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八年春正月己卯
에 烝
注+無傳 此夏之月 非爲過而書者 爲下五月復烝見瀆也 例在五年하다
[經]天王使
가보家父來聘
注+無傳 가보家父 天子大夫 가보家 氏 가보父 字하다
[經]冬十月
에 雨雪
注+無傳 今八月也 書 時失하다
[經]
채공祭公來
하야 遂逆王后于
기국紀注+채공祭公 諸侯爲天子三채공公者 卿不書 擧重略輕 [附注] 林曰 채공祭公來 不稱王使 王未有成命也 遂 專也 是故書遂 始於此하다
傳
[傳]
수隨소사少師有寵
하니 초楚투백비鬪伯比曰 可矣
注+[附注] 林曰 투백비伯比告초楚子 言前年張수隨之計 可行矣니이다
讎有釁
하니 不可失也
注+釁 瑕隙也 無德者寵 國之釁니이다
傳
[傳]夏
에 초자楚子合諸侯于
침록沈鹿注+침록沈鹿 초자楚地 [附注] 林曰 欲以求隙討수국隨也에 황국黃수국隨不會
注+황국黃國 今弋陽縣하니 使
위장薳章讓
황국黃注+責其不會하고 초자楚子伐
수국隨하야 軍于
한수漢회수淮之間
하다
계량季梁請 下之
注+下之 請服也하야 弗許而後戰
이면 所以怒我而怠寇也
니이다
不然
이면 將失
초군楚師
注+[附注] 林曰 欲使隨人怒초군楚之不恕 而초군楚人不直其君 亦有怠心也 朱曰 下之則초군楚師怠 不許則我師怒 彼怠我怒 則可戰也하리이다
수후隨侯禦之
할새 望
초군楚師
注+遙見초군楚師하다 계량季梁曰
초군楚人上左
注+[附注] 朱曰 계량季梁又言초군楚國之法 以左爲貴 蓋夷狄之如此 若之類是也하니 초군君必左
注+초군君 초군楚君也 [附注] 朱曰 言초군楚君必在左초군軍 則左초군軍皆精兵也하리이다
右無良焉
하니 必敗
오 偏敗
면 衆乃攜矣
注+[附注] 林曰 偏師敗 초군楚師之衆 乃有攜貳之心矣리이다
少師曰 不當
초왕王이면 非敵也
니이다 弗從
注+不從계량季梁謀하고 戰于
속기速杞라가 수후隨師敗績
하니 수후隨侯逸
注+속기速杞 수후隨地 逸 逃也하다
투단鬪丹獲其
융우戎車與其
융우戎右소사少師注+투단鬪丹 楚大夫 융우戎車 君所乘兵車也 융우戎右 車융우右也 寵之 故以爲융우右하다
秋
에 수隨及
초楚平
注+[附注] 朱曰 旣敗而服초楚請和也하다
초자楚子將不許
한대 투백비鬪伯比曰 天去其疾矣
注+去疾 謂少師見獲而死니 수隨未可克也
니이다
傳
[傳]冬
에 주왕王命
괵중虢仲立
진晉애후哀侯之弟
민緡于
진晉注+괵중虢仲 주왕王卿士 괵중虢公林父하다
傳
[傳]
채공祭公來
하야 遂逆王后于
기紀하니 禮也
注+天子娶於諸侯 使同姓諸侯爲之主 채공祭公來 受命於노魯 故曰禮라
8년 봄 정월 기묘일에
증제烝祭를 지냈다.
注+전傳이 없다. 이 달이 하력夏曆으로는 중월仲月이니, 증제烝祭를 지낼 시기를 넘긴 것이 아닌데도 경經에 기록한 것은 아래 5월에 다시 증제를 지내어 신神을 존경하지 않고 모독冒瀆하였기 때문이다. 예例가 환공桓公 5년에 보인다.
천왕天王이
가보家父를
노魯나라에 사신으로 보내 와서
빙문聘問하였다.
注+전傳이 없다. 가보家父는 천자天子의 대부大夫이다. 가家는 씨氏이고 보父는 자字이다.
여름 오월 정축일에
증제烝祭를 지냈다.
注+전傳이 없다.
겨울 10월에 눈이 내렸다.
注+전傳이 없다. 지금의 8월이다. 기록한 것은 철을 잃었기 때문이다.
채공祭公이
노魯나라에 와서
환공桓公의
명命을 받은 뒤에
기국紀國으로 가서
왕후王后를 맞이하였다.
注+채공祭公은 제후諸侯로서 천자天子의 삼공三公이 된 자이다. 주왕周王이 노魯나라로 하여금 혼사婚事를 주재主宰하게 하였기 때문에 채공祭公이 노魯나라로 와서 환공桓公의 명命을 받은 뒤에 기국紀國으로 가서 왕후王后를 맞이한 것이다. 천자天子는 외국外國이 없기 때문에 왕후王后라고 칭한 것이다. 채공祭公 혼자서 온 것이 아니고 반드시 경卿이 수행하였을 것인데, 경卿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중重한 이만을 말하고 경輕한 이는 생략한 것이다.[부주]林: ‘채공래祭公來’라고만 칭稱하고 ‘왕사王使’라 칭하지 않은 것은 주왕周王의 성명成命(결정해 내린 명령)이 없었기 때문이다. ‘수遂’는 전專(제멋대로 함)이다. 그러므로 수遂를 기록한 것이 이때부터 비롯하였다.
傳
8년 봄에
익翼을
격멸擊滅하였다.
注+곡옥曲沃이 격멸한 것이다.
傳
수隨나라
소사少師가 그 임금에게 총애를 받으니,
초楚나라
투백비鬪伯比가 말하기를 “
수국隨國을 칠 수 있는 기회가 왔습니다.
注+[부주]林: 백비伯比가 초자楚子에게 고告한 것이다. 전년前年에 수隨나라를 교만 방자하게 한 계책計策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는 말이다.
적국敵國에 틈이 생겼으니,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됩니다.”고 하였다.
注+흔釁은 이용할 수 있는 틈이니, 덕德이 없는 자가 총애를 받는 것은 그 나라의 흔단釁端이다.
傳
여름에
초자楚子가
침록沈鹿에서 제후를
회합會合하였는데,
注+침록沈鹿은 초楚나라 땅이다.[부주]林: 꼬투리를 만들어 수국隨國을 치려한 것이다. 황국黃國과
수국隨國이 회합에 참가하지 않으니,
注+황국黃國은 지금의 익양현弋陽縣이다. 위장薳章을 보내어
황국黃國을
문책問責하게 하고,
注+회합에 오지 않은 것을 문책한 것이다.초자楚子는 직접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수국隨國를 토벌하기 위해
한수漢水와
회수淮水 사이에 주둔하였다.
계량季梁이
수후隨侯에게 항복하기를 청하며 말하기를
注+‘하지下之’는 항복하기를 청한 것이다. “저들이 우리의 항복을 허락하지 않은 뒤에 전투하면 우리의 군대를
격노激怒케 하고
적군敵軍을
해태懈怠하게 할 수 있습니다.”고 하였다.
그러자 소사少師가 수후隨侯에게 말하기를 “반드시 속전速戰하소서.
그렇게 하지 않으면 장차
초군楚軍을 이길 수 있는 기회를 잃을 것입니다.”고 하였다.
注+[부주]林: 수인隨人으로 하여금 초楚나라가 용서하지 않는 것에 대해 노하게 하고, 초인楚人들도 그 임금을 바르지 않게 보아 태만한 마음을 가지게 하고자 한 것이다. 주朱: 항복하기를 청하면 초군楚軍이 태만해지고, 항복을 허락하지 않으면 아군我軍이 노할 것이니, 저들은 태만하고 우리는 분노憤怒하면 전쟁을 해 볼 만하다는 말이다.
수후隨侯가
방어防禦하려 할 때 멀리
초사楚師를 바라보자,
注+멀리 초군楚軍을 바라본 것이다. 계량季良이 말하기를 “
초인楚人은 왼쪽을 높이니
注+[부주]朱: 계량이 또 초국楚國의 법法은 왼쪽을 귀하게 여긴다고 말한 것이다. 대체로 이적夷狄의 풍속이 이와 같으니, 좌임左衽의 유類같은 것이 이것이다. 초군楚君이 반드시
좌군左軍에 있을 것입니다.
注+군君은 초군楚君이다.[부주]朱: 초군楚君이 반드시 좌군左軍에 있다면 좌군은 모두 정예병精銳兵이라는 말이다.
그러니 초왕楚王과 마주치지 마시고, 우선 그 우군右軍을 공격하소서.
우군에는
양장良將이 없으니 반드시 패배할 것이고, 한쪽이 패배하면
초군楚軍의
군중群衆이 도망해 흩어질 것입니다.
注+[부주]林: 한 쪽 군대가 패배하면 초군楚軍의 군중群衆이 두 마음을 품는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소사가 말하기를 “
초왕楚王과 정면으로 상대하지 않으면 우리가 저들의
적수敵手가 아님을 드러내는 것입니다.”라고 하니,
수후隨侯는
계량季梁의 말을 따르지 않고,
注+계량의 계책을 따르지 않은 것이다. 속기速杞에서 전투하다가
수군隨軍이
대패大敗하고 수후는 도망하였다.
注+속기速杞는 수隨나라 땅이다. 일逸은 도망가는 것이다.
투단鬪丹이
수후隨侯의
융거戎車를
노획鹵獲하고
융우戎右소사少師를
생포生捕하였다.
注+투단鬪丹은 초楚나라 대부이다. 융거戎車는 임금이 타는 병거兵車이다. 융우戎右는 거우車右이다. 소사少師를 총애하였기 때문에 그를 우右로 삼은 것이다.
가을에
수隨나라가
초楚나라와
화평和平하였다.
注+[부주]朱: 패전한 뒤에 초楚나라에 항복하고 화평和平을 청한 것이다.
초자楚子가 허락하지 않으려 하자,
투백비鬪伯比가 말하기를 “하늘이
수隨나라의
해악害惡을 제거하였으니,
注+거질去疾(害惡을 제거함)은 소사少師가 잡혀 죽은 것을 이름이다. 수나라를 이길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초자楚子는 수나라와 결맹하고서 환국還國하였다.
傳
겨울에
주왕周王이
괵중虢仲에게 명하여
진晉나라로 가서
애후哀侯의 아우
민緡을 진나라 임금으로 세우게 하였다.
注+괵중虢仲은 주왕周王의 경사卿士괵공虢公임보林父이다.
傳
채공祭公이
노魯나라로 와서
환공桓公의 명을 받고 드디어
기紀나라로 가서
왕후王后를 맞이하였으니,
예禮에 맞았다.
注+천자天子가 제후諸侯 나라로 장가들 경우, 동성同姓제후諸侯로 하여금 혼사婚事를 주재主宰하게 한다. 채공祭公이 노魯나라로 와서 환공桓公의 명命을 받았기 때문에 ‘예禮’라고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