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傳義(下)

주역전의(하)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傳] 明夷 序卦 晉者 進也 進必有所傷이라 故受之以明夷하니 夷者 傷也라하니라 夫進之[一作而]不已 必有所傷 理自然也 明夷所以次晉也 爲卦 坤上離下하니 明入地中也 反晉이면 成明夷 故義與晉正相反하니 晉者 明盛之卦 明君在上하여 群賢竝進之時也 明夷 昏暗之卦 暗君在上하여 明者見傷之時也 日入於地中이면 明傷而昏暗也 故爲明夷
36. 明夷 ䷣
明夷 利艱貞니라
[傳] 君子當明夷之時하여 利在知艱難而不失其貞正也 在昏暗艱難之時하여 而能不失其正 所以爲明이니 [一有爲字]君子也
彖曰 明入地中 明夷
內文明而外柔順야 以蒙大難이니 文王 以之니라
[傳] 明入於地 其明滅也 故爲明夷 內卦離 離者 文明之象이요 外卦坤이니 坤者 柔順之象이니 爲人內有文明之德而外能柔順也 昔者文王如是 故曰文王以之 當紂之昏暗하니 乃明夷之時어늘 而文王內有文明之德하고 外柔順以事紂하여 蒙犯大難而內不失其明聖하고 而外足以遠禍患[一作害]하니 此文王所用之道也 故曰文王以之라하니라
利艱貞 晦其明也ㅣ라 內難而能正其志 箕子 以之니라
[傳] 明夷之時 利於處艱厄而不失其貞正이니 謂能晦藏其明也 不晦其明이면 則被禍患이요 不守其正이면 則非賢明이라 箕子當紂之時하여 身處其國內하여 切近其難이라 故云內難이라 然箕子能[一无能字]藏晦其明而自守其正志하니 箕子所用之道也 故曰箕子以之라하니라
象曰 明入地中 明夷 君子야 莅衆 用晦而明니라
[傳] 明 所以照 君子无所不照 然用明之過則傷於察이요 太察則盡事而无含弘之度 故君子觀明入地中之象하여 於莅衆也 不極其明察而用晦 然後 能容物和衆하여 衆親而安하나니 是用晦乃所以爲明也 若自任其明하여 无所不察이면 則已不勝其忿疾而无寬厚含容[一作弘]之德하여 人情睽疑而不安하여 失莅衆之道 適所以爲不明也 古之聖人 設前旒屛樹者 不欲明之盡乎隱也니라
初九 明夷于飛 垂其翼이니 君子于行 三日不食야 有攸往 主人 有言이로다
[傳] 初九 明體而居明夷之初하니 見傷之始也 陽明上升者也 故取飛象이라 昏暗在上하여 傷陽之明하여 使不得上進하니 是于飛而傷其翼也 翼見傷이라 故垂朶하니 凡小人之害君子 害其所以行者 君子于行三日不食 君子明照하여 見事之微하니 雖始有見傷之端하여 未顯也 君子則能見之矣 故行去避之 君子于行 謂去其祿位而退藏也 三日不食 言困窮之極也 事未顯而處甚艱하니 非見幾之明이면 不能也 夫知幾者 君子之獨見이요 非衆人所能識也 故明夷之始 其見傷未顯而去之 則世俗孰不疑怪리오 故有所往適則主人有言也 然君子不以世俗之見怪而遲疑其行也 若俟衆人盡識이면 則傷已及而不能去矣 或曰 傷至於垂翼이면 傷已明矣 何得衆人猶未識也리오 曰 初 傷之始也 云垂其翼 謂傷其所以飛爾 其事則未顯也 君子見幾 故亟去之 世俗之人 未能見也 故異而非之어든 況世俗之人乎 但譏其責小禮而不知穆生之去 避之禍也 當其言曰不去 楚人將鉗我於市하여 雖二儒者라도 亦以爲過甚之言也 又如 於黨事未起之前 名德之士 方鋒起而獨潛身土室이라 故人以爲狂生이나 卒免하니 所往而人有言 胡足怪也리오
象曰 君子于行 義不食也ㅣ라
[傳] 君子遯藏而困窮 義當然也 唯義之當然故安處而无悶하니 雖不食이라도 可也
六二 明夷 夷于左股ㅣ니 用拯馬면리라
[傳] 六二以至明之才 得中正而體順하니 順時自處 處之至善也 雖君子自處之善이나 然當陰闇小人傷明之時하여 亦不免爲其所傷이로되 但君子自處有道 故不能深相傷害하여 終能違避之爾 足者 所以行也 在脛足之上하여 於行之用 爲不甚切이요 又非便用者 手足之用 以右爲便이요 唯蹶張用左하니 蓋右立爲本也 夷于左股 謂傷害其行而不甚切也 雖然이나 亦必自免有道하니 拯用[一作其]壯健之馬 則獲免之速而吉也 君子爲陰闇所傷 其自處有道 故其傷不甚하고 自拯有道 故獲免之疾이니 用拯之道 不壯이면 則被傷深矣 故云馬壯則吉也 二以明居陰闇之下하니 所謂吉者 得免傷害而已 非謂可以有爲於斯時也
象曰 六二之吉 順以則也라
[傳] 六二之得吉者 以其順處而有法則也 謂中正之道 能順而得中正 所以處明傷之時而能保其吉也
九三 明夷于南狩야 得其大首ㅣ니 不可疾貞이니라
[傳] 九三 離之上이니 明之極也 又處剛而進하며 上六 坤之上이니 暗之極也 至明 居下而爲下之上하고 至暗 在上而處窮極之地하여 正相敵應하니 將以明去暗者也 斯義也 其湯武之事乎인저 在前而明方也 畋而去害之事也 南狩 謂前進而除害也 當克獲其大首 大首 謂暗之魁首 上六也 三與上 正相應이니 爲至明克至暗之象이라 不可疾貞 謂誅其元惡이요 舊染汚俗 未能遽革하여 必有其漸이니 革之遽 則駭懼而不安이라云 惟殷之迪諸臣惟工 乃湎于酒어든 勿庸殺之하고 姑惟敎之라하고 이라하니 是漸漬之俗 不可以遽革也 故曰不可疾貞이니 正之 不可急也 上六 雖非君位 以其居上而暗之極이라 故爲暗之主 謂之大首
象曰 南狩之志 乃大得也ㅣ로다
[傳] 夫以下之明으로 除上之暗 其志在去害而已 如商周之湯武 豈有意於利天下乎 得其大首 是能去害而大得其志矣 志苟不然이면 乃悖亂之事也
六四 入于左腹야 獲明夷之心야 于出門庭이로다
[傳] 六四以陰居陰而在陰柔之體하여 處近君之位하니 是陰邪小人 居高位하여 以柔邪順於君者也 六五 明夷之君位 傷明之主也어늘 四以柔邪順從之하여 以固其交하니 夫小人之事君 未有由顯明以道合者也 必以隱僻之道 自結於上하나니 右當用故爲明顯之所 左不當用故爲隱僻之所 人之手足 皆以右爲用하니 世謂僻所爲僻左라니 是左者 隱僻之所也 四由[一有是字]隱僻之道하여 深入其君이라 故云入于左腹이니 入腹 謂其交深也 其交之深故 得其心이라 凡姦邪之見信於其君 皆由奪其心也 不奪其心이면 能无悟乎 于出[一作出于]門庭 旣信之於心[一作旣奪其心]而後行之於外也 邪臣之事暗君 必先蠱其心而後能行於外니라
象曰 入于左腹 獲心意也ㅣ라
[傳] 入于左腹 謂以邪僻之道 入于君而得其心意也 得其心이라 所以終不悟也
六五 箕子之明夷 利貞니라
[傳] 五爲君位 乃常也 然易之取義 變動隨時 上六 處坤之上而明夷之極이니 陰暗傷明之極者也어늘 五切近之하니 聖人因以五爲切近至暗之人이라하여 以見處之之義 故不專以君位[一作義]言이요 上六 陰暗傷明之極이라 故以爲明夷之主 五切近傷明之主하니 若顯其明이면 則見傷害必矣 故當如箕子之自晦藏이면 則可以[一无以字]免於難이라 箕子 商之舊臣而同姓之親이니 可謂切近於紂矣 若不自晦其明이면 被禍可必也 故佯狂爲奴하여 以免於害 雖晦藏其明이나 而內守其正하니 所謂內難而能正其志 所以謂之仁與明也 若箕子 可謂貞矣 以五陰柔 故爲之戒云利貞이라하니 謂宜如箕子之貞固也 若以君道言이라도 義亦如是하니 人君有當含晦之時하니 亦外晦其明而內正其志也
象曰 箕子之貞 明不可息也ㅣ라
[傳] 箕子晦藏하여 不失其貞固하니 雖遭患難이나 其明自存하여 不可滅息也 若逼禍患하여 遂失其所守 則是亡其明이니 乃滅息也 古之人如揚雄者是也
上六 不明야 初登于天고 後入于地로다
[傳] 上居卦之終하여 爲明夷[一作夷明]之主 又爲明夷之極이라 至高之地 明在至高 本當遠照어늘 明旣夷傷이라 故不明而反昏晦也 本居於高하여 明當及遠 初登于天也 乃夷傷其明而昏暗 後入于地也 明夷之終이요 又坤陰之終이니 明傷之極者也
象曰 初登于天 照四國也ㅣ오 後入于地 失則也ㅣ라
[傳] 初登于天 居高而明이면 則當照及四方也어늘 乃被傷而昏暗하니 是後入于地 失明之道也 失則 失其道也




역주
역주1 설방소이위명이양웅소이불획기거야(薛方所以爲明而揚雄所以不獲其去也) : 설방(薛方)은 전한(前漢) 말기 제(齊)지방 사람으로 자(字)는 자용(子容)인데 왕망(王莽)이 제위(帝位)를 찬탈하고 부르자, “위에 요(堯)‧순(舜) 같은 성군(聖君)이 계시면 아래에 소부(巢父)‧허유(許由)와 같은 은사(隱士)가 있다.〔上有堯舜 下有巢由〕”하니, 왕망(王莽)이 그의 말에 기뻐하여 강제로 데려가지 않았다. 양웅(揚雄)은 당시의 유명한 학자로 《태현경(太玄經)》을 지었으나 왕망(王莽)에게 아첨하여 《극신론(劇新論)》을 지었으므로 말한 것이다.
역주2 목생지거초(穆生之去楚) 신공백공차비지(申公白公且非之) : 목생(穆生)과 신공(申公)‧백공(白公)은 모두 전한(前漢) 초기의 사람인데, 세 사람은 부구백(浮丘白)에게 시(詩)를 배웠는 바, 특히 신공(申公)은 신공배(申公培)로 시학(詩學)에 통달하여 《노시(魯詩)》를 지었다. 초(楚)의 원왕(元王)은 이들을 중대부(中大夫)로 삼고 특별히 예우하였는데, 목생(穆生)이 술을 좋아하지 않으므로 술자리를 베풀 때마다 특별히 목생(穆生)을 위하여 단술을 준비해 놓았다. 그러다가 이왕(夷王)을 거쳐 왕무(王戊)가 왕위(王位)를 계승한 뒤로는 종종 단술을 준비하지 않았다. 이에 목생(穆生)이 떠나가려 하니, 신공(申公)과 백공(白公)은 “우리들은 선왕에게 극진한 예우를 받았는데, 이제 왕이 조금 결례했다 하여 당장 떠나가는 것은 너무 지나치다.”하고 만류하였으나 목생(穆生)은 “내가 떠나가지 않으면 초나라 사람들은 나를 죄인으로 만들어 부역을 시킬 것이다.” 하고는 그대로 떠나가고 말았다. 그후 왕무(王戊)는 오(吳)나라와 내통하여 반란을 도모하였다가 패하여 죽었다.
역주3 서미(胥靡) : 노예나 죄인이 되어 복역(服役)함을 이른다.
역주4 원굉(袁閎) : 후한(後漢) 말기의 은사(隱士)로 세상에 출입하지 않고 토굴 속에서 살며 어머니를 효성으로 받드니, 황건적(黃巾賊)들도 그의 글읽는 소리를 듣고는 차마 해치지 못하고 피해 갔다 한다.
역주5 당고지화(黨錮之禍) :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에 환관(宦官)들이 진번(陳蕃)‧이응(李膺)‧범방(范滂) 등의 명사(名士)들을 당인(黨人)이라고 몰아 금고(禁錮)시킨 일을 가리킨다.
역주6 주고(酒誥) : 《서경(書經)》의 편명(篇名)으로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아우인 강숙(康叔)을 위(衛)나라에 봉(封)하면서 술마시는 것을 경계한 글이다. 위(衛)나라 지역은 본래 상(商)나라 주왕(紂王)의 옛 도성이었는 바, 주왕(紂王)이 술에 빠져 백성들이 모두 교화되었으므로 특별히 경계한 것이다.
역주7 지어기구(至於旣久) 상왈여풍미진(尙曰餘風未殄) : 《서경(書經)》 〈필명(畢命)〉에 “상(商)나라 풍속이 사치하고 화려하여 말 잘하는 것을 어질게 여겼는데, 남은 풍속이 아직도 끊어지지 않았으니, 공(公)은 이것을 생각하라.〔商俗靡靡 利口惟賢 餘風未殄 公其念哉〕” 라고 보인다. 필명(畢命)은 강왕(康王)이 필공(畢公)에게 성주(成周)인 낙읍(洛邑)을 다스리게 하면서 책명(冊命)한 내용인데, 낙읍(洛邑)에 상(商)나라의 백성들을 이주시켰으므로 특별히 지시한 것이다.

주역전의(하) 책은 2022.05.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