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及乎仁義旣有하얀 親譽益著하야
[疏]正義曰:及乎者, 語之發端, 連上逮下之辭也. 仁者, 兼愛之名. 義者, 裁非之謂. ‘仁義旣有’, 謂三王時也.
案曲禮云 “太上貴德.” 鄭注云 “, 帝皇之世.” 又禮運云 “大道之行也.” 鄭注云 “大道謂五帝時.”
老子德經云 “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是道德當三皇五帝時, 則仁義當三王之時, 可知也.
慈愛之心曰親, 聲美之稱曰譽. 謂三王之世, 天下爲家,
, 親譽之道, 日益著見. 故曰 “親譽益著”也.


인의仁義가 생기고 나자 자애로운 마음과 아름다운 명성이 더욱 부각되어
정의왈正義曰급호及乎는 말을 꺼낼 때 위를 이어 아래에 미침을 표시하는 말이다. 은 두루 사랑한다는 말이고, 는 그릇된 것을 제재制裁한다는 말이다. ‘인의가 생기고 나자’는 삼왕시대를 말한다.
살펴보건대 ≪예기禮記≫ 〈곡례曲禮〉에 “태고[태상太上] 적에는 덕을 귀히 여겼고”라고 하였는데, 정현의 주에 “태고는 제황帝皇의 시대이다.”라고 하였다. 또 ≪예기禮記≫ 〈예운禮運〉에 “대도大道가 실행되던 시대에는[대도지행야大道之行也]”이라고 하였는데, 정현의 주에 “대도大道〈가 실행되던 시대〉는 오제五帝 때를 일컫는다.”라고 하였다.
노자老子≫ 〈덕경德經〉에는 “가 없어진 뒤에 이 드러나고, 덕이 없어진 뒤에 이 드러나고, 인이 없어진 뒤에 가 드러났다.”라고 하였다. 이에 따르면 이 〈실행된 것은〉 삼황오제 때에 해당하므로 가 생긴 것은 삼왕 때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자애慈愛의 마음을 이라 하고 명성이 아름답게 일컬어지는 것을 라고 한다. 하‧은‧주 삼왕三王의 시대에는 천하가 사사로운 집안이 되어
사람들이 각기 자기 어버이만 친애하고 자기 자식만 자애한 나머지 자애와 명성의 도리가 날로 더욱 부각되었다는 말이다. 이 때문에 “자애로운 마음과 아름다운 명성이 더욱 부각되었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大古 : ≪禮記≫ 〈曲禮〉의 정현 주에는 ‘太上’으로 되어 있다. 大古와 太上은 모두 太古‧上古와 같은 말이다.
역주2 三王之世……各子其子 : ≪禮記≫ 〈禮運〉의 “今大道旣隱 天下爲家 各親其親 各子其子”를 변형하여 인용한 말로, 본디 하‧은‧주 三代를 그 이전의 太古時代와 대비하여 말한 것이다. 〈예운〉에 태고시대에 대해서는 “大道之行也 天下爲公……故人不獨親其親 不獨子其子(大道가 행해지던 시대에는 천하가 公的인 것이었다.……이 때문에 사람들이 자기 어버이만을 친애하지 않았고 자기 자식만을 자애하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