議者는 常曰 將與相均이라하나 將은 特一大有司耳요 非相侔也라
			                         
                        		
                        		
                        		
	                     		
			                       	
			                       	
	                     		
	                     		
		                        
                        	
                        	
                        	
                        	
                        		
                        			
                        			
			                        
			                        	國有征伐而後에 將權重이요 有征伐無征伐이라도 相은 皆不可一日輕이라
			                         
                        		
                        		
                        		
	                     		
			                       	
			                       	
	                     		
	                     		
		                        
                        	
                        	
                        	
                        	
                        		
                        			
                        			
			                        
                        		
                        		
                        		
	                     		
			                       	
			                       	
	                     		
	                     		
		                        
                        	
                        	
                        	
                        	
                        		
                        			
                        			
			                        
                        		
                        		
                        		
	                     		
			                       	
			                       	
	                     		
	                     		
		                        
                        	
                        	
                        	
                        	
                        		
                        			
                        			
			                        
                        		
                        		
                        		
	                     		
			                       	
			                       	
	                     		
	                     		
		                        
                        	
                        	
                        	
                        	
                        		
                        			
                        			
			                        
                        		
                        		
                        		
	                     		
			                       	
			                       	
	                     		
	                     		
		                        
                        	
                        	
                        	
                        	
                        		
                        			
                        			
			                        
			                        	爲將者는 大槪多才나 而或頑鈍無恥하니 非皆節廉好禮不可犯者也라
			                         
                        		
                        		
                        		
	                     		
			                       	
			                       	
	                     		
	                     		
		                        
                        	
                        	
                        	
                        	
                        		
                        			
                        			
			                        
			                        	故로 不必優以禮貌하되 而其有不羈不法之事라도 則亦不可以常法御하니 何則고
			                         
                        		
                        		
                        		
	                     		
			                       	
			                       	
	                     		
	                     		
		                        
                        	
                        	
                        	
                        	
                        		
                        			
                        			
			                        
                        		
                        		
                        		
	                     		
			                       	
			                       	
	                     		
	                     		
		                        
                        	
                        	
                        	
                        	
                        		
                        			
                        			
			                        
                        		
                        		
                        		
	                     		
			                       	
			                       	
	                     		
	                     		
		                        
                        	
                        	
                        	
                        	
                        		
                        			
                        			
			                        
                        		
                        		
                        		
	                     		
			                       	
			                       	
	                     		
	                     		
		                        
                        	
                        	
                        	
                        	
                        		
                        			
                        			
			                        
			                        	若夫相은 必節廉好禮者爲也요 又非豪縱不趨約束者爲也라
			                         
                        		
                        		
                        		
	                     		
			                       	
			                       	
	                     		
	                     		
		                        
                        	
                        	
                        	
                        	
                        		
                        			
                        			
			                        
                        		
                        		
                        		
	                     		
			                       	
			                       	
	                     		
	                     		
		                        
                        	
                        	
                        	
                        	
                        		
                        			
                        			
			                        
                        		
                        		
                        		
	                     		
			                       	
			                       	
	                     		
	                     		
		                        
                        	
                        	
                        	
                        	
                        		
                        			
                        			
			                        
                        		
                        		
                        		
	                     		
			                       	
			                       	
	                     		
	                     		
		                        
                        	
                        	
                        	
                        	
                        		
                        			
                        			
			                        
                        		
                        		
                        		
	                     		
			                       	
			                       	
	                     		
	                     		
		                        
                        	
                        	
                        	
                        	
                        		
                        			
                        			
			                        
                        		
                        		
                        		
	                     		
			                       	
			                       	
	                     		
	                     		
		                        
                        	
                        	
                        	
                        	
                        		
                        			
                        			
			                        
			                        	夫接之以禮然後에 可以重其責하니 而使無怨言이요 責之重然後에 接之以禮하여도 而不爲過니라
			                         
                        		
                        		
                        		
	                     		
			                       	
			                       	
	                     		
	                     		
		                        
                        	
                        	
                        	
                        	
                        		
                        			
                        			
			                        
			                        	禮薄而責重이면 彼將曰 主上이 遇我以何禮하여 而重我以此責也하니 甚矣라하니라
			                         
                        		
                        		
                        		
	                     		
			                       	
			                       	
	                     		
	                     		
		                        
                        	
                        	
                        	
                        	
                        		
                        			
                        			
			                        
                        		
                        		
                        		
	                     		
			                       	
			                       	
	                     		
	                     		
		                        
                        	
                        	
                        	
                        	
                        		
                        			
                        			
			                        
			                        	故로 禮以維其心하고 而重責以勉其怠而後에 爲相者는 莫不盡忠於朝廷하고 而不恤其私라
			                         
                        		
                        		
                        		
	                     		
			                       	
			                       	
	                     		
	                     		
		                        
                        	
                        	
                        	
                        	
                        		
                        			
                        			
			                        
                        		
                        		
                        		
	                     		
			                       	
			                       	
	                     		
	                     		
		                        
                        	
                        	
                        	
                        	
                        		
                        			
                        			
			                        
			                        	以爲誼生文帝時
하니 文帝
가 遇將相大臣
이 不爲無禮
어늘 하니 
                        		
                        		
                        		
	                     		
			                       	
			                       	
	                     		
	                     		
		                        
                        	
                        	
                        	
                        	
                        		
                        			
                        			
			                        
			                        	使誼生於近世하여 見其所以遇宰相者면 則當復何如也오
			                         
                        		
                        		
                        		
	                     		
			                       	
			                       	
	                     		
	                     		
		                        
                        	
                        	
                        	
                        	
                        		
                        			
                        			
			                        
			                        	夫湯武之德은 三尺豎子라도 皆知其爲聖人이어늘 而猶有伊尹太公者를 爲師友焉이라
			                         
                        		
                        		
                        		
	                     		
			                       	
			                       	
	                     		
	                     		
		                        
                        	
                        	
                        	
                        	
                        		
                        			
                        			
			                        
			                        	伊尹太公
은 非賢於湯武也
어늘 而二聖人者
는 特不顧以師友之
하니 明有尊也
라 
                        		
                        		
                        		
	                     		
			                       	
			                       	
	                     		
	                     		
		                        
                        	
                        	
                        	
                        	
                        		
                        			
                        			
			                        
			                        	噫라 近世之君姑勿責於此나 天子御坐하여 見宰相而起者有之乎아 無矣라
			                         
                        		
                        		
                        		
	                     		
			                       	
			                       	
	                     		
	                     		
		                        
                        	
                        	
                        	
                        	
                        		
                        			
                        			
			                        
                        		
                        		
                        		
	                     		
			                       	
			                       	
	                     		
	                     		
		                        
                        	
                        	
                        	
                        	
                        		
                        			
                        			
			                        
			                        	天子坐殿上하고 宰相與百官趨走於下면 掌儀之官이 名而呼之가 若郡守召胥吏耳라
			                         
                        		
                        		
                        		
	                     		
			                       	
			                       	
	                     		
	                     		
		                        
                        	
                        	
                        	
                        	
                        		
                        			
                        			
			                        
			                        	雖臣子爲此
가 亦不
過
나 尊尊貴貴之道
는 不若是褻也
라 
                        		
                        		
                        		
	                     		
			                       	
			                       	
	                     		
	                     		
		                        
                        	
                        	
                        	
                        	
                        		
                        			
                        			
			                        
			                        	夫旣不能
之以禮
면 則其罪之也
에 吾法將亦不得用
이니 何者
오 
                        		
                        		
                        		
	                     		
			                       	
			                       	
	                     		
	                     		
		                        
                        	
                        	
                        	
                        	
                        		
                        			
                        			
			                        
                        		
                        		
                        		
	                     		
			                       	
			                       	
	                     		
	                     		
		                        
                        	
                        	
                        	
                        	
                        		
                        			
                        			
			                        
                        		
                        		
                        		
	                     		
			                       	
			                       	
	                     		
	                     		
		                        
                        	
                        	
                        	
                        	
                        		
                        			
                        			
			                        
			                        	及其免相也
하여는 旣曰有某罪
라하나 而刑不加焉
하고 不過
하여 而出之
하니 此
는 其弊皆始於不爲之禮
라 
                        		
                        		
                        		
	                     		
			                       	
			                       	
	                     		
	                     		
		                        
                        	
                        	
                        	
                        	
                        		
                        			
                        			
			                        
                        		
                        		
                        		
	                     		
			                       	
			                       	
	                     		
	                     		
		                        
                        	
                        	
                        	
                        	
                        		
                        			
                        			
			                        
			                        	夫人不我誅한대 而安忍棄其身이리오마는 此必有大愧於其君이라
			                         
                        		
                        		
                        		
	                     		
			                       	
			                       	
	                     		
	                     		
		                        
                        	
                        	
                        	
                        	
                        		
                        			
                        			
			                        
			                        	故로 人君者는 必有以愧其臣하니 故로 其臣有所不爲라
			                         
                        		
                        		
                        		
	                     		
			                       	
			                       	
	                     		
	                     		
		                        
                        	
                        	
                        	
                        	
                        		
                        			
                        			
			                        
			                        	하니 故
로 當天下多事
하고 朝廷憂懼之際
에 使
으로 得容於其間
하니 而無怪焉
이라 
			                         
                        		
                        		
                        		
	                     		
			                       	
			                       	
	                     		
	                     		
		                        
                        	
                        	
                        	
                        	
                        		
                        			
                        			
			                        
                        		
                        		
                        		
	                     		
			                       	
			                       	
	                     		
	                     		
		                        
                        	
                        	
                        	
                        	
                        		
                        			
                        			
			                        
			                        	且吾聞之하니 待以禮하되 而彼不自效以報其上하고 重其責하되 而彼不自勉以全其身하고 安其祿位하여 成其功名者는 天下無有也라
			                         
                        		
                        		
                        		
	                     		
			                       	
			                       	
	                     		
	                     		
		                        
                        	
                        	
                        	
                        	
                        		
                        			
                        			
			                        
			                        	彼人主傲然於上하여 不禮宰相하고 以自尊大者는 孰若使宰相自效하여 以報其上之爲利아
			                         
                        		
                        		
                        		
	                     		
			                       	
			                       	
	                     		
	                     		
		                        
                        	
                        	
                        	
                        	
                        		
                        			
                        			
			                        
			                        	宰相利其君之不責하여 而豐其私者가 孰若自勉以全其身하고 安其祿位하여 成其功名之爲福이리오
			                         
                        		
                        		
                        		
	                     		
			                       	
			                       	
	                     		
	                     		
		                        
                        	
                        	
                        	
                        	
                        		
                        			
                        			
			                        
                        		
                        		
                        		
	                     		
			                       	
			                       	
	                     		
	                     		
		                        
                        	
                        	
                        	
                        	
                   			
                    			
                   			
                        	
                        	
                        	
                        	
	                       	
	                       	
	                       	
	                       	
							                       	
	                        
	                        
	                        	
	                        
	                        	
	                        
	                        	
	                        
	                        	
	                        
	                        	
	                        
	                        	
	                        
	                        	
	                        
	                        	
	                        
	                        	
	                        
	                        	
	                        
	                        	
	                        
	                        	
	                        
	                        	
	                        
	                        	
	                        
	                        	
	                        
	                        	
	                        
	                        	
	                        
	                        	
	                        
	                        	
	                        
	                        	
	                        
	                        	
	                        
	                        	
	                        
	                        	
	                        
	                        	
	                        
	                        	
	                        
	                        	
	                        
	                        	
	                        
	                        	
	                        
	                        	
	                        
	                        	
	                        
	                        	
	                        
	                        	
	                        
	                        	
	                        
	                        	
	                        
	                        	
	                        
	                        	
	                        
	                        	
	                        
	                        	
	                        
	                        	
	                        
	                        	
	                        
	                        	
	                        
	                        	
	                        
	                        	
	                        
	                        	
	                        
	                        	
	                        
	                        	
	                        
	                        	
	                        
	                        	
	                        
	                        	
	                        
	                        	
	                        
	                        	
	                        
	                        	
	                        
	                        	
	                        
	                        	
	                        
	                        	
	                        
	                        	
	                        
	                        	
	                        
	                        	
	                        
	                        	
	                        
	                        	
	                        
	                        	
	                        
	                        	
	                        
	                        	
	                        
	                        	
	                        
	                        	
	                        
	                        	
	                        
	                        	
	                        
	                        	
	                        
	                        	
	                        
	                        	
	                        
	                        	
	                        
	                        	
	                        
	                        	
	                        
	                        	
	                        
	                        	
	                        
	                        	
	                        
	                        	
	                        
	                        	
	                        
	                        	
	                        
	                        	
	                        
	                        	
	                        
	                        	
	                        
	                        	
	                        
	                        	
	                        
	                        	
	                        
	                        	
	                        
	                        	
	                        
	                        	
	                        
	                        	
	                        
	                        	
	                        
	                        	
	                        
	                        	
	                        
	                        
	                        
                        	
		                        
		                        
		                        
		                        
                        		
                        	
		                        
		                        
		                        
		                        	
		                        	
		                        
		                        
                        		
                        		
                        			
			                             
                        			
                        		
                        		
	                     		
			                       	
			                       	
	                     		
		                        
                        	
		                        
		                        
		                        
		                        
                        		
                        	
		                        
		                        
		                        
		                        
                        		
                        		
                        		
                        			
                        			
		                       		
		                       		
		                       		
		                       			
		                       			
		                       			
                        			
			                        
			                        	옛날 남의 나라를 잘 관찰하는 자는 그 나라의 재상宰相이 어떠한 사람인지만 살펴볼 따름이었다.
			                              
                        			
                        		
                        		
	                     		
			                       	
			                       	
	                     		
		                        
                        	
		                        
		                        
		                        
		                        
                        		
                        	
		                        
		                        
		                        
		                        	
		                        	
		                        
		                        
                        		
                        		
                        			
			                        
			                        	평론가들은 언제나 “장군將軍과 재상宰相은 〈그 중요성이〉 똑같다.”라고 말하지만, 장군은 단지 하나의 큰 관리일 뿐이요 재상과 대등하지 않다.
			                              
                        			
                        		
                        		
	                     		
			                       	
			                       	
	                     		
		                        
                        	
		                        
		                        
		                        
		                        
                        		
                        	
		                        
		                        
		                        
		                        	
		                        	
		                        
		                        
                        		
                        		
                        			
			                        
			                        	나라에 정벌征伐 같은 전쟁의 일이 있고 난 뒤에야 장군의 권위는 무겁게 되고, 정벌의 일이 있건 없건 재상은 하루도 가벼이 여길 수 없다.
			                              
                        			
                        		
                        		
	                     		
			                       	
			                       	
	                     		
		                        
                        	
		                        
		                        
		                        
		                        
                        		
                        	
		                        
		                        
		                        
		                        	
		                        	
		                        
		                        
                        		
                        		
                        			
			                        
			                        	재상이 어질면 모든 관리가 다 어질게 되고, 장군 또한 어질게 된다.
			                              
                        			
                        		
                        		
	                     		
			                       	
			                       	
	                     		
		                        
                        	
		                        
		                        
		                        
		                        
                        		
                        	
		                        
		                        
		                        
		                        	
		                        	
		                        
		                        
                        		
                        		
                        			
			                        
			                        	장군이 어질고 재상이 어질지 않다 할지라도 장군을 〈재상으로〉 바꿀 수는 없다.
			                              
                        			
                        		
                        		
	                     		
			                       	
			                       	
	                     		
		                        
                        	
		                        
		                        
		                        
		                        
                        		
                        	
		                        
		                        
		                        
		                        	
		                        	
		                        
		                        
                        		
                        		
                        			
			                        
			                        	그러므로 “장군은 단지 하나의 큰 관리일 뿐이요 재상과 대등하지 않다.”라고 한 것이다.
			                              
                        			
                        		
                        		
	                     		
			                       	
			                       	
	                     		
		                        
                        	
		                        
		                        
		                        
		                        
                        		
                        	
		                        
		                        
		                        
		                        	
		                        	
		                        
		                        
                        		
                        		
                        			
			                        
			                        	재상을 임용하는 방법은 장군을 임용하는 방법과 다르다.
			                              
                        			
                        		
                        		
	                     		
			                       	
			                       	
	                     		
		                        
                        	
		                        
		                        
		                        
		                        
                        		
                        	
		                        
		                        
		                        
		                        	
		                        	
		                        
		                        
                        		
                        		
                        			
			                        
			                        	장군이 된 자는 대개 재주는 많지만 간혹 우둔하고 부끄러움이 없으니, 모두가 절조節操 있고 염치廉恥 있으며 예禮를 좋아하여 사람들이 감히 침범할 수 없는 자가 아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예모禮貌로써 우대하지는 않지만, 그가 구속에 얽매이지 않아 불법을 범하더라도 그를 일반적인 법으로 처벌할 수가 없으니, 무엇 때문인가?
			                              
                        			
                        		
                        		
	                     		
			                       	
			                       	
	                     		
		                        
                        	
		                        
		                        
		                        
		                        
                        		
                        	
		                        
		                        
		                        
		                        	
		                        	
		                        
		                        
                        		
                        		
                        			
			                        
			                        	강하고 방종해서 구속에 얽매이지 않으려는 것이 또한 장군들의 일상적 태도이기 때문이다.
			                              
                        			
                        		
                        		
	                     		
			                       	
			                       	
	                     		
		                        
                        	
		                        
		                        
		                        
		                        
                        		
                        	
		                        
		                        
		                        
		                        	
		                        	
		                        
		                        
                        		
                        		
                        			
			                        
			                        	한 무제漢 武帝가 대장군大將軍을 대할 때 왕왕 평상에 걸터앉은 채로 대하였고, 이광리李廣利가 대완국大宛國을 쳐서 승리했을 때 많은 군졸들을 희생시킨 죄에 대해서는 들추지도 않고 불문에 붙였다.
			                              
                        			
                        		
                        		
	                     		
			                       	
			                       	
	                     		
		                        
                        	
		                        
		                        
		                        
		                        
                        		
                        	
		                        
		                        
		                        
		                        	
		                        	
		                        
		                        
                        		
                        		
                        			
			                             
                        			
                        		
                        		
	                     		
			                       	
			                       	
	                     		
		                        
                        	
		                        
		                        
		                        
		                        
                        		
                        	
		                        
		                        
		                        
		                        	
		                        	
		                        
		                        
                        		
                        		
                        			
			                        
			                        	그러나 재상과 같은 경우는 반드시 절조 있고 염치 있으며 예를 좋아하는 사람이 되어야지, 강하고 방종해서 구속에 얽매이지 않으려는 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천자는 재상에게 예禮를 갖추어 우대하고 책임을 엄중히 요구하는 것이다.
			                              
                        			
                        		
                        		
	                     		
			                       	
			                       	
	                     		
		                        
                        	
		                        
		                        
		                        
		                        
                        		
                        	
		                        
		                        
		                        
		                        	
		                        	
		                        
		                        
                        		
                        		
                        			
			                        
			                        	옛날에 재상이 천자를 알현하면 천자는 앉았던 자리에서 일어나 맞이했고, 또 길을 가다 만나면 타고 가던 가마에서 내려 맞이했으며, 병이 나면 친히 방문하여 문병하고, 불행히 세상을 뜨면 천자가 친히 찾아가 조상하였으니, 천자가 재상을 대하는 것이 이처럼 정중했던 것이다.
			                              
                        			
                        		
                        		
	                     		
			                       	
			                       	
	                     		
		                        
                        	
		                        
		                        
		                        
		                        
                        		
                        	
		                        
		                        
		                        
		                        	
		                        	
		                        
		                        
                        		
                        		
                        			
			                        
			                        	그러나 재상이 죄를 저질렀을 경우엔 조금도 사정私情을 두지 않았다.
			                              
                        			
                        		
                        		
	                     		
			                       	
			                       	
	                     		
		                        
                        	
		                        
		                        
		                        
		                        
                        		
                        	
		                        
		                        
		                        
		                        	
		                        	
		                        
		                        
                        		
                        		
                        			
			                        
			                        	천지天地에 큰 변화가 있거나 천하天下에 큰 허물을 끼쳤을 경우엔 재상은 병상病狀에서 일어나지 못하여 〈국사를 볼 수 없다고〉 아뢰었고, 재상이 임무를 견디어낼 수 없을 경우에는 천자의 조서詔書를 받고 포의布衣로 갈아입고서 재상부宰相府를 나와 면직되었다.
			                              
                        			
                        		
                        		
	                     		
			                       	
			                       	
	                     		
		                        
                        	
		                        
		                        
		                        
		                        
                        		
                        	
		                        
		                        
		                        
		                        	
		                        	
		                        
		                        
                        		
                        		
                        			
			                        
			                        	재상에게 다른 과실이 있을 경우에는 암말이 끄는 대나무로 엮어 만든 수레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 그 과실에 대한 반성을 하고 근신하였다.
			                              
                        			
                        		
                        		
	                     		
			                       	
			                       	
	                     		
		                        
                        	
		                        
		                        
		                        
		                        
                        		
                        	
		                        
		                        
		                        
		                        	
		                        	
		                        
		                        
                        		
                        		
                        			
			                        
			                        	예禮로써 재상을 우대한 다음에 책임을 엄중히 물으니 원망하는 말이 없게 될 것이고, 책임을 엄하게 묻고 난 다음에 예禮로써 대우하는 것도 잘못된 것은 아니다.
			                              
                        			
                        		
                        		
	                     		
			                       	
			                       	
	                     		
		                        
                        	
		                        
		                        
		                        
		                        
                        		
                        	
		                        
		                        
		                        
		                        	
		                        	
		                        
		                        
                        		
                        		
                        			
			                        
			                        	예禮를 차리지 않으면서 책임만 엄중히 묻는다면, 그는 “주상께서는 저를 무슨 예禮로 대우하셨기에 저를 이같이 엄하게 문책하십니까? 너무 심하십니다.”라고 할 것이다.
			                              
                        			
                        		
                        		
	                     		
			                       	
			                       	
	                     		
		                        
                        	
		                        
		                        
		                        
		                        
                        		
                        	
		                        
		                        
		                        
		                        	
		                        	
		                        
		                        
                        		
                        		
                        			
			                        
			                        	책임은 가볍고 예禮가 중하면, 그는 장차 게을러져서 자신이 할 일에 힘쓰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예禮로써 우대하여 재상의 마음을 묶어두고, 엄중한 책임으로 재상에게 게으르지 않도록 격려한 이후에야, 재상 된 자는 조정에 충성忠誠을 다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고, 사사로운 일에 걱정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가의賈誼의 글을 보다가 ‘장태식자長太息者’에 이르러 언제나 반복하여 읽으며 멈출 수가 없었다.
			                              
                        			
                        		
                        		
	                     		
			                       	
			                       	
	                     		
		                        
                        	
		                        
		                        
		                        
		                        
                        		
                        	
		                        
		                        
		                        
		                        	
		                        	
		                        
		                        
                        		
                        		
                        			
			                        
			                        	생각건대 가의賈誼는 한 문제漢 文帝 때에 살면서, 문제文帝가 장군將軍‧재상宰相‧대신大臣들을 대함에 무례하지 않았는데도, 다만 주발周勃을 한 번 옥에 가둔 일 때문에 가의賈誼는 결국 이런 글을 지었으니,
			                              
                        			
                        		
                        		
	                     		
			                       	
			                       	
	                     		
		                        
                        	
		                        
		                        
		                        
		                        
                        		
                        	
		                        
		                        
		                        
		                        	
		                        	
		                        
		                        
                        		
                        		
                        			
			                        
			                        	만약 가의賈誼가 근세에 살아서 천자가 재상을 대하는 실정을 본다면 그는 응당 또 어떻게 할까?
			                              
                        			
                        		
                        		
	                     		
			                       	
			                       	
	                     		
		                        
                        	
		                        
		                        
		                        
		                        
                        		
                        	
		                        
		                        
		                        
		                        	
		                        	
		                        
		                        
                        		
                        		
                        			
			                        
			                        	은 탕왕殷 湯王과 주 무왕周 武王의 덕德은 삼척동자라도 다 두 임금이 성인聖人임을 알거늘, 〈두 성인은〉 오히려 이윤伊尹‧태공太公을 사우師友로 삼았다.
			                              
                        			
                        		
                        		
	                     		
			                       	
			                       	
	                     		
		                        
                        	
		                        
		                        
		                        
		                        
                        		
                        	
		                        
		                        
		                        
		                        	
		                        	
		                        
		                        
                        		
                        		
                        			
			                        
			                        	이윤伊尹과 태공太公은 탕왕湯王과 무왕武王보다도 현명하지 않았음에도 두 성인은 오히려 돌아보지 아니하고 그들을 사우師友로 삼았으니, 존경해야 할 사람이 있음을 밝힌 것이다.
			                              
                        			
                        		
                        		
	                     		
			                       	
			                       	
	                     		
		                        
                        	
		                        
		                        
		                        
		                        
                        		
                        	
		                        
		                        
		                        
		                        	
		                        	
		                        
		                        
                        		
                        		
                        			
			                        
			                        	아! 근세의 임금에게 우선 이러한 것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로되, 천자가 자리에 앉아 있다가 재상을 보고 어좌御座에서 일어난 분이 있었던가? 그런 분은 있지 않았다.
			                              
                        			
                        		
                        		
	                     		
			                       	
			                       	
	                     		
		                        
                        	
		                        
		                        
		                        
		                        
                        		
                        	
		                        
		                        
		                        
		                        	
		                        	
		                        
		                        
                        		
                        		
                        			
			                        
			                        	가마를 타고 가시다가 〈재상을 보고〉 그 가마에서 내리는 분이 있었던가? 또한 있지 않았다.
			                              
                        			
                        		
                        		
	                     		
			                       	
			                       	
	                     		
		                        
                        	
		                        
		                        
		                        
		                        
                        		
                        	
		                        
		                        
		                        
		                        	
		                        	
		                        
		                        
                        		
                        		
                        			
			                        
			                        	천자께서 어전御殿에 앉아 계시고, 재상이 여러 신하와 더불어 그 아래에서 허리를 굽히고 급히 걸어가면, 조정朝廷의 의전관이 성명을 부르는 것이 마치 군수郡守가 밑의 서리胥吏를 소집하는 것처럼 할 뿐이다.
			                              
                        			
                        		
                        		
	                     		
			                       	
			                       	
	                     		
		                        
                        	
		                        
		                        
		                        
		                        
                        		
                        	
		                        
		                        
		                        
		                        	
		                        	
		                        
		                        
                        		
                        		
                        			
			                        
			                        	비록 신하에게 이렇게 대하는 것이 또한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존경해야 할 바를 존경하고 귀히 여길 바를 귀히 여겨야 하는 도리道理로는 이처럼 모욕적이어서는 안 될 것이다.
			                              
                        			
                        		
                        		
	                     		
			                       	
			                       	
	                     		
		                        
                        	
		                        
		                        
		                        
		                        
                        		
                        	
		                        
		                        
		                        
		                        	
		                        	
		                        
		                        
                        		
                        		
                        			
			                        
			                        	무릇 재상을 예禮로써 우대하지 않으면, 그에게 벌罰을 줄 때에 천자가 정한 국법國法을 제대로 적용할 수가 없으니, 어째서인가?
			                              
                        			
                        		
                        		
	                     		
			                       	
			                       	
	                     		
		                        
                        	
		                        
		                        
		                        
		                        
                        		
                        	
		                        
		                        
		                        
		                        	
		                        	
		                        
		                        
                        		
                        		
                        			
			                        
			                        	예禮로써 대하는 데에는 과감하지 않고 형벌刑罰을 쓰는 데에 과감하다면, 그는 진심으로 복종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법에는 “어떤 죄를 지으면 어떤 형벌을 가한다.”라고 하고 있다.
			                              
                        			
                        		
                        		
	                     		
			                       	
			                       	
	                     		
		                        
                        	
		                        
		                        
		                        
		                        
                        		
                        	
		                        
		                        
		                        
		                        	
		                        	
		                        
		                        
                        		
                        		
                        			
			                        
			                        	그런데 재상을 파면함에 이르러서는 이미 어떤 죄가 있다고 선언하지만 그 죄에 해당하는 형벌은 가하지 않고, 그의 관등官等을 한 등 깎아내려 큰 고을의 장관으로 내보는 데에 불과하니, 이것은 그 폐단이 다 재상을 예禮로써 우대하지 않아서 생긴 것이다.
			                              
                        			
                        		
                        		
	                     		
			                       	
			                       	
	                     		
		                        
                        	
		                        
		                        
		                        
		                        
                        		
                        	
		                        
		                        
		                        
		                        	
		                        	
		                        
		                        
                        		
                        		
                        			
			                        
			                        	가의賈誼는 “중급中級의 죄를 지었을 경우에는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고, 대죄大罪를 지었을 경우에는 자결한다.”고 하였다.
			                              
                        			
                        		
                        		
	                     		
			                       	
			                       	
	                     		
		                        
                        	
		                        
		                        
		                        
		                        
                        		
                        	
		                        
		                        
		                        
		                        	
		                        	
		                        
		                        
                        		
                        		
                        			
			                        
			                        	무릇 다른 사람이 나를 죽이지 않는데 어찌 차마 스스로 목숨을 끊을까마는 그래도 이렇게 하는 것은 군주에게 큰 부끄러움을 지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군주는 반드시 자신의 행동으로써 그 신하를 부끄럽게 할 수 있었기에 그 신하도 하지 않는 일이 있는 것이다.
			                              
                        			
                        		
                        		
	                     		
			                       	
			                       	
	                     		
		                        
                        	
		                        
		                        
		                        
		                        
                        		
                        	
		                        
		                        
		                        
		                        	
		                        	
		                        
		                        
                        		
                        		
                        			
			                        
			                        	한 무제漢 武帝가 때로는 관冠도 쓰지 않은 채 재상인 평진후平津侯 공손홍公孫弘을 접견하였기 때문에, 천하에 일이 많고 조정에는 근심거리가 많았을 때에 석경石慶과 같은 무능無能한 사람이 재상으로 있어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렇다면 군주는 재상을 대함에 반드시 예禮로써 우대한 다음에야 재상의 허물을 법대로 물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내가 듣자니, 천자가 재상을 예禮로써 우대하되 재상이 자신의 힘을 다하여 군주에게 보답하지 않거나, 그 책임을 엄중하게 묻되 스스로 힘써 자신의 몸을 보존하고 그 봉록俸祿과 작위爵位를 편안히 누리면서 그 공명功名을 이루고자 하지 않는 자는 천하에 없을 것이다.
			                              
                        			
                        		
                        		
	                     		
			                       	
			                       	
	                     		
		                        
                        	
		                        
		                        
		                        
		                        
                        		
                        	
		                        
		                        
		                        
		                        	
		                        	
		                        
		                        
                        		
                        		
                        			
			                        
			                        	저 군주가 위에서 거만하게 군림하여 재상을 예禮로써 우대하지 않고 스스로 높고 큰 존재로만 여기는 것과, 재상이 자신의 힘을 다해 그 군주에게 보답하게 하는 것 중에 어느 편이 더 이익이 될 것인가?
			                              
                        			
                        		
                        		
	                     		
			                       	
			                       	
	                     		
		                        
                        	
		                        
		                        
		                        
		                        
                        		
                        	
		                        
		                        
		                        
		                        	
		                        	
		                        
		                        
                        		
                        		
                        			
			                        
			                        	재상이 군주가 책임을 묻지 않음을 이용하여 자기 사욕私慾만을 크게 취하는 것과, 스스로 힘써 자신의 몸을 보존하고 그 봉록과 작위를 편안히 누리면서 그 공명功名을 이루고자 하는 것 중에 어느 것이 더 복이 될 것인가?
			                              
                        			
                        		
                        		
	                     		
			                       	
			                       	
	                     		
		                        
                        	
		                        
		                        
		                        
		                        
                        		
                        	
		                        
		                        
		                        
		                        	
		                        	
		                        
		                        
                        		
                        		
                        			
			                        
			                        	나는 또한 아직 이익을 버리고 손해로 나아가거나, 복을 멀리하고 화로 나아가는 자를 보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