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春秋左氏傳(2)

춘추좌씨전(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춘추좌씨전(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經]二十有三年春 齊侯伐宋圍緡하다注+緡 宋邑 高平昌邑縣東南有東緡城
[經]夏五月庚寅 宋公玆父卒하다注+三同盟
[經]秋 楚人伐陳하다
[經]冬十有一月 杞子卒하다注+傳例曰 不書名 未同盟也 杞入春秋稱侯 莊二十七年 絀稱伯 至此用夷禮 貶稱子
[傳]二十三年春 齊侯伐宋圍緡하니 注+十九年盟于齊 以無忘桓公之德 而宋獨不會 復召齊人共盟鹿上 故今討之
[傳]夏五月 宋襄公卒하니 傷於泓故也注+終子魚之言 得死爲幸
[傳]秋 楚成得臣帥師伐陳하니 討其貳於宋也注+成得臣 子玉也
遂取焦夷하고 城頓而還하다注+焦 今譙縣也 夷 一名城父 今譙郡城父縣 二地皆陳邑 頓國 今汝陰南頓縣 [附注] 林曰 爲頓築城 以迫陳也
子文以爲之功이라하야 使爲令尹注+[附注] 朱曰 子文以子玉取二城有功 使代己爲令尹한대
叔伯曰
子若國何注+叔伯 楚大夫薳呂臣也 以爲子玉不任令尹 [附注] 林曰 言子之使子玉爲令尹 將如國家何 言不任也
對曰
吾以靖國也
夫有大功而無貴仕注+貴仕 貴位 注+言必矜功爲亂 不可不賞 [附注] 林曰 不矜而安靖 能有幾人 言不多也
[傳]九月 晉惠公卒하다注+經在明年 從赴
懷公命
無從亡人하라注+懷公 子圉 亡人 重耳
하리니 而不至 無赦하리라注+[附注] 朱曰 上期 約也 下期 音朞 一年也 懷公與其國中親戚相約 滿一年不召歸者 殺之無赦
狐突之子毛及偃從重耳在秦이러니 弗召하다注+偃 子犯也
懷公執狐突曰 子來則免하리라注+未期而執突 以不召子故 對曰
子之能仕 父敎之忠 古之制也니이다注+[附注] 朱曰 凡人子長而能仕 則爲之父者 必敎之以忠於所事也
策名委質이라가 貳乃辟也니이다注+名書於所臣之策 屈膝而君事之 則不可以貳 辟 罪也 [附注] 朱曰 質 形體也 言委身體而君事之
今臣之子名在重耳 有年數矣 若又召之 敎之貳也니이다
父敎子貳 何以事君이릿가
刑之不濫 君之明也 臣之願也어니와 淫刑以逞이면 誰則無罪릿가注+[附注] 林曰 若欲淫濫刑罰 以快君心 誰無辭可加罪
臣聞命矣라하다
乃殺之하다
卜偃稱疾不出曰
周書有之하니 乃大明服注+周書 康誥 言君能大明則民服이라하니 己則不明而殺人以逞하니 不亦難乎
民不見德하고 而唯戮是聞하니 其何後之有리오注+言懷公必無後於晉 爲二十四年殺懷公張本
[傳]十一月 杞成公卒하다
書曰子라하니 杞夷也注+成公始行夷禮以終其身 故於卒貶之 杞實稱伯 仲尼以文貶稱子 故傳言書曰子以明之
不書名 未同盟也
凡諸侯同盟이면 死則赴以名 禮也注+隱七年已見 今重發不書名者 疑降爵故也 此凡又爲國史承告而書例
赴以名이면 則亦書之注+謂未同盟하고 不然則否注+謂同盟而不以名告하니 辟不敏也니라注+敏 猶審也 同盟然後告名 赴者之禮也 承赴 然後書策 史官之制也 內外之宜不同 故傳重詳其義
[傳]晉公子重耳之及於難也注+[附注] 朱曰 遭驪姬之難 晉人伐諸蒲城注+事在五年하니 蒲城人欲戰한대
重耳不可曰 保君父之命而享其生祿注+享 受也 保 猶恃也 [附注] 林曰 受其養生之祿邑하고 於是乎得人注+以祿致衆이어늘 有人而校 罪莫大焉이라注+校 報也 [附注] 林曰 有民人而與君父校勝負 吾其奔也하리라하고 遂奔狄하다
從者 狐偃趙衰注+衰 趙夙弟顚頡魏武子注+武子 魏犨司空季子러라注+也 時狐毛賈佗皆從 而獨擧此五人 賢而有大功
狄人伐廧咎如注+廧咎如 赤狄之別種也 隗姓하야 獲其二女叔隗季隗하야 納諸公子하니 公子取季隗하야 生伯鯈叔劉하고 以叔隗妻趙衰하야 生盾하다注+盾 趙宣子
將適齊할새 謂季隗曰 待我二十五年하야 不來而後嫁하라
對曰 我二十五年矣 又如是而嫁 則就木焉注+言將死入木 不復成嫁이리니 請待子注+[附注] 林曰 請終身待子不嫁호리이다
處狄十二年而行하다注+以五年奔狄 至十六年而去
過衛할새 衛文公不禮焉하니 出於五鹿注+五鹿 衛地 今衛縣西北有地名五鹿 陽平元城縣東亦有五鹿하야 乞食於野人하다
野人與之塊注+[附注] 林曰 野人無禮 以土塊與重耳하니 公子怒하야 欲鞭之한대 子犯曰天賜也注+得土 有國之祥 故以爲天賜라하니 稽首受而載之하다
及齊하니 齊桓公妻之하고 有馬二十乘注+四馬 爲乘 八十匹也 [附注] 林曰 以宗女妻[姜]氏 重耳하니 公子安之하다注+[附注] 林曰 重耳以齊爲可安 不復有四方之志
從者以爲不可라하야 將行 謀於桑下注+齊桓旣卒 知孝公不可恃故러니 蠶妾在其上注+[附注] 林曰 姜氏育蠶之妾 適采桑在其上 而聞其謀이라가 以告姜氏한대
姜氏殺之注+姜氏 重耳妻 恐孝公怒其去 故殺妾以滅口하고 而謂公子曰 子有四方之志어늘 其聞之者 吾殺之矣니이다 公子曰 無之로라
姜曰行也하소서注+[附注] 朱曰 姜氏勉重耳使行
懷與安 實敗名이니이다注+[附注] 林曰 懷人之寵 與安己之居 實足以敗壞功名
公子不可라한대 姜與子犯謀하야 醉而遣之하니
以戈逐子犯하다注+無去志故怒
及曹하니 曹共公聞其騈脅하고 欲觀其裸하야 薄而觀之하다注+薄 迫也 騈脅 合幹 [附注] 林曰 騈 合也 脅 肋也 蓋腋下肋骨 合比若一 裸 赤體也
僖負羈之妻注+[附注] 林曰 僖負羈 曹大夫
吾觀晉公子之從者컨대 皆足以相國이니 若以相注+若遂以爲이면 夫子必反其國注+[附注] 林曰 夫子 謂重耳이오 反其國이면 必得志於諸侯하고 得志於諸侯하야 而誅無禮 曹其首也리니
子盍蚤自貳焉注+自貳 自別異於曹
乃饋盤飱할새 寘璧焉注+臣無境外之交 故用盤藏璧飱中 不欲令人見하니 公子受飱反璧하다注+[附注] 林曰 受飱以領其意 反璧以示不貪
及宋하니 宋襄公贈之以馬二十乘하니이다注+贈 送也
及鄭하니 鄭文公亦不禮焉하다
叔詹諫曰
臣聞天之所啓 人弗及也라하니이다注+啓 開也 [附注] 林曰 天意所欲開道之人 人皆不可及
晉公子有三焉注+[附注] 林曰 重耳有人不可及者 三事하니 天其或者將建諸잇가注+[附注] 林曰 將建立之以爲君也
君其禮焉하소서
男女同姓이면 其生不蕃注+蕃 息也어어늘 晉公子 姬出也로대 而至于今 一也注+犬戎狐姬之子 故曰姬出 離外之患注+出奔在外이로되 而天不靖晉國하야 殆將啓之 二也 有三士足以上人而從之 三也니이다注+國語 狐偃趙衰賈佗三人 皆卿才 [附注] 朱曰 三士之才 皆足以居於人上 而從重耳以行
晉鄭同儕注+儕 等也 其過子弟라도 固將禮焉이온 況天之所啓乎잇가注+[附注] 林曰 其子弟之過於鄭者 固將待以禮貌
弗聽하다
及楚하니 楚子饗之曰 公子若反晉國이면 則何以報 對曰 子女玉帛 則君有之注+[附注] 朱曰 子女 謂妃妾也 하고 羽毛齒革 則君地生焉이라
其波及晉國者 君之餘也注+[附注] 林曰 其餘波沾漑以及晉國者 皆楚君享用之棄物也 其何以報君이리잇가
曰 雖然이나 何以報我 對曰
若以君之靈으로 得反晉國이면 晉楚治兵하여 遇於中原 其辟君三舍하리이다注+[附注] 朱曰 三十里爲一舍 言晉兵當退三舍而避楚兵 所以報德也
若不獲命注+三退不得楚止命也이면 其左執鞭弭하고 右屬櫜鞬하야 以與君周旋하리이다注+弭 弓末無緣者 櫜以受箭 鞬以受弓 屬 著也 周旋 相追逐也
子玉請殺之注+畏其志大한대 楚子曰 晉公子廣而儉注+志廣而體儉하고 文而有禮注+[附注] 朱曰 文華者 易至傲慢 而公子能約之以禮하며 其從者肅而寬注+肅 敬也하고 忠而能力注+[附注] 林曰 盡忠事上 而加之以勤力이어늘 晉侯無親하야 外內惡之하니라注+晉侯 惠公也 [附注] 朱曰 以其忌克 故無親也
吾聞姬姓 唐叔之後 其後衰者也라하니 其將由晉公子乎注+[附注] 林曰 唐叔之子孫 其後諸侯而衰歇者也 則興起晉國 其將由晉公子重耳乎ㄴ저
天將興之하니 誰能廢之리오
違天이면 必有大咎라하고 乃送諸秦하다
秦伯納女五人하니 懷嬴與焉이라注+懷嬴 子圉妻 子圉諡懷公 故號爲懷嬴
奉匜沃盥이러니 旣而揮한대注+匜 沃盥器也 揮 湔也 [附注] 朱曰 匜 盛水器也 沃 澆水也 盥 洗手也 言懷嬴奉匜澆水與重耳洗手也 旣而 怒曰
秦晉 匹也어늘 何以卑我注+匹 敵也
公子懼하야 降服而囚하다注+去上服 自拘囚以謝之
他日 公享之할새
子犯曰 吾不如衰之文也注+有文辭也 請使衰從하소서
公子賦河水注+河水 逸詩 義取河水朝宗于海 海 喩秦한대 公賦六月注+六月 詩小雅 道尹吉甫佐宣王征伐 喩公子還晉 必能匡王國 古者 因古詩以見意 故言賦 詩 也 其全稱詩篇者 多取首章之義 他皆放此하다
趙衰曰
重耳하소서
公子降拜稽首하니 公降一級而辭焉하다注+下階一級 辭公子稽首
衰曰
君稱所以佐天子者命重耳 重耳敢不拜注+詩首章言匡王國 次章言佐天子 故趙衰因通言之 爲明年秦伯納之張本


23년 봄에 제후齊侯나라를 토벌하여 을 포위하였다.注+나라 이다. 고평高平창읍현昌邑縣 동남쪽에 동민성東緡城이 있다.
여름 5월 경인庚寅송공宋公자부玆父하였다.注+나라와 세 차례 동맹同盟하였다.
가을에 초인楚人나라를 토벌하였다.
겨울 11월에 기자杞子하였다. 注+전례傳例에 “에 이름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동맹同盟하지 않았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춘추시대春秋時代로 접어들면서 나라 임금을 ‘’로 하였는데, 장공莊公 27년에는 ‘’으로 낮추어 하였고, 이번에는 나라가 오랑캐의 를 사용하기 때문에 깎아내려 ‘’로 한 것이다.
23년 봄에 제후齊侯나라를 토벌討伐하여 을 포위하였으니, 이는 나라가 나라에서의 결맹結盟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토벌討伐한 것이다. 注+희공僖公 19년에 나라에서 회맹會盟하여 제환공齊桓公을 잊지 않기로 할 적에 나라만이 회맹會盟에 참여하지 않았고, 다시 제인齊人을 불러 녹상鹿上에서 함께 결맹結盟하였기 때문에 지금 토벌討伐한 것이다.
여름 5월에 송양공宋襄公하였으니, 이는 에서 부상하였기 때문이다.注+수명壽命대로 살다가 죽으면 다행이겠다는 자어子魚의 말이 들어맞았다.
가을에 나라 성득신成得臣이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나라를 토벌하였으니, 이는 나라가 나라를 배신背信하고 나라와 결맹結盟하였기 때문이다.注+성득신成得臣자옥子玉이다.
드디어 , 를 취하고 나라에 성을 쌓고서 돌아왔다.注+는 지금의 초현譙縣이다. 일명一名성보城父로 지금의 초군譙郡성보현城父縣이다. 두 땅은 모두 나라 이다. 나라는 지금의 여음汝陰남돈현南頓縣이다. [부주]林: 나라를 위해 을 쌓아준 것은 나라가 나라의 핍박을 받기 때문이다.
자문子文은 이것을 자옥子玉으로 여겨 그를 영윤令尹으로 삼았다.注+[부주]朱: 자문子文자옥子玉이 두 을 취한 공이 있다고 여겨 자기를 대신해 영윤令尹이 되게 한 것이다.
숙백叔伯이 말하였다.
“그대는 나라를 어찌할 생각인가?”注+숙백叔伯나라 대부大夫위려신薳呂臣이다. 자옥子玉영윤令尹임무任務를 감당하지 못한다고 여긴 것이다.[부주]林: 그대가 자옥子玉영윤令尹으로 삼는다면 장차 그가 국가國家를 어찌 다스릴 수 있겠느냐는 말이니, 그 임무任務를 감당할 수 없다는 말이다.
자문子文이 대답하였다.
“나는 이렇게 함으로써 나라를 안정시키려는 것이다.
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높은 벼슬을 주지 않는다면注+귀사貴仕존귀尊貴지위地位이다.을 일으키지 않고 국가를 안정시킬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注+반드시 자신의 공로를 뽐내며 난리를 일으킬 것이니 을 주지 않을 수 없다는 말이다. [부주]林: 공로를 뽐내지 않고 나라를 안정시킬 사람이 몇이나 되겠는가. 많지 않다는 말이다.
9월에 진혜공晉惠公하였다.注+혜공惠公명년明年에 기록한 것은 부고赴告를 따른 것이다.
회공懷公하였다.
망명亡命한 사람을 따르지 말라.注+회공懷公자어子圉이고 망인亡人중이重耳이다.
기한을 줄 것이니 기한이 되어도 돌아오지 않으면 용서하지 않으리라.”注+[부주]朱: 위의 ‘’字는 여자如字이니 기약期約이고, 아래 ‘’字는 이니 1년이다. 회공懷公은 그 나라 안의 친척親戚들과 ‘만 1년이 되어도 불러서 돌아오게 하지 않는 자는 용서하지 않고 죽일 것이다.’라고 언약言約한 것이다.
호돌狐突의 아들 중이重耳를 따라 나라에 있었는데 호돌狐突이 부르지 않았다.注+자범子犯이다.
겨울에 회공懷公호돌狐突체포逮捕하고서 “자식이 돌아오면 사면赦免하겠다.”注+기한期限이 차지도 않았는데 호돌狐突을 잡은 것은 아들을 돌아오도록 부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 하니 호돌狐突이 대답하였다.
“자식이 벼슬할 나이가 되면 아비가 충성을 가르치는 것이 옛날의 제도制度입니다.注+[부주]朱: 자식이 자라 벼슬할 나이가 되면 그 아비는 반드시 자식에게 섬기는 임금에게 충성할 것을 가르친다는 말이다.
간책簡策에 이름을 올리고서 몸을 바쳐 신하가 되었다가 두 마음을 품는 것은 입니다.注+이름을 신하의 명부名簿에 올리고 무릎을 꿇고서 임금으로 섬겼으면 두 마음을 품을 수 없다는 말이다. 이다. [부주]朱: 은 몸이니, 몸을 바쳐 임금으로 섬긴다는 말이다.
지금 의 자식 이름이 중이重耳간책簡策에 오른 지 여러 해가 되었는데, 만약 불러 돌아오게 한다면 이는 두 마음을 품도록 가르치는 것입니다.
아비가 자식에게 두 마음을 품도록 가르친다면 무엇으로 임금을 섬기겠습니까?
형벌刑罰남용濫用하지 않은 것은 임금님의 밝은 이고 의 바람입니다만 형벌刑罰남용濫用하여 마음에 만족을 느끼려 하신다면 누군들 죄가 없겠습니까?注+[부주]林: 만약 형벌을 남용하여 마음에 만족을 느끼려 한다면 누구에게나 를 씌울 핑계가 없겠느냐는 말이다.
을 듣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회공懷公호돌狐突을 죽였다.
복언卜偃을 핑계로 조정朝廷에 나오지 않고서 말하였다.
“〈주서周書〉에 ‘임금이 크게 밝으면 신하臣下가 복종한다.’는 말이 있는데,注+주서周書〉는 《서경書經》 〈강고편康誥篇〉이다. 임금이 크게 밝으면 백성이 복종한다는 말이다. 자신은 밝지 못하면서 사람을 죽여 마음에 만족을 찾으려 하니 사람들을 복종시키기 어렵지 않겠는가?
백성들은 임금의 은 보지 못하고 살육殺戮만 들을 뿐이니, 그런 사람에게 어찌 후손後孫이 있겠는가?”注+반드시 나라에 회공懷公후손後孫이 없을 것이라는 말이다. 희공僖公 24년에 회공懷公을 죽인 장본張本이 되었다.
11월에 기성공杞成公하였다.
’라고 기록하였으니 이는 나라가 오랑캐의 를 행하였기 때문이다.注+기성공杞成公이 비로소 이적夷狄를 행하여 종신終身토록 고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에 ‘’라고 기록하여 폄하貶下한 것이다. 나라는 실로 인데, 중니仲尼께서 경문經文에 ‘’라로 폄칭貶稱하였기 때문에 에 ‘라고 기록하였다.’고 말하여 나라가 이례夷禮를 사용했기 때문임을 밝힌 것이다.
이름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동맹同盟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범례凡例에 의하면 동맹한 제후諸侯가 죽으면 이름을 기록해 부고赴告하는 것이 이다.注+은공隱公 7년 에 이미 이에 대한 가 보이는데 지금 ‘불서명不書名’에 대해 거듭 를 말한 것은 작위爵位강등降等한 것으로 의심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 은 또 나라의 사관史官이 받은 부고赴告에 적힌 대로 사책史策에 기록하는 를 말한 것이다.
이름을 기록해 부고하였으면 사책史策에 이름을 기록하고注+동맹同盟하지 않은 나라의 경우를 말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기록하지 않으니,注+동맹同盟했어도 이름을 기록해 부고하지 않은 경우를 말한 것이다. 이는 자세히 알 수 없어 잘못 기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注+은 자세함이다. 동맹국同盟國인 뒤에 이름을 기록해 부고하는 것은 부고하는 자의 이고, 부고를 받은 뒤에 사책史策에 기록하는 것은 사관史官법제法制이다. 내외內外사정事情이 같지 않기 때문에 에 거듭 그 의례義例를 자세히 말한 것이다.
나라 공자公子중이重耳화난禍難를 만났을 때에注+[부주]朱: 여희驪姬화난禍難을 만난 것이다.진인晉人포성蒲城공벌攻伐하니,注+이 일은 희공僖公 5년에 있었다.포성蒲城 사람들이 맞아 싸우려 하자
중이重耳가 반대하며 “군부君父에 의지해 살아갈 수 있는 祿을 받았고,注+이고, 와 같다. [부주]林: 생명生命보양保養할 수 있는 녹읍祿邑을 받았다는 말이다. 이로 인해 인민人民을 얻었는데注+祿으로 많은 무리를 모았다는 말이다.인민人民소유所有하였다 하여 군부君父저항抵抗[校]한다면 이보다 큰 가 없으니,注+보복報復하는 것이다. [부주]林: 인민人民소유所有하였다 하여 군부君父승부勝負를 겨룬다는 말이다. 나는 도망갈 것이다.”라고 하고서 드디어 으로 도망갔다.
이때 그를 시종侍從한 사람은 호언狐偃, 조쇠趙衰,注+조숙趙夙의 아우이다.전힐顚頡, 위무자魏武子,注+무자武子위주魏犨이다.사공계자司空季子였다.注+서신구계胥臣臼季이다. 이때 호모狐毛가타賈佗도 함께 시종侍從하였는데 이 다섯 사람만을 들어 말한 것은 현명賢明하고 대공大功이 있었기 때문이다.
적인狄人장구여廧咎如토벌討伐하여注+장구여廧咎如적적赤狄별종別種으로 외성隗姓이다. 그 두 딸 숙외叔隗계외季隗포로捕虜로 잡아와서 공자公子에게 바치니, 공자公子계외季隗를 취하여 백숙伯儵숙류叔劉를 낳고, 숙외叔隗조쇠趙衰의 아내로 주어 을 낳았다.注+조선자趙宣子이다.
중이重耳나라로 가려 할 때 계외季隗에게 이르기를, “나를 25년 동안 기다렸다가 돌아오지 않거든 시집가라.”고 하였다.
대답하기를 “내 나이 지금 25세인데 다시 25년이 지난 뒤에 시집간다면 에 들어갈 때가 될 것이니,注+장차 죽어서 에 들어가게 될 것이니 다시 시집갈 수 없다는 말이다. 공자公子를 기다리겠습니다.”注+[부주]林: 종신終身토록 공자公子를 기다릴 것이고 시집가지 않겠다는 말이다.라고 하였다.
중이重耳에 머문 지 12년 만에 을 떠났다.注+희공僖公 5년에 으로 도망가서 희공僖公 16년에 을 떠났다.
나라를 지날 때 위문공衛文公예우禮遇하지 않으니 오록五鹿注+오록五鹿나라 땅이다. 지금 위현衛縣 서북쪽에 ‘오록五鹿’이란 지명地名이 있고, 양평陽平원성현元城縣 동쪽에도 ‘오록五鹿’이란 지명地名이 있다.으로 나와 야인野人에게 음식을 구걸求乞하였다.
야인野人이 그에게 흙덩이를 주니注+[부주]林: 야인野人무례無禮하게 흙덩이를 중이重耳에게 준 것이다.공자公子하여 채찍으로 치려 하자 자범子犯이 “하늘이 주신 것입니다.”注+흙을 얻는 것은 국가國家소유所有할 조짐이기 때문에 하늘이 준 것이라고 한 것이다.라고 하니, 중이重耳는 머리를 조아리고 그 흙덩이를 받아 수레에 실었다.
나라에 이르니 제환공齊桓公이 딸을 중이重耳에게 아내로 주고 말 20 까지 주니,注+말 네 마리가 1이니 20은 80 이다. [부주]林: 종실宗室의 딸 강씨姜氏중이重耳의 아내로 준 것이다.공자公子나라의 생활生活안주安住하였다.注+[부주]林: 중이重耳나라의 생활生活을 편안하게 여겨 다시 천하를 경영經營할 원대한 뜻을 갖지 않은 것이다.
그러자 그를 따른 자들은 이래서는 안 된다고 여겨 장차 떠날 것을 뽕나무 아래에서 모의謀議하였는데,注+제환공齊桓公은 이미 죽었고, 효공孝公은 믿을 만한 사람이 못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나라를 떠나고자 한 것이다. 누에 치는 이 그 나무 위에 있다가注+[부주]林: 누에를 치는 강씨姜氏비첩婢妾이 마침 그 나무 위에서 뽕을 따다가 그 모의謀議를 들은 것이다.모의謀議를 듣고 돌아와서 그 일을 강씨姜氏에게 고하였다.
강씨姜氏는 그 첩을 죽여 입을 막고서注+강씨姜氏중이重耳의 아내이다. 효공孝公중이重耳가 떠날 것을 알면 할 것이 두려웠기 때문에 그 비첩婢妾을 죽여 입을 막은 것이다.공자公子에게 “공자公子께서 가지신 천하天下경영經營원대遠大한 뜻에 대해 들은 사람을 내가 이미 죽였습니다.”고 하니, 공자公子가 “그런 뜻이 없다.”고 하였다.
강씨姜氏가 “떠나십시오.注+[부주]朱: 강씨姜氏중이重耳에게 떠나도록 권면勸勉한 것이다.
아내를 사모하고 안일安逸을 탐하는 것은 실로 공명功名을 무너뜨리는 일입니다.”注+[부주]林: 남의 총애寵愛를 그리워하고 자신의 거처居處를 편안히 여기는 것은 실로 공명功名을 무너뜨리기에 충분하다는 말이다.하였다.
공자公子가 듣지 않자, 강씨姜氏자범子犯과 상의하여 공자公子에게 술을 권해 취하게 한 뒤에 수레에 싣고 나라를 떠나보냈다.
중이重耳는 술이 깬 뒤에 크게 노하여 창을 들고 자범子犯을 뒤쫓았다.注+나라를 떠날 뜻이 없었기 때문에 화를 낸 것이다.
나라에 이르니 조공공曹共公중이重耳의 갈비가 통뼈라는 말을 듣고 그의 알몸을 보고자 하여 그가 목욕할 때에 가까이 다가가서 구경하였다.注+은 가까이 가는 것이다. 병협騈脅은 갈비뼈가 붙은 것이다. [부주]林: 은 붙은 것이고 은 갈비이니, 겨드랑이 밑에 있는 여러 개의 늑골肋骨이 서로 붙어 마치 하나의 뼈가 된 것 같은 것이다. 는 알몸이다.
희부기僖負羈의 아내가注+[부주]林: 희부기僖負羈나라 대부大夫이다.희부기僖負羈에게 말하였다.
“내가 진공자晉公子종자從者들을 보건대 모두 나라의 재상宰相이 되기에 충분한 인재人才들이니 만약 공자公子가 저들을 승상丞相으로 삼는다면注+마침내 저들을 부상傅相으로 삼는다면 반드시 나라로 돌아가게 된다는 말이다. 부자夫子는 반드시 나라로 돌아갈 것이고注+[부주]林: 부자夫子중이重耳를 이름이다.나라로 돌아간다면 반드시 제후諸侯패주霸主가 될 것이고, 제후의 패주霸主가 되어 무례無禮한 나라를 주벌誅罰한다면 아마 나라가 맨 먼저 주벌誅罰될 것입니다.
그러니 당신은 어찌 일찍이 스스로 두 마음을 품은 것을 공자公子에게 보이지 않습니까?”注+자이自貳는 스스로 조군曹君에게 다른 마음을 품었다는 것을 공자公子에게 보이라는 말이다.
아내의 말을 들은 희부기僖負羈는 한 소반의 음식을 보내면서 밥 속에 구슬을 넣으니,注+신하는 국외國外의 사람과 교제交際하는 의리가 없기 때문에 소반에 음식을 보내는 기회를 이용해 밥 속에 구슬을 넣어 사람들이 모르게 한 것이다. 공자公子는 그 밥만을 받고 구슬은 돌려주었다.注+[부주]林: 밥을 받아 그 뜻을 받아들이고, 구슬을 돌려주어 탐욕貪慾하지 않음을 보인 것이다.
나라에 이르니 송양공宋襄公이 그에게 말 20 을 보내 주었다.注+은 보내 준 것이다.
나라에 이르니 정문공鄭文公 또한 예우禮遇하지 않았다.
숙첨叔詹하였다.
이 듣건대 하늘이 돕는 사람에게는 누구도 미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注+는 앞길을 열어 주는 것이다. [부주]林: 하늘이 길을 열어 주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사람들이 모두 미칠 수 없다는 말이다.
진공자晉公子에게는 사람들이 미칠 수 없는 세 가지 특이特異한 점이 있으니,注+[부주]林: 중이重耳에게는 사람들이 미칠 수 없는 세 가지 일이 있다는 말이다. 하늘이 그를 임금으로 세우려는 것이 아닌지요.注+[부주]林: 장차 그를 세워 나라의 임금으로 삼을 것이라는 말이다.
그러니 께서는 그를 예우하소서.
남녀가 동성同姓이면 그 사이에서 태어난 자손이 번창蕃昌하지 않는 것이 상례常例인데,注+번식蕃息이다.진공자晉公子소생所生인데도 지금에 이른 것이 그 첫 번째 특이한 점이고,注+견융犬戎호희狐姬의 아들이기 때문에 ‘희출姬出’이라고 한 것이다.국외國外로 떠도는 환난患難을 만났는데도注+도망해 외국外國이 있는 것이다. 하늘이 나라를 안정시키지 않아 그를 돕는 듯한 것이 두 번째 특이한 점이고, 세 사람은 그 재능才能이 남의 윗사람이 되기 충분한 데도 그를 따르는 것이 세 번째 특이한 점입니다.注+국어國語》에 “호언狐偃, 조쇠趙衰, 가타賈佗 세 사람은 모두 경상卿相 재목이다.”고 하였다. [부주]朱: 세 사람의 재주가 모두 남의 윗자리에 있기에 충분한 데도 중이重耳를 따라 다닌다는 말이다.
나라와 나라는 동등同等한 나라이니注+동등同等이다.나라의 자제子弟가 우리나라를 지나더라도 예우하는 것이 진실로 마땅한데[將], 하물며 하늘이 돕는 사람이겠습니까?”注+[부주]林: 나라의 자제子弟로서 나라를 지나는 자에게도 예모禮貌를 갖추어 대우하는 것이 진실로 마땅하다는 말이다
그러나 문공文公은 끝내 듣지 않았다.
나라에 이르니 초자楚子주연酒宴을 베풀어 중이重耳을 접대하며 말하기를, “공자公子가 만약 나라로 돌아가게 된다면 무엇으로써 불곡不穀에게 보답報答하겠소?” 라고 하니, 중이重耳가 대답하기를 “자녀子女옥백玉帛이라면 임금께서 이미 소유하셨고,注+[부주]朱: 자녀子女비첩妃妾이다., , , 이라면 임금님의 땅에서 생산됩니다.
우리 나라에 흘러온 것들은 임금님께서 쓰시고 남은 것들이니,注+[부주]林: 그 남은 것들이 흘러 나라에 들어온 것은 모두 초군楚君이 쓰고서 버린 것들이라는 말이다. 무엇으로 임금께 보답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초자楚子가 다시 “비록 그렇기는 하지만 무엇으로써 보답하겠소?”라고 하니, 중이重耳가 대답하였다.
“만약 임금님의 덕으로 나라로 돌아가게 된다면 나라와 나라가 군대를 거느리고서 중원中原에서 만났을 때 임금님을 위해 삼사三舍를 물러나겠습니다.注+[부주]朱: 30리가 1이다. 진병晉兵이 90리를 후퇴後退초병楚兵을 피하는 것으로써 나라의 은덕恩德을 갚겠다는 말이다.
그래도 전쟁戰爭을 중지하자는 임금님의 을 들을 수 없으면注+삼사三舍를 물러났는 데도 전쟁戰爭을 중지하자는 초왕楚王의 명을 받지 못했다는 말이다. 왼손에는 채찍과 활을 잡고 오른쪽에는 활집과 화살통을 차고서 임금님과 한 판 겨루어 보겠습니다.”注+는 끝을 뼈로 장식하지 않은 활이다. 는 화살통이고, 은 활집이다. 은 차는 것이다. 주선周旋은 서로 추격追擊하는 것이다.
이에 자옥子玉이 죽이기를 청하니注+중이重耳의 뜻이 큰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초자楚子는 “진공자晉公子는 뜻이 광대廣大하면서도 검소儉素하고注+뜻은 크고 몸은 검소하다는 말이다.문화文華하면서도 가 있으며,注+[부주]朱: 문화文華한 사람은 오만傲慢에 이르기 쉬운데 공자公子는 능히 로써 자신을 단속한다는 말이다.종자從者들은 엄숙하면서도 너그럽고,注+이다. 충성스러워 힘을 다해 그 임금을 섬기는데,注+[부주]林: 충성을 다해 임금을 섬기고 부지런히 힘까지 쓴다는 말이다. 현재의 진후晉侯친근親近한 사람이 없어 내외內外가 모두 그를 미워한다.注+진후晉侯혜공惠公이다. [부주]朱: 그는 시기심猜忌心이 많아 남을 이기려고 하기 때문에 친근親近한 사람이 없다는 말이다.
내가 듣건대 희성姬姓제후諸侯 중에 당숙唐叔후손後孫이 가장 뒤에 쇠망衰亡할 것이라고 하니, 아마도 진공자晉公子가 장차 나라의 임금이 되기 때문이리라.注+[부주]林: 당숙唐叔의 자손이 다른 제후諸侯보다 뒤에 쇠망衰亡한다면 나라가 흥기興起하는 것은 아마도 진공자晉公子중이重耳 때문일 것이라는 말이다.
하늘이 그를 일으키려 하는데 누가 그를 폐출廢黜할 수 있겠는가?
하늘의 뜻을 어기면 반드시 큰 재앙災殃이 있을 것이다.”라고 하고서, 중이重耳나라로 보내 주었다.
진백秦伯중이重耳에게 여자 다섯을 보내 주었는데 회영懷嬴도 그 속에 끼어 있었다.注+회영懷嬴자어子圉의 아내이다. 자어子圉회공懷公이기 때문에 회영懷嬴이라 호칭號稱한 것이다.
하루는 회영懷嬴이 주전자[匜]에 물을 담아 들고 중이重耳의 손에 부어 세수洗手하게 하였는데, 세수를 마치고는 젖은 손의 물을 회영懷嬴에게 뿌리니,注+세수洗手하도록 물을 붓는 그릇이다. 는 뿌리는 것이다. [부주]朱: 는 물을 담는 그릇이고, 은 물을 붓는 것이고, 세수洗手하는 것이니, 회영懷嬴를 들고 중이重耳의 손에 물을 부어 세수하게 하고는 세수를 마치자 젖은 손을 중이重耳에게 뿌려 물이 그 옷을 더럽히게 하였다는 말이다.회영懷嬴이 화를 내며 말하였다.
나라와 나라는 대등對等[匹]한 나라인데 어째서 나를 비천卑賤하게 대하십니까?”注+필적匹敵이다.
공자公子는 겁이 나서 상의上衣를 벗고 스스로 죄수罪囚 모양을 하고서 사죄謝罪하였다.注+상복上服을 벗고 스스로 죄수罪囚의 모양을 하고서 사과謝過한 것이다.
후일後日진목공秦穆公중이重耳주연酒宴초대招待하였다.
자범子犯이 말하기를, “나는 말솜씨가 조쇠趙衰만 못하니注+세련된 말솜씨[文辭]가 있다는 말이다.조쇠趙衰를 데리고 가소서.”라고 하였다.
연회宴會 중에 공자公子하수河水를 읊으니注+하수河水〉는 일시逸詩(《詩經》에 수록收錄되지 않은 )이다. 하수河水가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는 뜻을 취한 것이니, 나라를 바다에 비유한 것이다. 목공穆公유월六月을 읊었다.注+유월六月〉은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편명篇名이다. 윤길보尹吉甫주선왕周宣王을 도와 정벌征伐한 일을 찬양讚揚인데, 공자公子나라로 돌아가 임금이 되면 반드시 왕국王國을 바로잡을 것이라고 비유한 것이다. 옛날에는 예회禮會고시古詩를 이용해 자신의 뜻을 나타냈기 때문에 ‘’라고 한 것이다. 여기에 읊은 단장斷章인데 온전한 시편詩篇의 이름을 한 것은 대체로 수장首章의 뜻을 취하였기 때문이다. 다른 곳도 이와 같다.
그러자 조쇠趙衰가 말하였다.
중이重耳배사拜賜하소서.”
공자公子가 뜰 아래로 내려가 절하고서 머리를 조아리니[稽首]목공穆公이 한 계단을 내려가 사양하였다.注+한 계단을 내려가 공자公子계수稽首를 사양한 것이다.
조쇠趙衰가 말하였다.
진군秦君께서 천자天子보좌輔佐하는 일을 들어[稱]중이重耳에게 하시니 중이重耳가 감히 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까?”注+유월六月수장首章에는 왕국王國을 바로잡을 것을 말하였고, 다음 에는 천자天子를 도울 것을 말하였기 때문에 조쇠趙衰가 뭉뚱그려 말한 것이다. 명년明年진백秦伯중이重耳나라의 임금으로 들려 보낸 장본張本이다.


역주
역주1 以討其不與盟于齊也 : 齊孝公이 宋襄公의 도움으로 齊나라로 돌아와 임금이 되었으므로 鹿上의 會盟에 마지못해 참여하였으나, 宋나라의 支配下에 있는 것을 탐탁스레 여기지 않던 차에 宋襄公이 盂의 會合에서 잡혔다가 풀려나고 泓의 전쟁에서 負傷한 것을 보고는 드러내놓고 宋나라를 背叛하여 宋나라가 敗戰한 틈을 타서 토벌한 것이다.
역주2 其人能靖者與有幾 : 《馬氏通文》에 “ ‘與’字가 본래 句의 끝에 있었는데 倒置되어 앞으로 온 것이다.”고 하였다.
역주3 : 杜注와 朱註에는 위의 ‘期’字는 期約의 뜻으로, 아래의 ‘期’字는 朞年의 뜻으로 해석하였으나, 역자는 두 ‘期’字를 모두 期限의 뜻으로 번역하였다.
역주4 如字 : 두 개 이상의 訓詁가 있는 글자를 基本訓으로 읽는 것이다.
역주5 胥臣臼季 : 司空은 官名이고, 胥는 氏, 臣은 名, 臼는 食邑이다. 그러므로 胥臣이라 하기도 하고 臼季라고도 한다.
역주6 姜[妻] : 저본에는 ‘姜’字와 ‘妻’字의 위치가 바뀌어 있으나 《四庫全書左傳杜林合注》本에 의거하여 바로잡았다.
역주7 傅相 : 傅는 師傅이고 相은 丞相이다.
역주8 不穀 : 君王의 謙稱이다.
역주9 也[之] : 저본에는 ‘也’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本에 의거하여 ‘之’로 바로잡았다.
역주10 以濕手……汚其衣也 : 懷嬴이 重耳에게 물을 뿌린 것으로 말한 朱註는 옳지 않다. 懷嬴이 물을 뿌렸다면 重耳가 무엇 때문에 두려워하였겠는가.
역주11 禮會 : 軍事의 會合이 아닌 友好의 會合이다.
역주12 斷章 : 詩文의 한 토막이다.
역주13 拜賜 : 내린 은혜나 또는 말을 절하고서 받는 것이다.

춘추좌씨전(2)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