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正義

예기정의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26. 今夫天 斯昭昭之多 及其無窮也하여는 日月星辰 繫焉하며 萬物覆焉이니라
今夫地 一撮土之多 及其廣厚하여는而不重하며 振河海而不하며 萬物 載焉이니라
今夫山 一拳石之多 及其廣大하여는 草木 生之하며 禽獸 居之하며 興焉이니라
今夫水 一之多 及其不測하여는 黿鼉蛟龍魚鱉 生焉하며 殖焉이니라
勺(《考工記圖》)勺(《考工記圖》)
[注]此言天之高明 本生昭昭하고 地之博厚 本由撮土하고 山之廣大 本起卷石하고 水之不測一勺하니
하고 小致大하니 爲至誠者 如此乎인저
昭昭 猶耿耿이니 小明也
猶收也 猶區也
天之命不已라하니 蓋曰天之所以爲天也 於乎不顯
文王之德之이여하니
[注]天所以爲天 文王所以爲文 皆由行之無已하고 爲之不止 如天地山川之云也
易曰 君子以하여 順德하여 積小以高大라하니 是與인저
[疏]‘今夫’至‘不已’
○正義曰 : 此一節明至誠不已, 則能從微至著, 從小至大.
○‘今夫天 斯昭昭之多’者, 斯, 此也.
昭昭, 狹小之貌.
言天初時, 唯有此昭昭之多小貌爾,
故云‘昭昭之多’.
○‘今夫地 一撮土之多’, 言之初時, 唯一撮土之多, 言多少唯一撮土.
○‘振河海而不’者, 振, 收也.
言地之廣大, 載而不重, 振收河海而不漏泄.
○‘今夫山 一卷石之多’, 言山之初時, 唯一卷石之多, 多少唯一卷石耳.
故鄭注云, ‘卷猶區也.
’ ‘今夫水 一勺之多’, 言水初時, 多少唯一勺耳.
此以下皆言爲之不已, 從小至大.
然天之與地, 造化之初, 淸濁二氣爲天地, 分而成二體,
元初作盤薄穹隆, 非是以小至大.
今云‘昭昭’與‘撮土’‧‘卷石’與‘勺水’者何.
但山或壘石爲高, 水或衆流而成大, 是從微至著.
因說聖人至誠之功, 亦是從小至大, 以今天地體大, 假言由小而來, 以譬至誠, 非實論也.
○‘詩曰 惟天之命 於穆不已’, 此一經以上文至誠不已, 已能從小至大, 故此經引詩明不已之事.
所引詩者, 周頌維天之命文也.
詩稱‘維天之命’, 謂四時運行所爲敎命.
穆, 美也.
‘於穆不已’者, 美之不休已也.
此詩之本文也.
○‘蓋曰天之所以爲天也’, 此是孔子之言, 記者載之.
此詩所論, 蓋說天之所以爲天, 在乎不已.
○‘於乎不顯 文王之德之純’, .
純, 謂不已.
顯, 謂光明.
詩人歎之云, ‘於乎不光明乎’, 言光明矣.
‘文王之德之純’, 謂不已也, 言文王德敎不有休已, 與天同功.
○‘蓋曰文王之所以爲文也’, 此亦孔子之言, 解詩之文也.
○‘純亦不已’者, 言文王之德之純, 亦如天之不休已,
故云‘純亦不已’.
○注‘易曰 君子德 積小以高大’
○正義曰 : 此易 升卦之象辭.
案升卦, 巽下坤上, 木生於地中, 升進之義,
故爲‘升’也.


지금 저 하늘은 이 작은 빛이 많이 모인 것이나, 그 끝이 없음에 미쳐서는 해‧달‧별들이 걸려 있으며, 만물이 덮여 있다.
지금 저 땅은 한 줌의 흙이 많이 모인 것이나, 그 넓고 두터움에 미쳐서는 높고 큰 산[華嶽]을 싣고 있으면서도 무겁다고 하지 않으며, 강과 바다를 거두어들이고 있으면서도 〈물이〉 새지 않으며, 만물이 실려 있다.
지금 저 산은 하나의 주먹만 한 작은 돌이 많이 모인 것이나, 그 넓고 큼에 미쳐서는 풀과 나무가 자라며, 날짐승과 들짐승이 살며, 광물鑛物[寶藏]이 나온다.
지금 저 물은 한 구기[勺]의 물이 많이 모인 것이나, 그 헤아릴 수 없음에 미쳐서는 자라‧악어‧교룡‧용‧물고기‧남생이가 살며, 재화가 불어난다.
이것은 높고 밝은 하늘은 본래 ‘작은 빛’에서 생기고, 넓고 두터운 땅은 ‘한 줌의 흙’에서 유래하고, 넓고 큰 산은 본래 ‘주먹만 한 돌’에서 비롯되고, 헤아릴 수 없는 물은 본래 ‘한 구기’에서 시작되었음을 말한 것이다.
모두 적음을 합하여 많음을 이루고 작음으로부터 큼을 이루었으니, 지극히 성실함을 실천하는 것이 또한 이와 같을 것이다.
소소昭昭경경耿耿과 같으니 작은 빛이다.
(거두어들이다)와 같고, (작다)와 같다.
시경詩經》에 “하늘의 이, 아! 아름다움이 그치지 않도다.”라고 하였으니, 대개 하늘이 하늘이 된 까닭을 말한 것이요, 〈또〉 “아아! 드러나지 않았는가.
문왕文王이 순수함이여.”라고 하였으니, 대개 문왕이 이 된 까닭을 말한 것이다.
〈그러니 문왕의 덕이〉 순수함이 또한 〈하늘의 명이〉 그침이 없는 것과 같다.
하늘이 하늘이 된 까닭과 문왕이 이 된 까닭은 모두 행하기를 쉬지 않고 실천하기를 그치지 않기 때문이니, 천지와 산천에 대해 말한 것과 같다.
주역周易승괘升卦상전象傳〉에 “군자가 그것을 보고 본받아 을 순히 하여 작은 것을 쌓아 높고 큼을 이룬다.”라고 한 것이 이것일 것이다.
의 [今夫]에서 [不已]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한 단락은 쉼 없이 지극히 성실하게 하면 미미함으로부터 드러남에 이르며, 작음으로부터 큼에 이를 수 있음을 밝힌 것이다.
○[今夫天 斯昭昭之多]이다.
소소昭昭는 좁고 작은 모양이다.
하늘이 처음에는 이 작은 빛이 어느 정도 모인 모습이었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작은 빛이 많이 모인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今夫地 一撮土之多] 땅이 처음에는 한 줌의 흙이 많이 모인 모습이었음을 말한 것이니, 어느 정도 모인 한 줌의 흙일 뿐이었음을 말한 것이다.
○[振河海而不泄]은 거두어들임이다.
땅의 넓고 큼이 오악五嶽을 싣고 있으면서도 무겁다고 하지 않으며, 강과 바다를 거두어들이고 있으면서도 〈물이〉 새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今夫山 一卷石之多] 산이 처음에는 한 줌의 돌이 많이 모인 것이니, 어느 정도 모인 한 줌의 돌일 뿐이었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정현鄭玄이 주석에서 “(작다)와 같다.”라고 한 것이다.
[今夫水 一勺之多] 물이 처음에는 어느 정도 모인 한 구기〈의 물〉일 뿐이었음을 말한 것이다.
이 이하는 모두 실천하기를 쉬지 않아 작음으로부터 큼에 이르렀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나 하늘이 땅과 함께 조화造化하는 처음에는 맑은 기와 흐린 기 두 기운이 천지天地가 되는데 나누어져 두 를 이루었다.
태초太初[元初]에는 〈땅은〉 넓고 크며 〈하늘은〉 가운데가 높고 주위가 차차 낮아지는 모양이니, 작음으로부터 큼에 이른 것이 아니다.
그런데 지금 ‘소소昭昭’와 ‘촬토撮土’‧‘권석卷石’과 ‘작수勺水’라고 한 것은 어째서인가.
산은 돌을 쌓으면 높아지기도 하고 물은 많이 흐르면 큰물이 되기도 하니, 미미함으로부터 드러남에 이른 것이다.
이어 성인聖人의 지극히 성실한 도 작음으로부터 큼에 이름을 말하였으니, 지금 천지의 가 큼은 작음에서 유래하였음을 가정한 말로 지극히 성실함을 비유한 것이지 실제의 논의는 아니다.
○[詩曰 惟天之命 於穆不已] 이 한 경문經文은 앞글의 쉼 없이 지극히 성실함으로 인하여 이미 작음으로부터 큼에 잘 이르렀기 때문에, 이 경문에서 《시경詩經》을 인용하여 그치지 않는 일을 밝힌 것이다.
인용한 는 《시경詩經》 〈주송周頌 유천지명維天之命〉의 글이다.
《시경》에서 ‘유천지명維天之命’을 말한 것은 사계절이 운행하며 행하는 교명敎命을 이른다.
은 아름다움이다.
어목불이於穆不已’는 아름다움이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시경》의 본문이다.
○[蓋曰天之所以爲天也] 이것은 공자孔子의 말인데, 〈〈중용中庸〉의 이 을〉 기록한 사람[記者]이 기록한 것이다.
가 논한 것은 대개 하늘이 하늘이 된 까닭이 그치지 않는 데에 있음을 말한 것이다.
○[於乎不顯 文王之德之純] 이것도 《시경詩經》 〈주송周頌〉의 문왕文王에게 제사를 바치는 이다.
은 그치지 않음을 이른다.
은 환히 드러남을 이른다.
시인이 탄식하여 “아아. 환히 드러나지 않았는가.”라고 하였으니, 환히 드러났음을 말한 것이다.
문왕지덕지순文王之德之純’은 그치지 않음을 이른 것이니, 문왕의 덕교德敎가 순수하여 쉼 없음이 하늘과 이 같음을 말한 것이다.
○[蓋曰文王之所以爲文也] 이것도 공자孔子의 말이니, 《시경詩經》을 풀이한 글이다.
○[純亦不已]문왕文王이 순수함 또한 하늘〈의 〉이 그치지 않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순역불이純亦不已’라고 한 것이다.
의 [易曰 君子以順德 積小以成高大]
정의왈正義曰 : 이것은 《주역周易승괘升卦상사象辭이다.
승괘를 살펴보면 (☴)이 아래, (☷)이 위에 있으니, 나무가 땅속에서 자라나는 격으로 올라간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華嶽 : 학자에 따라 華山, 또는 華山과 嶽山으로 풀이한다. 그러나 陸德明의 《經典釋文》에 “어떤 판본에는 ‘山嶽’으로 되어 있다.[本亦作山嶽]”라고 하였고, 또 이 經文의 바로 다음에 ‘河海’를 말하였으니, 華嶽은 河海의 對句로서 고유명사가 아니라 일반명사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높고 큰 산’으로 풀이하였다.
역주2 : 저본 및 諸本에는 ‘洩’로 되어 있으나, 陸德明의 《經典釋文》에는 ‘泄’로 되어 있다. 洩과 泄은 同字이다.
역주3 寶藏 : 金玉을 비롯하여 천연적으로 땅 속에 있는 鑛物로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역주4 : 술이나 기름, 죽 따위를 풀 때 쓰는 자루가 달린 기구이다. 자루가 국자보다 짧고 바닥이 오목하다.
역주5 貨財 : 물에서 자라는 어류나 조개류 등 사람이 먹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역주6 (由)[從] : 저본에는 ‘由’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에 “惠棟校宋本에는 ‘從’으로 되어 있다. 閩本‧監本‧毛本에는 ‘由’로 되어 있으니, 誤字이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從’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 (言天地山川)[皆合少成多] : 저본에는 ‘言天地山川’으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에 “惠棟校宋本에는 ‘皆合少成多’로 되어 있다. 閩本‧監本‧毛本에는 ‘言天地山川’으로 되어 있으니, 誤字이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皆合少成多’로 바로잡았다.
역주8 (積)[自] : 저본에는 ‘積’으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에 “惠棟校宋本에는 ‘自’로 되어 있다. 閩本‧監本‧毛本에는 ‘自’로 되어 있으니, 誤字이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自’로 바로잡았다.
역주9 (以)[亦] : 저본에는 ‘以’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에 “惠棟校宋本에 ‘以’가 ‘亦’으로 되어 있고, 宋監本‧岳本‧嘉靖本‧衛氏集說本도 같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亦’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0 詩曰……於(오)穆不已 : 《詩經》 〈周頌 維天之命〉에 나온다. 다음 “於乎不顯 文王之德之純”도 이와 같다.
역주11 : 《毛詩》 및 嘉靖本‧閩本‧監本‧毛本에는 ‘維’로 되어 있다.
역주12 : 朱熹는 “穆은 深遠함이다.”라고 하였으나, 孔穎達은 ‘美’라고 하였고, 鄭玄도 《詩經》 〈周頌 維天之命〉에서 ‘美’로 풀이하였다. 赤塚 忠(日)은 ‘穆은 팬 벼 이삭이 고개를 숙이는 것처럼 充實하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中庸 新釋漢文大系》)
역주13 : 朱熹는 “순일하여 섞이지 않음을 이른다.[謂純一不雜]”라고 하였으나, 孔穎達은 “그치지 않음을 이른다.[謂不已]”라고 하여 ‘문왕이 죽은 뒤에도 문왕의 德敎가 그치지 않고 이어진다.’는 뜻으로 풀이하였다.
역주14 蓋曰文王之所以爲文也 純亦不已 : 李滉(朝鮮)은 《中庸釋義》에서 “文王이 ᄡᅥ곰 文이로온 배 純하야
한 마디아니하신주ᄅᆞᆯ 니ᄐᆞ니라.”라고 하였고, 李珥(朝鮮)도 《中庸釋義》에서 “文이 되신 배 純코 ᄯᅩᄒᆞᆫ 已티 아니샤를 ᄆᆞᄅᆞ미니라.”라고 하여 ‘蓋曰’이 ‘純亦不已’까지 말한 것으로 보았다.
金長生(朝鮮)은 이황과 이이의 설에 반대하며 ‘蓋曰’이 ‘文王之所以爲文也’까지만 풀이한 것으로 보아, ‘純亦不已’도 “亦은 문왕을 가리키니, 하늘이 이미 그치지 않음에 문왕도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亦字指文王 天旣不已而文王亦不已也]”라고 하였다.(金幹(朝鮮), 《中庸箚記》)
景星(元)은 《中庸集說啓蒙》에서 “純亦不已 한 구절은 또 天과 文王을 총괄한 설이다. 문왕의 德이 순수함[純] 또한 天道가 그침이 없는 것과 같음을 말하였으니, 聖人은 天地와 덕을 함께함을 말한 것이다.[純亦不已一句 又總天與文王說 言文王德之純也 亦能如天道之不已 言聖人與天地同德也]”라고 하여 ‘純亦不已’를 天과 文王을 총괄한 별도의 구절로 보았다. 다시 말하면 ‘天之所以爲天’과 ‘文王之所以爲文’은 天命, 즉 天道와 文王의 德이 ‘純亦不已’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孔穎達은 ‘文王德之純’의 ‘純’을 ‘不已’로 풀이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 구절도 “문왕의 德의 순수함이 하늘〈의 命〉이 그치지 않는 것과 같다.[言文王之德之純 亦如天之不休已]”라고 풀이하였다.
역주15 : 지금 通行本 《周易》에는 ‘成’자가 없다.
역주16 : 惠棟校宋本에는 ‘地’로 되어 있다.
역주17 : 經文에는 ‘洩’로 되어 있다. 洩과 泄은 同字이다.
역주18 五嶽 : 汲古閣本‧福建本‧武英殿本에는 ‘華嶽’으로 되어 있다. 經文에서도 ‘載華嶽而不重’이라고 하였으니, 여기서도 ‘華嶽’으로 바로잡아야 하나, 여기의 ‘五嶽’은 단순히 중국의 5대 名山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높고 큰 산’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華嶽’으로 바꾸지 않았다. 《周禮》 〈春官 大宗伯〉의 ‘以血祭祭社稷‧五祀‧五岳.’에 대해 鄭玄은 “五嶽은 東岳을 泰山, 南岳을 衡山, 西岳을 華山, 北岳을 恒山, 中岳을 嵩高山이라고 한다.”라고 주석하였다.
역주19 此亦周頌 文王之詩 : “此亦周頌文王之詩.”라고 표점하여 해석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詩經》 〈周頌〉에는 〈文王〉이 없다. “於乎不顯 文王之德之純”은 “惟天之命 於穆不已”와 마찬가지로 《詩經》 〈周頌 維天之命〉에 나온다. 《시경》 〈주송 유천지명〉의 〈序〉에 ‘〈유천지명〉은 太平함을 文王에게 아뢴 시이다.[維天之命 太平 告文王也]’라고 하였으니, 이는 문왕에게 제사를 바치는 시이다.
역주20 [以] : 저본에는 ‘以’가 없으나, 注文에 의거하여 ‘以’를 보충하였다.
역주21 (愼)[順] : 저본에는 ‘愼’으로 되어 있으나, 注文에 의거하여 ‘順’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2 [成] : 저본에는 ‘成’자가 없으나, 注文에 의거하여 ‘成’을 보충하였다.

예기정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