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傳義(上)

주역전의(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傳] 剝 序卦 賁者 飾也 致飾然後亨則盡矣 故受之以剝이라하니라 夫物至於文飾이면 亨之極也 極則必反이라 故賁終則剝也 卦五陰而一陽이요 陰始自下生하여 漸長至於盛極하여 群陰 消剝於陽이라 故爲剝也 以二體言之하면 山附於地하니 山高起地上이어늘 而反附著於地하니 頹剝之象也
23. 剝 ䷖
不利有攸往니라
[傳] 剝者 群陰長盛하여 消剝於[一无於字]陽之時 衆小人 剝喪於[一无於字]君子 故君子不利有所往이요 唯當巽言晦迹하여 隨時消息하여 以免小人之害也
彖曰 剝 剝也ㅣ니 變剛也ㅣ니
不利有攸往 小人 長也라
[傳] 剝剝也 謂剝落也 柔變剛也 柔長而剛變也 하니 是陰柔變剛陽也 小人之道어늘 方長盛而剝消於[一作剛]陽이라 故君子不利有所往也
順而止之 觀象也ㅣ니 君子 尙消息盈虛 天行也ㅣ라
[傳] 君子當剝之時하여 知不可有所往하고 順時而止 乃能觀剝之象也 卦有順止之象하니 乃處剝之道 君子當觀而體之 君子尙消息盈虛天行也 君子存心消息盈虛之理而能順之라야 乃合乎天行也 有消衰, 有息長하고 有盈滿, 有虛損하니 順之則吉하고 逆之則凶하나니 君子隨時敦尙 所以事天也
象曰 山附於地이니야 厚下야 安宅니라
[傳] 艮重於坤 山附於地也 山高起於地而反附於地 圮剝之象也 謂人君與居人上者 觀剝之象而厚固其下하여 以安其居也 下者 上之本이니 未有基本固而能剝者也 故上[一作山]之剝 必自下하나니 下剝則上危矣 爲人上者 知理之如是 則安養人民하여 以厚其本하니 乃所以安其居也 書曰 民惟邦本이니 本固邦寧이라하니라
初六 剝牀以足이니 蔑貞이라토다
[傳] 陰之剝陽 自下而上이라 以牀爲象者 取身之所處也 自下而剝하여 漸至於身也 剝牀以足 剝牀之足也 剝始自下 故爲剝足이라 陰自下進하여 漸消蔑於[一无於字]貞正하니 凶之道也 无也 謂消亡於正道也[一作消亡正道也 一作消亡於正也] 陰剝陽, 柔變剛 是邪侵正, 小人消君子 其凶可知
象曰 剝牀以足 以滅下也ㅣ라
[傳] 取牀足爲象者 以陰侵沒陽於下也 沒也 侵滅正道하여 自下而上也
六二 剝牀以辨이니 蔑貞이라토다
[傳] 辨 分隔上下者 牀之幹也 陰漸進而上하여 剝至於辨이면 愈蔑於正也 凶益甚矣
象曰 剝牀以辨 未有與也라
[傳] 陰之侵剝於[一作剛]陽하여 得以益盛하여 至於剝辨者 以陽未有應與故也 小人侵剝君子 若君子有與 則可以勝小人하여 不能爲害矣어늘 唯其无與일새 所以被蔑而凶이라 當消剝之時하여 而无徒與 豈能自存也리오 言未有與 剝之未盛 有與 猶可勝也 示人之意深矣로다
六三 剝之无咎ㅣ니라
[傳] 衆陰剝陽之時而三獨居剛應剛하니 與上下之陰異矣 志從於正하니 在剝之時하여 爲无咎者也 三之爲 可謂善矣어늘 不言吉 何也 曰 方群陰剝陽하고 衆小人害君子하여 三雖從正이나 其勢孤弱하고 所應 在无位之地하니 於斯時也 難乎免矣 安得吉也리오 其義爲无咎耳 言其无咎 所以勸也
象曰 剝之无咎 失上下也라
[傳] 三居剝而无咎者 其所處與上下諸陰不同하니 是與其同類相失이니 於處剝之道 爲无咎 是也
六四 剝牀以膚ㅣ니니라
[傳] 始剝於牀足하여 漸至於膚하니 身之外也 將滅其身矣 其凶可知 陰長已盛하고 陽剝已甚하여 貞道已消 故更不言蔑貞하고 直言凶也하니라
象曰 剝牀以膚 切近災也ㅣ라
[傳] 五爲君位어늘 剝已及四하니 在人則剝其膚矣 剝及其膚하여 身垂於亡矣 切近於災禍也
六五 야 以宮人寵이면 无不利리라
[傳] 剝及君位 剝之極也 其凶可知 故更不言剝而別設義하여 以開小人遷善之門이라 群陰之主也 陰物이라 故以爲象이라 五能使群陰으로 順序 如貫魚然하여 反獲寵愛於在上之陽 如宮人이면 則无所不利也 宮人 宮中之人이니 妻妾侍使也 以陰言하고 且取獲寵[一作親]愛之義하니 以一陽在上하여 衆陰有順從之道 故發此義
象曰 以宮人寵이면 終无尤也ㅣ리라
[傳] 群陰 消[一无消字]剝於[一无於字]陽하여 以至於極하니 六五若能長率群陰하고 騈首順序하여 反獲寵愛於陽이면 則終无過尤也 於剝之將終 復發此義하니 聖人勸遷善之意 深切之至也
上九 碩果不食이니 君子 得輿고 小人 剝廬ㅣ리라
[傳] 諸陽 消剝已盡하고 獨有上九一爻尙存하니 如碩大之果不見食하여 將見復生之理하니 上九亦[一作一 一作已]變則純陰矣 然陽无可盡之理하니 變於上則生於下하여 无間可容息也 聖人發明此理하여 以見陽與君子之道不可亡也하시니라 或曰 剝盡則爲純坤하니 豈復有陽乎 曰 以卦配月이면 則坤當十月하니 以氣消息言이면 則陽剝[一有盡字]爲坤이요 陽[一有復字]來爲復하니 [一有然字]陽未嘗盡也 剝盡於上이면 則復生於下矣 故十月 謂之陽月이니 恐疑其无陽也 陰亦然호되 聖人不言耳 陰道盛極之時 其亂可知 亂極則自當思治 故衆心願載於君子하니 君子得輿也 理旣如是하고 在卦 亦衆陰宗陽하니 爲共載之象이라 小人剝廬 若小人則當剝之極하여 剝其廬矣 无所容其身也 更不論爻之陰陽하고 但言小人處剝極則及其廬矣 取在上之象이라 或曰 陰陽之消[一作交]必待盡而後復生於下어늘 此在上 便有復生之義 何也 曰 上九居剝之極하여 止有一陽하니 陽无可盡之理 故明其有復生之義하여 見君子之道不可亡也 夬者 陽消陰이니 小人之道也 故但言其消亡耳 何用更言却有復生之理乎
象曰 君子得輿 民所載也ㅣ오 小人剝廬 終不可用也ㅣ라
[傳] 正道消剝旣極이면 則人復思治 故陽剛君子爲民所承載也 若小人處剝之極이면 則小人之窮耳 終不可用也 非謂九爲小人이요 但言剝極之時 小人如是也




역주
역주1 하지일음생이점장(夏至一陰生而漸長)……즉극이성박(則極而成剝) : 건술(建戌)은 북두성(北斗星)의 자루가 술방(戌方)을 가리키는 달로 음력 9월에 해당한다. 5월인 하지(夏至)에 음(陰) 하나가 생겨 구괘(姤卦)[䷫]가 되고 6월은 이음(二陰)의 돈괘(遯卦)[䷠], 7월은 삼음(三陰)의 비괘(否卦)[䷋], 8월은 사음(四陰)의 관괘(觀卦)[䷓], 9월은 오음(五陰)의 박괘(剝卦)[䷖]가 되므로 말한 것이다.
역주2 : 착
역주3 동한지여강(東漢之呂强) : 여강(呂强)은 자(字)가 한성(漢盛)이고 성고(成皐) 사람인 바, 환관(宦官)으로 소황문(小黃門)이 되고 영제(靈帝) 때에 준례에 따라 후(侯)에 봉해지게 되었으나 이를 굳이 사양하였으며, 황건적(黃巾賊)이 일어나자 군주의 측근에 있는 탐관오리들을 제거하고 금고(禁錮)에 처한 당인(黨人)들을 모두 사면할 것을 청하였다. 뒤에 동료 환관의 모함을 받고 잡혀오게 되자, 자살하였다.
역주4 관어(貫魚) : 사계(沙溪)는 “관어(貫魚)의 관(貫)은 여러 첩(妾)들을 꿴다는 뜻이다. 꿰는 것은 후비(后妃)가 하는 것이요 물고기는 바로 여러 첩(妾)들이다.” 하였다. 《경서변의(經書辨疑)》
역주5 시비풍하천(詩匪風下泉) 소이거변풍지종야(所以居變風之終也) : 비풍(匪風)은 《시경(詩經)》 회풍(檜風)의 마지막 편이고 하천(下泉)은 조풍(曹風)의 마지막 편이며, 변풍(變風)은 십삼열국풍(十三列國風)을 이른다. 《시경(詩經)》은 내용상 풍(風)‧아(雅)‧송(頌)의 셋으로 나누며, 아(雅)는 소아(小雅)와 대아(大雅)로, 풍(風)‧아(雅)는 또 정(正)‧변(變)으로 나누어 정풍(正風)과 변풍(變風), 정소아(正小雅)와 변소아(變小雅), 정대아(正大雅)와 변대아(變大雅)로 구분한다. 그리하여 정풍(正風)은 주남(周南)‧소남(召南)을 이르고 변풍(變風)은 패풍(邶風) 이하 십삼열국풍(十三列國風)을 이르는데, 비풍(匪風)과 하천(下泉)은 모두 주(周)나라 왕실이 쇠약함을 서글퍼한 내용이므로 ‘변풍(變風)의 끝에 있다’고 말한 것이다. 물론 조풍(曹風)의 뒤에도 빈풍(豳風)이 더 있지만 빈풍(豳風)은 주공(周公)이 선조인 후직(后稷)과 공유(公劉)의 교화(敎化)를 서술하여 성왕(成王)을 경계한 것이어서 다른 열국풍(列國風)과는 성질상 다르기 때문에 조풍(曹風)이 변풍(變風)의 끝이 되는 것이다.
역주6 쾌지상육(夬之上六) 하이언종유흉(何以言終有凶) : 쾌괘(夬卦)의 상육효사(上六爻辭)에 “상육무호(上六无號) 종유흉(終有凶)”이라 하였으므로 말한 것이다.

주역전의(상)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