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正義

예기정의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25. 自道也니라
[注]言人能至誠 所以自成也 有道藝 所以自道達이라
誠者 物之終始 不誠이면 無物이니
[注]物 萬物也 亦事也
大人無誠이면 萬物不生하고 小人無誠이면 則事不成이라
是故 君子 誠之爲貴니라
[注]言貴至誠이라
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
成己 仁也 成物 知也
性之德也之道也
[注]以至誠成己 則仁道立하고 以至誠成物이면 則知彌博이니
五性之所以爲德也 外內所須而合也
外內 猶上下
時措之 宜也니라
[注]時措 言得其時而用也
至誠 無息이니
不息則久하고 久則徵하고 徵則悠遠하고 悠遠則博厚하고 博厚則高明이니라
[注]徵 猶效驗也
此言至誠之德 旣著於四方하여 其高厚日以廣大也
博厚 所以載物也 高明 所以覆物也 悠久 所以成物也니라
博厚 配地하고 高明 配天하고 悠久 無疆이니라
[注]後言悠久者 言至誠之德 旣至博厚高明하여 配乎天地하여 又欲其長久行之
如此者 不見而章하며 不動而變하며 無爲而成이니라
天地之道 可壹言而盡也
[注]言其德化與天地相似 可一言而盡하니 要在至誠이라
則其生物 不測이니라
[注]言至誠無貳 乃能生萬物多無數也
天地之道 博也 厚也 高也 明也 悠也 久也니라
[注]此言其著見成功也
[疏]‘誠者’至‘久也’
○此經明己有至誠, 能成就物也.
○‘誠者 自成也 而道 自道也’者, 言人能有至誠之德, 則自成就其身,
故云‘誠者自成也’.
若人有道藝, 則能自道達於己,
故云‘而道自道也’.
○‘誠者 物之終始 不誠 無物’者, 言人有至誠, 則能與萬物爲終始, 若無至誠, 則不能成其, 若大人無至誠, 則不能生萬物, 若小人無至誠, 則不能成其物.
物猶事也.
‘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成物也’者, 言人有至誠, 非但自成就己身而已, 又能成就外物.
○‘成己 仁也 成物 知也’者, 若就己身, 則仁道興立,
故云‘成己仁也’.
若能成就外物, 則知力廣遠,
故云‘成物知也’.
○‘性之德也’者, 言誠者是人五性之德, 則仁義禮知信, 皆猶至誠而爲德,
故云‘性之德也’.
○‘合外內之道也’者, 言至誠之行, 合於外內之道, 無問外內, 皆須至誠.
於人事言之, 有外有內, 於萬物言之, 外內猶上下.
上謂天, 下謂地.
天體高明, 故爲外, 地體博厚閉藏, 故爲內也.
是至誠合天地之道也.
○‘故 時措之 宜也’, 措, 猶用也.
言至誠者, 成萬物之性, 合天地之道,
故得時而用之, 則無往而不宜,
故注云‘時措, 言得其時而用也’.
○‘故 至誠 無息’, 言至誠之德, 所用皆宜, 無有止息,
故能久遠‧博厚‧高明以配天地也.
○‘不息則久’者, 以其不息, 故能長久也.
○‘久則徵’, 徵, 驗也.
以其久行, 故有徵驗.
○‘徵則悠遠’者, 悠, 長也.
若事有徵驗, 則可行長遠也.
○‘悠遠則博厚’, 以其德旣長遠, 無所不周,
故‘博厚’也.
養物博厚, 則功業顯著,
故‘博厚則高明’也.
○‘博厚 所以載物也’, 以其德博厚, 所以負載於物.
○‘高明 所以覆物也’, 以其功業高明, 所以覆蓋於萬物也.
○‘悠久 所以成物也’, 以行之長久, 能成就於物, 此謂至誠之德也.
○‘博厚 配地’, 言聖人之德博厚, 配偶於地, 與地同功, 能載物也.
○‘高明 配天’, 言聖人功業高明, 配偶於天, 與天同功, 能覆物也.
○‘悠久 無疆’, 疆, 窮也.
言聖人之德, 旣能覆載, 又能長久行之, 所以無窮.
‘悠久’, 則上經‘悠遠’, ‘悠久’在‘博厚’‧‘高明’之上, 此經‘悠久’在‘博厚’‧‘高明’之下者,
上經欲明積漸先悠久, 後能博厚高明, 此經旣能博厚高明, 又須行之悠久, 故反覆言之.
○‘如此者 不見而章 不動而變 無爲而成’者, 言聖人之德, 如此博厚高明悠久, 不見所爲而功業章顯, 不見動作而萬物改變, 無所施爲而道德成就.
○‘天地之道 可壹言而盡也’者, 言聖人之德, 能同於天地之道, 欲尋求所由, 可一句之言而能盡其事理,
正由於至誠, 是‘壹言而盡也’.
○‘其爲物 不貳 則其生物 不測’者, 言聖人行至誠, 接待於物, 不有差貳, 以此之故, 能生殖衆物, 不可測量,
故鄭云‘言多無數也’.


은 자신을 이루는 것이요, 는 스스로 도달道達하는 것이다.
사람이 지극히 성실할 수 있으므로 자신을 이룰 수 있고, 도예道藝를 가지므로 스스로 도달道達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의 처음과 끝이니, 하지 않으면 이 없는 것과 같다.
은 만물이며 또한 일이다.
대인大人이 성실함이 없으면 만물이 생성되지 않고, 소인小人이 성실함이 없으면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군자는 을 귀하게 여긴다.
지극히 성실함을 귀하게 여김을 말한 것이다.
은 스스로 자기를 이룰 뿐만 아니라 도 이루어지게 한다.
자기를 이룸은 이요, 을 이루어지게 함은 이다.
는 지극히 성실함에 의지하여 나의〉 이 되기 때문에 〈지극히 성실함은〉 상하上下를 합하는 이다.
지극히 성실함으로 자기를 이루면 인도仁道가 확립되고, 지극히 성실함으로 을 이루어지게 하면 가 더욱 넓어진다.
이것은 〈〉 다섯 가지 이 되는 까닭이니, 안과 밖이 〈서로〉 의지하여 합하는 것이다.
외내外內상하上下와 같다.
그러므로 때에 맞게 그것을 시행[措]하면 마땅하게 될 것이다.
시조時措는 그 때를 얻어 시행함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지극히 성실함은 쉼이 없다.
쉬지 않으면 오래가며, 오래가면 효험이 나타나며, 효험이 나타나면 매우 오래가며, 매우 오래가면 넓고 두터워지며, 넓고 두터워지면 높고 밝아진다.
효험效驗과 같다.
이것은 지극히 성실한 이 이미 사방에 드러나 그 높이와 두께가 날로 넓어지고 커짐을 말한 것이다.
이라고 하기도 한다.
넓고 두터움은 만물을 실어주기 위한 것이요, 높고 밝음은 만물을 덮어주기 위한 것이요, 매우 오래감은 만물을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넓고 두터움은 땅과 어우러지고, 높고 밝음은 하늘과 어우러지고, 매우 오래감은 끝이 없는 것이다.
뒤에서 ‘유구悠久’라고 말한 것은 지극히 성실한 이 넓고 두텁고 높고 밝아 천지天地와 어우러짐에 이른 뒤에 또 오래도록 행하고자 함을 말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는 〈자기를〉 드러내지 않아도 〈자기가〉 드러나며, 〈의식적인〉 행위를 드러내지 않아도 〈만물이〉 달라지며, 작위作爲함이 없는데도 〈도덕道德이〉 이루어진다.
천지天地는 한마디 말로 다 표현할 수 있으니,
덕화德化가 천지와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한마디 말로 다 표현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니, 요점은 지극히 성실함에 있다.
그 〈천지天地의〉 실질[爲物]이 둘이 아니기 때문에 만물을 생성함에 〈다〉 헤아릴 수 없다.
지극히 성실함이 둘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만물을 생성함이 셀 수 없이 많음을 말한 것이다.
천지天地는 넓고 두터우며, 높고 밝으며, 아득하고 오래간다.
이것은 그 을 이룸이 드러났음을 말한 것이다.
의 [誠者]에서 [久也]까지
○이 경문經文은 자기에게 지극히 성실함이 있으면 을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誠者 自成也 而道 自道也] 사람이 지극히 성실한 을 가지면 스스로 자기의 몸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은 자신을 이루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만일 사람이 도예道藝를 가지면 스스로 자기에게 인도하여 이를 수 있다.
그러므로 ‘는 스스로 도달道達하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誠者 物之終始 不誠 無物] 사람이 지극히 성실함이 있으면 만물과 함께 처음과 끝이 될 수 있고, 만일 지극히 성실함이 없으면 그 을 이루어지게 할 수 없으며, 만일 대인大人이 지극히 성실함이 없으면 만물을 생성할 수 없고, 만일 소인小人이 지극히 성실함이 없으면 그 을 이루어지게 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와 같다.
소인이 성실함이 없으면 일을 이루어지게 할 수 없다.
○[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成物也] 사람이 지극히 성실함이 있으면 스스로 자기의 몸을 이룰 뿐만 아니라, 또 외물外物을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成己 仁也 成物 知也] 만일 자기의 몸을 이룰 수 있으면 인도仁道가 일어나 확립된다.
그러므로 ‘자기를 이룸은 이다.’라고 한 것이다.
만일 외물外物을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면 지력知力이 넓어지고 깊어진다.
그러므로 ‘을 이루어지게 함은 이다.’라고 한 것이다.
○[性之德也]은 인간의 다섯 가지 이니, 은 모두 지극히 성실함에 의지하여 이 됨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다.’라고 한 것이다.
○[合外內之道也] 지극히 성실한 행실은 안과 밖을 합하는 인데, 안과 밖을 따짐이 없음은 〈안과 밖이〉 모두 지극히 성실함을 필요로 하기 때문임을 말한 것이다.
인사人事의 측면에서 말하면 밖이 있고 안이 있으며, 만물萬物의 측면에서 말하면 밖과 안은 위아래와 같다.
위는 하늘, 아래는 땅을 이른다.
하늘의 는 높고 밝기 때문에 ‘밖’이라고 하고, 땅의 는 넓고 두터우며 닫아서 감추기 때문에 ‘안’이라고 한 것이다.
지극히 성실함은 천지天地를 합하는 이다.
○[故 時措之 宜也](시행하다)과 같다.
지극히 성실함은 만물을 이루는 이고 천지를 합하는 이다.
그러므로 때를 얻어 시행하면 어디를 가든 적절하지 않음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에서 ‘시조時措는 그 때를 얻어 시행함을 말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故 至誠 無息] 지극히 성실한 을 시행한 것이 모두 적절하여 〈잠시도〉 쉼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구원久遠박후博厚고명高明이 천지에 어우러질 수 있다.
○[不息則久] 쉬지 않기 때문에 오래갈 수 있는 것이다.
○[久則徵](효험이 나타나다)이다.
오래도록 행하기 때문에 징험이 있는 것이다.
○[徵則悠遠](길게 가다)이다.
만일 일에 징험이 있다면 길게 오래도록 행할 수 있다.
○[悠遠則博厚] 그 이 이미 길게 오래갔다면 두루 미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므로 ‘넓고 두텁다.’라고 한 것이다.
만물을 기름이 넓고 두터우면 공로功勞업적業績이 뚜렷이 드러난다.
그러므로 ‘넓고 두터워지면 높고 밝아진다.’라고 한 것이다.
○[博厚 所以載物也] 그 의 넓고 두터움은 만물을 지고 실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한 것이다.
○[高明 所以覆物也] 그 공로功勞업적業績의 높고 밝음은 만물을 덮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한 것이다.
○[悠久 所以成物也] 그것을 행함이 오래되면 을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고 한 것이니, 바로 지극히 성실한 을 이른다.
[博厚 配地]성인聖人이 넓고 두터움은 땅과 어우러지니, 땅과 을 함께하여 만물을 실어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高明 配天]성인聖人공로功勞업적業績이 높고 밝음은 하늘과 어우러지니, 하늘과 을 함께하여 만물을 덮어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悠久 無疆](한계)이다.
성인聖人이 이미 덮어주고 실어줄 수 있고, 또 오래도록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끝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유구悠久’는 앞 경문經文의 ‘유원悠遠’인데, ‘유구悠久’가 ‘박후博厚’‧‘고명高明’의 앞에 있고, 이 경문에서는 ‘유구悠久’가 ‘박후博厚’‧‘고명高明’의 뒤에 있는 것은
앞의 경문은 차근차근 쌓음이 먼저 오래되어야 나중에 넓고 두텁고 높고 밝을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며, 이 경문은 이미 넓고 두텁고 높고 밝은데, 또 그것을 행함이 오래가야 하기 때문에 반복해서 말한 것이다.
○[如此者 不見而章 不動而變 無爲而成]성인聖人이 이와 같이 넓고 두터우며 높고 밝으며 아득하고 오래가, 실천한 것을 드러내지 않았는데도 공로功勞업적業績이 밝게 드러나고, 〈의식적인〉 행위를 드러내지 않았는데도 만물이 달라지고, 작위作爲[施爲]한 것이 없는데도 도덕道德이 이루어짐을 말한 것이다.
○[天地之道 可壹言而盡也]성인聖人이 천지의 와 같을 수 있으니, 바탕을 두는 것을 찾고자 한다면 한 구절의 말로 그 사리事理를 다 표현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바로 지극히 성실함에 바탕을 둠이 ‘한마디 말로 다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其爲物 不貳 則其生物 不測]성인聖人이 지극히 성실함을 행하여 접대接待함에 어긋남[差貳]이 있지 않으면, 이 때문에 여러 생식生殖함에 헤아릴 수 없다.
그러므로 정현鄭玄이 ‘셀 수 없이 많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誠者 自成也 : 朱熹는 “誠은 만물이 자신을 이루는 것이다.[誠者 物之所以自成]”라고 하였으니, 모든 생명의 근원이라는 의미이다.
역주2 : 朱熹는 “사람이 스스로 행해야 하는 것이다.[人之所當自行也]”라고 하였으니, ‘率性之謂道’와 같다. 鄭玄은 道를 ‘道藝’로 풀이하였는데, 海保漁村(日)은 《中庸鄭氏義》에서 “道藝는 곧 禮義이다.[道藝卽禮義]”라고 하였고, 荻生徂來(日)는 《中庸解》에서 “先王의 道로서 예악이다.[先王之道禮樂]”라고 하였다. 楊亶驊(淸)는 ‘率性之道의 道字’라고 하였다.(楊天宇(中), 《禮記譯注》)
역주3 成物 : 海保漁村(日)은 《中庸鄭氏義》에서 이 物을 앞의 ‘誠者物之終始’의 ‘物’자로서 萬物萬事라고 하였고, 대부분의 학자들도 ‘萬物萬事’로 풀이한다. 그러나 中井履軒(日)은 《中庸逢原》에서 여기서의 ‘物’은 ‘誠者物之終始’의 ‘物’자가 아니라 ‘己’를 상대하여 말한 것으로서 ‘他人’을 가리키지 萬物이나 萬事가 아니라고 하였다.
역주4 外內 : 朝鮮 內閣本에는 ‘內外’로 되어 있다. 鄭玄은 ‘外內’를 ‘上下’라고 하였는데, 孔穎達은 “人事의 측면에서 말하면 밖이 있고 안이 있으며, 萬物의 측면에서 말하면 안과 밖은 上‧下와 같으니, 上은 天, 下는 地를 이른다.”라고 한 반면, 安井衡(日)은 《中庸說》에서 “上下는 君民이라는 말과 같다.[上下猶言君民]”라고 하였다. 顧氏(顧元常)는 “外는 成物, 內는 成己이니, 나누어 말하면 成己는 仁이고, 成物은 知이며, 합하여 말하면 性의 德이다.[外 成物也 內 成己也 分言之 則曰成己仁也 成物知也 合言之 則曰性之德也]”라고 하였다.(《中庸章句大全》 小注)
역주5 徵 或爲徹 : 王引之(淸)는 “徹로 쓰는 것이 더 낫다. 徹은 통하는 것이다.[作徹者爲長 徹達也]”라고 하였다.(《經義述聞》 〈禮記 下〉 久則徵徵則悠遠條)
역주6 其爲物 不貳 : 孔穎達은 “聖人이 지극히 성실함을 행하여 物을 接待함에 어긋남[差貳]이 있지 않다.[聖人行至誠 接待於物 不有差貳]”는 뜻으로 풀이하였다. 海保漁村(日)은 《中庸鄭氏義》에서 “‘物’은 ‘事’로서 지극히 성실한 성인의 일[至誠聖人之事]”이라고 하였고, 大田錦城(日)은 《中庸原解》에서 “《禮記》 〈祭統〉 ‘夫祭之爲物大矣(제사의 物됨이 크도다.)’에 대한 鄭玄의 注 ‘爲物猶爲禮也(爲物은 爲禮와 같다.)’에 근거하여 ‘爲物은 爲事라는 말과 같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여기서의 ‘物’은 ‘事’라기보다는 《禮記》 〈緇衣〉 ‘子曰 言有物而行有格也(말에는 징험이 있어야 하고 행실에는 〈일정한〉 격식이 있어야 한다.)’에 대한 鄭玄의 注 ‘物謂事驗也(物은 일의 징험을 이른다.)’로서 ‘일의 증거’ 즉, ‘實質’‧‘實體’로 ‘사물의 내용’이라는 뜻으로 풀이하여야 한다. ‘其’는 ‘天地’를 가리킨다. ‘不貳’는 ‘一’이니, 바로 ‘誠’을 가리킨다. 따라서 ‘其爲物不貳’는 ‘天地의 실질은 쉼이 없는 至誠’임을 말한 것이다.
역주7 (功)[物] : 저본에는 ‘功’으로 되어 있으나, 汲古閣本‧福建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物’로 바로잡았다.
역주8 誠者自成也……不能成事 : 앞 단락의 ‘誠者自成也 而道自道也者’부터 이 단락까지, 저본에는 앞 經文의 疏 ‘至誠能知者出也’의 다음에 붙어 있었다. 그러나 文理가 통하지 않고, 또 汲古閣本‧福建本‧武英殿本에는 이 단락이 ‘此經明己有至誠 能成就物也’의 다음에 놓여 있다. 따라서 여기로 옮겨 번역하였다.
역주9 [○] : 저본에는 ‘○’이 없으나, 汲古閣本‧福建本에 의거하여 보충하고 단락을 나누었다.
역주10 (成能)[能成] : 저본에는 ‘成能’으로 되어 있으나, 汲古閣本‧福建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能成’으로 바로잡았다.

예기정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