
역주72 [釋疑]一線路 : 한 실오라기 같은 길이니, 작은 길을 이른다.
역주73 [釋疑]項平父 : 이름은 安世이다.
역주74 [釋疑]陸國正 : 陸子靜(陸九淵)이 國子學 正이 되었으므로 이렇게 칭한 것이다.
역주75 [釋疑]遮蓋 : 道理를 杜撰하여 자신의 소행을 엄폐하는 것이다.
역주76 [釋疑]爲己爲人 : 이는 成己成物(자기를 이루고 남을 이룸)을 이르니, 아랫글에 ‘자신을 그르치고 남을 그르친다’ 한 것과 ‘자신을 속이고 남을 속인다’ 한 것과 참고해 보아야 한다. [補註] 여기에서 말한 爲己爲人은 爲己之學과 爲人之學을 말한 것이 아니요, 단지 자신에게 있어서나 남에게 있어서나의 뜻이다.
역주77 [釋疑]林擇之 : 이름은 用中이니 朱子의 門人이다.
역주78 [釋疑]劉子澄 : 이름은 淸之이고 호는 靜齋이니, 朱子가 《小學》을 편집할 때에 실로 이 일을 주관하였다.
역주79 : 착
역주80 [釋疑]鐫誨 : 鐫은 새김이니, 책망하기를 뼈에 새기듯이 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81 [釋疑]眞別有用心處 : 尊德性을 가리킨다.
역주82 [釋疑]如鳶飛魚躍 明道以爲與必有事焉勿正之意同者 : 솔개가 날고 물고기가 뛰노는 것을 보면 이 이치의 전체가 드러나고 妙用이 분명히 행해짐을 볼 수 있다. 사람이 반드시 일삼음이 있으면서도 효과를 미리 기대하지 아니하여 마음에 잊지 말고 助長하지 않으면 自然의 이치를 따르고 사사로운 마음으로 해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또한 그 實體가 드러나고 妙用이 분명히 행해짐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역주83 [釋疑]答黃直卿書 : 黃直卿(黃榦)이 家眷(가솔)들을 이끌고 자기 집으로 돌아가자 제자들이 많이 모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書堂을 열고 강론하였으므로 朱子가 이 편지를 보내어 배우는 자들을 가르치고 경계하게 한 것이다.
역주84 [釋疑]將來見得大意 : 《朱子大全》에는 意字 아래에 思字가 있다.
역주85 [釋疑]定本之誤 : 《朱子大全》에는 다만 差誤로 되어 있다. 羅整菴(羅欽順)도 말하기를 “監本에는 다만 向來差誤로 되어 있다.”하였다.
역주86 [釋疑]苟避譏笑 : 譏笑는 앞뒤가 다르다 하여 기롱하고 비웃음을 이른다. [刊補] 사람의 常情은 평소 名望이 있는 자가 예전에 훌륭한 행실이 있다가 뒤에 만약 잘못하면 사람들이 반드시 비난하고 비웃는다. 朱子는 初年에 세상의 배우는 자들이 尊德性 한 쪽에 치우치고 道問學 공부를 알지 못하여 끝내 異端에 빠지는 것을 나쁘게 여겼다. 그러므로 먼저 사람들에게 道問學을 가르쳐서 자세한 이치를 연구하고 同異를 상고하여 점점 尊德性의 學問에 이르게 하니, 천하 사람들이 모두 이것을 信服하였다. 그런데 뒤에 道問學 공부가 너무 지루하고 번거로워 도리어 장차 本領(尊德性)을 버리고 枝葉으로 흐른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므로 朱子는 다시 尊德性을 주장하고 道問學으로 이것을 돕게 하고, 말씀하기를 “세상 사람들은 반드시 이 때문에 나를 비난할 것이다. 그러나 비난을 피하려 하여 사람을 그르치는 것은 나의 근본 뜻이 아니다.”하였으니, 이는 朱子의 道德이 훌륭하여 끝내 스스로 겸손하신 부분이다. 지금 세상 사람들은 언제나 자신의 주장을 옳다 하여, 비록 마음속으로 자신의 주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더라도 스스로 그르다고 말하지 않으니, 이는 모두 남의 비난과 비웃음을 피하려고 그러한 것이다.
역주87 [釋疑]李敬子 : 이름은 燔이고 호는 弘齋이니, 朱子의 高弟이다.
역주88 [刊補]古先聖賢言學 …… 都未說近講學處 : 묻기를 “여러 선생들이 모두 博文을 말하였는데, 黃氏(黃幹)는 ‘모두 講學에 가까운 것으로 설명하지 않았으며, 또 博文과 義以方外는 文字는 다르지만 意味는 실로 같다’ 하였습니다. 黃氏가 나누어 둘로 한 것이 옳습니까?”하니, 退溪는 답하기를 “黃氏의 이른바 ‘講學에 가까운 부분으로 설명하지 않았다’는 것은 孔子 이전의 堯‧舜, 禹‧湯, 文‧武, 周公과 같은 여러 聖人들이 모두 講學을 말씀하지 않았음을 가리킨 것이다. 그리고 義以方外는 비록 精義에 속하나 行으로써 말한 것이고, 博文은 오로지 知로만 말하였으니, 또한 같지 않다.”하였다.
역주89 [釋疑]人藏其心 …… 何以哉 : 《禮記》 〈禮運〉의 내용이다. 원하고 싫어하는 마음이 안에 감추어져 있으니, 他人이 어찌 헤아릴 수 있겠는가. [刊補] 살펴보건대 《禮記》 〈禮運〉에 “사람들이 마음을 감추고 있어서 헤아릴 수가 없으며, 좋고 나쁜 것이 모두 마음속에 있어서 그 빛을 볼 수가 없으니, 한 가지로써 다 하려고 한다면 禮를 버리고 어떻게 하겠는가.[人藏其心 不可測度也 美惡皆在其心 不見其色也 欲一以窮之 舍禮何以哉]”하였다. 그 註에 “좋아하고 싫어하는 마음이 안에 감추어져 있으니, 다른 사람이 어떻게 헤아리겠는가. 만약 일일이 연구하여 살피고 알려고 한다면 禮에서 찾지 않으면 안 된다.”하였다.
역주90 煒燁 : 위엽
역주91 [釋疑]果齋李氏 : 이름은 方子이고 자는 公晦이니, 朱子의 高弟이다.
역주92 [譯註]每誦南軒張公 無所爲而然之語 : 無所爲는 ‘위한 바가 없는 것’으로 南軒 張栻은 일찍이 “위한 바가 없이 하는 것을 義라 하고 위한 바가 있어 하는 것을 利라 한다.[無所爲而爲之 謂之義 有所爲而爲之 謂之利]”하였으므로 이 말을 가리킨 것이다. ‘위한 바가 없이 한다’는 것은 일이나 善行을 할 적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지 않고 오직 직분과 도리를 다할 뿐임을 이른다.
역주93 : 교
역주94 [釋疑]慈溪黃氏 : 이름은 震이고 자는 東發이다.
역주95 [譯註]孝弟謹信 : 《論語》 〈學而〉의 ‘入則孝 出則弟 謹而信’을 축약한 것이다.
역주96 [釋疑]兼擧 : 性命과 躬行을 겸하여 든 것이다.
역주97 [釋疑]潛移於禪學 : 上蔡(謝良佐)와 龜山(楊時) 같은 여러분들이다.
역주98 [釋疑]亦幾陷焉 : 朱子도 처음에는 開善禪師 道謙에게 배웠다. 그리하여 스스로 말씀하기를 “내 일찍이 그 사람을 스승으로 삼아 그 道를 높였다.”하였다.
역주99 [刊補]浚 : 濬(파다)과 같다.
역주100 : 捨
역주101 [釋疑]是非貿亂 : 《韻會》에 “貿는 어지러움이다.”하였다.
역주102 [釋疑]文奸 : 간악함을 文飾하는 것이다.
역주103 [刊補]董韓二子 依俙數語 近之 : 살펴보건대 董仲舒의 正誼明道와 韓愈의 〈原道〉 같은 類를 이른다. [補註]正誼明道는 ‘正其義 不謀其利 明其道 不計其功(의리만 바르게 할 뿐 이익을 도모하지 않으며 道만 밝힐 뿐 공적을 따지지 않음)’을 축약한 것이다. 〈原道〉는 道의 근원을 규명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原性〉‧〈原毁〉‧〈原人〉‧〈原鬼〉 등의 篇이 있는 바, 《韓昌黎文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역주104 [譯註]程氏四傳而至朱 : 程子는 龜山 楊時에게 傳授하고, 龜山은 豫章 羅從彦에게, 豫章은 延平 李侗에게, 延平은 朱子에게 전수하였으므로 네 번 전수하였다고 말한 것이다.
역주105 [釋疑]嘉定 : 宋나라 寧宗의 연호이니, 이는 朱子가 이미 별세한 뒤이다.
역주106 : 弊
역주107 [釋疑]德性 …… 是爲仁義禮智之根株 : 仁義禮智는 곧 이른바 德性인데, 지금 德性을 仁義禮智의 뿌리라 하여 마치 두 물건인 것처럼 말하였으니, 의심스럽다.
역주108 [刊補]行如司馬文正公 …… 習不著 行不察 : 살펴보건대 재주와 행실이 諸葛亮이나 司馬光과 같더라도 단지 外面의 자질구레한 것만을 익히고 행할 뿐, 마음의 德性에 있어서는 공부를 할 줄 모르는 까닭에 밝게 알지 못하고 살피지 못하는 病痛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109 [釋疑]鑽硏 : 鑽은 뚫는 것이고 硏은 가는 것이다.
역주110 [釋疑]科臼 : 科는 구덩이이고 臼는 절구이니, 《周易》 〈繫辭傳〉에 “땅을 파서 절구를 만든다.”하였다. [補註]後世에는 科臼를 하나로 묶어 함정이나 구덩이 따위를 일컫는 말로 쓰인다.
역주111 [刊補]鑽硏於文義 …… 垂四十年而始覺其非 : 지금 사람들이 다만 科擧에 올라 이익과 祿을 취할 줄만 아니 이것은 굳이 말할 필요가 없으며, 宋나라 말기와 元나라 초기에 朱子學派들의 병폐도 과연 이와 같았다. 그러므로 草廬(吳澄)가 이를 매우 걱정하여 이러한 말을 한 것이다. 그러나 草廬는 예전에 이미 글뜻을 연구하는 공부를 많이 하여 자세하게 분석해서 이미 천하의 이치를 환히 알았다. 만일 이와 같은데도 오로지 道問學上에 공부를 한다면 이는 편벽된 것이니, 尊德性에 중함을 돌린다면 그 뜻이 매우 좋다. 그런데 마침내 이것을 가지고 온 천하 사람들을 거느려 반드시 처음 배우는 선비들로 하여금 모두 道問學의 공부를 버리고 편벽되이 尊德性에만 마음을 쓰게 하였다. 그리하여 전혀 講明하는 바가 없으면서 하늘의 運行과 같고 日月의 往來과 같음을 보려고 한다면 어찌 사람들을 크게 그르쳐서 禪學으로 빠져들어 가게 하지 않겠는가. 이는 참으로 이른바 ‘伊蒲塞의 氣味’라는 것이다. 羅整菴(羅欽順)이 王陽明(王守仁)에게 준 편지에 草廬의 이 말의 잘못을 자세히 말하였다.
역주112 [釋疑]常見吾德性之昭昭 : 德性을 한 밝은 물건으로 여긴 듯하니 이미 의심할 만하며, 또 德性이 어찌 볼 수 있는 물건이겠는가. 이는 모두 道家의 ‘性을 보고 마음을 본다’는 뜻이다. [刊補] 살펴보건대 吳氏는 德性을 어떤 한 물건이 따로 있는 것이라고 여겨서 항상 마음과 눈의 사이에 분명하게 運轉하는 것을 보는 것처럼 말하였으니, 이는 禪家의 氣味이다. 우리 儒學과는 다르다.
역주113 [釋疑]中庸首章訂頑終篇而自悟 : 《中庸》의 首章에는 맨 먼저 天命의 性을 말하고 뒤이어 戒懼愼獨을 말하였으니, 모두 天理를 보존하고 人欲을 막는 공부이다. 그러므로 인용하여 말한 것이다. 證은 질병의 증세를 살펴서 치료함을 이르고 頑은 어둡고 완악하여 不仁함을 이르니, 證頑이란 不仁한 병을 살펴 다스리는 것이다. 不仁한 사람은 私慾에 굳게 가려서 마음이 돌처럼 완악하니, 證頑 한 편은 天地萬物이 一體인 이치를 미루어 밝혀, 사사로운 마음이 깨끗이 녹아 없어지고 本心이 성대하게 드러나서 남과 내가 간격이 없음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이 이른바 仁이란 것이니, 이미 〈東銘〉의 註에 대략 보인다. 終篇은 ‘생존해 있으면 내 순히 하늘을 섬기고 죽으면 내 편안하다[存吾順事 沒吾寧也]’는 한 句를 이른다. 事는 하늘을 섬기는 것을 이르니, 德性을 높임은 바로 하늘을 섬기는 일이다. 이 한 句를 朱子는 해석하기를 “仁人의 몸이 생존해 있으면 하늘을 섬길 적에 그 이치를 거스르지 않고 죽으면 편안하여 하늘에 부끄러운 바가 없으니, 이른바 아침에 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괜찮다[朝聞道 夕死 可矣]는 것이요, 내 바름을 얻고 죽는다[吾得正而斃焉]는 것이다.” 하였다. [刊補]退溪가 許美叔(許篈)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吳公의 뜻이 오직 입으로 말하고 귀로 듣는 병폐를 구제하는 데에 있었다면 朱子의 뜻이 진실로 이와 같으니, 문제될 것이 없다. 그러나 다만 吳公의 뜻은 오로지 禪學으로 천하 사람들을 내몰고자 하여 이 때문에 그 말이 치우치게 尊德性 한 쪽만을 주장한 것이니, 이미 이것을 가릴 수가 없다. 또 吳公 같은 분은 40년 동안 窮理한 뒤에도 오히려 남에게 물음이 없지 못하였으니, 만일 사람마다 窮理를 힘쓰지 않고 곧바로 《中庸》의 首章과 〈訂頑〉의 終篇에 재미를 두어 얻으려고 한다면 어떻게 얻을 수 있겠으며, 또 어떻게 잘못 들어가지 않는 자가 있겠는가. 이는 그 말의 병폐가 비단 ‘自悟’ 두 글자일 뿐만이 아니다.” [補註] ‘아침에 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말은 《論語》 〈里仁〉에 보이며, ‘내 바름을 얻고 죽는다’는 말은 曾子가 임종시에 한 말씀으로 《禮記》 〈檀弓 上〉에 보인다.
역주114 [釋疑]公誦 : 공공연히 외고 말하는 것이다.

심경부주 책은 2019.05.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