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六韜直解

육도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육도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奇兵者 出奇取勝하고 應變無窮이라
太公 因武王之問하여 而言其法如此
以名篇하니라
武王 問太公曰
凡用兵之法 大要何如
太公曰
古之善戰者 非能戰於天上이요 非能戰於地下
其成與敗 皆由神勢하니 得之者하고 失之者이니이다
原注
武王 問太公曰
凡用兵之法度 其大要何如
太公對曰
古人之善戰者 非能戰於九天之上이요 非能戰於九地之下
其成與敗 皆由用兵之神勢如何耳 神勢者 用兵之勢 神妙莫測也
得兵勢之神妙者 其國昌盛하고 失兵勢之神妙者 其國亡滅이라
夫兩陳之間 出甲陳兵하여 縱卒亂行者 所以爲變也
原注
夫彼此兩陳之間 出甲陳兵하여 或縱其士卒하고 或亂其行列者 所以爲變詐之道也
深草 所以遁逃也
原注
處軍 必依深草蓊蘙之地者 所以爲遁逃之計也
溪谷險阻者 所以止車禦騎也
原注
據溪水山谷之險阻者 所以止敵之車, 禦敵之騎也
隘塞山林者 所以少擊衆也
原注
險隘關塞山阪林木之處 所以少能擊人之衆也
澤窈冥者 所以匿其形也
原注
水澤低坳 窈冥幽暗者 所以藏匿其形也
淸明無隱者 所以戰勇力也
原注
淸明無所隱蔽者 所以鬪勇力也
疾如流矢하고 擊如發機者 所以破精微也
原注
疾如箭鏃之急流하고 擊如弩牙之發動者 所以破人之精微也
精微 言其謀之精詳微妙 非疾戰이면 不能破之也
詭伏設奇하여 遠張誑誘者 所以破軍擒將也
原注
詭詐隱伏하고 施設奇兵하여 遠張誑誘之計者 所以破人之軍, 擒人之將也
四分五裂者 所以擊圓破方也
原注
使吾軍四分五裂하여 若無統紀者 所以擊人之圓, 破人之方也
方圓 皆以陳言이라
因其驚駭者 所以一擊十也 因其勞倦暮舍者 所以十擊百也
原注
因彼軍之驚駭者 所以一擊人之十也 因彼軍之勞倦暮舍者 所以十擊人之百也
奇技者 所以越深水, 渡江河也
原注
用奇巧之技하여 所以越絶深水, 濟渡江河也
强弩長兵者 所以踰水戰也
原注
用强弩與長兵者 所以欲踰水而與人戰也
長關遠候하여 暴疾謬遁者 所以降城服邑也
原注
長關遠候하여 暴疾往來하고 詐謬遁逃者 所以降人之城, 服人之邑也
鼓行 所以行奇謀也
原注
擊鼓前行하여 使士卒讙譁混囂者 所以行我之奇謀也
大風甚雨者 所以搏前擒後也
原注
因其大風甚雨者 所以擊人之前, 擒人之後也
僞稱敵使者 所以絶糧道也 謬號令하고 與敵同服者 所以備走
原注
僞稱敵人之使者 所以斷彼之糧道也 詐謬號令하고 與敵同其衣服者 所以防備彼軍之走北也
戰必以義者 所以勵衆勝敵也
原注
戰必以義激之者 所以勵士衆하여 欲以勝敵也
尊爵重賞者 所以勸用命也 嚴刑重罰者 所以進怠也니이다
原注
尊以爵하고 重以賞者 所以勸吾用命之士也 嚴以刑罰者 所以進吾罷怠之兵也
一喜一怒하며 一與一奪하며 一文一武하며 一徐一疾者 所以調和三軍, 制一臣下也
原注
一喜一怒 以情言也 喜則人說하고 怒則人畏하나니 因其可喜者하여 喜之하고 因其可怒者하여 怒之하여 不妄喜하고 亦不妄怒也
一與一奪 以爵言也 有功者 與之하고 有罪者 奪之하여 不妄與하고 亦不妄奪也
一文一武 以政言也 文以附之하고 武以威之하여 㢮張寬猛之相濟也
一徐一疾 以令言也 徐則人力舒로되 徐久則怠矣 疾則人力詘하니 疾久則害矣
徐以縱之하고 疾以收之하여 禁舍開塞之得宜也
凡此四者 皆所以調和三軍而使之心同하고 制一臣下而使之力齊也
處高 所以警守也 保險阻者 所以爲固也 山林茂穢者 所以黙往來也 深溝高壘하며 積粮多者 所以持久也니이다
原注
處高敞之地者 所以爲我警守也 保險阻之地者 所以爲固守之備也 山林茂盛而幽穢者 所以黙吾之往來也
深吾之溝塹하고 高吾之壁壘하며 積粮又多者 所以欲爲持久之計也
曰 不知戰攻之策이면 不可以語敵이요 不能分移 不可以語奇 不通治亂이면 不可以語變이라하니이다
原注
曰 不知戰攻之計策이면 不可以與之言敵이요 不能分而移之 不可以與之言奇 不通治亂之道 不可以與之言變이라하니라
曰 將不仁이면 則三軍不親하고 將不勇이면 則三軍不銳하고
將不智 則三軍大疑하고 將不明이면 則三軍大傾하고 將不精微 則三軍失其機하고
將不常戒 則三軍失其備하고 將不强力이면 則三軍失其職이라하니이다
原注
曰 將不寬仁이면 則三軍不相親하고 將不勇敢이면 則三軍不精銳하고
將不智略이면 則三軍大疑而無所恃하고 將不通明이면 則三軍大傾而無所依하고 將不精詳微妙 則三軍失其發動之機하고
將不時常戒愼이면 則三軍失其備禦之具하고 將不能强力이면 則三軍皆失其職而不守라하니라
將者 人之司命이라
三軍 與之俱治하며 與之俱亂이니 得賢將者 兵强國昌하고 不得賢將者 兵弱國亡이니이다
武王曰
善哉
原注
將者 人之司命이라
三軍 與之同其治하고 同其亂하나니 得賢將者 兵强而國昌하고 不得賢將者 兵弱而國亡이라
武王曰 公言 善哉


原注
기병奇兵이란 기병을 출동시키고 기이한 계책을 내어 승리를 취하고 변화에 응하기를 무궁하게 하는 것이다.
태공太公무왕武王의 물음으로 인하여 그 방법을 이와 같이 말하였다.
그러므로 이를 편명篇名으로 삼은 것이다.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무릇 용병用兵하는 방법은 대요大要가 어떠한 것인가?”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옛날에 전쟁을 잘한 자는 하늘 위에서 싸운 것도 아니요, 땅 아래에서 싸운 것도 아닙니다.
그 성공과 실패가 모두 신묘神妙한 형세에 말미암으니, 이것을 얻은 자는 창성昌盛하고 이것을 잃은 자는 망합니다.
原注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무릇 용병하는 법도는 그 대요大要가 어떠한가?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옛사람 중에 전쟁을 잘한 자는 구천九天의 위에서 싸운 것도 아니요, 구지九地의 아래에서 싸운 것도 아니다.
그 성공과 실패가 모두 용병의 신묘神妙가 어떠한가에 달렸을 뿐이니, 신묘神妙용병用兵하는 형세가 신묘神妙하여 측량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세軍勢의 신묘함을 얻은 자는 창성하고 군세의 신묘함을 잃은 자는 그 나라가 멸망하는 것이다.
진영陣營 사이에 갑옷을 꺼내고 병기를 진열하여 병사들을 풀어놓고 항렬行列이 혼란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변화시켜 속이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적과 우리 두 진영 사이에 갑옷을 꺼내고 병기를 진열하여 혹은 그 병사들을 풀어놓고 혹은 그 항렬을 혼란하게 하는 것은 변화시켜 적을 속이는 방법을 쓰기 위해서이다.
우거진 풀이 무성한 곳에 을 치는 것은 도망하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군대를 주둔할 적에 반드시 풀이 우거져 무성한 지역에 의지하여 진을 치는 것은 도망할 계책을 하기 위해서이다.
계곡이 험하고 막힌 곳을 점거하는 것은 적의 전거戰車를 저지하고 적의 기병騎兵을 막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시냇물과 산골짝의 험하고 막힌 곳을 점거하는 것은 적의 전차를 저지하고 적의 기병을 막기 위한 것이다.
좁은 요새와 산림山林이 무성한 곳에 진을 치는 것은 적은 병력으로 많은 적을 공격하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험하고 좁은 요새와 산비탈과 숲이 우거진 곳에 진을 치는 것은 적은 병력으로 많은 적을 공격하기 위한 것이다.
움푹 파여 어둡고 저습하고 어두운 곳에 진을 치는 것은 군대의 형상을 숨기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수택水澤의 저습한 곳과 어둡고 그윽한 곳에 진을 치는 것은 그 형상을 감추고 숨기기 위한 것이다.
청명淸明하여 숨을 곳이 없는 지역에 진을 치는 것은 용맹과 힘으로 싸우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청명淸明하여 은폐隱蔽함이 없는 곳에 진을 치는 것은 용맹과 힘으로 싸우기 위한 것이다.
빠름이 날아가는 화살과 같고 공격이 발동하는 기아機牙처럼 신속하게 하는 것은 정미精微함을 격파하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빠름이 화살촉이 급히 날아가는 것과 같고, 공격이 쇠뇌의 기아機牙가 발동하는 것처럼 신속한 것은 적의 정미精微함을 격파하기 위한 것이다.
정미精微란 그 계책이 정밀하고 자세하고 미묘微妙함을 말한 것이니, 급히 싸우지 않으면 격파하지 못한다.
거짓으로 군대를 매복하고 기병奇兵을 설치하여 멀리 속이고 유인책을 펼치는 것은 적군을 격파하고 적장을 사로잡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거짓 속임수로 군대를 매복시키고 기병奇兵을 설치하여 멀리 속이고 유인책을 펴는 것은 적의 군대를 격파하고 적의 장수를 사로잡기 위한 것이다.
우리 군대를 사분오열四分五裂시켜 기강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적의 원진圓陣(원형의 진영)을 공격하고 적의 방진方陣(정방형의 진영)을 격파하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우리 군대로 하여금 사분오열四分五裂되게 하여 기강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적의 원진圓陣을 공격하고 적의 방진方陣을 격파하기 위한 것이다.
은 모두 진영陣營을 가지고 말한 것이다.
적군의 놀람을 이용하는 것은 한 명으로 열 명의 적을 공격하고, 적군이 지쳐 피로하고 늦게 주둔함을 이용하는 것은 열 명으로 백 명의 적을 공격하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적군의 놀람을 이용하는 것은 아군我軍 한 명으로 열 명의 적을 공격하는 것이요, 적군이 피로하여 지치고 저녁에 주둔함을 이용하는 것은 아군我軍 열 명으로 백 명의 적을 공격하는 방법이다.
기이한 기예技藝를 쓰는 것은 깊은 물을 넘어가고 강하江河를 건너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기교奇巧한 기예를 사용하여 천황天潢비강飛江을 만드는 것은 깊은 물을 넘어가고 강하江河를 건너기 위한 것이다.
강한 쇠뇌와 긴 병기는 물을 건너가 싸우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강한 쇠뇌와 긴 병기를 사용하는 것은 물을 건너가 적과 싸우고자 하는 것이다.
관문關門을 길게 설치하고 척후병斥候兵을 멀리 보내어 신속히 왕래하고 적을 속여 도망하는 것은 적의 을 항복시키고 적의 고을을 복종시키려는 것입니다.
原注
관문을 길게 설치하고 척후병을 멀리 보내어 빨리 오가며 속임수로 도망하는 것은 적의 을 항복시키고 적의 고을을 복종시키려는 것이다.
북을 치고 나아가며 시끄럽게 떠드는 것은 기이한 계책을 행하려는 것입니다.
原注
북을 치고 전진하여 병사들로 하여금 시끄럽게 떠들게 하는 것은 우리의 기이한 계책을 행하려는 것이다.
큰 바람과 심한 비를 이용하는 것은 적의 앞을 공격하고 뒤를 사로잡는 방법입니다.
原注
큰 바람과 심한 비를 이용하는 것은 적의 앞을 공격하고 적의 뒤를 사로잡는 방법이다.
적의 사자使者라고 거짓으로 칭하는 것은 적의 군량 수송로를 끊기 위한 것이요, 호령號令을 틀리게 하고 적군과 복식을 똑같게 하는 것은 적의 패주를 대비하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적국의 사자使者라고 거짓으로 칭하는 것은 적의 군량 수송로를 끊기 위한 것이요, 호령號令을 속이고 틀리게 하며 적군과 의복을 똑같게 하는 것은 적의 패주를 대비하려는 것이다.
전투할 적에 반드시 의리로 격동하는 것은 병사들을 격려하여 적을 이기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전투할 적에 반드시 의리로써 격동하는 것은 병사들을 격려해서 적을 이기고자 하는 것이다.
높은 관작官爵과 후한 을 내리는 것은 명령을 따르기를 권면하기 위한 것이요, 형벌刑罰을 엄격하게 하고 을 무겁게 하는 것은 피로하고 태만한 병사를 일으키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높은 벼슬을 주고 후한 상을 내리는 것은 명령을 잘 따르는 우리의 병사들을 권면하기 위한 것이요, 형벌로써 엄격하게 단속함은 우리의 피로하고 태만한 병사들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한 번 기뻐하고 한 번 노여워하며, 한 번 주고 한 번 빼앗으며, 한 번 문덕文德을 베풀고 한 번 무용武勇을 쓰며, 〈명령을〉 한 번 느리게 하고 한 번 빨리 하는 것은 삼군三軍을 조화하여 신하들을 통제해서 하나로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한 번 기뻐하고 한 번 노여워한다는 것은 감정으로 말한 것이니, 기뻐하면 사람들이 좋아하고 노여워하면 사람들이 두려워하니, 기뻐할 만한 것으로 인하여 기뻐하고 노여워할 만한 것으로 인하여 노여워해서, 함부로 기뻐하지 않고 함부로 노여워하지 않는 것이다.
한 번 주고 한 번 빼앗는다는 것은 관작官爵을 가지고 말한 것이니, 공이 있는 자에게는 관작을 주고 죄가 있는 자에게서는 관작을 빼앗아서, 관작을 함부로 주지 않고 함부로 빼앗지 않는 것이다.
한 번 문덕文德을 베풀고 한 번 무용武勇을 쓴다는 것은 정사政事를 가지고 말한 것이니, 문덕文德을 가지고 사람들을 따르게 하고 무용武勇을 가지고 사람들을 두렵게 해서, 풀어놓고 옥죄며 너그럽게 하고 사납게 함을 가지고 서로 구제하는 것이다.
한 번 느리게 하고 한 번 빨리 한다는 것은 명령을 가지고 말한 것이니, 느리게 하면 사람들의 힘이 펴지나 오랫동안 느리게 하면 태만해지고, 빨리 하면 사람들의 힘이 굽혀지나 오랫동안 빨리 하면 해롭다.
느림으로써 풀어주고 빠름으로써 거두어서 금하고 버리며 열고 막음에 마땅함을 얻는 것이다.
무릇 이 네 가지는 모두 삼군三軍을 조화하여 삼군으로 하여금 마음이 똑같게 하고, 신하들을 통제하여 하나로 만들어서 신하들로 하여금 힘이 똑같게 하는 것이다.
높고 통명通明한 곳에 주둔하는 것은 경계하여 수비하려는 것이요, 험하고 막힌 곳을 확보하는 것은 견고하게 수비하기 위한 것이요, 산림山林이 무성하고 우거진 곳은 은밀히 오가려는 것이요, 해자를 깊이 파고 보루를 높이 쌓고 군량을 많이 비축하는 것은 지구전持久戰을 하기 위한 것입니다.
原注
높고 통명通明한 지역에 주둔하는 것은 우리의 경계와 수비를 위한 것이요, 험하고 막힌 지역을 확보하는 것은 굳게 수비하는 대비를 위한 것이요, 산림이 무성하여 그윽하고 우거진 곳은 우리의 오고 감을 은밀히 하려는 것이다.
우리의 해자와 참호를 깊이 파고 우리의 성벽과 보루를 높이 쌓고 군량을 또 많이 저축하는 것은 지구전을 하기 위한 계책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싸우고 공격하는 계책을 알지 못하면 을 말할 수 없고, 군대를 나누어 이동시키지 못하면 기병奇兵을 말할 수 없고, 다스리고 혼란하게 하는 방도를 통달하지 못하면 변화變化를 말할 수 없다.’ 한 것입니다.
原注
그러므로 말하기를 “싸우고 공격하는 계책을 알지 못하면 더불어 을 말할 수 없고, 군대를 나누어 이동시키지 못하면 더불어 기병奇兵을 말할 수 없고, 다스리고 혼란하게 하는 방도를 통달하지 못하면 더불어 변화變化를 말할 수 없다.” 한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장수가 인자하지 않으면 삼군三軍이 친애하지 못하고, 장수가 용감하지 않으면 삼군이 정예롭지 못하고,
장수가 지혜롭지 않으면 삼군이 크게 의심하고, 장수가 통달하여 밝지 않으면 삼군이 크게 기울고, 장수가 정밀하고 미묘하지 않으면 삼군이 그 기회를 놓치고,
장수가 항상 경계하지 않으면 삼군이 그 대비對備를 잃고, 장수가 강력하지 않으면 삼군이 그 직책職責을 잃는다.’ 한 것입니다.
原注
그러므로 말하기를 “장수가 너그럽고 인자하지 않으면 삼군이 서로 친애하지 못하고, 장수가 용감하지 않으면 삼군이 정예롭지 못하고,
장수가 지략智略이 없으면 삼군이 크게 의심하여 믿는 바가 없고, 장수가 통달하여 밝지 않으면 삼군이 크게 기울어 의지할 곳이 없고, 장수가 정밀하고 자세하고 미묘하지 않으면 삼군이 그 발동할 기회를 놓치고,
장수가 때마다 항상 경계하여 삼가지 않으면 삼군이 그 대비하고 막는 도구를 잃고, 장수가 강력하지 않으면 삼군이 그 직책을 잃어 지키지 못한다.” 한 것이다.
그러므로 장수는 사람(병사)들의 사명司命입니다.
삼군三軍이 장수와 함께 다스려지고 장수와 함께 혼란해지니, 어진 장수를 얻은 군주는 군대가 강하고 나라가 번창하고, 어진 장수를 얻지 못한 군주는 군대가 약하고 나라가 망합니다.”
무왕武王이 말씀하였다.
“좋은 말씀이다.”
原注
그러므로 장수는 사람들의 사명司命이다.
삼군三軍이 장수와 함께 다스려지고 장수와 함께 혼란해지니, 어진 장수를 얻은 군주는 군대가 강하고 나라가 번창하고, 어진 장수를 얻지 못한 군주는 군대가 약하고 나라가 망하는 것이다.
무왕武王은 “의 말씀이 좋다.” 하였다.


역주
역주1 蓊蘙 : 옹예
역주2 : 凹와 같다.
역주3 天潢飛江 : 모두 물을 건너갈 때 사용하는 도구로, 본서 〈虎韜 軍用〉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4 : 喧과 같다.
역주5 : 훤효
역주6 : 패
역주7 : 피
역주8 : 창

육도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