劉向所集次新序三十篇과 目錄一篇은 隋唐之世에 尙爲全書러니 今可見者는 十篇而已라
			                         
                        		
                        		
                        		
	                     		
			                       	
			                       	
	                     		
	                     		
		                        
                        	
                        	
                        	
                        	
                        		
                        			
                        			
			                        
                        		
                        		
                        		
	                     		
			                       	
			                       	
	                     		
	                     		
		                        
                        	
                        	
                        	
                        	
                        		
                        			
                        			
			                        
                        		
                        		
                        		
	                     		
			                       	
			                       	
	                     		
	                     		
		                        
                        	
                        	
                        	
                        	
                        		
                        			
                        			
			                        
			                        	蓋
之廣
과 萬民之衆
과 千歲之遠
에 其敎已明
하고 其習已成之後
에 所守者一道
요 所傳者一說而已
라 
                        		
                        		
                        		
	                     		
			                       	
			                       	
	                     		
	                     		
		                        
                        	
                        	
                        	
                        	
                        		
                        			
                        			
			                        
			                        	故詩書之文이 歷世數十하고 作者非一이로되 而其言未嘗不相爲終始하니 化之如此其至也라
			                         
                        		
                        		
                        		
	                     		
			                       	
			                       	
	                     		
	                     		
		                        
                        	
                        	
                        	
                        	
                        		
                        			
                        			
			                        
			                        	當是之時하여 異行者有誅하고 異言者有禁하니 防之又如此其備也라
			                         
                        		
                        		
                        		
	                     		
			                       	
			                       	
	                     		
	                     		
		                        
                        	
                        	
                        	
                        	
                        		
                        			
                        			
			                        
			                        	故二帝三王之際와 及其中間嘗更衰亂이나 而餘澤未熄之時에 百家衆說이 未有能出於其間者也라
			                         
                        		
                        		
                        		
	                     		
			                       	
			                       	
	                     		
	                     		
		                        
                        	
                        	
                        	
                        	
                        		
                        			
                        			
			                        
			                        	及周之末世하여 先王之敎化法度旣廢하고 餘澤旣熄에 世之治方術者 各得其一偏이라
			                         
                        		
                        		
                        		
	                     		
			                       	
			                       	
	                     		
	                     		
		                        
                        	
                        	
                        	
                        	
                        		
                        			
                        			
			                        
			                        	故人奮其私智하고 家尙其私學者 蜂起於中國하니 皆明其所長而昧其短하고 矜其所得而諱其失이라
			                         
                        		
                        		
                        		
	                     		
			                       	
			                       	
	                     		
	                     		
		                        
                        	
                        	
                        	
                        	
                        		
                        			
                        			
			                        
			                        	天下之士 各自爲方而不能相通하여 世之人이 不復知夫學之有統道之有歸也라
			                         
                        		
                        		
                        		
	                     		
			                       	
			                       	
	                     		
	                     		
		                        
                        	
                        	
                        	
                        	
                        		
                        			
                        			
			                        
			                        	先王之遺 文雖在나 皆絀而不講이온 況至於秦爲世之所大禁哉리오
			                         
                        		
                        		
                        		
	                     		
			                       	
			                       	
	                     		
	                     		
		                        
                        	
                        	
                        	
                        	
                        		
                        			
                        			
			                        
			                        	漢興에 六藝皆得於斷絶殘脫之餘하여 世復無明先王之道以一之者하니
			                         
                        		
                        		
                        		
	                     		
			                       	
			                       	
	                     		
	                     		
		                        
                        	
                        	
                        	
                        	
                        		
                        			
                        			
			                        
                        		
                        		
                        		
	                     		
			                       	
			                       	
	                     		
	                     		
		                        
                        	
                        	
                        	
                        	
                        		
                        			
                        			
			                        
			                        	故先王之道 爲衆說之所蔽하여 闇而不明하고 鬱而不發하여
			                         
                        		
                        		
                        		
	                     		
			                       	
			                       	
	                     		
	                     		
		                        
                        	
                        	
                        	
                        	
                        		
                        			
                        			
			                        
			                        	而怪奇可喜之論이 各師異見하여 皆自名家者 誕漫於中國하여 一切不異於周之末世하니 其弊至於今尙在也라
			                         
                        		
                        		
                        		
	                     		
			                       	
			                       	
	                     		
	                     		
		                        
                        	
                        	
                        	
                        	
                        		
                        			
                        			
			                        
			                        	自斯以來로 天下學者 知折衷於聖人하여 而能純於道德之美者는 揚雄氏而止耳라
			                         
                        		
                        		
                        		
	                     		
			                       	
			                       	
	                     		
	                     		
		                        
                        	
                        	
                        	
                        	
                        		
                        			
                        			
			                        
			                        	如向之徒는 皆不免乎爲衆說之所蔽하여 而不知有所折衷者也라
			                         
                        		
                        		
                        		
	                     		
			                       	
			                       	
	                     		
	                     		
		                        
                        	
                        	
                        	
                        	
                        		
                        			
                        			
			                        
                        		
                        		
                        		
	                     		
			                       	
			                       	
	                     		
	                     		
		                        
                        	
                        	
                        	
                        	
                        		
                        			
                        			
			                        
                        		
                        		
                        		
	                     		
			                       	
			                       	
	                     		
	                     		
		                        
                        	
                        	
                        	
                        	
                        		
                        			
                        			
			                        
			                        	亦其出於是時者 豪傑之士少라 故不能特起於流俗之中絶學之後也라
			                         
                        		
                        		
                        		
	                     		
			                       	
			                       	
	                     		
	                     		
		                        
                        	
                        	
                        	
                        	
                        		
                        			
                        			
			                        
                        		
                        		
                        		
	                     		
			                       	
			                       	
	                     		
	                     		
		                        
                        	
                        	
                        	
                        	
                        		
                        			
                        			
			                        
			                        	雖不能無失이나 然遠至舜禹하고 而次及於周秦以來히 古人之嘉言善行이 亦往往而在也하니 要在愼取之而已라
			                         
                        		
                        		
                        		
	                     		
			                       	
			                       	
	                     		
	                     		
		                        
                        	
                        	
                        	
                        	
                        		
                        			
                        			
			                        
			                        	故臣旣惜其不可見者而校其可見者特詳焉하니 亦足以知臣之攻其失이라
			                         
                        		
                        		
                        		
	                     		
			                       	
			                       	
	                     		
	                     		
		                        
                        	
                        	
                        	
                        	
                        		
                        			
                        			
			                        
                        		
                        		
                        		
	                     		
			                       	
			                       	
	                     		
	                     		
		                        
                        	
                        	
                        	
                        	
                        		
                        		
                        		
                        			
                        			
		                       		
		                       		
		                       		
		                       			
		                        			
		                       			
		                       			
		                       			
		                       				注
		                       		
		                        
		                        	
		                        		
		                            	王遵巖曰 南豐文字는 於原本經訓處에 多用董仲舒劉向也니라하니라
		                            	 
									
                        			
                        			
                        		
	                     		
			                       	
			                       	
	                     		
	                     		
		                        
                        	
                        	
                        	
                        	
                   			
                    			
                    				
                    				 
                    			
                   			
                        	
                        	
                        	
                        	
	                       	
	                       	
	                       	
	                       	
							                       	
	                        
	                        
	                        	
	                        
	                        	
	                        
	                        	
	                        
	                        	
	                        
	                        	
	                        
	                        	
	                        
	                        	
	                        
	                        	
	                        
	                        	
	                        
	                        	
	                        
	                        	
	                        
	                        	
	                        
	                        	
	                        
	                        	
	                        
	                        	
	                        
	                        	
	                        
	                        	
	                        
	                        	
	                        
	                        	
	                        
	                        	
	                        
	                        	
	                        
	                        	
	                        
	                        	
	                        
	                        	
	                        
	                        	
	                        
	                        	
	                        
	                        	
	                        
	                        	
	                        
	                        	
	                        
	                        	
	                        
	                        	
	                        
	                        	
	                        
	                        	
	                        
	                        	
	                        
	                        	
	                        
	                        	
	                        
	                        	
	                        
	                        	
	                        
	                        	
	                        
	                        	
	                        
	                        	
	                        
	                        	
	                        
	                        	
	                        
	                        	
	                        
	                        	
	                        
	                        	
	                        
	                        	
	                        
	                        	
	                        
	                        	
	                        
	                        	
	                        
	                        	
	                        
	                        	
	                        
	                        	
	                        
	                        	
	                        
	                        
	                        
                        	
		                        
		                        
		                        
		                        
                        		
                        	
		                        
		                        
		                        
		                        	
		                        	
		                        
		                        
                        		
                        		
                        			
			                             
                        			
                        		
                        		
	                     		
			                       	
			                       	
	                     		
		                        
                        	
		                        
		                        
		                        
		                        
                        		
                        	
		                        
		                        
		                        
		                        
                        		
                        		
                        		
                        			
                        			
		                       		
		                       		
		                       		
		                       			
		                       			
		                       			
                        			
			                        
			                        	유향劉向이 수집하여 엮은 《신서新序》 30편과 〈목록目錄〉 1편은 수隋‧당唐시대까지만 해도 온전하게 남아 있었는데, 지금 볼 수 있는 것은 10편뿐이다.
			                              
                        			
                        		
                        		
	                     		
			                       	
			                       	
	                     		
		                        
                        	
		                        
		                        
		                        
		                        
                        		
                        	
		                        
		                        
		                        
		                        	
		                        	
		                        
		                        
                        		
                        		
                        			
			                        
			                        	나는 그 문자를 조사하여 바로잡고 이어 다음과 같이 서문을 지어 논변한다.
			                              
                        			
                        		
                        		
	                     		
			                       	
			                       	
	                     		
		                        
                        	
		                        
		                        
		                        
		                        
                        		
                        	
		                        
		                        
		                        
		                        	
		                        	
		                        
		                        
                        		
                        		
                        			
			                        
			                        	옛날에 천하를 다스린 자는 사람들의 도덕을 통일하고 사회풍속을 동일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구주九州의 넓은 천하와 만백성의 수많은 인구와 천 년의 장구한 세월 동안, 그 교화가 이미 명확해지고 그 풍속이 이미 형성된 뒤에는 견고하게 지키는 것은 하나의 도였고 후세에 전하는 것은 하나의 학설일 뿐이었다.
			                              
                        			
                        		
                        		
	                     		
			                       	
			                       	
	                     		
		                        
                        	
		                        
		                        
		                        
		                        
                        		
                        	
		                        
		                        
		                        
		                        	
		                        	
		                        
		                        
                        		
                        		
                        			
			                        
			                        	이 때문에 《시경詩經》, 《서경書經》의 문자가 수십 대를 지나고 작자가 한 사람이 아니었지만 그 말이 서로 일맥상통하지 않은 적이 없었으니, 교화가 이처럼 지극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에는 이단행위를 하는 자는 주벌을 당하고 이단의 설을 주장하는 자는 금지시켰으니, 이단을 방지하는 것이 또 이처럼 완비하였다.
			                              
                        			
                        		
                        		
	                     		
			                       	
			                       	
	                     		
		                        
                        	
		                        
		                        
		                        
		                        
                        		
                        	
		                        
		                        
		                        
		                        	
		                        	
		                        
		                        
                        		
                        		
                        			
			                        
			                        	그러므로 이제삼왕二帝三王 당시와 그 중간에 쇠란을 겪었지만 선왕의 남은 덕택이 아직 사라지지 않았을 때에는 제자백가諸子百家의 각종 학설이 그 사이에 출현할 수 없었다.
			                              
                        			
                        		
                        		
	                     		
			                       	
			                       	
	                     		
		                        
                        	
		                        
		                        
		                        
		                        
                        		
                        	
		                        
		                        
		                        
		                        	
		                        	
		                        
		                        
                        		
                        		
                        			
			                        
			                        	주周나라 말엽에 이르러 선왕의 교화와 법도가 폐지되고 남은 덕택이 소멸되자, 세상에 학술을 연구하는 자들이 각기 그 한쪽 방면의 도리를 얻었다.
			                              
                        			
                        		
                        		
	                     		
			                       	
			                       	
	                     		
		                        
                        	
		                        
		                        
		                        
		                        
                        		
                        	
		                        
		                        
		                        
		                        	
		                        	
		                        
		                        
                        		
                        		
                        			
			                        
			                        	그러므로 사람마다 자기의 사적인 지혜를 드러내고 집집마다 자기의 학파를 숭상하는 일이 중국에 벌떼처럼 일어났는데 모두 그 장점에는 밝고 단점에는 어두웠으며, 그 잘하는 것은 과시하고 그 결점은 숨겼다.
			                              
                        			
                        		
                        		
	                     		
			                       	
			                       	
	                     		
		                        
                        	
		                        
		                        
		                        
		                        
                        		
                        	
		                        
		                        
		                        
		                        	
		                        	
		                        
		                        
                        		
                        		
                        			
			                        
			                        	그리하여 천하의 선비들이 각기 자기 영역만 표방하고 서로 통하지 못하여, 세상 사람들이 더 이상 학문은 전통이 있고 도道는 근본이 있다는 것을 몰랐다.
			                              
                        			
                        		
                        		
	                     		
			                       	
			                       	
	                     		
		                        
                        	
		                        
		                        
		                        
		                        
                        		
                        	
		                        
		                        
		                        
		                        	
		                        	
		                        
		                        
                        		
                        		
                        			
			                        
			                        	선왕들이 후세에 남긴 글이 비록 남아 있었으나 모두 팽개치고 강구하지 않았는데, 더구나 진秦나라 때 와서 선왕의 도가 당대에 엄격하게 금지된 상황에 처한 경우야 더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한漢나라가 일어났을 때는 육예六藝(육경六經)를, 모두 원형이 파손되고 누락된 상황에서 수습하여 세상에 다시 선왕의 도를 밝혀 그것으로 통일시킬 자가 없었다.
			                              
                        			
                        		
                        		
	                     		
			                       	
			                       	
	                     		
		                        
                        	
		                        
		                        
		                        
		                        
                        		
                        	
		                        
		                        
		                        
		                        	
		                        	
		                        
		                        
                        		
                        		
                        			
			                        
			                        	그리하여 제유諸儒들이 혹시 세상에 전해오는 백가百家의 학설을 보면 모두 기뻐하여 그것을 추종하였다.
			                              
                        			
                        		
                        		
	                     		
			                       	
			                       	
	                     		
		                        
                        	
		                        
		                        
		                        
		                        
                        		
                        	
		                        
		                        
		                        
		                        	
		                        	
		                        
		                        
                        		
                        		
                        			
			                        
			                        	이 때문에 선왕의 도가 각종 학설에 가려져서 어두워 밝지 못하고 닫혀져 드러나지 못하는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그리하여 기괴하여 좋아할 만한 설로 저마다 이단의 견해를 추구하여 모두 스스로 일가一家를 이룬 자들이 온 나라에 만연하여 일체 주周나라 말기의 상황과 다르지 않았으니, 그 폐단이 지금까지도 남아 있다.
			                              
                        			
                        		
                        		
	                     		
			                       	
			                       	
	                     		
		                        
                        	
		                        
		                        
		                        
		                        
                        		
                        	
		                        
		                        
		                        
		                        	
		                        	
		                        
		                        
                        		
                        		
                        			
			                        
			                        	그때 이후로 천하의 학자 중에 성인의 가르침으로 사물을 판단하는 준칙을 삼을 줄 알고, 아울러 순수하게 도덕의 아름다운 경지에 도달한 자는 오직 양웅揚雄뿐이었다.
			                              
                        			
                        		
                        		
	                     		
			                       	
			                       	
	                     		
		                        
                        	
		                        
		                        
		                        
		                        
                        		
                        	
		                        
		                        
		                        
		                        	
		                        	
		                        
		                        
                        		
                        		
                        			
			                        
			                        	유향劉向과 같은 무리는 모두 잡다한 학설에 현혹됨을 면치 못하여 올바른 준칙을 취할 줄을 몰랐다.
			                              
                        			
                        		
                        		
	                     		
			                       	
			                       	
	                     		
		                        
                        	
		                        
		                        
		                        
		                        
                        		
                        	
		                        
		                        
		                        
		                        	
		                        	
		                        
		                        
                        		
                        		
                        			
			                        
			                        	맹자孟子가 말씀하기를 “문왕文王을 기다린 뒤에 분발하는 자는 평범한 사람이다. 걸출한 선비의 경우는 비록 문왕文王이 출현하지 않더라도 분발한다.” 하였다.
			                              
                        			
                        		
                        		
	                     		
			                       	
			                       	
	                     		
		                        
                        	
		                        
		                        
		                        
		                        
                        		
                        	
		                        
		                        
		                        
		                        	
		                        	
		                        
		                        
                        		
                        		
                        			
			                        
			                        	한漢나라의 선비만 어찌 유독 선왕의 도를 밝혀 그것으로 통일시킬 자가 없었단 말인가.
			                              
                        			
                        		
                        		
	                     		
			                       	
			                       	
	                     		
		                        
                        	
		                        
		                        
		                        
		                        
                        		
                        	
		                        
		                        
		                        
		                        	
		                        	
		                        
		                        
                        		
                        		
                        			
			                        
			                        	그 이유는 그 당시에 나온 자들 중에 걸출한 선비가 적었으므로, 당시 수준이 낮은 사회풍조와 학문이 단절된 속에서 뛰어난 인재가 나오지 못했던 것이다.
			                              
                        			
                        		
                        		
	                     		
			                       	
			                       	
	                     		
		                        
                        	
		                        
		                        
		                        
		                        
                        		
                        	
		                        
		                        
		                        
		                        	
		                        	
		                        
		                        
                        		
                        		
                        			
			                        
			                        	유향劉向이 편집한 이 책이 지금 시점에서 보면 가장 고대古代와 근접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비록 결점이 없지는 않으나 멀리 순舜‧우禹시대부터 주周‧진秦 이후까지 옛사람의 가언嘉言과 선행善行이 또한 그 속에 이따금 남아 있으니, 요점은 그것을 신중히 취사선택하는 데 달려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나는 그 볼 수 없는 것을 애석하게 여기는 한편, 그 볼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특별히 상세하게 교정하였으니, 또한 내가 그 결점을 공박攻駁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어찌 변론하기를 좋아해서이겠는가.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注
		                       		
		                       		
		                        		
			                            	왕준암王遵巖이 말하였다. “남풍南豐의 문자는 경전經典의 뜻을 근본으로 한 곳에 동중서董仲舒와 유향劉向의 설을 많이 채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