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傳義(上)

주역전의(상)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傳] 復 序卦 物不可以終盡이니 窮上反下 故受之以復이라하니라 物无剝盡之理 故剝極則復來[一无來字]하고 陰極則陽生하나니 陽剝極於上而復生於下 窮上而反下也 復所以次剝也 爲卦 一陽 生於五陰之下하니 陰極而陽復也 歲十月 陰盛旣極이라가 冬至則一陽復生於地中이라 故爲復也 君子之道 陽消極而復反 君子之道消極而復長也 故爲反善之義니라
24. 復 ䷗
야 出入 无疾야 朋來라 无咎ㅣ리라
[傳] 復亨 旣復則亨也 陽氣復生於下하면 漸亨盛而生育萬物하며 君子之道旣復이면 則漸以亨通하여 澤於天下 故復則有亨盛之理也 出入无疾 出入 謂生長이니 復生於內 入也 長進於外 出也 先云出 語順耳 陽生 非自外也로되 來於內 故謂之入이라 物之始生 其氣至微 故多屯艱하고 陽之始生 其氣至微 故多摧折하니 春陽之發 爲陰寒所折하니 觀草木於朝暮則可見矣 出入无疾 謂微陽生長 无害之者也 旣无害之 而其類漸進而來 則將亨盛이라 故无咎也 所謂咎 在氣則爲差忒이요 在君子[一有之道字]則爲抑塞하여 不得盡其理 陽之當復 雖使有疾之 固不能止其復也 但爲阻礙耳 而卦之才有无疾之義하니 乃復道之善也 一陽 始生至微하니 固未能勝群陰而發生萬物이요 必待諸陽之來然後 能成生物之功而无差忒하니 以朋來而无咎也 三陽子丑寅之氣 生成萬物 衆陽之功也 若君子之道 旣消而復 豈能便勝於小人이리오 必待其朋類漸盛이면 則能協力以勝之也
反復其道야 七日 來復니 利有攸往이니라
[傳] 謂消長之道 反復迭至 陽之消 至七日而來復이라 이라 故云七日이니 謂七更也 臨云八月有凶 謂陽長至於陰長 歷八月也 陽進則陰退하고 君子道長則小人道消 故利有攸往也
彖曰 復亨 剛反이니
動而以順行이라 是以出入无疾朋來无咎ㅣ니라
[傳] 復亨 謂剛反而亨也 陽剛消極而來反하니 旣來反則漸長盛而亨通矣 動而以順行是以出入无疾朋來无咎 以卦才 言其所以然也 下動而上順 是動而以順行也 陽剛反하고 以順動이라 是以得出入无疾하여 朋來而无咎也 朋之來 亦順動也
反復其道七日來復 天行也ㅣ오
利有攸往 剛長也니
其見天地之心乎뎌
[傳] 其道反復往來하여 迭消迭息[一有也字]이라 七日而來復者 天地之運行如是也 消長相因 天之理也 陽剛君子之道長이라 故利有攸往이라 一陽復於下 乃天地生物之心也 皆以靜爲見天地之心이라하니 蓋不知動之端 乃天地之心也 非知道者 孰能識之리오
象曰 雷在地中이니 先王야 至日 閉關야 商旅 不行며 后不省方니라
[傳] 雷者 陰陽相薄而成聲이나 當陽之微하여 未能發也니라 雷在地中 陽始復之時也 陽始生於下而甚微하니 安靜[一作順]而後能長이라 先王順天道하여 當至日陽之始生하면 安靜以養之 故閉關하여 使商旅不得行하고 人君不省視四方하나니 觀復之象而順天道也 在一人之身에도 亦然하니 當安靜以養其陽也
初九 不遠復이라 无祗悔 元吉니라
[傳] 復者 陽反來復也 君子之道 故復爲反善之義 剛陽來復하여 處卦之初하니 復之最先者也 是不遠而復也 失而後有復이니 不失則何復之有리오 唯失之不遠而復이면 則不至於悔 大善而吉也 宜音柢 抵也 玉篇云適也라하니 義亦同하니 无祗悔 不至於悔也 坎卦曰 祗旣平无咎라하니 謂至旣平也 顔子无形顯之過일새 夫子謂其庶幾라하시니 乃无祗悔也 過旣未形而改 何悔之有리오 旣未能不勉而中하고 所欲不踰矩 是有過也 然其明而剛이라 故一有不善이면 未嘗不知 旣知 未嘗不遽改 故不至於悔하니 乃不遠復也 하니라
象曰 不遠之復 以修身也ㅣ라
[傳] 不遠而復者 君子所以修其身之道也 學問[一无問字]之道 无他也 唯其知不善이면 則速改以從善而已니라
六二 休復이니니라
[傳] 二雖陰爻 處中正而切比於初하여 志從於陽하니 能下仁也 復之休美者也 復者 復於禮也 復禮則爲仁이라 初陽復 復於仁也어늘 二比而下之 所以美而吉也
象曰 休復之吉 以下仁也ㅣ라
[傳] 爲復之休美而吉者 以其能下仁也 仁者 天下之公이요 善之本也 初復於仁이어늘 二能親而下之 是以吉也
六三 이니나 无咎ㅣ리라
[傳] 三以陰躁 處動之極하니 復之頻而不能固者也 復貴安固하니 頻復頻失이면 不安於復也 復善而屢失 危之道也 聖人開遷善之道하여 與其復而危其屢失이라 故云厲无咎라하니 不可以頻失而戒其復也 頻失則爲危 屢復 何咎리오 過在失而不在復也니라
象曰 頻復之厲 義无咎也ㅣ니라
[傳] 頻復頻失 雖爲危厲 然復善之義 則无咎也
六四 中行호 獨復이로다
[傳] 此爻之義 最宜詳玩이라 四行群陰之中而獨能復하여 自處於正하고 下應於陽剛하니 其志可謂善矣 不言吉凶者 蓋四以柔 居群陰之間하고 初方甚微하여 不足以相援하니 无可濟之理 故聖人 但稱其能獨復이요 而不欲言其獨從道而必凶也 曰 然則不言无咎 何也 曰 以陰居陰하여 柔弱之甚하고 雖有從陽之志 終不克濟하니 非无咎也일새니라
象曰 中行獨復 以從道也ㅣ라
[傳] 稱其獨復者 以其從陽剛君子之善道也
六五 敦復이니 无悔니라
[傳] 六五以中順之德으로 處君位하여 能敦篤於復善者也 故无悔 雖本善이나 戒亦在其中矣 陽復方微之時 以柔居尊하고 下復无助하여 未能致亨吉也 能无悔而已
象曰 敦復无悔 中以自考也ㅣ라
[傳] 以中道自成也 五以陰居尊하여 處中而體順하니 能敦篤其志하여 以中道自成이면 則可以无悔也 自成 謂成其中順之德이라
上六 迷復이라니 有災眚야 用行師ㅣ면 終有大敗고 以其國이면야 至于十年 不克征리라
[傳] 以陰柔居復之終하여 終迷不復者也 迷而不復이면 其凶可知 有災眚 天災 自外來 己過 由自作이라 旣迷不復善하니 在己則動皆過失이요 災禍亦自外而至 蓋所招也 迷道不復 无施而可 用以行師則終有大敗 以之爲國則君之凶也 十年者 數之終이니 至於十年不克征 謂終不能行이라 旣迷於道하니 何時而可行也리오
象曰 迷復之凶 反君道也라
[傳] 復則合道어늘 旣迷於復이면 與道相反也 其凶可知 以其國君凶 謂其反君道也 人君 居上而治衆 當從天下之善이어늘 乃迷於復하니 反君之道也 非止人君 凡人迷於復者 皆反道而凶也니라




역주
역주1 양지시소야(陽之始消也) 칠변이성복(七變而成復) : 음력 4월에는 순양(純陽)인 건괘(乾卦)[䷀]가 되었다가 5월인 하지(夏至)가 되면 음(陰) 하나가 처음 생겨 양(陽)을 사라지게 하는 구괘(姤卦)[䷫]가 되며 6월에는 이음(二陰)의 돈괘(遯卦)[䷠], 7월에는 삼음(三陰)의 비괘(否卦)[䷋], 8월에는 사음(四陰)의 관괘(觀卦)[䷓], 9월에는 오음(五陰)의 박괘(剝卦)[䷖], 10월에는 순음(純陰)의 곤괘(坤卦)[䷁]가 되었다가 11월의 동지(冬至)가 되면 다시 양(陽) 하나가 생겨 복괘(復卦)[䷗]가 되므로 말한 것이다.
역주2 선유(先儒) : 사계(沙溪)는 “선유(先儒)는 바로 왕필(王弼)을 가리킨다.” 하였다.
역주3 : 현
역주4 육덕명(陸德明)……병현의부(並見衣部) : 육덕명(陸德明)은 당(唐)나라 오현(吳縣) 사람으로 이름이 원랑(元朗)이었는데 자(字)로 행세하였는 바, 명리(名理)에 밝아 고조(高祖) 때에 국자박사(國子博士)가 되어 여러 경전(經典)의 음독(音讀)을 주해(註解)하였으며, 《경전석문(經典釋文)》 30권을 저술하였다. 지자(祗字)에 대하여 사계(沙溪)는 “지(祗)는 음(音)이 지(秖)이니, 하문(下文)에 의부(衣部)라는 말과 다른 바, 반드시 지자(秖字)의 오자(誤字)일 것이다. 지자(祗字)는 또 습감괘(習坎卦)에 보이니, 마땅히 상고해야 한다.” 하였으며, 습감괘(習坎卦) 구오효사(九五爻辭)의 ‘지기평(祗旣平)’에서도 이것을 거론하고 “지(祗)는 평성(平聲)이다.” 하였다. 그러나 고대(古代)의 필사본(筆寫本)은 기(祇)‧지(祗)‧지(秖) 등을 혼동하여 써서 부수(部首)가 정확하지 않고 씨(氏)‧저(氐) 또한 제대로 구분되지 않으며, 뜻 또한 공경함, 큼, 마침, 다만으로 풀이하고 저(底)와도 통용되는 바, 이 경우 ‘이를 지’로 읽는다. 그리고 의부(衣部)의 기(衹)는 승려들의 법복(法服)으로 음이 ‘기’이나 또한 ‘다만 지’로도 통용됨을 밝혀둔다.
역주5 빈복(頻復) : 퇴계(退溪)는 ‘빈(頻)한 복(復)이니’와 ‘복(復)에 빈(頻)함이니’ 두 가지로 해석함을 밝히고, 아래의 ‘돈복(敦復)’과 ‘미복(迷復)’ 역시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음을 말하였다. 《경서석의(經書釋義)》
역주6 : 삭

주역전의(상)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