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心經附註

심경부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程子曰
顔淵 問克己復禮之目한대 子曰 非禮勿視하며 非禮勿聽하며 非禮勿言하며 非禮勿動이라하시니
四者 身之用也 由乎中而應乎外하나니 所以養其中也
顔淵 事斯語하니 所以進於聖人이니
學者宜服膺而勿失也니라
因箴以自警하노라
其視箴曰
心兮本虛하니 應物無迹이라
하니 視爲之則이라
蔽交於前하면 其中則遷하나니 制之於外하야 以安其內니라
克己復禮하면 리라
其聽箴曰
人有秉彝 本乎天性이언마는 하야 遂亡其正하나니라
卓彼先覺 이라
閑邪存誠하야 非禮勿聽하나니라
其言箴曰
人心之動 因言以宣하나니 發禁躁妄이라야 內斯靜專하나니라
矧是 하나니 吉凶榮辱 惟其所召니라
傷易則誕이요 傷煩則支하며 己肆物忤하고 出悖來違하나니 하야 欽哉訓辭하라
其動箴曰
하야 하고 志士勵行하야 하나니 順理則裕 從欲惟危
造次克念하야 戰兢自持하라
原注
[附註]
○ 朱子謂門人曰
程子云 制於外 所以養其中이라하시니 這一句이니라
原注
○ 又曰
하니 如非禮之色 若過目이어든 便過了 不可有要視之之心이며 非禮之聲 若入耳어든 也過了 不可有要聽之之心이니라
原注
人之視最在先하니 遇不當視者하야 起一念要視他 便是非禮
故當이니라
原注
○ 問視箴 何以特說心이며 聽箴 何以特說性이닛고
互換說이라도 也得이어니와 然諺云 開眼便錯이라하니 視所以就心上說이요
人有秉彛 本乎天性이라하니 道本自在這裏로되 却因雜得外面言語來誘之
聽所以就性上說이니라
原注
聽雖主於聲이나 而凡係乎言 皆屬聽하니 讀書爲學하야 得之於簡冊傳聞者 皆聽類也
若於事物之來 應之或差 猶可改也어니와 至於하야는 爲心術之害 遂至於亡其性이면 則不可救藥矣
聽言之邪正 其可畏也如此니라
原注
○ 又曰
言箴上四句 是說身上最緊切處 須是不躁妄이라야 方始靜專이라
自家這心 自做主不成이면 如何去接物이리오
下云 矧是樞機 興戎出好四句 是說謹言底道理 이니라
原注
言有不順理處 卽是心有不順理處
故不得於言이어든 須求於心이니 心氣和則言順理矣
然亦須就言上做工夫하야 內外表裏 無少空闕이라야 始得相應이니라
原注
○ 又曰 思 是動之微 是動之著
這箇是該動之精粗하니 蓋思於內 不可不誠이요 爲於外 不可不守니라
看文字 須得箇骨子 諸公 且道動箴 那箇是緊要
答曰 順理則裕니이다 曰 要連從欲惟危 這是生死路頭니라
原注
白雲許氏曰
視聽言 各指一事 動則擧一身而言이라
故動箴 兼心說하니 謂內而心之動 外而身之動 皆出於正하야 表裏如一이면 則天理流行이니
若强制於外하야 而動於中者 或未盡善이면 則病根不除 未爲得也 此卽愼獨工夫니라
原注
○ 又曰
四箴 舊見 只是平常說話러니 近乃覺其하니 眞所謂로다
原注
○ 又曰
四箴意思 都得盡하니 四箇箴 有說多底하며 有說少底하니 多底 減不得이요 少底 添不得이라
라야 實見是如何리라
看這意思컨대 都克去己私하야 無非禮之視하고 無非禮之聽하고 無非禮之言하고 無非禮之動이니 這是甚麽氣象
這便是渾然天理 這便是仁이니라


33. 정자程子 시청언동사잠視聽言動四箴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안연顔淵극기복례克己復禮조목條目을 묻자, 공자孔子께서 ‘가 아니면 보지 말고 가 아니면 듣지 말고 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가 아니면 동하지 마는 것이다’ 하셨다.
이 네 가지는 몸의 인데 심중心中으로 말미암아 밖에 응하니, 밖을 제재함은 심중心中을 기르는 것이다.
안연顔淵이 이 말씀에 종사하였으니, 이 때문에 성인聖人에 나아간 것이다.
배우는 자들은 마땅히 이것을 가슴속에 두고 잃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인하여 을 지어 스스로 경계하노라.”
시잠視箴〉에 말하였다.
“마음이여! 본래 하니, 사물에 응함에 자취가 없다.
마음을 잡음에 요점이 있으니, 보는 것이 그 법칙法則이 된다.
사물이 눈앞에서 가리워 사귀면 마음이 옮겨 가니, 밖에서 제재하여 안을 편안하게 해야 한다.
사욕을 이겨 로 돌아가면, 오래되면 저절로 될 것이다.”
청잠聽箴〉에 말하였다.
“사람이 병이秉彛양심良心을 가지고 있음은 천성天性에 근본하였건만 앎(욕심의 지각)이 물건에 유혹되어 변화해서 마침내 올바름을 잃게 된다.
드높은 저 선각자先覺者들은 그칠 곳을 알아 안정함이 있다.
를 막아 을 간직하여 가 아니면 듣지 않으셨다.”
언잠言箴〉에 말하였다.
인심人心의 동함은 말로 인하여 나타나니, 발설發說할 때에 조급함과 경망함을 금하여야 마음이 고요하고 전일해진다.
하물며 이 말은 중요한 추기樞機여서 전쟁을 일으키기도 하고 우호友好를 내기도 하니, 길흉吉凶영욕榮辱이 오직 말이 부르는 것이다.
말을 너무 쉽게 함에 잘못되면 허탄해지고 너무 번잡하게 함에 잘못되면 지루해지며, 자신이 말을 함부로 하면 남도 거슬리고 나가는 말이 도리道理에 어그러지면 돌아오는 말도 이치에 위배되니, 법도法度(禮法)에 맞는 말이 아니면 말하지 말아서 훈계訓戒 말씀을 공경히 받들지어다.”
동잠動箴〉에 말하였다.
철인哲人기미幾微를 알아 생각함에 성실히 하고 지사志士행실行實을 힘써 하는 일에 지키니, 이치를 순종하면 여유가 있고 욕심을 따르면 위태롭다.
조차造次라도 능히 생각해서 전전긍긍戰戰兢兢하여 스스로 잡아 지켜라.
습관習慣천성天性처럼 이루어지면 성현聖賢과 함께 돌아갈 것이다.”
原注
[附註]
주자朱子문인門人에게 말씀하였다.
정자程子가 말씀하기를 ‘밖을 제재함은 마음을 기르는 것이다’ 하셨으니, 이 한 는 참으로 좋아 보인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과 똑같지 않고 과 똑같지 않으니, 예컨대 가 아닌 이 만약 눈앞에 지나가거든 곧 지나칠 뿐이요 보려고 하는 마음을 두어서는 안 되며, 가 아닌 소리가 만약 귀에 들어오거든 또한 지나칠 뿐이요 들으려는 마음을 두어서는 안 되는 것과 같다.”
原注
경원보씨慶源輔氏가 말하였다.
“사람의 보는 것이 가장 앞에 있으니, 마땅히 보지 말아야 할 것을 만났을 때에 조금이라도 그것을 보고자 하는 한 생각이 일어나면 곧 가 아니다.
그러므로 마땅히 이것(보는 것)으로 마음을 잡는 법칙을 삼아야 한다.”
原注
시잠視箴에 어찌하여 특별히 마음을 말했으며 청잠聽箴에 어찌하여 특별히 을 말했습니까?”하고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서로 바꾸어 말해도 되지만 그러나 속담俗談에 ‘눈을 뜨면 곧 잘못된다’ 하였으니, 보는 것을 이 때문에 심상心上에 나아가 말한 것이요,
‘사람이 병이秉彛양심良心이 있는 것은 천성天性에 근본 한다’ 하였으니, 가 본래 저절로 여기에 있지만 외면의 언어言語가 섞임으로 인하여 유혹된다.
이 때문에 듣는 것을 성상性上에 나아가 말한 것이다.”
原注
백운허씨白雲許氏(許謙)가 말하였다.
“들음은 비록 소리를 위주로 하나 모든 말에 관계된 것은 모두 들음에 속하니, 책을 읽어 학문을 하여 간책簡冊전문傳聞에서 얻는 것도 모두 듣는 종류이다.
만약 사물이 올 적에 대응을 혹 잘못하는 것은 오히려 고칠 수 있지만 학문의 착오에 이르러서는 심술心術의 해로움이 되어 마침내 을 잃는 데에 이르니, 이렇게 되면 구제하여 치료할 수가 없다.
말의 간사하고 바름을 들음에 두려울 만함이 이와 같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언잠言箴에 위의 네 신상身上에 가장 긴절한 부분을 말하였으니, 모름지기 조급하고 경망하지 않아야 〈마음이〉 비로소 고요하고 전일專一할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의 마음이 스스로 주재主宰가 될 수 없으면 어떻게 가서 사물을 접할 수 있겠는가.
아랫구의 ‘하물며 이 말은 중요한 추기樞機여서 전쟁을 일으키기도 하고 우호友好를 내기도 한다’는 네 는 말을 삼가는 도리道理를 말한 것이요, 아래의 네 는 네 가지의 병통을 말한 것이다.”
原注
정씨程氏 복심復心이 말하였다.
“말이 이치에 순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곧 마음이 이치에 순하지 못한 부분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에 이해되지 못하거든 모름지기 마음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니, 심기心氣가 화평하면 말이 이치에 순하게 된다.
그러나 또한 모름지기 언어상言語上에 나아가 공부하여 에 조금이라도 공결空缺이 없어야 비로소 서로 응하게 된다.”
原注
또 말씀하기를 “의 은미함이요 의 드러남이다.
이것은 (思)과 (爲)를 겸하였으니, 안에 생각함을 성실히 하지 않을 수 없고 밖에 행함을 지키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문자文字를 볼 때에는 모름지기 골자骨子를 알아야 하니, 제공諸公들은 우선 동잠動箴에서 어느 것이 긴요한 것인가 말해 보라.”하였다.
이에 대답하기를 “이치를 따르면 여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라고 하자, 말씀하기를 “욕심을 따르면 위태롭다는 것까지 이어서 모두 긴요하니, 이것은 생사生死노두路頭(갈림길)이다.”하였다.
原注
백운허씨白雲許氏가 말하였다.
은 각각 한 가지 일을 가리켰고, 은 온몸을 들어서 말하였다.
그러므로 동잠動箴은 마음을 겸하여 말하였으니, 안으로 마음의 동함과 밖으로 몸의 동함이 모두 바름에서 나와 표리表裏가 똑같으면 천리天理유행流行됨을 말한 것이다.
만약 밖을 억지로 제재하여 심중心中에 동하는 것이 혹 다 하지 못하면 병근病根이 제거되지 못하여 얻음이 되지 못하니, 이것은 바로 신독愼獨공부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사잠四箴을 옛날에 볼 때에는 다만 평상적인 말씀이라고 여겼는데, 근래에야 비로소 그 뜻이 정밀함을 깨달았으니, 참으로 이른바 한 지팡이로 때리면 한 줄기의 지팡이 자국이 생기고 한 손으로 때리면 한 손바닥의 핏자국이 생긴다는 것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사잠四箴의사意思는 모두 다 포괄하였으니, 네 개의 은 말(내용)이 많은 것도 있고 말이 적은 것도 있는 바, 많은 것은 줄일 수가 없고 적은 것은 보탤 수가 없다.
다만 모름지기 자신이 공부를 하여야 실제로 어떠한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의사를 보건대 모두 사욕私慾을 이겨서 가 아닌 봄이 없고 가 아닌 들음이 없고 가 아닌 말이 없고 가 아닌 동함이 없어야 하니, 이것이 어떠한 기상氣象인가?
혼연渾然천리天理이니, 이는 곧 이다.”


역주
역주1 視聽言動四箴 : 四箴은 視箴‧聽箴‧言箴‧動箴을 가리키는 바, 四勿箴이라고 칭한다. 四勿은 ‘네 가지 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곧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을 가리킨다.
역주2 [釋疑]制於外 : 朱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心中으로 말미암아 밖에 응한다는 이 한 句는 다만 이치의 自然을 말하였을 뿐이요, 아랫구의 ‘밖을 제재함은 心中을 기른다[制於外 所以養其中]’는 것이 비로소 공부하는 곳을 말한 것이다.”
역주3 [釋疑]操之有要 : 마음은 형체가 없어서 잡기 어려우니, 오직 禮가 아닌 것을 볼 때에 따라서 마음을 잡으면 된다. 그러므로 이것을 일러 요점이 있다고 한 것이다.
역주4 [譯註]久而誠矣 : 誠은 성실하고 진실한 것으로 힘쓰지 않고 저절로 성실해짐을 이른다. 《中庸》에 “성실한 것은 하늘의 道이고 성실히 하려는 것은 사람의 道이니, 성실한 자는 힘쓰지 않고도 道에 맞으며 생각하지 않고도 알아서 從容히 道에 맞으니 聖人이요, 성실히 하려는 자는 善을 택하여 굳게 잡는 자이다.[誠者 天之道也 誠之者 人之道也 誠者 不勉而中 不思而得 從容中道 聖人也 誠之者 擇善而固執之者也]” 라고 보인다.
역주5 [釋疑]知誘物化 : ‘知가 誘하고 物이 化하여’로 해석하며, 一說에는 ‘知가 物에 誘하여 化하다’로 해석한다. ○ 《禮記》에 이르기를 “知가 밖에서 유인한다.”하였고, 또 이르기를 “사람이 物에 化한다.”하였다.
역주6 [釋疑]知止有定 : 至善이 있는 곳을 알아서 마음이 망령되이 동하지 않는 것이다.
역주7 [釋疑]樞機 :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은 반드시 지도리[樞]에 말미암고, 쇠뇌가 발동하는 것은 반드시 고동[機]에 달려 있다. ○ 《周易》 〈繫辭傳〉에 “말과 행실은 君子의 樞機이니, 樞機의 발함이 영화와 치욕의 主體이다.”하였다.
역주8 [刊補]興戎出好 : 戎은 兵(전쟁)이다. 《書經》 〈大禹謨〉에 “입은 友好를 내기도 하고 전쟁을 일으키기도 한다.[惟口出好興戎]”하였다.
역주9 [釋疑]非法不道 : 《孝經》에 이르기를 “先王의 법도에 맞는 말이 아니면 감히 말하지 않는다.[非先王之法言 不敢道]”하였다.
역주10 [釋疑]哲人知幾 : 哲人은 聖賢의 통칭이며, 幾는 동함의 은미한 것이니, 思慮가 막 싹틀 때이다.
역주11 [釋疑]誠之於思 : 愼獨의 일이다.
역주12 [釋疑]守之於爲 : 爲는 事爲이다. ○ 哲人은 마음을 위주로 하여 말하였고 志士는 몸을 위주로 하여 말하였으니, 대략 精粗의 구별이 있다.
역주13 [釋疑]習與性成 聖賢同歸 : 習與性成은 伊尹이 太甲을 논한 말인데, 여기서는 그 뜻을 뒤집어 말하였다. 習은 克念戰兢을 가리켜 말한 것이니, 習慣이 氣質之性과 함께 化하여 德을 이룸을 말한 것이다. 혹자는 性은 本然之性이라고 하니, 다시 살펴보아야 한다. [補註]伊尹이 말한 習與性成은 나쁜 습관이 氣質之性과 함께 이루어진다는 뜻이었는데, 여기서는 禮가 아니면 보지도 않고 듣지도 않고 말하지도 않고 동하지도 않는 좋은 습관을 말하였으므로 ‘그 뜻을 뒤집어 말했다.’ 한 것이다. 伊尹의 말은 《書經》 〈太甲〉에 보인다.
역주14 [釋疑]好看 : 좋아 보인다는 뜻이다.
역주15 [刊補]視與看見不同 聽與聞不同 : 看‧見(보이는 것)과 聞(들리는 것)은 마음을 두어 보거나 듣는 것이 아니고, 視(보는 것)와 聽(듣는 것)은 마음을 두어 보거나 듣는 것이다.
역주16 [釋疑]慶源輔氏 : 이름은 廣이고 자는 漢卿이니, 朱子의 高弟로 호는 潛巖이다.
역주17 : 纔
역주18 [釋疑]以是爲操心之則 : 是는 보는 것을 가리켜 말하였다. 그러나 말이 분명치 못한 듯하다.
역주19 [釋疑]白雲許氏 : 이름은 謙이고 자는 益之로 南宋 말기의 학자이다.
역주20 [釋疑]學問之差 : 書冊과 師友에게서 얻은 것을 이른다.
역주21 [譯註]下四句 却說四項病痛 : 아래의 네 句는 ‘傷易則誕 傷煩則支 己肆物忤 出悖來違’를 가리킨 것이다.
역주22 [刊補]程氏復心曰 : 이는 본래 朱子가 劉平甫에게 답한 편지이다.
역주23 [釋疑]都是 : 모두 긴요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24 [刊補]旨意精密 : 묻기를 “뜻이 정밀하다는 것은 무슨 말입니까?”하니, 退溪는 한참 동안 있다가 가르쳐 주기를 “이와 같은 부분은 언어로 형용하지 못하니, 자신이 깊이 음미하고 실제로 體行해서 自得해야 한다. 그대는 묻지 말아야 할 것을 물은 것이다. 이를테면 다른 사람에게 음식 맛이 어떠냐고 묻는 것과 같으니, 반드시 자신이 그 음식을 먹고 그 맛을 맛본 뒤에 알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이 애당초 먹어 보지도 않고 다른 사람에게 맛을 물어서야 되겠는가? 배우는 사람은 이 점을 깊이 體驗하지 않으면 안 된다.”하였다.
역주25 [釋疑]一棒一條痕 一摑一掌血 : 棒은 지팡이(곤장)로 때리는 것이다. 지팡이로 때리면 지팡이를 따라 한 가닥의 지팡이 자국이 있게 되고, 손으로 때리면 손을 따라 한 손바닥의 핏자국이 있게 되니, 이는 그 말이 통렬함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26 [釋疑]該括 : 該備하고 包括하는 것이다.
역주27 [釋疑]只是須要自家下工夫 : ‘家’가 《語類》에는 ‘實’로 되어 있다.

심경부주 책은 2019.05.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