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六韜直解

육도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육도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立將者 建立大將也 武王問立將故 以名篇하니라
武王 問太公曰
立將之道 奈何
太公曰
凡國有難이어든 君避正殿하고 召將而詔之曰 社稷安危 一在將軍하니 今某國不臣일새 願將軍帥師應之하노라하니이다
原注
武王 問太公曰
建立大將之道 奈何
太公對曰
凡國家有患難이어든 君避去正殿하고 召將而詔告之曰 社稷之安與危 一在將軍하니 今某國 不守臣職일새 願將軍帥師以應之라하니라
將旣受命이어든 乃命太史卜호되 齋三日하고 之太廟하여 鑽靈龜하여 卜吉日하여 以授斧越이니이다
原注
將旣受君命이어든 乃命太史卜之호되 王乃齋三日하고 往太廟하여 鑽靈龜하여 卜問吉日하여 以授其斧越이라
與鉞同이라
入廟門하여 西面而立하고 入廟門하여 北面而立이어든 君親操越持首하여 授將其柄하고 曰 從此上至天者 將軍制之하라하고
原注
人君 入廟門內하여 西面而立 就主位也 大將 入廟門內하여 北面而立 就臣位也
君親操鉞하여 持其首하여 授將以其柄하고 曰 從此上至於天者 將軍制之라하니라
揚也 有向上之義 以天言이라
授鉞而以柄者 欲致果決於人也
復操斧持柄하여 授將其刃하고 曰 從此下至淵者 將軍制之하라
原注
君復操斧하여 持其柄하여 授將以其刃하고
從此下至於淵者 將軍制之하라하니라
戚也 有俯下之義 以淵言이라
授斧而以刃者 欲致果決於己也
見其虛則進하고 見其實則止하며 勿以三軍爲衆而輕敵하고 勿以受命爲重而必死하며 勿以身貴而賤人하고 勿以獨見而違衆하며 勿以辯說爲必然하라
原注
見其敵之虛則前進하고 見其敵之實則且止
禁止之辭
勿以三軍爲衆盛而輕易敵人하고 勿以受人君之命爲重而期以必死하고 勿以自己之身尊貴而卑賤他人하고 勿以一己之獨見而違衆心하고 勿以辯捷之說爲必然而偏聽하라
士未坐어든 勿坐하고 士未食이어든 勿食하며 寒暑必同하라
如此 士衆 必盡死力이라하니이다
原注
士衆未坐어든 將勿先坐하고 士衆未食이어든 將勿先食하며 大寒大暑 勿重裘張盖하고 必與衆同之 若能如此 士衆 必爲之盡死力以前進이라
原注
○按此篇 不言하니 恐脫簡耳로라
將已受命 拜而報君曰 臣聞國不可從外治 軍不可從中御 二心이면 不可以事君이요 疑志 不可以應敵이라하니이다
臣旣受命하여 專斧鉞之威하니 臣不敢生還하리니
願君亦垂一言之命於臣하소서
君不許臣하시면 臣不敢將호리이다하니이다
原注
大將已受命 拜而報君曰 臣聞國家之事 不可從外治之 軍旅之事 不可從中御之
有二心이면 不可以事奉人君이요 有疑志 不可以往應敵國이라
臣旣受君之命하여 專主斧鉞之威하니 臣不敢生還於國하오니
願君亦垂一言之命於臣하소서
君若不許臣하시면 臣不敢爲將이라하니라
君許之어든 乃辭而行하여 軍中之事 不聞君命하고 皆由將出하여 臨敵決戰 無有二心이니 若此 則無天於上하고 無地於下하며 無敵於前하고 無君於後니이다
原注
君已許之어든 乃辭而行하여 軍中之事 不聽聞於君命하고 皆從大將而出하여 臨敵決戰 無有疑二之心이니
是故 智者爲之謀하고 勇者爲之鬪하여 氣厲靑雲하고 疾若馳하여 兵不接刃而敵降服이라
原注
是故 智者爲之盡謀하고 勇者爲之赴鬪하여 氣凌厲乎靑雲하니 動於九天也 疾若馳騖하니 勢盛聲烈也
兵不用接刃하고 而敵自降服이라
戰勝於外하고 功立於內하여 吏遷上賞하고 百姓歡悅하여 將無咎殃이라
是故 風雨時節하고 五穀豐登하고 社稷安寧이니이다
武王曰
善哉
原注
戰旣勝於外하고 功又立於內하여 爲吏者超遷上賞하고 百姓皆歡悅하여 將帥無咎殃이라
是故 風雨應時節하고 五穀皆豐登하고 社稷得安寧이라
武王曰 公言 善哉


原注
입장立將이란 대장大將을 세우는 것이니, 무왕武王대장大將을 세우는 방법을 물었으므로, 이를 편명篇名으로 삼은 것이다.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장수를 세우는 방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나라에 환난患難이 있거든 군주가 정전正殿을 피하고 장수를 불러 명하기를 ‘사직社稷의 편안하고 위태로움이 오로지 장군에게 달려있으니, 지금 아무 나라가 신하 노릇을 하지 않으므로 장군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대응하기를 원하노라.’라고 합니다.
原注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대장을 세우는 방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국가에 환난患難이 있으면 군주가 정전正殿을 피하여 떠나고, 장수를 불러 그에게 고하기를 “사직社稷의 편안함과 위태로움이 오로지 장군에게 달려있으니, 지금 아무 나라가 신하의 직분을 지키지 않으므로 장군이 군대를 거느리고 출동하여 대응하기를 원한다.”라고 한다.
장수가 이미 명령을 받았으면 이에 태사太史에게 명하여 점치게 하되, 군주가 3일 동안 재계하고 태묘太廟에 가서 신령스런 거북 껍질을 뚫어 길일吉日을 택해서 장수에게 부월斧鉞(도끼)을 내려줍니다.
原注
장수가 이미 군주의 명령을 받았으면 이에 태사太史에게 명하여 점을 치게 하되, 왕이 마침내 3일 동안 재계하고 태묘太廟에 가서 신령스런 거북 껍질을 뚫어 길일을 물어 장수에게 부월斧鉞을 내려주는 것이다.
과 같다.
이때 군주는 사당 문에 들어가서 서쪽을 향하여 서고, 장수는 사당 문에 들어가서 북쪽을 향하여 서면, 군주가 직접 날이 위로 향한 도끼를 잡되 머리를 쥐고서 그 자루를 장수에게 주면서 말하기를 ‘이로부터 위로 하늘에 이르기까지를 장군이 통제하라.’ 합니다.
原注
군주가 사당 문으로 들어가서 서쪽을 향하여 서는 것은 주인의 자리로 나아가는 것이요, 대장이 사당 문 안으로 들어가서 북쪽을 향하여 서는 것은 신하의 자리로 나아가는 것이다.
군주가 직접 날이 위로 향한 도끼를 잡되 머리를 쥐고서 장수에게 그 자루를 주면서 말하기를 “이로부터 위로 하늘에 이르기까지를 장군이 통제하라.” 한다.
은 날이 위로 솟아있으니, 위를 향하는 뜻이 있으므로 하늘이라고 말한 것이다.
도끼를 주면서 자루를 주는 것은 사람들에게 과감함과 결단함을 다하게 하려 한 것이다.
다시 날이 아래로 향한 도끼를 잡되 자루를 쥐고서 그 칼날을 장수에게 주며 말하기를 ‘이로부터 아래로 깊은 못에 이르기까지를 장군이 통제하라.
原注
군주가 다시 날이 아래로 향한 도끼를 잡고 그 자루를 쥐고서 장수에게 그 칼날을 주면서 말한다.
이로부터 아래로 연못에 이르기까지를 장군이 통제하라.
는 날이 아래로 굽은 도끼이니, 아래로 굽어보는 뜻이 있으므로 깊은 못이라고 말한 것이다.
도끼를 주면서 칼날을 주는 것은 자신에게 과감함과 결단함을 다하게 하려 한 것이다.
적의 허약虛弱함을 보면 전진前進하고 적의 견실堅實함을 보면 중지中止하며, 삼군三軍이 많다 하여 적을 깔보지 말고, 군주의 명령을 받은 것을 중하게 여겨서 반드시 죽으려 하지 말고, 자신의 신분이 귀하다 하여 남을 천하게 여기지 말고, 자신의 독단적인 의견으로 사람들의 의견을 어기지 말고, 변사辯士들의 말을 반드시 옳다고 여기지 말라.
原注
적의 허약함을 보면 전진하고, 적의 견실함을 보면 잠시 중지하는 것이다.
은 금지하는 말이다.
삼군三軍이 많다 하여 적을 가볍게 여기지 말고, 군주의 명령을 받은 것을 중하게 여겨서 기필코 죽으려 하지 말고, 자신의 신분이 존귀하다 하여 다른 사람을 낮고 천하게 여기지 말고, 자기 한 몸의 독단적인 의견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어기지 말고, 언변言辯이 좋은 사람의 말을 반드시 옳다고 여겨서 편벽되이 듣지 말라.
병사들이 아직 앉지 않았으면 앉지 말고, 병사들이 아직 밥을 먹지 않았으면 먹지 말며, 추위와 더위를 반드시 함께하라.
이와 같이 하면 병사들이 반드시 사력死力을 다할 것이다.’라고 합니다.
原注
병사들이 아직 앉지 않았으면 장수가 먼저 앉지 말고, 병사들이 아직 밥을 먹지 않았으면 장수가 먼저 밥을 먹지 말며, 큰 추위와 큰 더위에 갑옷을 껴입거나 일산을 펴지 말고, 반드시 병사들과 고락苦樂을 함께하여야 하니, 만약 능히 이와 같이 하면 병사들이 반드시 장수를 위해서 사력死力을 다하여 전진할 것이다.
原注
○살펴보건대, 이 에 군주가 장수의 수레바퀴를 밀고 수레 축을 받드는 일을 말하지 않았으니, 아마도 탈간脫簡이 있는 듯하다.
장수가 이미 명령을 받았으면 절하고 군주에게 답하기를 ‘신이 들으니 「나라는 밖에서 다스릴 수가 없고 군대는 중앙에서 통제할 수가 없으며, 두 마음을 품으면 군주를 섬길 수 없고 의심하는 마음을 품으면 적에게 대응할 수 없다.」 하였습니다.
신이 이미 군주의 명령을 받아서 부월斧鉞의 위엄을 오로지하였으니, 신은 감히 살아서 돌아오기를 바라지 않을 것입니다.
원컨대 군주 또한 한 말씀의 명령을 신에게 내려주소서.
군주께서 신에게 허락해주지 않으시면 신은 감히 장수 노릇을 못하겠습니다.’라고 합니다.
原注
대장大將이 이미 명령을 받았으면 절하고 군주에게 답하기를 “신이 들으니 ‘국가의 일은 밖에서 다스릴 수가 없고 군대의 일은 중앙에서 통제할 수가 없으며,
장수가 두 마음을 품으면 군주를 받들어 섬길 수 없고 의심하는 마음이 있으면 적국에 가서 대응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
신이 이미 군주의 명령을 받아 부월斧鉞의 위엄을 오로지 주장하니, 신은 감히 살아서 나라에 돌아오기를 바라지 않습니다.
원컨대 군주께서도 또한 한 말씀의 명령을 신에게 내려주소서.
군주께서 만약 신에게 허락하지 않으시면 신은 감히 장수 노릇을 할 수가 없습니다.”라고 한다.
군주가 허락하면 마침내 하직하고 떠나가서 군중軍中의 일을 군주의 명령을 듣지 않고 모두 장수로부터 나오게 해서 적진에 임하여 결전할 적에 두 마음을 품지 않아야 하니, 이와 같이 하면 위에는 하늘이 없고 아래에는 땅이 없으며, 앞에는 가로막는 적이 없고 뒤에는 통제하는 군주가 없게 됩니다.
原注
군주가 이미 허락하면 장수가 마침내 하직하고 떠나가서, 군중軍中의 일은 군주의 명령을 듣지 않고 모두 대장으로부터 나오게 해서 적진을 대하여 결전할 적에 의심하는 마음과 두 마음을 품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위에는 하늘이 없으니 위로 하늘에게 통제받지 않음을 이른 것이요, 아래에는 땅이 없으니 아래로 땅에게 통제받지 않음을 이른 것이요, 앞에는 가로막는 적이 없고 뒤에는 통제하는 군주가 없게 되니, 가운데로 사람에게 통제받지 않음을 이른 것이다.
이 때문에 지혜로운 자가 국가를 위하여 도모하고 용맹한 자가 국가를 위하여 싸워서, 기운이 청운靑雲을 능멸하고 빠름이 달리는 말과 같아 군대가 병기를 접촉하지 않아도 적이 항복하는 것입니다.
原注
이 때문에 지혜로운 자가 장수를 위하여 지모智謀를 다하고, 용맹한 자가 장수를 위하여 싸움에 달려가서 기운이 청운靑雲을 능멸하니 구천九天에서 하는 것이요, 빠름이 달리는 말과 같으니 군대의 기세가 강성하고 소리가 맹렬한 것이다.
그러므로 군대가 칼날을 접촉하지 않아도 적이 저절로 항복하는 것이다.
전쟁하여 밖에서 승리하고 이 안에서 세워져 관리들은 최고의 을 받아 승진하고 백성들은 기뻐하여 장수에게 재앙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바람과 비가 시절에 맞게 내리고 오곡五穀이 풍성하게 여물고 사직社稷이 편안한 것입니다.”
무왕武王이 말씀하였다.
“좋은 말씀이다.”
原注
전쟁하여 이미 밖에서 승리하고 이 또 안에서 세워져 관리가 된 자들이 최고의 을 받아 승진하고 백성들이 모두 기뻐하여 장수에게 재앙이 없다.
이 때문에 바람과 비가 시절時節에 응하고, 오곡이 모두 풍성하게 여물며 사직社稷이 편안함을 얻는 것이다.
무왕武王은 “의 말씀이 좋다.” 하였다.


역주
역주1 推輪捧轂 : 戰場으로 나가는 장수에게 임금이 수레바퀴를 밀어줌을 이른다. 《漢書》 〈馮唐傳〉에 “上古시대에 王者가 장수를 전장으로 보낼 적에 무릎 꿇고 수레바퀴를 밀어주며 ‘도성문 안은 寡人이 통제하고 도성문 밖은 장군이 통제하라.’ 하였다.[上古王者 遣将也 跪而推轂曰 闑以内 寡人制之 闑以外 将軍制之]”라고 보인다.
역주2 軍中之事……謂中不制於人也 : 《兵學指南演義》 〈旗鼓定法 1 任將篇〉에는 ‘대장이 군대를 출동하여 표(기둥)를 세우고 물시계를 설치한 다음, 營門을 닫고 淸道를 하면, 군주의 사자나 장관은 물론, 군주를 모시고 오는 신하도 함부로 軍門에 들어올 수 없음’을 강조하면서 이 대목을 인용 예시하고 있다.
역주3 : 무

육도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