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心經附註

심경부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公都子問曰
鈞是人也로되 或爲大人하며 或爲小人 何也잇가
從其大體爲大人이요 從其小體爲小人이니라
曰 鈞是人也로되 或從其大體하며 或從其小體 何也잇가
耳目之官 不思而蔽於物하나니 則引之而已矣 心之官則思 思則得之하고 不思則不得也
此天之所與我者 先立乎其大者 則其小者弗能奪也 此爲大人而已矣니라
原注
[原註]
○ 朱子曰
耳主聰하고 目主視 而不能思
是以蔽於外物하고 心則主思하야 而外物 不得蔽하나니 此耳目所以爲小體而心所以爲大體也
耳目 旣爲小體而蔽於物이면 則亦一物耳 以外物 交於此物이면 則引之而去 必矣
心雖大體而能不蔽於物이나 然或不思 則不得於理而耳目用事하야 終亦不免爲物所引而去也 所以雖皆出於天賦 而其大者 又不可以不先立也니라
原注
[附註]
○ 荀子曰
耳目口鼻能各有接而 夫是之謂天官이요 心居中虛하야 以治하니 夫是之謂天君이라
聖人 淸其天君하야 正其天官이니라
原注
○ 又曰
虛壹而靜 謂之淸明이니 心者 形之君也
出令而無所受令이니라
原注
云 荀卿 以耳目爲天官하고
心爲天君이라하고 又曰 心者 形之君也 出令而無所受令이라하니 卽此語以看孟子此章 甚切이라하시니
立之如何
亦曰操而存之하야 使得其能思之職而已니라
原注
○ 朱子曰
元有思하니 須是人 自家主張起來 此最要緊이니라
原注
○ 又曰
心之虛靈 無有限量하니之外 思之卽至하고 前乎千百世之已往 後乎千萬世之方來 皆在目前이로되 人爲利欲所昏이라 所以不見此理니라
原注
○ 又曰
孟子說先立乎其大者라하시니 此語最有力하니 且看他下一箇立字니라
昔有人爲學之道한대 譙曰 某只是先立乎其大者라하니 他之學 亦自有要
卓然竪起自心 便是立이니 所謂敬以直內也니라


26. 균시인야장鈞是人也章
공도자公都子가 물었다.
“똑같은 사람인데 혹은 대인大人이 되고 혹은 소인小人이 되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맹자孟子가 말씀하였다.
대체大體를 따르는 사람은 대인大人이 되고 소체小體를 따르는 사람은 소인小人이 되는 것이다.”
“똑같이 사람인데 혹은 대체大體를 따르고 혹은 소체小體를 따르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맹자孟子가 말씀하였다.
“귀와 눈의 기능[官]은 생각하지 못하여 물건에 가려지니 물건(外物)이 물건(耳目)과 사귀면 거기(외물)에 끌려갈 뿐이요, 마음의 기능은 생각할 수 있으니 생각하면 얻고 생각하지 못하면 얻지 못한다.
이것(耳目과 심지心志)은 하늘이 우리 인간에게 부여해 주신 것이니, 먼저 그 큰 것(心志)을 세운다면(확립한다면) 그 작은 것(耳目)이 빼앗지 못할 것이니, 이것이 대인大人이 되는 이유일 뿐이다.”
原注
[原註]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이란 말은 맡는다는 뜻이니, 귀는 듣는 것을 맡고 눈은 보는 것을 맡았으나 생각하지는 못한다.
이 때문에 외물外物에 가려지며, 마음은 생각하는 것을 맡아서 외물外物이 가리우지 못하니, 이는 귀와 눈은 소체小體가 되고 마음은 대체大體가 되는 이유이다.
귀과 눈이 이미 소체가 되어 외물外物에 가려지면 또한 한 물건일 뿐이니, 외물外物로써 이 물건(耳目)과 사귀게 되면 거기에 끌려갈 것이 틀림없다.
마음은 비록 대체大體여서 물건에게 가려지지 않으나 혹 생각하지 않으면 도리道理를 얻지 못하여 귀와 눈이 용사用事해서 마침내 물건에게 끌려감을 면치 못하니, 이 두 가지는 비록 모두 하늘이 부여해 준 것에서 나왔으나 그 큰 것을 먼저 세우지 않으면 안 된다.”
原注
[附註]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이목구비耳目口鼻는 각기 접함이 있으나 서로 보거나 듣지 못하니 이것을 천관天官이라 이르고, 마음은 가슴속 공허한 곳에 있으면서 오관五官(耳‧)을 다스리니 이것을 천군天君이라 이른다.
성인聖人천군天君을 맑게 하여 천관天官을 바르게 한다.”
原注
순자荀子가〉 또 말하였다.
하고 한결같으며 함을 청명淸明이라 이르니, 마음은 형체形體의 군주이고 신명神明의 주인이다.
명령을 내기만 하고 명령을 받는 곳은 없는 것이다.”
原注
신안예씨新安倪氏(倪士毅)가 말하였다.
선사先師(陳櫟)께서 이르기를 ‘순경荀卿이목耳目천관天官이라 하고 마음을 천군天君이라 하였고,
또 마음은 형체의 군주이니 명령을 내기만 하고 명령을 받는 곳은 없다고 하였으니, 이 말을 가지고 맹자孟子의 이 을 보는 것이 매우 간절하다’ 하셨으니,
먼저 그 큰 것을 세우면 이 마음이 우뚝하여 이목耳目의 군주가 되어 대체大體를 따를 것이니 이른바 ‘천군天君이 태연하여 온갖 몸이 명령을 따른다’는 것이요, 먼저 그 큰 것을 세우지 못하면 마음이 물러가 이목耳目에게 명령을 들어서 소체小體를 따를 것이니, 이른바 ‘마음이 형체에게 사역 당한다’는 것이다.
큰 것을 세우기를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또한 마음을 잡아서 보존하여 생각하는 직분을 얻게 할 뿐이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마음은 원래 생각함이 있으니, 모름지기 사람이 스스로 주장하여 일으켜야 하는 바, 이것이 가장 요긴하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마음의 허령虛靈이 한량이 없으니, 예컨대 육합六合의 밖을 생각하면 즉시 이르고, 앞서 천백세千百世의 이미 지나간 것과 뒤로 천만세千萬世의 미래가 모두 눈앞에 있으나 사람들이 이욕利慾에 어두워지기 때문에 이 이치를 보지 못하는 것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맹자孟子가 말씀하기를 ‘먼저 그 큰 것을 세우라’ 하셨으니, 이 말씀이 가장 힘(功效)이 있으니, 우선 여기에 한 입자立字를 놓은 것을 보아야 한다.
옛날 어떤 사람이 초선생譙先生(譙定)에게 학문하는 방도方道를 묻자, 초선생譙先生은 ‘나는 다만 그 큰 것을 먼저 세운다’고 하였으니, 그의 학문 또한 스스로 요점이 있었다.
자기 마음을 우뚝히 세우는 것이 곧 이니, 이른바 ‘경이직내敬以直內’라는 것이다.”


역주
역주1 鈞是人也章 : 《孟子》 〈告子 上〉에 보인다.
역주2 [釋疑]物交物 : 위의 物字는 外物이고 아래의 物字는 耳目이다.
역주3 [譯註]官之爲言主也 : 《孟子集註》에는 ‘主’가 모두 ‘司’로 되어 있으므로 ‘맡다’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主는 주장(주관)함이고 司는 맡는 것이어서 서로 큰 차이가 없다.
역주4 [刊補]此二者 : 《孟子集註》에는 본래 ‘三者’로 되어 있다. [補註] 이 글은 朱子의 《孟子集註》를 인용한 것인데, 原文 그대로가 아니고 축약한 부분이 많다. 《集註》에는 ‘此三者 皆天之所以與我者而心爲大’라 하여, 세 가지 즉 귀와 눈 그리고 마음은 모두 하늘이 우리 인간에게 부여해 주신 것인데, 그 중에 마음이 가장 훌륭하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이 글을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귀와 눈 두 가지만 들었기 때문에 ‘此二者’로 줄인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集註》의 原文을 아래에 싣는다. “官之爲言司也 耳司聽 目司視 各有所職而不能思 是以蔽於外物 旣不能思而蔽於外物 則亦一物而已 又以外物交於此物 其引之而去不難矣 心則能思而以思爲職 凡事物之來 心得其職 則得其理而物不能蔽 失其職 則不得其理而物來蔽之 此三者 皆天之所以與我者 而心爲大 若能有以立之 則事無不思 而耳目之欲不能奪之矣 此所以爲大人也”
역주5 [釋疑]不相能 : 눈은 듣지 못하고 귀는 보지 못하는 것이다.
역주6 [釋疑]五官 : 耳‧目‧鼻‧口‧形이다.
역주7 [釋疑]神明之主 : 神明한 주인이란 뜻이다.
역주8 [釋疑]新安倪氏 : 이름은 士毅이다. [刊補] 《一統志》에 “名은 士毅이니, 休寧 사람이다. 潛心하여 道를 구하였으며, 일찍이 陳櫟과 朱敬輿에게 배웠다.” 하였다. ○ 살펴보건대 《孟子》 小註에는 이 조목을 雲峯胡氏의 말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理學通錄》을 상고해 보면 雲峯은 傳授받은 스승이 없는데 지금 ‘先師云’이라 하였으니, 新安倪氏의 말이 옳은 듯하다.
역주9 [釋疑]先師 : 바로 新安陳氏이니, 호는 定宇이고 이름은 櫟이다.
역주10 [譯註]所謂天君泰然 …… 所謂心爲形役 : 모두 范浚의 〈心箴〉에 보이는 내용으로 《孟子》의 이 章의 章下註에 실려 있으며, 本書 4卷에도 大文(本文)으로 수록되어 있다.
역주11 [釋疑]六合 : 四方(東西南北)과 上下를 이른다.
역주12 [釋疑]譙先生 : 이름은 定이고 자는 天授이다.

심경부주 책은 2019.05.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