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故魯史春秋 學開五傳하고
[疏]正義曰:故者, 因上起下之語. 夫子約魯史春秋, 學開五傳者, 謂名專己學, 以相敎授, 分經作傳, 凡有五家.
開則分也. 五傳者, “左氏傳三十卷, 左丘明, 魯大史”也.
“公羊傳十一卷, 公羊子, 齊人”, 名高, 受經於子夏. “穀梁傳十一卷, .
云 “與秦孝公同時.” 云 “名, 字元始.” 云 “子夏門人.”
“鄒氏傳十一卷”, 漢書云 “夾氏傳十一卷, 有錄無書”.
其鄒‧夾二義, “鄒氏無師, 夾氏未有書”, 故不顯于世, 蓋王莽時亡失耳.


이 때문에 나라의 역사서 ≪춘추春秋≫는 5가지 을 제각각 전공하는 학파로 갈리고
정의왈正義曰:‘’는 윗글을 이어 아래 글을 일으키는 말이다. 부자夫子(공자)가 나라의 역사서를 요약하여 저술한 ≪춘추≫가 ‘5가지 을 제각각 전공하는 학파로 갈렸다’는 것은, 자기가 배운 것만을 전공한다고 표방하며 후학에게 교수敎授하고 에 대한 해석을 달리하여 을 지은 학파가 모두 5가 있다는 말이다.
(나뉨)이다. 다섯 가지 〈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살펴보건대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좌씨전左氏傳≫ 30권. 저자는 좌구명左丘明으로 나라의 태사太史이다.”〈라고 한 것이 첫째이고〉,
“≪공양전公羊傳≫ 11권. 저자는 공양자公羊子로, 나라 사람이다.”〈라고 한 것이 둘째인데, 공양자의〉 이름은 이고 자하子夏에게서 경문經文을 전수받았다. “≪곡량전穀梁傳≫ 11권. 저자는 곡량자穀梁子로, 노나라 사람이다.”〈라고 한 것이 셋째인데, 곡량자의〉 이름은 이다.
〈곡량자에 대해〉 미신糜信은 “진 효공秦 孝公과 동시대 사람이다.”라고 하였고, ≪칠록七錄≫에는 “이름은 이고, 원시元始이다.”라고 하였으며, ≪풍속통風俗通≫에는 “자하子夏문인門人이다.”라고 하였다.
“≪추씨전鄒氏傳≫ 11권”〈이라고 한 것이 넷째인데,〉 ≪한서≫에 “왕길王吉추씨鄒氏의 ≪춘추春秋≫를 잘 알았다.”라고 하였다. “≪협씨전夾氏傳≫ 11권. 이 책은 기록만 있고 〈실물로 전하는〉 책이 없다.”〈라고 한 것이 다섯째이다.〉
≪추씨전≫과 ≪협씨전≫ 두 책의 내용은, ≪추씨전≫은 가르치는 스승이 없고 ≪협씨전≫은 전하는 책이 없었기 때문에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으니, 왕망王莽 때 없어진 듯하다.


역주
역주1 案漢書藝文志云 : 이 뒤의 글은 ≪한서≫ 〈예문지〉에서 발췌 인용하고 간간이 보충 설명한 것이다. ‘左氏傳三十卷 左丘明 魯大史’, ‘公羊傳十一卷 公羊子 齊人’, ‘穀梁傳十一卷 穀梁子 魯人’, ‘鄒氏傳十一卷’, ‘夾氏傳十一卷 有錄無書’, ‘鄒氏無師 夾氏未有書’가 인용 문구이다.
역주2 [穀梁子] (名赤 魯人)[魯人 名赤] : 저본에는 ‘穀梁子’가 없으나 문맥에 의거하여 보충하였고, 저본에는 ‘名赤’이 ‘魯人’ 앞에 있으나 문맥에 의거하여 순서를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3 糜信 : 三國時代 魏나라의 관료‧학자로, ≪春秋說要≫‧≪春秋穀梁傳注≫를 지었다.
역주4 (十)[七]錄 : ≪七錄≫은 남조 梁나라 阮孝緖가 편찬한 전적 목록으로, 經典錄‧紀傳錄‧子兵錄‧文集錄‧術伎錄‧佛法錄‧仙道錄의 7분야로 분류하였다.
‘七’이 저본에는 ‘十’으로 되어 있으나, 남송 王應麟의 ≪玉海≫ 卷40 〈藝文〉 ‘穀梁’ 조의 小注에 “阮孝緖亦以爲名俶 字元始”라고 한 데서, ‘名俶 字元始’는 완효서의 저술 ≪七錄≫에서 인용한 것임을 알 수 있으므로 ‘七’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5 : 穀梁子의 이름이다. ‘淑’으로 표기하기도 한다.(≪玉海≫ 卷40 〈藝文〉 ‘穀梁’ 조)
역주6 風俗通 : 後漢의 應劭가 편찬한 雜說集으로 ≪風俗通義≫라고도 한다. 淸代의 輯佚本이 전한다.
역주7 王吉善鄒氏春秋 : 이 내용이 ≪漢書≫에는 보이지 않고, 남송 王應麟의 ≪漢藝文志考證≫ 권3 〈春秋〉 ‘鄒氏傳十一卷 夾氏傳十一卷’ 조에는 “王吉能爲鄒氏春秋”로 되어 있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