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六韜直解

육도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육도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烏雲山兵者 遇高山盤石하여 與敵相拒 必結爲하여 以取勝也
武王 問太公曰
引兵深入諸侯之地하여 遇高山盤石하여 其上亭亭하여 無有草木하고 四面受敵이면 吾三軍恐懼하고 士卒迷惑하리니 吾欲以守則固하고 以戰則勝인댄 爲之奈何
原注
武王 問太公曰
若引兵深入諸侯之地하여 遇高山盤石하여 其直上亭亭然而高하여 無有草木障蔽依倚하고 四面受敵이면 吾三軍驚恐畏懼하고 士卒迷亂疑惑하리니 吾欲以之而守則堅固하고 以之而戰則制勝인댄 將爲之奈何
太公曰
凡三軍 處山之高 則爲敵所棲하고 處山之下 則爲敵所囚
旣以被山而處하면 必爲烏雲之陳이니 烏雲之陳 陰陽皆備하여 或屯其陰하고 或屯其陽이라
處山之陽이면 備山之陰하고 處山之陰이면 備山之陽하며 處山之左 備山之右하고 處山之右 備山之左하여
敵所能陵者 兵備其表하고 衢道通谷 絶以武車하며 高置旌旗하고 謹勅三軍하여 無使敵人知吾之情이니 是謂山城이니이다
原注
太公對曰
凡三軍 若處山之高峻이면 則爲敵人所棲 棲者 如棲集於危巢之上하여 而不得下也
處山之低下 則爲敵人所囚 囚者 如囚繫於深獄之中하여 而不得出也
旣以被山而處軍이면 必結爲烏雲之陳이니 烏雲之陳 聚散無常하여 陰陽皆備하여 或屯聚於陰하고 或屯聚於陽이라
若處山之陽이면 則防備山之陰하고 處山之陰이면 則防備山之陽이니 山之南曰陽이요 山之北曰陰이라
處山之左 則防備山之右하고 處山之右 則防備山之左 山之東曰左 山之西曰右
敵人所能陵而上之者 以兵防備其表하고 衢道通谷 則以武衝車絶之
或曰 以武剛車絶之 有巾有盖 謂之武剛車
高置吾之旌旗하고 謹勅吾之三軍하여 無使敵人知吾之情이니 此謂之山城이라
列已定하고 士卒已陳하며 法令已行하고 奇正已設이어든 各置衝陳於山之表하여 便兵所處하고 乃分車騎하여 爲烏雲之陳하여 三軍疾戰하면 敵人雖衆이나 其將可擒하리이다
原注
行列前後已定하고 士卒疎密已陳하며 法令上下已行하고 已設이어든 各置爲衝陳於山之表하여 便兵所處하고 乃分車騎하여 布爲烏雲之陳하여 三軍 皆疾與戰하면 敵人 雖是衆多 其將 必可擒也


原注
오운산병烏雲山兵이란 높은 산과 반석盤石을 만나서 적과 서로 대치하게 되면 반드시 오운진烏雲陣을 쳐서 승리를 쟁취하는 것이다.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군대를 이끌고 제후諸侯의 땅에 깊숙이 쳐들어가서 높은 산과 반석盤石을 만났는데, 그 위가 우뚝하여 의지할 만한 풀과 나무가 없고 사면에서 적의 공격을 받으면, 우리의 삼군三軍이 두려워하고 병사들이 의혹될 것이니, 우리가 지키면 견고하고 전투하면 승리하고자 할진댄 어찌해야 하는가?”
原注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만약 군대를 이끌고 제후諸侯의 땅에 깊숙이 쳐들어가서 높은 산과 반석盤石을 만났는데, 그 위가 우뚝하게 솟아있어 가리고 의지할 만한 풀과 나무가 없고 사면에서 적의 공격을 받으면, 우리의 삼군三軍이 놀라 두려워하고 병사들이 혼미하고 의혹될 것이니, 내 이들을 데리고 지키면 견고하고 이들을 데리고 전투하면 승리하고자 할진댄 장차 어찌해야 하는가?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삼군三軍이 산의 높은 곳에 주둔해있으면 적에게 깃들여있게 되고, 산의 아래에 주둔해있으면 적에게 갇히게 됩니다.
산에 둘러싸인 곳에 주둔하면 반드시 오운진烏雲陣을 쳐야 하니, 오운진烏雲陣이 모두 구비되어 혹은 음지陰地에 주둔하고 혹은 양지陽地에 주둔합니다.
양지陽地에 주둔하면 음지陰地쪽을 방비하고 음지陰地에 주둔하면 양지陽地쪽을 방비하며, 의 왼쪽에 주둔하면 의 오른쪽을 방비하고 의 오른쪽에 주둔하면 의 왼쪽을 방비해야 합니다.
적이 타고 오를 수 있는 곳에는 병력을 배치해서 외부를 방비하고, 큰 길과 통하는 골짝에는 무장한 전차 부대로 차단하며, 깃발을 높이 꽂아놓고 삼군三軍을 철저히 단속해서 적으로 하여금 우리의 실정을 알지 못하게 하여야 하니, 이것을 일러 ‘산성山城’이라 합니다.
原注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삼군三軍이 만약 산의 높은 곳에 주둔하면 적에게 깃들여있는 바가 되니, 깃들여있다는 것은 높은 둥지의 위에 깃들여있는 것과 같아서 내려올 수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산의 낮은 곳에 주둔하면 적에게 갇히는 바가 되니, 갇힌다는 것은 깊은 감옥 속에 갇힌 것과 같아서 탈출할 수가 없는 것이다.
산에 둘러싸인 곳에 군대를 주둔하면 반드시 오운진烏雲陣을 쳐야 하니, 오운진烏雲陣은 모이고 흩어지는 것이 일정함이 없어서 이 모두 구비되어, 혹은 음지陰地에 주둔하기도 하고 혹은 양지陽地에 주둔하기도 한다.
만약 양지陽地쪽에 주둔하였으면 음지陰地쪽을 방비하고 음지陰地쪽에 주둔하였으면 양지陽地쪽을 방비해야 하니, 의 남쪽을 양지陽地라 하고 의 북쪽을 음지陰地라 한다.
의 왼쪽에 주둔하였으면 의 오른쪽을 방비하고 의 오른쪽에 주둔하였으면 의 왼쪽을 방비해야 하니, 의 동쪽을 왼쪽이라 하고 의 서쪽을 오른쪽이라 한다.
적이 타고 올라올 수 있는 곳에는 병력을 배치하여 그 외부를 방비하고, 큰길과 통하는 골짝에는 무충거武衝車로 차단해야 한다.
혹자는 말하기를 “무강거武剛車로 차단한다.”라고 하니, 휘장이 있고 뚜껑이 있는 것을 일러 ‘무강거武剛車’라 한다.
예컨대 위청衛靑흉노匈奴를 정벌할 적에 흉노匈奴의 막사가 있는 곳을 건너가 진을 치고, 무강거武剛車를 가지고 스스로 둘러 진영을 친 것이 이것이다.
우리의 깃발을 높이 꽂아놓고 우리의 삼군三軍을 철저히 단속해서 으로 하여금 우리의 실정을 알지 못하게 하여야 하니, 이것을 일러 ‘산성山城’이라 한다.
항렬行列이 이미 정해지고 병력 배치가 이미 끝나며 법령이 이미 행해지고 기정奇正의 계책이 이미 갖추어지면 각각 충진衝陣의 위에 설치하여 병사들이 주둔하기에 편리하게 하고, 이에 전차 부대와 기병 부대를 나누어 오운진烏雲陣을 만들어서 삼군三軍이 급히 싸우면, 적이 아무리 많더라도 그 장수를 사로잡을 수 있습니다.”
原注
군대의 항렬이 앞뒤로 이미 정해지고 병력의 배치가 이미 진열되었으며 법령이 상하간에 이미 행해지고 기정奇正의 방략이 이미 마련되었으면, 각기 충진衝陣의 위에 설치하여 병사들이 주둔하기에 편리하게 하고, 이에 전차 부대와 기병 부대를 나누어 오운진烏雲陣을 펼쳐서 삼군三軍이 모두 급히 싸우면, 적의 병력이 아무리 많더라도 그 장수를 반드시 사로잡을 수 있는 것이다.


역주
역주1 烏雲之陳 : 烏雲陣으로, 뒤의 《直解》에 ‘까마귀가 흩어지고 구름이 모이듯 변화가 무궁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註하였다.
역주2 : 용
역주3 衛靑征匈奴……以武剛車自環爲營 : 衛靑은 漢 武帝 때에 匈奴를 정벌하여 큰 功을 세운 인물이다. 武剛車는 옛날 戰車의 이름으로 《孫子兵法》에 “巾이 있고 덮개가 있는 것을 武剛車라 하며 싸울 때에 선두로 삼았다.[有巾有蓋 謂之武剛車 戰時以爲先驅]”라고 보인다.
역주4 : 항
역주5 奇正方略 : 이에 대하여 《兵學指南演義》 〈旗鼓定法 1 設伏篇〉에는 “가령 本陣 안에 앞뒤로 伏兵을 설치하였는데, 正兵이 적을 유인하여 적이 앞의 복병이 있는 지역 안으로 들어오면, 앞에 매복해있던 복병이 나와 正兵을 구원하고, 正兵은 즉시 몸을 돌려 적과 싸우되, 아군이 이기면 뒤에 있는 복병은 움직이지 않고 기다렸다가 철수하며, 상황이 그 반대로 전개될 경우에는 뒤에 매복해있던 복병이 나와 正兵을 구원하고, 正兵은 즉시 몸을 돌려 적과 싸우되, 아군이 이기면 앞에 있는 복병은 움직이지 않고 기다렸다가 철수하여, 상황의 변화에 따라 臨機應變을 적절히 해야 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육도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