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十有二年春王正月
에 郕伯來奔
하다注+稱爵 見公以諸侯禮迎之 [附注] 林曰 此郕大子朱儒也 其曰郕伯 見魯以諸侯之禮逆之也 是故郕大子朱儒 魯謂之郕伯 晉大子州蒲 魯謂之晉侯  徒見其悖禮焉爾 
                        		
                        		
                        		
	                     		
			                       	
			                       	
	                     		
	                     		
		                        
                        	
                        	
                        	
                        	
                        		
                        			
                        			
			                        
                        		
                        		
                        		
	                     		
			                       	
			                       	
	                     		
	                     		
		                        
                        	
                        	
                        	
                        	
                        		
                        			
                        			
			                        
                        		
                        		
                        		
	                     		
			                       	
			                       	
	                     		
	                     		
		                        
                        	
                        	
                        	
                        	
                        		
                        			
                        			
			                        
			                        	[經]夏
에 楚人圍巢
하다注+巢 吳楚間小國 廬江六縣東有居巢城 
                        		
                        		
                        		
	                     		
			                       	
			                       	
	                     		
	                     		
		                        
                        	
                        	
                        	
                        	
                        		
                        			
                        			
			                        
                        		
                        		
                        		
	                     		
			                       	
			                       	
	                     		
	                     		
		                        
                        	
                        	
                        	
                        	
                        		
                        			
                        			
			                        
			                        	[經]秦伯使術來聘
하다注+術 不稱氏 史略文 [附注] 林曰 秦君臣始並見 
                        		
                        		
                        		
	                     		
			                       	
			                       	
	                     		
	                     		
		                        
                        	
                        	
                        	
                        	
                        		
                        			
                        			
			                        
			                        	[經]冬十有二月戊午
에 晉人秦人戰于河曲
하다注+不書敗績 交綏而退 不大崩也 稱人 秦晉無功 以微者告也 皆陳曰戰 例在莊十一年 河曲在河東蒲坂縣南 
                        		
                        		
                        		
	                     		
			                       	
			                       	
	                     		
	                     		
		                        
                        	
                        	
                        	
                        	
                        		
                        			
                        			
			                        
			                        	[經]季孫行父帥師城諸及鄆
하다注+鄆 莒魯所爭者 城陽姑幕縣南有員亭 員卽鄆也 以其遠偪外國 故帥師城之 
                        		
                        		
                        		
	                     		
			                       	
			                       	
	                     		
	                     		
		                        
                        	
                        	
                        	
                        	
                        		
                        		
                        		
                        			
                        			
		                       		
		                       		
		                       		
		                       			
		                       			
		                       			
		                       				傳
		                       		
		                        
		                        	
		                        		
		                            	[傳]十二年春
에 郕伯卒
하다注+[附注] 林曰 朱儒之父卒 
									
                        			
                        			
                        		
	                     		
			                       	
			                       	
	                     		
	                     		
		                        
                        	
                        	
                        	
                        	
                        		
                        		
                        		
                        			
                        			
		                       		
		                       		
		                       		
		                        
		                        	
		                        		
		                            	郕人立君
注+大子自安於外邑故하니 大子以夫鍾與
來奔
하다注+郕邽亦邑 
									
                        			
                        			
                        		
	                     		
			                       	
			                       	
	                     		
	                     		
		                        
                        	
                        	
                        	
                        	
                        		
                        		
                        		
                        			
                        			
		                       		
		                       		
		                       		
		                        
		                        	
		                        		
									
                        			
                        			
                        		
	                     		
			                       	
			                       	
	                     		
	                     		
		                        
                        	
                        	
                        	
                        	
                        		
                        		
                        		
                        			
                        			
		                       		
		                       		
		                       		
		                        
		                        	
		                        		
									
                        			
                        			
                        		
	                     		
			                       	
			                       	
	                     		
	                     		
		                        
                        	
                        	
                        	
                        	
                        		
                        		
                        		
                        			
                        			
		                       		
		                       		
		                       		
		                       			
		                        			
		                        				
		                        				 
		                        			
		                       			
		                       			
		                       			
		                       				傳
		                       		
		                        
		                        	
		                        		
		                            	[傳]杞桓公來朝
하니 始朝公也
라注+公卽位 始來朝 
									
                        			
                        			
                        		
	                     		
			                       	
			                       	
	                     		
	                     		
		                        
                        	
                        	
                        	
                        	
                        		
                        		
                        		
                        			
                        			
		                       		
		                       		
		                       		
		                        
		                        	
		                        		
									
                        			
                        			
                        		
	                     		
			                       	
			                       	
	                     		
	                     		
		                        
                        	
                        	
                        	
                        	
                        		
                        		
                        		
                        			
                        			
		                       		
		                       		
		                       		
		                        
		                        	
		                        		
									
                        			
                        			
                        		
	                     		
			                       	
			                       	
	                     		
	                     		
		                        
                        	
                        	
                        	
                        	
                        		
                        		
                        		
                        			
                        			
		                       		
		                       		
		                       		
		                        
		                        	
		                        		
		                            	不言杞
는 絶也
오注+旣許其絶 故不書杞 書叔姬
는 라注+女未笄而卒 不書 
									
                        			
                        			
                        		
	                     		
			                       	
			                       	
	                     		
	                     		
		                        
                        	
                        	
                        	
                        	
                        		
                        		
                        		
                        			
                        			
		                       		
		                       		
		                       		
		                       			
		                        			
		                        				
		                        				 
		                        			
		                       			
		                       			
		                       			
		                       				傳
		                       		
		                        
		                        	
		                        		
		                            	[傳]楚令尹大孫伯卒
하고 成嘉爲令尹
注+若敖曾孫子孔하니 羣舒叛楚
하다注+群舒 偃姓 舒庸舒鳩之屬 今廬江南有舒城 舒城西南有龍舒 
									
                        			
                        			
                        		
	                     		
			                       	
			                       	
	                     		
	                     		
		                        
                        	
                        	
                        	
                        	
                        		
                        		
                        		
                        			
                        			
		                       		
		                       		
		                       		
		                       			
		                        			
		                        				
		                        				 
		                        			
		                       			
		                       			
		                       			
		                       				傳
		                       		
		                        
		                        	
		                        		
		                            	[傳]夏
에 子孔執舒子平及
하고 遂圍巢
하다注+平 舒君名 宗巢二國 群舒之屬 
									
                        			
                        			
                        		
	                     		
			                       	
			                       	
	                     		
	                     		
		                        
                        	
                        	
                        	
                        	
                        		
                        		
                        		
                        			
                        			
		                       		
		                       		
		                       		
		                       			
		                        			
		                        				
		                        				 
		                        			
		                       			
		                       			
		                       			
		                        			
		                       			
		                       			
		                       			
		                       				傳
		                       		
		                        
		                        	
		                        		
									
                        			
                        			
                        		
	                     		
			                       	
			                       	
	                     		
	                     		
		                        
                        	
                        	
                        	
                        	
                        		
                        		
                        		
                        			
                        			
		                       		
		                       		
		                       		
		                        
		                        	
		                        		
		                            	襄仲辭玉曰 君不忘先君之好
하야 照臨魯國
하야 鎭撫其社稷
하고 重之以大器
하니 寡君敢辭玉
하노라注+大器 也 不欲與秦爲好 故辭玉 [附注] 朱曰 重 申也 聘義曰 已聘而還圭璋 今云辭玉 則是先聘而辭之也 對曰 不腆敝器不足辭也
라注+腆 厚也 
									
                        			
                        			
                        		
	                     		
			                       	
			                       	
	                     		
	                     		
		                        
                        	
                        	
                        	
                        	
                        		
                        		
                        		
                        			
                        			
		                       		
		                       		
		                       		
		                        
		                        	
		                        		
		                            	主人三辭
하니 賓答曰 寡君願徼福于周公魯公以事君
注+徼 要也 魯公 伯禽也 言願事君以幷蒙先君之福하야 不腆先君之敝器
를 使下臣致諸執事
하야 以爲
注+節 信也 出聘必告廟 故稱先君之器하야 要結
이라 
									
                        			
                        			
                        		
	                     		
			                       	
			                       	
	                     		
	                     		
		                        
                        	
                        	
                        	
                        	
                        		
                        		
                        		
                        			
                        			
		                       		
		                       		
		                       		
		                        
		                        	
		                        		
									
                        			
                        			
                        		
	                     		
			                       	
			                       	
	                     		
	                     		
		                        
                        	
                        	
                        	
                        	
                        		
                        		
                        		
                        			
                        			
		                       		
		                       		
		                       		
		                        
		                        	
		                        		
									
                        			
                        			
                        		
	                     		
			                       	
			                       	
	                     		
	                     		
		                        
                        	
                        	
                        	
                        	
                        		
                        		
                        		
                        			
                        			
		                       		
		                       		
		                       		
		                        
		                        	
		                        		
		                            	襄仲曰 不有君子
면 其能國乎
아注+[附注] 朱曰 襄仲聞使臣之辭命和遜 故知秦有君子也 
									
                        			
                        			
                        		
	                     		
			                       	
			                       	
	                     		
	                     		
		                        
                        	
                        	
                        	
                        	
                        		
                        		
                        		
                        			
                        			
		                       		
		                       		
		                       		
		                        
		                        	
		                        		
		                            	國無陋矣
注+[附注] 朱曰 言以此見 天下無僻陋無之國矣라하고 厚賄之
하다注+賄 贈送也 
									
                        			
                        			
                        		
	                     		
			                       	
			                       	
	                     		
	                     		
		                        
                        	
                        	
                        	
                        	
                        		
                        		
                        		
                        			
                        			
		                       		
		                       		
		                       		
		                       			
		                        			
		                        				
		                        				 
		                        			
		                       			
		                       			
		                       			
		                       				傳
		                       		
		                        
		                        	
		                        		
		                            	[傳]秦爲令狐之役故
로 冬
에 秦伯伐晉
하야 取羈馬
하다注+令狐役 在七年 羈馬 晉邑 
									
                        			
                        			
                        		
	                     		
			                       	
			                       	
	                     		
	                     		
		                        
                        	
                        	
                        	
                        	
                        		
                        		
                        		
                        			
                        			
		                       		
		                       		
		                       		
		                        
		                        	
		                        		
		                            	晉人禦之
할새 趙盾將中軍
하고 荀林父佐之
注+林父代先克하고 郤缺將上軍
注+代箕鄭하고 臾騈佐之
注+代林父하고 欒盾將下軍
注+欒枝子 代先蔑하고 胥甲佐之
注+胥臣子 代先都하고 范無恤御戎
注+代步招하야 以從秦師于河曲
하다 
									
                        			
                        			
                        		
	                     		
			                       	
			                       	
	                     		
	                     		
		                        
                        	
                        	
                        	
                        	
                        		
                        		
                        		
                        			
                        			
		                       		
		                       		
		                       		
		                        
		                        	
		                        		
		                            	臾騈曰 秦不能久
리니 請深壘固軍以待之
하소서 從之
하다注+[附注] 朱曰 深壘 卽高壘 蓋溝深則壘高也 固軍 謂軍所舍處 欲其固也 待之 謂不與戰而待其自弊也 
									
                        			
                        			
                        		
	                     		
			                       	
			                       	
	                     		
	                     		
		                        
                        	
                        	
                        	
                        	
                        		
                        			
                        			
                        				
                        				 
                        			
			                        
			                        	秦人欲戰
하야 秦伯謂士會曰 若何而戰
가注+晉士會 七年奔秦 對曰
 
                        		
                        		
                        		
	                     		
			                       	
			                       	
	                     		
	                     		
		                        
                        	
                        	
                        	
                        	
                        		
                        			
                        			
			                        
			                        	趙氏新出其屬曰臾騈
이니 必實爲此謀
하야 將以老我師也
니이다注+臾騈 趙盾屬大夫 新出佐上軍 
                        		
                        		
                        		
	                     		
			                       	
			                       	
	                     		
	                     		
		                        
                        	
                        	
                        	
                        	
                        		
                        			
                        			
			                        
			                        	趙有側室曰穿
이니 晉君之壻也
니이다注+側室 支子 穿 趙夙庶孫 有寵而弱
하야 不在軍事
注+弱 年少也 又未嘗軍事 하고 好勇而狂
하며 且惡臾騈之佐上軍也
하니 若使輕者肆焉
이면 其可
리이다注+肆 暫往而退也 [附注] 林曰 言若使輕兵暫往攻之而速退 則激怒趙穿 可得一戰 
                        		
                        		
                        		
	                     		
			                       	
			                       	
	                     		
	                     		
		                        
                        	
                        	
                        	
                        	
                        		
                        			
                        			
			                        
                        		
                        		
                        		
	                     		
			                       	
			                       	
	                     		
	                     		
		                        
                        	
                        	
                        	
                        	
                        		
                        			
                        			
			                        
			                        	十二月戊午
에 秦軍掩晉上軍
하니 趙穿追之
나 不及
하다注+上軍不動 趙穿獨追之 
                        		
                        		
                        		
	                     		
			                       	
			                       	
	                     		
	                     		
		                        
                        	
                        	
                        	
                        	
                        		
                        			
                        			
			                        
                        		
                        		
                        		
	                     		
			                       	
			                       	
	                     		
	                     		
		                        
                        	
                        	
                        	
                        	
                        		
                        			
                        			
			                        
			                        	裹糧坐甲
은 固敵是求
注+[附注] 林曰 坐甲 戰士被甲不得復臥 坐而待敵也어늘 敵至不擊
하고 將何俟焉
가 
                        		
                        		
                        		
	                     		
			                       	
			                       	
	                     		
	                     		
		                        
                        	
                        	
                        	
                        	
                        		
                        			
                        			
			                        
			                        	軍吏曰 將有待也
니이다注+待可擊 穿曰 我不知謀
하니 將獨出
이라하고 乃以其屬出
하다 
                        		
                        		
                        		
	                     		
			                       	
			                       	
	                     		
	                     		
		                        
                        	
                        	
                        	
                        	
                        		
                        			
                        			
			                        
			                        	宣子曰 秦獲穿也
면 獲一卿矣
注+僖三十三年 晉侯以一命命郤缺爲卿 不在軍帥之數 然則晉自有散位從卿者니 秦以勝歸
면 我何以報
오하고 乃皆出戰
타가 交綏
하다注+司馬法曰 逐奔不遠 從綏不及 逐奔不遠則難誘 從綏不及則難陷 然則古名退軍爲綏 秦晉志未能堅戰 短兵未致 爭而兩退 故曰交綏 
                        		
                        		
                        		
	                     		
			                       	
			                       	
	                     		
	                     		
		                        
                        	
                        	
                        	
                        	
                        		
                        			
                        			
			                        
			                        	秦行人夜戒晉師
注+[附注] 林曰 兵交使在其間 故秦使行人夜戒晉師 與約戰期曰 兩軍之士
가 皆未憖也
니 明日請相見也
하노라注+憖 缺也 
                        		
                        		
                        		
	                     		
			                       	
			                       	
	                     		
	                     		
		                        
                        	
                        	
                        	
                        	
                        		
                        			
                        			
			                        
			                        	臾騈曰 使者目動而言肆
하니 懼我也
라注+目動 心不安 言肆 聲放失常節 
                        		
                        		
                        		
	                     		
			                       	
			                       	
	                     		
	                     		
		                        
                        	
                        	
                        	
                        	
                        		
                        			
                        			
			                        
			                        	將遁矣
니 薄諸河
면 必敗之
리이다注+薄 迫也 胥甲趙穿當軍門呼曰 死傷未收而棄之
는 不惠也
오 不待期而薄人於險
은 無勇也
라하니 乃止
하다注+晉師止 爲宣元年放胥甲傳 
                        		
                        		
                        		
	                     		
			                       	
			                       	
	                     		
	                     		
		                        
                        	
                        	
                        	
                        	
                        		
                        			
                        			
			                        
                        		
                        		
                        		
	                     		
			                       	
			                       	
	                     		
	                     		
		                        
                        	
                        	
                        	
                        	
                        		
                        			
                        			
			                        
                        		
                        		
                        		
	                     		
			                       	
			                       	
	                     		
	                     		
		                        
                        	
                        	
                        	
                        	
                        		
                        		
                        		
                        			
                        			
		                       		
		                       		
		                       		
		                       			
		                        			
		                       			
		                       			
		                       			
                    			
                   			
                        	
                        	
                        	
                        	
	                       	
	                       	
	                       	
	                       	
							                       	
	                        
	                        
	                        	
	                        
	                        	
	                        		
	                        	
	                        
	                        	
	                        
	                        	
	                        		
	                        	
	                        
	                        	
	                        
	                        	
	                        		
	                        	
	                        
	                        	
	                        
	                        	
	                        		
	                        	
	                        
	                        	
	                        
	                        	
	                        		
	                        	
	                        
	                        	
	                        
	                        	
	                        		
	                        	
	                        
	                        	
	                        
	                        	
	                        		
	                        	
	                        
	                        	
	                        
	                        	
	                        		
	                        	
	                        
	                        	
	                        
	                        	
	                        
	                        	
	                        
	                        	
	                        
	                        	
	                        
	                        	
	                        
	                        	
	                        
	                        	
	                        
	                        	
	                        
	                        	
	                        
	                        	
	                        
	                        	
	                        
	                        	
	                        
	                        	
	                        
	                        	
	                        
	                        	
	                        
	                        	
	                        
	                        	
	                        
	                        	
	                        
	                        	
	                        
	                        	
	                        
	                        	
	                        
	                        	
	                        
	                        	
	                        
	                        	
	                        
	                        	
	                        
	                        	
	                        
	                        	
	                        
	                        	
	                        
	                        	
	                        
	                        	
	                        
	                        	
	                        
	                        	
	                        
	                        	
	                        
	                        	
	                        
	                        	
	                        
	                        	
	                        
	                        	
	                        
	                        	
	                        
	                        	
	                        
	                        	
	                        
	                        	
	                        
	                        	
	                        
	                        	
	                        		
	                        	
	                        
	                        	
	                        
	                        	
	                        		
	                        	
	                        
	                        	
	                        
	                        	
	                        		
	                        	
	                        
	                        	
	                        
	                        	
	                        		
	                        	
	                        
	                        	
	                        
	                        	
	                        		
	                        	
	                        
	                        	
	                        
	                        	
	                        		
	                        	
	                        
	                        	
	                        
	                        	
	                        		
	                        	
	                        
	                        	
	                        
	                        	
	                        		
	                        	
	                        
	                        	
	                        
	                        	
	                        		
	                        	
	                        
	                        	
	                        
	                        	
	                        		
	                        	
	                        
	                        	
	                        
	                        	
	                        		
	                        	
	                        
	                        	
	                        
	                        	
	                        		
	                        	
	                        
	                        	
	                        
	                        	
	                        		
	                        	
	                        
	                        	
	                        
	                        	
	                        		
	                        	
	                        
	                        	
	                        
	                        	
	                        
	                        	
	                        
	                        	
	                        
	                        
	                        
                        	
		                        
		                        
		                        
		                        
                        		
                        	
		                        
		                        
		                        
		                        	
		                        	
		                        
		                        
                        		
                        		
                        			
			                        
			                        	12년 봄 
주왕周王정월正月에 
성백郕伯이 도망해 왔다.
注+작爵을 칭한 것은 문공文公이 제후諸侯의 예禮로 그를 영접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부주]林: 이는 성郕나라 태자太子주유朱儒이다. 그런데도 ‘성백郕伯’이라고 한 것은 노군魯君이 그를 제후諸侯의 예禮로 영접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성郕나라 태자太子주유朱儒를 노사魯史에 성백郕伯으로, 진晉나라 태자太子주포州蒲를 노사魯史에 진후晉侯로 기록하였다.(成公 10년) 사관史官이 공公의 뜻에 따라 기록하였으나 노魯나라의 패례悖禮만을 드러냈을 뿐이다.      
                        			
                        		
                        		
	                     		
			                       	
			                       	
	                     		
		                        
                        	
		                        
		                        
		                        
		                        
                        		
                        	
		                        
		                        
		                        
		                        	
		                        	
		                        
		                        
                        		
                        		
                        			
			                        
			                        	기백杞伯이 와서 
조현朝見하였다.
注+‘자子’로 칭하지 않고 다시 ‘백伯’으로 칭한 것은 이적夷狄의 예禮를 버렸기 때문이다. 
			                              
                        			
                        		
                        		
	                     		
			                       	
			                       	
	                     		
		                        
                        	
		                        
		                        
		                        
		                        
                        		
                        	
		                        
		                        
		                        
		                        	
		                        	
		                        
		                        
                        		
                        		
                        			
			                        
			                        	2월 
경자일庚子日에 
자숙희子叔姬가 
졸卒하였다.
注+이미 출가出嫁하여 남의 아내가 되었다가 버림을 받고 쫓겨났는데도 오히려 은애恩愛로 그 죽음을 기록한 것이다.      
                        			
                        		
                        		
	                     		
			                       	
			                       	
	                     		
		                        
                        	
		                        
		                        
		                        
		                        
                        		
                        	
		                        
		                        
		                        
		                        	
		                        	
		                        
		                        
                        		
                        		
                        			
			                        
			                        	여름에 
초인楚人이 
소巢나라를 포위하였다.
注+소巢나라는 오吳나라와 초楚나라 사이에 있는 작은 나라이다. 여강廬江육현六縣 동쪽에 거소성居巢城이 있다.      
                        			
                        		
                        		
	                     		
			                       	
			                       	
	                     		
		                        
                        	
		                        
		                        
		                        
		                        
                        		
                        	
		                        
		                        
		                        
		                        	
		                        	
		                        
		                        
                        		
                        		
                        			
			                             
                        			
                        		
                        		
	                     		
			                       	
			                       	
	                     		
		                        
                        	
		                        
		                        
		                        
		                        
                        		
                        	
		                        
		                        
		                        
		                        	
		                        	
		                        
		                        
                        		
                        		
                        			
			                        
			                        	진백秦伯이 
술術을 보내어 와서 
빙문聘問하였다.
注+술術의 씨氏를 칭稱하지 않은 것은 사관史官이 글을 생략省略한 것이다. [부주]林: 진秦나라의 군신君臣이 비로소 함께 보이기 시작하였다. 
			                              
                        			
                        		
                        		
	                     		
			                       	
			                       	
	                     		
		                        
                        	
		                        
		                        
		                        
		                        
                        		
                        	
		                        
		                        
		                        
		                        	
		                        	
		                        
		                        
                        		
                        		
                        			
			                        
			                        	겨울 12월 
무오일戊午日에 
진인晉人과 
진인秦人이 
하곡河曲에서 
전쟁戰爭하였다.
注+‘패적敗績’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양군兩軍이 함께 퇴각退却하여 크게 무너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人’으로 칭한 것은 진晉나라와 진秦나라가 모두 전공戰功이 없었으므로 미천微賤한 자가 출전出戰한 것으로 통고通告하였기 때문이다. 양군兩軍이 모두 진陳을 친 뒤에 서로 공격하는 것을 ‘전戰’이라 한다. 그 예例가 장공莊公 11년 전傳에 보인다. 하곡河曲은 하동河東포판현蒲坂縣 남쪽에 있다.       
                        			
                        		
                        		
	                     		
			                       	
			                       	
	                     		
		                        
                        	
		                        
		                        
		                        
		                        
                        		
                        	
		                        
		                        
		                        
		                        	
		                        	
		                        
		                        
                        		
                        		
                        			
			                        
			                        	계손행보季孫行父가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제諸와 
운鄆에 
성城을 쌓았다.
注+운鄆은 거莒나라와 노魯나라가 서로 다투는 땅이다. 성양城陽고막현姑幕縣 남쪽에 원정員亭이 있다. 원員이 바로 운鄆이다. 그 곳이 멀리서 외국外國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성을 쌓은 것이다. 
			                              
                        			
                        		
                        		
	                     		
			                       	
			                       	
	                     		
		                        
                        	
		                        
		                        
		                        
		                        
                        		
                        	
		                        
		                        
		                        
		                        
                        		
                        		
                        		
                        			
                        			
		                       		
		                       		
		                       		
		                       			
		                       			
		                       			
		                       				傳
		                       		
		                       		
		                        		
			                            	12년 봄에 
성백郕伯이 
졸卒하였다.
注+[부주]林: 주유朱儒의 아버지가 졸卒한 것이다. 
									
                        			
                        			
                        		
	                     		
			                       	
			                       	
	                     		
		                        
                        	
		                        
		                        
		                        
		                        
                        		
                        	
		                        
		                        
		                        
		                        
                        		
                        		
                        		
                        			
                        			
		                       		
		                       		
		                       		
		                       		
		                        		
			                            	성인郕人이 다른 사람을 임금으로 세우니
注+태자太子가 자기 혼자서 외읍外邑에 거처居處하였기 때문이다.태자太子가 
부종夫鐘과 
성규郕邽를 가지고 
노魯나라로 도망해 왔다.
注+성규郕邽도 읍명邑名이다. 
			                             
									
                        			
                        			
                        		
	                     		
			                       	
			                       	
	                     		
		                        
                        	
		                        
		                        
		                        
		                        
                        		
                        	
		                        
		                        
		                        
		                        
                        		
                        		
                        		
                        			
                        			
		                       		
		                       		
		                       		
		                       		
		                        		
			                            	공公이 
제후諸侯의 
예禮로 그를 맞이하였으니 
예禮가 아니다.
注+공公이 반역자叛逆者를 존대尊待[寵]한 것을 비난한 것이다. 
			                             
									
                        			
                        			
                        		
	                     		
			                       	
			                       	
	                     		
		                        
                        	
		                        
		                        
		                        
		                        
                        		
                        	
		                        
		                        
		                        
		                        
                        		
                        		
                        		
                        			
                        			
		                       		
		                       		
		                       		
		                       		
		                        		
			                            	그러므로 
경經에 “
성백郕伯이 도망해 왔다.”고만 기록하고 가지고 온 땅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그를 
제후諸侯로 
존대尊待한 것이다.
注+이미 그를 제후諸侯로 존대尊待하였기 때문에 다시 읍邑을 훔쳐 가지고 온 죄罪를 드러내지 않은 것이다. 
									
                        			
                        			
                        		
	                     		
			                       	
			                       	
	                     		
		                        
                        	
		                        
		                        
		                        
		                        
                        		
                        	
		                        
		                        
		                        
		                        
                        		
                        		
                        		
                        			
                        			
		                       		
		                       		
		                       		
		                       			
		                        			
		                        				
		                        				 
		                        			
		                       			
		                       			
		                       			
		                       				傳
		                       		
		                       		
		                        		
			                            	기환공杞桓公이 와서 
조현朝見하였으니 비로소 
문공文公에게 
조현朝見한 것이다.
注+문공文公이 즉위한 뒤에 비로소 와서 조현朝見한 것이다. 
			                             
									
                        			
                        			
                        		
	                     		
			                       	
			                       	
	                     		
		                        
                        	
		                        
		                        
		                        
		                        
                        		
                        	
		                        
		                        
		                        
		                        
                        		
                        		
                        		
                        			
                        			
		                       		
		                       		
		                       		
		                       		
		                        		
			                            	또 
숙희叔姬와는 
부부夫婦의 인연은 
단절斷絶하되 
노魯나라와의 
혼인관계婚姻關係는 
단절斷絶하지 않기를 요청하니 
공公이 허락하였다.
注+혼인 관계를 단절하지 않겠다는 것은 숙희叔姬의 동생을 부인夫人으로 세우겠다는 말이다. ‘대귀大歸’를 기록하지 않은 것은 돌아오기 전에 죽었기 때문이다. 
									
                        			
                        			
                        		
	                     		
			                       	
			                       	
	                     		
		                        
                        	
		                        
		                        
		                        
		                        
                        		
                        	
		                        
		                        
		                        
		                        
                        		
                        		
                        		
                        			
                        			
		                       		
		                       		
		                       		
		                       		
		                        		
									
                        			
                        			
                        		
	                     		
			                       	
			                       	
	                     		
		                        
                        	
		                        
		                        
		                        
		                        
                        		
                        	
		                        
		                        
		                        
		                        
                        		
                        		
                        		
                        			
                        			
		                       		
		                       		
		                       		
		                       		
		                        		
			                            	‘
기杞’라고 말하지 않은 것은 
부부夫婦의 인연을 끊었기 때문이고
注+이미 부부의 인연을 끊었기 때문에 ‘기숙희杞叔姬’로 기록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
숙희叔姬’라고 기록한 것은 
처녀處女가 아님을 말한 것이다.
注+딸이 성년成年이 되기 전에[未笄] 죽으면 기록하지 않는다. 
									
                        			
                        			
                        		
	                     		
			                       	
			                       	
	                     		
		                        
                        	
		                        
		                        
		                        
		                        
                        		
                        	
		                        
		                        
		                        
		                        
                        		
                        		
                        		
                        			
                        			
		                       		
		                       		
		                       		
		                       			
		                        			
		                        				
		                        				 
		                        			
		                       			
		                       			
		                       			
		                       				傳
		                       		
		                       		
		                        		
			                            	초楚나라 
영윤令尹대손백大孫伯이 
졸卒하고 
성가成嘉가 
영윤令尹이 되니
注+약오若敖의 증손曾孫자공子孔이다.군서群舒가 
초楚나라를 
배반背叛하였다.
注+군서群舒는 언성偃姓으로 서용舒庸‧서구舒鳩 따위이다. 지금 여강廬江 남쪽에 서성舒城이 있고 서성舒城 서남쪽에 용서龍舒가 있다. 
			                             
									
                        			
                        			
                        		
	                     		
			                       	
			                       	
	                     		
		                        
                        	
		                        
		                        
		                        
		                        
                        		
                        	
		                        
		                        
		                        
		                        
                        		
                        		
                        		
                        			
                        			
		                       		
		                       		
		                       		
		                       			
		                        			
		                        				
		                        				 
		                        			
		                       			
		                       			
		                       			
		                       				傳
		                       		
		                       		
		                        		
			                            	여름에 
자공子孔이 
서자舒子평平과 
종자宗子를 잡고, 드디어 
소巢나라를 포위하였다.
注+평平은 서군舒君의 이름이다. 종宗과 소巢 두 나라도 군서群舒의 무리이다. 
									
                        			
                        			
                        		
	                     		
			                       	
			                       	
	                     		
		                        
                        	
		                        
		                        
		                        
		                        
                        		
                        	
		                        
		                        
		                        
		                        
                        		
                        		
                        		
                        			
                        			
		                       		
		                       		
		                       		
		                       			
		                        			
		                        				
		                        				 
		                        			
		                       			
		                       			
		                       			
		                       				傳
		                       		
		                       		
		                        		
			                            	가을에 등소공滕昭公이 와서 조현朝見하였으니 이 또한 비로소 문공文公에게 조현朝見한 것이다.
			                             
									
                        			
                        			
                        		
	                     		
			                       	
			                       	
	                     		
		                        
                        	
		                        
		                        
		                        
		                        
                        		
                        	
		                        
		                        
		                        
		                        
                        		
                        		
                        		
                        			
                        			
		                       		
		                       		
		                       		
		                       			
		                        			
		                        				
		                        				 
		                        			
		                       			
		                       			
		                       			
		                       				傳
		                       		
		                       		
		                        		
			                            	진백秦伯이 서걸술西乞術을 보내어 와서 빙문聘問하고 또 진晉나라를 토벌하려 한다고 말하였다. 
			                             
									
                        			
                        			
                        		
	                     		
			                       	
			                       	
	                     		
		                        
                        	
		                        
		                        
		                        
		                        
                        		
                        	
		                        
		                        
		                        
		                        
                        		
                        		
                        		
                        			
                        			
		                       		
		                       		
		                       		
		                       		
		                        		
			                            	양중襄仲이 
진백秦伯이 보낸 
옥玉을 사양하며 말하기를 “
진군秦君께서 
선군先君의 
우호友好를 잊지 않으시고 
노魯나라에 
왕림枉臨하시어 우리나라[社稷]를 
안무安撫하시고 거듭 
대기大器를 주셨습니다만 
과군寡君은 감히 
옥玉을 사양하십니다.”
注+대기大器는 규장圭璋이다. 진秦나라와 우호友好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그 옥玉을 돌려준 것이다. [부주]朱: 중重은 신申(거듭)이다. 《예기禮記》 〈빙의聘義〉에 “빙례聘禮를 마친 뒤에 규장圭璋을 되돌려 준다.”고 하였는데, 지금 옥玉을 사양하였다고 하였으니, 이는 빙례聘禮를 거행하기 이전에 사양한 것이다.고 하니, 
서걸술西乞術이 대답하기를 “변변치 못한 
폐기敝器여서 사양하실 만한 가치도 없습니다.”
注+전腆은 후厚(후함)이다. 고 하였다. 
 
			                             
									
                        			
                        			
                        		
	                     		
			                       	
			                       	
	                     		
		                        
                        	
		                        
		                        
		                        
		                        
                        		
                        	
		                        
		                        
		                        
		                        
                        		
                        		
                        		
                        			
                        			
		                       		
		                       		
		                       		
		                       		
		                        		
			                            	주인主人(襄仲)이 세 번 사양하니 
빈賓(西乞術)이 대답하기를 “
과군寡君께서는 
노군魯君과 잘 지내 
주공周公과 
노공魯公께 복을 구하기를 바라시어,
注+요徼는 요要(求)이다. 노공魯公은 백금伯禽이다. 노군魯君과 사이좋게 지내고 아울러 노魯나라 선군先君에게 복福을 받기를 원한다는 말이다. 변변치 못한 
선군先君의 
폐기敝器를 
하신下臣으로 하여금 
집사執事에게 바쳐 
서절瑞節로 삼아
注+절節은 신信이다. 빙문聘問하기 위해 나갈 때는 반드시 종묘宗廟에 고告하기 때문에 선군先君의 기물器物이라고 칭한 것이다.우호友好를 맺도록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과군寡君의 
명命으로 이 
옥玉을 바쳐 두 나라 사이에 
우호友好를 맺으려는 것입니다.
注+자藉는 천薦(바침)이다. 
									
                        			
                        			
                        		
	                     		
			                       	
			                       	
	                     		
		                        
                        	
		                        
		                        
		                        
		                        
                        		
                        	
		                        
		                        
		                        
		                        
                        		
                        		
                        		
                        			
                        			
		                       		
		                       		
		                       		
		                       		
		                        		
			                            	그러므로 감히 이 옥玉을 바치는 것입니다.”고 하였다. 
			                             
									
                        			
                        			
                        		
	                     		
			                       	
			                       	
	                     		
		                        
                        	
		                        
		                        
		                        
		                        
                        		
                        	
		                        
		                        
		                        
		                        
                        		
                        		
                        		
                        			
                        			
		                       		
		                       		
		                       		
		                       		
		                        		
			                            	양중襄仲이 말하기를 “
군자君子가 없으면 어찌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있겠는가?
注+[부주]朱: 양중襄仲은 사신使臣의 온화하고 겸손한 말을 들었기 때문에 진秦나라에 군자君子가 있다는 것을 안 것이다. 
			                             
									
                        			
                        			
                        		
	                     		
			                       	
			                       	
	                     		
		                        
                        	
		                        
		                        
		                        
		                        
                        		
                        	
		                        
		                        
		                        
		                        
                        		
                        		
                        		
                        			
                        			
		                       		
		                       		
		                       		
		                       		
		                        		
			                            	진秦나라는 
비루鄙陋한 나라가 아니다.”
注+[부주]朱: 이로써 보면 천하天下에 아무리 지역地域이 궁벽窮僻하고 풍속風俗이 비루鄙陋한 나라라 하더라도 문사文辭를 숭상崇尙하지 않는 나라는 없다는 말이다.고 하고서 
서걸술西乞術이 돌아갈 때 많은 예물을 주어 보냈다.
注+회賄는 예물禮物을 주어 보내는 것이다. 
			                             
									
                        			
                        			
                        		
	                     		
			                       	
			                       	
	                     		
		                        
                        	
		                        
		                        
		                        
		                        
                        		
                        	
		                        
		                        
		                        
		                        
                        		
                        		
                        		
                        			
                        			
		                       		
		                       		
		                       		
		                       			
		                        			
		                        				
		                        				 
		                        			
		                       			
		                       			
		                       			
		                       				傳
		                       		
		                       		
		                        		
			                            	진秦나라는 
영호令狐에서의 
패전敗戰한 연고로 
진백秦伯이 
진晉나라를 토벌해 
기마羈馬를 
취取하였다.
注+영호令狐의 전쟁은 문공文公 7년에 있었다. 기마羈馬는 진晉나라 읍邑이다.  
			                             
									
                        			
                        			
                        		
	                     		
			                       	
			                       	
	                     		
		                        
                        	
		                        
		                        
		                        
		                        
                        		
                        	
		                        
		                        
		                        
		                        
                        		
                        		
                        		
                        			
                        			
		                       		
		                       		
		                       		
		                       		
		                        		
			                            	진인晉人이 
진군秦軍을 
방어防禦하는데 
조돈趙盾이 
중군中軍을 거느리고 
순임보荀林父가 그의 
좌佐(副帥)가 되고,
注+임보林父가 선극先克을 대신한 것이다.극결郤缺이 
상군上軍을 거느리고
注+기정箕鄭을 대신한 것이다.유병臾騈이 
좌佐가 되고,
注+임보林父를 대신한 것이다.난순欒盾이 
하군下軍을 거느리고
注+난지欒枝의 아들로 선멸先蔑을 대신한 것이다.서갑보胥甲父가 
좌佐가 되고,
注+서신胥臣의 아들로 선도先都를 대신한 것이다.범무휼范無恤이 
융거戎車에 
어御가 되어
注+보초步招를 대신한 것이다.하곡河曲에서 
진군秦軍을 맞아 싸웠다. 
 
			                             
									
                        			
                        			
                        		
	                     		
			                       	
			                       	
	                     		
		                        
                        	
		                        
		                        
		                        
		                        
                        		
                        	
		                        
		                        
		                        
		                        
                        		
                        		
                        		
                        			
                        			
		                       		
		                       		
		                       		
		                       		
		                        		
			                            	유병臾騈이 “
진군秦軍이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이니 
보루堡壘를 높이 쌓고 
군진軍陣의 
경비警備를 단단히 하고서 기다리소서.”라고 하니, 그의 말을 따랐다.
注+[부주]朱: 심루深壘는 고루高壘이다. 해자가 깊으면 보루堡壘가 높아지는 것이다. ‘고군固軍’은 군대가 머문 곳에 경비를 견고히 하는 것이다. ‘대지待之’는 저들과 전쟁하지 않고, 저들 스스로 지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진인秦人은 
교전交戰하고자 하여 
진백秦伯이 
사회士會에게 “어떻게 하면 전쟁할 수 있겠는가?”고 물으니,
注+진晉나라의 사회士會가 문공文公 7년에 진秦나라로 도망갔다.사회士會가 대답하였다.
 
			                              
                        			
                        		
                        		
	                     		
			                       	
			                       	
	                     		
		                        
                        	
		                        
		                        
		                        
		                        
                        		
                        	
		                        
		                        
		                        
		                        	
		                        	
		                        
		                        
                        		
                        		
                        			
			                        
			                        	“
조씨趙氏가 새로 
유병臾騈이라는 부하[屬]를 
발탁拔擢[出]하였는데, 실로 이 자가 이런 
계책計策을 꾸며 우리 군대를 지치게[老] 하려는 것입니다.
注+유병臾騈은 조돈趙盾의 속대부屬大夫로 새로 진출進出하여 상군上軍의 좌佐가 되었다.      
                        			
                        		
                        		
	                     		
			                       	
			                       	
	                     		
		                        
                        	
		                        
		                        
		                        
		                        
                        		
                        	
		                        
		                        
		                        
		                        	
		                        	
		                        
		                        
                        		
                        		
                        			
			                        
			                        	조씨趙氏에게는 
천穿이라는 
측실側室이 있는데 
진군晉君의 사위로
注+측실側室은 지자支子이다. 천穿은 조숙趙夙의 서손庶孫이다. 총애를 받고 있으나 나이가 어려 
군사軍事를 알지 못하고
注+약弱은 연소年少한 것이다. 또 전쟁을 격은 적이 없어 군사軍事를 모른다는 말이다. 용맹을 좋아하여 함부로 잘난 체하며[狂], 또 
유병臾騈이 
상군上軍의 
좌佐가 된 것을 미워하니, 
경예병輕銳兵을 시켜 한번 공격하고는 즉시 
후퇴後退해 오게 한다면 
전쟁戰爭할 수 있을 것입니다.”
注+사肆는 갔다가 즉시 후퇴後退하는 것이다. [부주]林: 경예병輕銳兵을 시켜 잠시 가서 공격하고는 속히 후퇴해 오게 하여 조천趙穿을 격노激怒시킨다면 일전一戰할 수 있다는 말이다. 
			                              
                        			
                        		
                        		
	                     		
			                       	
			                       	
	                     		
		                        
                        	
		                        
		                        
		                        
		                        
                        		
                        	
		                        
		                        
		                        
		                        	
		                        	
		                        
		                        
                        		
                        		
                        			
			                        
			                        	진백秦伯은 
옥벽玉璧을 
황하黃河에 던져 
전쟁戰爭의 
승리勝利를 빌었다.
注+승리勝利를 기구祈求한 것이다.  
			                              
                        			
                        		
                        		
	                     		
			                       	
			                       	
	                     		
		                        
                        	
		                        
		                        
		                        
		                        
                        		
                        	
		                        
		                        
		                        
		                        	
		                        	
		                        
		                        
                        		
                        		
                        			
			                        
			                        	12월 
무오일戊午日에 
진군秦軍이 
진晉나라 
상군上軍을 
습격襲擊하니 
조천趙穿이 
진군秦軍을 뒤쫓았으나 따라잡지 못하였다.
注+상군上軍은 움직이지 않고 조천趙穿이 혼자 추격한 것이다.      
                        			
                        		
                        		
	                     		
			                       	
			                       	
	                     		
		                        
                        	
		                        
		                        
		                        
		                        
                        		
                        	
		                        
		                        
		                        
		                        	
		                        	
		                        
		                        
                        		
                        		
                        			
			                             
                        			
                        		
                        		
	                     		
			                       	
			                       	
	                     		
		                        
                        	
		                        
		                        
		                        
		                        
                        		
                        	
		                        
		                        
		                        
		                        	
		                        	
		                        
		                        
                        		
                        		
                        			
			                        
			                        	“
양식糧食을 싸서 메고 갑옷을 입은 채 앉아 있는 것은 진실로 
적敵을 잡기 위해서인데
注+[부주]林: 좌갑坐甲은 전사戰士들이 갑옷을 입으면 다시 누울 수 없기 때문에 앉아서 적敵을 기다리는 것이다. 지금 
적敵이 왔는데도 추격하지 않고 장차 무엇을 기다린다는 말인가?” 
      
                        			
                        		
                        		
	                     		
			                       	
			                       	
	                     		
		                        
                        	
		                        
		                        
		                        
		                        
                        		
                        	
		                        
		                        
		                        
		                        	
		                        	
		                        
		                        
                        		
                        		
                        			
			                        
			                        	군리軍吏가 “아마 기다리는 바가 있어서일 것입니다.”
注+공격할 시기를 기다린다는 말이다.고 하니, 
조천趙穿이 말하기를 “나는 
계모計謀를 모르니 혼자라도 나가서 싸우려 한다.”고 하고서 그 부하들을 거느리고 나갔다.
 
			                              
                        			
                        		
                        		
	                     		
			                       	
			                       	
	                     		
		                        
                        	
		                        
		                        
		                        
		                        
                        		
                        	
		                        
		                        
		                        
		                        	
		                        	
		                        
		                        
                        		
                        		
                        			
			                        
			                        	그러자 
선자宣子가 말하기를 “
진군秦軍이 
조천趙穿을 잡는다면 우리나라의 한 
경卿을 잡는 것이니
注+희공僖公 33년에 진후晉侯가 일명一命으로 극결郤缺을 임명任命하여 경卿으로 삼고도 군수軍帥의 수數에는 넣지 않았으니, 그렇다면 진晉나라에는 본래부터 이름만 있고 실직實職이 없는[散位]경卿이 있었다.진군秦軍이 
승리勝利하고 돌아간다면 우리는 우리나라의 
부로父老들에게 무어라고 
보고報告하겠는가?”라고 하고서 
전군全軍을 거느리고 나가 싸우다가 
양군兩軍이 
동시同時에 
퇴각退却하였다.
注+사마법司馬法에 “옛날에는 도망가는 적敵을 멀리까지 추격하지 않고, 후퇴하는[綏] 적을 따라잡지 않았다. 도망가는 적을 멀리 추격하지 않으면 적敵이 우리를 유인誘引하기 어렵고, 후퇴하는 적을 따라잡지 않으면 적이 우리의 성城을 함락陷落하기 어렵다.”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옛날에는 퇴군退軍하는 것을 ‘수綏’라고 한 것이다. 진晉과 진秦 두 나라는 전쟁戰爭하려는 뜻이 굳지 못하였기 때문에 무기를 서로 마주치기도 전에 양군兩軍이 앞 다투어 퇴각退却한 것이다. 그러므로 ‘교수交綏(兩軍이 동시同時에 퇴각退却하였다)’라고 한 것이다.      
                        			
                        		
                        		
	                     		
			                       	
			                       	
	                     		
		                        
                        	
		                        
		                        
		                        
		                        
                        		
                        	
		                        
		                        
		                        
		                        	
		                        	
		                        
		                        
                        		
                        		
                        			
			                        
			                        	진秦나라의 
행인行人(使者)이 밤에 
진군晉軍에 가서
注+[부주]林: 교전交戰하는 사이에도 사자使者는 왕래往來하기 때문에 진秦나라가 밤에 행인行人을 진군晉軍으로 보내어 교전交戰할 시기時期를 약속하게 한 것이다.고告하기를 “
양국兩國군대軍隊에 모두 
결손缺損(憖)이 없으니
注+은憖은 결손缺損이다. 내일 
전장戰場에서 서로 만나기를 청한다.”고 하였다. 
 
			                              
                        			
                        		
                        		
	                     		
			                       	
			                       	
	                     		
		                        
                        	
		                        
		                        
		                        
		                        
                        		
                        	
		                        
		                        
		                        
		                        	
		                        	
		                        
		                        
                        		
                        		
                        			
			                        
			                        	유병臾騈이 말하기를 “
사자使者의 눈동자가 어지러이 움직이고 말소리가 침착하지 않으니, 우리를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注+목동目動은 마음이 불안不安한 것이고 언사言肆는 소리가 방자放恣하여 상도常度를 잃은 것이다. 
			                              
                        			
                        		
                        		
	                     		
			                       	
			                       	
	                     		
		                        
                        	
		                        
		                        
		                        
		                        
                        		
                        	
		                        
		                        
		                        
		                        	
		                        	
		                        
		                        
                        		
                        		
                        			
			                        
			                        	장차 도망치려는 것이니 저들을 
황하黃河로 몰아붙이면
注+박薄은 박迫(逼迫)이다. 반드시 
패배敗北시킬 수 있습니다.”고 하자, 
서갑胥甲과 
조천趙穿이 
군문軍門을 막아서서 큰소리로 말하기를 “
사상자死傷者를 
수습收拾하지 않고 버리는 것은 은혜롭지 않은 짓이고 약속한 시기를 기다리지 않고 
진인秦人을 험한 곳으로 몰아붙이는 것은 용맹이 없는 짓이다.”고 하니 
진군晉軍은 추격을 
정지停止하였다.
注+진군晉軍이 진군秦軍을 황하黃河로 몰아붙이는 일을 정지停止한 것이다. 선공宣公원년元年에 서갑胥甲을 추방追放한 전傳의 배경이다.      
                        			
                        		
                        		
	                     		
			                       	
			                       	
	                     		
		                        
                        	
		                        
		                        
		                        
		                        
                        		
                        	
		                        
		                        
		                        
		                        	
		                        	
		                        
		                        
                        		
                        		
                        			
			                             
                        			
                        		
                        		
	                     		
			                       	
			                       	
	                     		
		                        
                        	
		                        
		                        
		                        
		                        
                        		
                        	
		                        
		                        
		                        
		                        	
		                        	
		                        
		                        
                        		
                        		
                        			
			                        
			                        	뒤에 진군秦軍은 또 진晉나라를 침공侵攻하여 하瑕로 쳐들어갔다.
			                              
                        			
                        		
                        		
	                     		
			                       	
			                       	
	                     		
		                        
                        	
		                        
		                        
		                        
		                        
                        		
                        	
		                        
		                        
		                        
		                        
                        		
                        		
                        		
                        			
                        			
		                       		
		                       		
		                       		
		                       			
		                        			
		                       			
		                       			
		                       			
		                       				傳
		                       		
		                       		
		                        		
									
                        			
                        			
                        		
	                     		
			                       	
			                       	
	                     		
		                        
                        	
		                        
		                        
		                        
		                        
                        		
                        	
		                        
		                        
		                        
		                        
                        		
                        		
                        		
                        			
                        			
		                       		
		                       		
		                       		
		                       		
		                        		
			                            	경經에 이를 기록한 것은 때에 맞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