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心經附註

심경부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損之象曰 이니 君子以하여 懲忿窒慾하나니라
原注
[原註]
○ 伊川先生曰
修己之道 所當損者 惟忿與慾이라
故懲戒其忿怒하고 窒塞其意欲也니라
原注
○ 龜山楊氏曰
終於忿思難, 見得思義 以此니라
原注
[附註]
○ 明道先生 謂張子曰
人之情 易發而難制者 惟怒爲甚이니 第能於怒時 리라
原注
朱子曰
聖人之喜怒 大公而順應하니 天理之極也 衆人之喜怒 自私而用智하니 人欲之盛也
忘怒則公이요 觀理則順이니 二者 所以爲自反而去蔽之方也
夫張子之於道 固非後學所敢議 然意其强探力取之意多하고 涵泳完養之功少
原注
○ 伊川先生曰
語云 棖也慾이어니 焉得剛이리오하니 甚哉
慾之害人也
人之爲不善 誘之也 誘之而弗知 則至於滅天理而不反이라
故目欲色, 耳欲聲으로 以至鼻之於香, 口之於味, 四支之於安佚 皆然하니
然則何以窒其欲
曰 思而已矣
學者 莫貴於思하니 惟思而能窒慾이니
窒慾之道也니라
原注
○ 伊川先生
吾受氣甚薄하여 三十而浸盛하고 四十五十而後完하니 今生七十二年이로되 校其筋骨하면 於盛年 無損也로라
思叔 請曰 先生 豈以受氣之薄而厚爲保生邪잇가 先生 默然曰 로라
原注
○ 五峯胡氏曰
하니 惟明者能自反하고 勇者能自斷이니라
原注
○ 朱子曰
觀山之象하여 以懲忿하고 觀澤之象하여 以窒慾이니 人怒時 自是恁突兀起來
故孫權云 이라하니라
慾如汙澤然하여 其中穢濁하여 解汙染人이라
故窒慾 如塡壑하고 懲忿 如摧山이니라
原注
○ 又曰
向見하니 說少時 性氣粗暴하여 嫌飮食不如意하야 便打破러니
後日久病하여 只將一冊論語하여 早晩閑看이라가 至躬自厚而薄責於人하여 忽然覺得意思一時平了하여 遂終身無暴怒라하니
此可爲變化氣質法이니라


6. 징분질욕장懲忿窒慾章
손괘損卦의 〈상전象傳〉에 이르기를 “ 아래에 못이 있는 것이 이니, 군자君子가 이것을 보고서 분함을 징계하고 욕심(욕망)을 막는다.” 하였다.
原注
[原註]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몸을 닦는 도리에 마땅히 덜어 내야 할 것은 오직 분함과 욕심(욕망)이다.
그러므로 그 분노를 징계하고 그 의욕意欲(욕망)을 막는 것이다.”
原注
구산양씨龜山楊氏(楊時)가 말하였다.
구사九思에 ‘분할 때에는 어려울 것을 생각하고 얻을 것을 보면 를 생각하라’는 것으로 끝마친 것은 이 때문이다.”
原注
[附註]
명도선생明道先生장자張子에게 말씀하였다.
“사람의 가운데 격발하기 쉬워 제재하기 어려운 것은 오직 노여움이 심하니, 다만 노여울 때에 그 노여움을 빨리 잊고 이치(도리)의 옳고 그름을 살피면 또한 외물의 유혹을 미워할 것이 없음을 알 수 있고 에 있어서도 생각함이 반을 넘을 것이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성인聖人희로喜怒(기쁨과 노여움)는 크게 공정公正하여 순히 응하니 천리天理(표준)이고, 중인衆人희로喜怒는 스스로 사사롭게 하여 지혜를 쓰니 인욕人欲함이다.
노여움을 잊으면 공정公正해지고 이치를 살피면 순해지니, 이 두 가지는 스스로 돌이켜서 가려진 것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장자張子에 대한 경지는 진실로 후학後學들이 감히 의논할 수 있는 바가 아니나 짐작컨대 억지로 탐구하고 힘써 취하려는 뜻이 많고, 함양하여 완전하게 기르는 공부가 부족한 듯하다.
그러므로 이에 대해 의심이 없지 못하였는데, 정자程子가 이로써 말씀해 주었으니, 그 뜻이 깊도다.”
原注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논어論語》에 이르기를 ‘신정申棖은 욕심(욕망)으로 하니 어떻게 함이 될 수 있겠는가’하였으니, 심하다!
욕심이 사람을 해침이여.
사람이 불선不善을 하는 것은 욕심이 유인하기 때문이니, 유인하는데도 알지 못하면 천리天理를 멸함에 이르러 돌아오지 못한다.
그러므로 눈이 좋은 색을 욕망하고 귀가 좋은 음악을 욕망하는 것으로부터 코가 좋은 향기를, 입이 맛있는 음식을, 사지四肢가 안일을 욕망함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러하니, 이는 모두 욕심이 그렇게 하도록 시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 욕심을 막아야 하는가?
생각할 뿐이다.
배우는 자에게는 생각하는 것보다 더 소중한 것이 없으니, 오직 생각하면 욕심을 막을 수 있다.
증자曾子삼성三省은 욕심을 막는 방도이다.”
原注
이천선생伊川先生장사숙張思叔(張繹)에게 말씀하였다.
“나는 타고난 기운이 매우 부족하여 30세가 되면서 점점 성해졌고 4, 50세가 되어서야 완전해졌으니, 지금 태어난 지가 72년인데도 근골筋骨을 비교하면 젊었을 때에 비하여 줄어든 것이 없다.”
장사숙張思叔이 “선생先生께서는 아마도 타고난 기운이 부족하다고 여기시어 후하게 보생保生하신 것이 아닙니까?” 하고 묻자, 선생先生은 묵묵히 있다가 말씀하기를 “나는 생명을 잊고 욕심을 따르는 것을 심한 수치로 여긴다.” 하였다.
原注
오봉호씨五峯胡氏가 말하였다.
“기운이 물건에 감동할 때에 빠른 번개처럼 폭발하여 미쳐서 제재할 수 없으니, 오직 지혜가 밝은 자는 스스로 반성하고 용맹한 자는 스스로 결단한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을 보고서 분함을 징계하고 을 보고서 욕심을 막으니, 사람이 분노할 때에는 자연 이처럼 돌발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손권孫權이 ‘사람으로 하여금 노기怒氣가 산처럼 솟게 한다’고 말한 것이다.
욕심은 웅덩이나 못과 같아서 그 속이 더럽고 혼탁하여 사람을 오염시킨다.
그러므로 욕심을 막기를 구렁을 메우듯이 하고 분노를 징계하기를 산을 넘어뜨리듯이 하는 것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지난번에 여백공呂伯恭(呂祖謙)을 만났더니, 그가 말하기를 ‘젊었을 때에 성기性氣(성품과 기질)가 거칠고 포악해서 음식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불만스러워서 가사家事(집안의 살림살이)를 때려부수곤 하였는데,
후일에 오랫동안 병을 앓으면서 다만 《논어論語》 한 책을 가지고 아침저녁으로 익숙하게 보다가 「몸소 자책함은 후하게 하고 남에게 책함은 적게 한다」는 부분에 이르러서 갑자기 의사意思가 한순간에 화평해짐을 깨달아 마침내 종신토록 폭노暴怒(갑작스러운 분노)함이 없다’하였으니,
이는 기질氣質변화變化시키는 으로 삼을 만하다.”


역주
역주1 懲忿窒慾章 : 《周易》 〈損卦 大象傳〉에 보인다.
역주2 [譯註]山下有澤損 : 損卦는 위에는 山을 상징하는 艮이 있고 아래에는 澤을 상징하는 兌가 있으므로 말한 것이다.
역주3 [譯註]九思 : 아홉 가지 생각해야 할 것으로 《論語》 〈季氏〉에 “군자가 아홉 가지 생각함이 있으니, 볼 때에는 밝게 볼 것을 생각하고, 들을 때에는 귀밝게 들을 것을 생각하고, 얼굴빛은 온화할 것을 생각하고, 용모는 공손할 것을 생각하고, 말은 성실할 것을 생각하고, 일은 공경할 것을 생각하고, 의심스러운 것은 물을 것을 생각하고, 분노가 치밀 때에는 뒤에 어려움이 있을 것을 생각하고, 얻을 것을 보게 되면 의리를 생각한다.[君子有九思 視思明 聽思聰 色思溫 貌思恭 言思忠 事思敬 疑思問 忿思難 見得思義]” 하였다.
역주4 [釋疑]遽忘其怒하고 而觀理之是非하면 亦可見外誘之不足惡(오)요 而於道에 亦思過半矣 : 張子가 明道에게 보낸 편지에 “정해진 성품이 동하지 않을 수가 없어서 아직도 外物에 얽매인다.[定性未能不動 猶累於外物]”고 하였다. 그러므로 程子가 답한 편지의 끝에 이로써 밝힌 것이다. 사람의 노여움은 반드시 외부의 逆境을 만나는 데서 나온다. 그러나 노여움이 나올 때에 대번에 그 노여움을 잊고 이치를 살펴보면 저 외부에서 저촉된 것이 또한 미워할 것이 못되며, 자신의 생각하는 바가 道에 있어 또한 많을 것이다.
역주5 [刊補]夫張子之於道 …… 其旨深哉 : 살펴보건대 本文은 張橫渠의 〈定性書〉 한 편을 總論하여 이 말로써 결론지은 것이요, 단지 ‘喜怒’ 한 단락만을 결론한 것은 아니다.
역주6 [釋疑]此皆有以使之也 : 使之는 욕심이 시킴을 이른다.
역주7 [譯註]曾子三省 : 三省은 세 가지로 살핌을 이른다. 曾子는 일찍이 “나는 날마다 세 가지로 내 몸을 살피노니, ‘남을 위하여 일을 도모하면서 충성스럽지 않은가. 붕우와 사귀면서 信實하지 않은가. 스승에게 전수받은 것을 익히지 않았는가.[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이다.” 하였다. 《論語 學而》
역주8 [釋疑]張思叔 : 이름은 繹이니, 程子의 高弟이다.
역주9 [刊補]吾以忘生徇欲 爲深恥 : 張思叔의 질문은 保生을 잘함을 위주로 해서 말하였으니, 지금 사람들이 藥物로 몸을 보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伊川先生이 生을 잊고 욕심을 따르는 것으로 답한 것은 理를 위주로 하면서 氣도 겸하여 기른 것이다.
역주10 [釋疑]氣感於物 …… 狂不可制 : 上下의 문장으로 살펴보면 노여움[怒]을 말한 것인 듯하다. 그러나 統合하여 七情을 말한 것으로 보면 더욱 의미가 있다.
역주11 [釋疑]令人氣湧如山 : 魏나라 遼東太守 公孫淵이 吳나라에 表文을 올리고 臣이라 칭하였다. 吳나라의 孫權은 크게 기뻐하여 張彌와 許晏을 보내어 公孫淵을 燕王으로 봉해주었으나 공손연은 장미와 허안을 목베어 魏나라에 바쳤다. 손권은 이 말을 듣고 크게 노하여 말하기를 “내 나이 60세에 세상의 온갖 일을 모두 경험하였는데, 근래에 쥐새끼같은 무리에게 퇴각을 당하니, 사람으로 하여금 怒氣가 산처럼 솟게 한다.” 하였다.
역주12 [釋疑]呂伯恭 : 呂祖謙의 字이니, 호가 東萊이다.
역주13 [釋疑]家事 : 바로 지금 세속의 말에 器物이란 것이니, 무릇 한 집안의 살림살이를 이른다.
동영상 재생
1 3. 징분질욕장(1) 453
동영상 재생
2 3. 징분질욕장(1) 649
동영상 재생
3 3. 징분질욕장(1) 189
동영상 재생
4 3. 징분질욕장(2) 800
동영상 재생
5 3. 징분질욕장(3) 526
동영상 재생
6 3. 징분질욕장(4) 333
동영상 재생
7 3. 징분질욕장(5) 135
동영상 재생
8 3. 징분질욕장(6) 453
동영상 재생
9 3. 징분질욕장(7) 384

심경부주 책은 2019.05.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