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心經附註

심경부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君子 樂得其道하고 小人 樂得其欲하나니 以道制欲이면 則樂而不亂하고 以欲忘道 則惑而不樂이니라
原注
[原註]
○ 鄭氏曰
謂仁義 謂淫邪也
原注
○ 程子曰
人雖不能無欲이나 然當有以制之 無以制之而惟欲之從이면 則人道廢而入於禽獸矣리라
原注
[附註]
○ 呂與叔曰
嘗有一朝士 久不見伯淳이라가 謂曰 伯淳答云 蓋恐回頭錯耳니라
原注
[按] 樂得其欲者 其意不過安放縱而賤名檢이나 然所謂罔念作狂 實基於此
今摭附四條하노니 學者不可不痛以爲戒니라
原注
○ 有人勞伊川曰 先生謹於禮 四五十年이니 亦甚勞且苦矣로소이다 先生曰
吾日履安地하니 何勞苦之有리오
他人 日踐危地하니 乃勞苦也니라
原注
○ 朱公掞 爲御史 端笏正立하야 嚴毅不可犯이라
班列肅然이러니 語人曰 何時 오하니라
原注
伊川先生 一日偶見하야是公詞否아하신대 少游意伊川稱賞之라하야 拱手遜謝어늘
伊川云 尊嚴하시니 安得易而侮之리오하시니 少游面色 이러라
原注
○ 張子曰
鄭衛之音 悲哀하야 令人意思留連하고 又生怠惰之意하야 從而致驕淫之心하나니
雖珍玩奇貨라도 其始惑人也 亦不若是切이니 從而生無限嗜好
하시니 亦是
但聖人 能不爲物所移耳니라
原注
左氏 라하니 男女 人之大欲 存焉이라
寡欲者 養心之要 欲而不行 可以爲難矣
然欲 生於色而縱於淫하나니
하니 하야 不可掩也 淫出於氣하니 不持其志 則放辟趨 無不爲矣
夫以志徇氣하야 肆行淫欲而不能爲之하야 至於棄其家國하고 出奔而不顧하니 此天下之大戒
春秋 謹書其事하니 리오마는 使後人爲鑑하야 必持其志케하니 修身窒欲之方也니라
原注
이라하니 亂者 內昏其心志하고 外喪其威儀 甚則
聖人 飮無定量하사되 亦無亂態하시니
是以如此어니와 學者 未能然이니 當知戒 可也니라
原注
○ 朱子曰
樂記云 好惡無節於內하고 하야 不能反躬이면 라하니 言情所以流而性之所以失也
情之好惡 本有自然之節이로되 惟其不自하야 無所涵養하야 而大本不立이라
是以天則 不明於內하고 外物 又從而誘之하니 此所以流濫放逸而不自知也
苟能於此 覺其所以然者하야 而反躬以求之 則其流 庶乎其可制也리라
不能如是하고 而惟情是徇이면 則人欲熾盛而天理滅息 尙何難之有哉리오
此一節 正天理人欲之機 間不容息處니라
原注
[按] 樂記於天理人欲 推極言之어늘 而朱子之訓 尤爲하니
學者不能以道制欲하야 而以欲忘道 則程子所謂人道廢而入于禽獸者 可立致矣리라


18. 군자악득기도장君子樂得其道章
군자君子를 얻는 것을 즐거워하고 소인小人은 욕망을 얻는 것을 좋아하니, 로써 욕망을 제재하면 즐거우면서도 어지럽지 않고, 욕망으로써 를 잊으면 미혹하고 즐겁지 못하다.
原注
[原註]
정씨鄭氏(鄭玄)가 말하였다.
인의仁義를 이르고 음사淫邪를 이른다.”
原注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사람이 비록 욕망이 없을 수 없으나 마땅히 제재함이 있어야 하니, 제재함이 없이 오직 욕망을 따르면 인도人道가 폐해져서 금수禽獸의 경지에 들어간다.”
原注
[附註]
여여숙呂與叔(呂大臨)이 말하였다.
“일찍이 한 조사朝士가 오랫동안 백순伯淳(明道)을 만나지 못하다가 〈백순伯淳을 만나〉 말하기를 ‘백순伯淳의 이와 같은 총명聰明으로 무엇 때문에 허다한 때에 끝내 머리를 돌려 조정朝廷에 오려고 하지 않는가?’ 하니, 백순伯淳은 대답하기를 ‘머리를 돌렸다가 어그러질까 두려워해서이다’ 하였다.”
原注
[按] 욕망을 얻음을 즐거워한다는 것은 그 뜻이 방종함을 편안히 여기고 명검名檢(名節)을 천히 여김에 불과하나 《서경書經》 〈다방多方〉에 이른바 ‘성인聖人이라도 생각하지 않으면 광인狂人이 된다’는 것이 실로 여기에 기인基因한다.
이제 네 조목을 뽑아 붙이니, 배우는 자가 통렬히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原注
어떤 사람이 이천선생伊川先生을 위로하기를 “선생이 를 삼가신 지가 40, 50년이니, 또한 매우 수고롭고 또 괴로우실 것입니다.” 하자, 선생이 말씀하였다.
“나는 날마다 편안한 곳을 밟으니, 어찌 수고롭고 괴로움이 있겠는가.
딴 사람들은 날마다 위험한 곳을 밟으니, 이것이 바로 수고롭고 괴로운 것이다.”
原注
주공섬朱公掞(朱光庭)이 어사御史가 되어 을 단정히 잡고 바르게 서서 엄숙하고 굳세어 범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반열班列들이 숙연해지니, 소자첨蘇子瞻(東坡)이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어느 때에나 이 경자敬字를 타파하겠는가.” 하였다.
原注
왕신백王信伯(王蘋)이 말하였다.
이천선생伊川先生이 하루는 우연히 진소유秦少游(秦觀)를 만나서 ‘하늘이 만약 아신다면 하늘도 수척하리라는 것이 의 글인가?’ 하고 묻자, 소유少游이천伊川이 자신의 글을 칭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손을 모으고 사양하였다.
이에 이천伊川이 말씀하기를 ‘상궁上穹(上天)이 존엄하시니 어찌 함부로 업신여길 수 있겠는가’ 하니, 소유少游는 얼굴빛이 붉어졌다.”
原注
장자張子가 말씀하였다.
나라와 나라의 음악은 슬퍼서 사람으로 하여금 의사意思유련留連(머물러 떠나가지 못함)하게 하고 또 게으른 뜻이 생겨나게 하여, 따라서 교만하고 음탕한 마음을 이루게 한다.
비록 진귀한 보배와 기이한 재물이라도 처음에 사람을 혹하게 함이 또한 이와 같이 간절하지는 않으니, 따라서 (이로 말미암아) 무한한 기호嗜好가 생겨나게 한다.
그러므로 공자孔子께서 반드시 이것을 추방하신 것이니, 또한 성인聖人경력經歷(경험)하신 것이다.
다만 성인聖人은 물건에게 옮김을 당하지 않을 뿐이다.”
原注
무이호씨武夷胡氏(胡安國)가 말하였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공손오公孫敖나라로 달아난 것은 기씨己氏를 따른 것이다’ 하였으니, 남녀간男女間은 사람의 큰 욕심(욕망)이 있는 것이다.
욕심을 적게 하는 것은 마음을 기르는 요점이니, 욕심이 있는데도 행하지 않게 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욕심은 에서 생겨나와 음탕함에 방종하게 된다.
천성天性에서 나오니 눈으로 보는 바는 똑같이 아름답게 여기는 것이 있어서 가릴 수가 없고, 음탕함은 기운에서 나오니 그 심지心志를 잡아 지키지 않으면 방벽放辟하고 달려감을 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심지心志로써 기운을 따라 음욕淫慾을 마음대로 행하고 장수將帥가 되지 못하여, 집과 나라를 버리고 도망하여 돌아보지 않음에 이르렀으니, 이는 천하의 큰 경계이다.
춘추春秋》에 삼가 이 일을 기록하였으니, 공손오公孫敖에게 무엇을 꾸짖을 것이 있겠는가마는 후인後人들로 하여금 거울로 삼아 반드시 그 뜻을 잡아 지키게 한 것이니, 몸을 닦고 욕심을 막는 좋은 방법이다.”
原注
치당호씨致堂胡氏(胡寅)가 말하였다.
“ ‘오직 술은 일정한 이 없으나 어지러움에 이르지 않게 하였다’ 하였으니, 어지럽다는 것은 안으로 심지心志를 어둡게 하고 밖으로 위의威儀를 잃는 것이니, 심하면 반백班伯의 이른바 ‘음란의 근원이 모두 술에 있다’는 것이다.
성인聖人(孔子)은 술을 마심에 일정한 양이 없었으나 또한 어지러운 태도가 없으셨으니, ‘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를 따르되 법도를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할 수 있지만 배우는 자들은 그렇지 못하니, 마땅히 경계할 줄을 알아야 할 것이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악기樂記에 ‘좋아하고 미워함이 안에 절제가 없고 마음의 지각知覺(욕망)이 밖에서 유혹하여 자기 몸에 돌이키지 못하면 천리天理가 멸한다’ 하였으니, 이는 이 흘러가 을 잃게 됨을 말한 것이다.
의 좋아하고 미워함은 본래 자연自然절도節度가 있으나 다만 스스로 깨닫지 못하여 함양涵養하는 바가 없어서 대본大本이 서지 못한다.
이러한 까닭에 하늘의 법칙이 안에 밝지 못하고 외물外物이 또 따라서 유혹하니, 이 때문에 흘러 넘치고 방일放逸(방탕)한데도 스스로 알지 못하는 것이다.
만일 이에 대하여 그러한 까닭을 깨달아서 몸에 돌이켜 찾는다면 그 흐름을 거의 제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지 못하고 오직 을 따른다면 인욕人欲치성熾盛하여 천리天理멸식滅息하는 것도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이 한 구절은 천리天理인욕人欲의 기미로서 숨쉴 틈을 용납할 수 없는 곳이다.”
原注
[按] 〈악기樂記〉에 천리天理인욕人欲을 미루어 극진히 말하였는데 주자朱子의 가르침이 더욱 경절警切함이 되니,
배우는 자가 로써 욕망을 제재하지 못하여 욕망으로써 를 잊는다면 정자程子의 이른바 ‘인도人道가 폐해져서 금수禽獸의 경지에 들어간다’는 것을 당장 이루게 될 것이다.


역주
역주1 君子樂得其道章 : 《禮記》 〈樂記〉에 보인다.
역주2 [釋疑]以伯淳如此聰明 …… 終不肯回頭來 : 才質의 아름다움이 이와 같으면서 禮法을 지키고 조금도 잘못함이 없어서 머리를 돌려 세속을 따르려고 하지 않으니, 이것이 盡善하지 못하다고 말한 것이다. [補註]伯淳은 明道 程顥의 字이다.
역주3 [刊補]蘇子瞻 : 蜀의 眉州 출신으로 名은 軾이고 號는 東坡이며, 老泉 蘇洵의 長子이다. 進士試에 급제하고 다시 制科에 우등으로 급제하여 仁宗, 英宗, 神宗, 哲宗을 섬겼으며, 관직이 禮部尙書에 이르렀다. 아우 轍과 함께 三父子가 唐宋八大家에 들어 文名을 날렸으며, 政治와 學問에도 특출하였으나 程伊川과 사이가 나빠 蜀黨‧洛黨으로 나뉘어 黨爭을 일삼았다.
역주4 [釋疑]打破這敬字 : 程子의 학문은 敬을 宗旨로 삼았다. 그리하여 특히 방사함을 좋아하는 蘇東坡學派의 미움을 받았는 바, 蘇東坡學派가 이 主敬의 학문을 타파하고자 한 것이다.
역주5 [釋疑]王信伯 : 이름은 頻이니, 程子의 門人이다.
역주6 [釋疑]秦少游 : 이름은 觀이니, 東坡의 門徒로 경박하고 詩를 잘하였다.
역주7 [釋疑]天若知也和天瘦 : 秦少游가 妓生에게 준 歌辭에 “佩玉소리 울리며 작별한 뒤에, 슬퍼라 아름다운 기약 어긋나 다시 만나기 어렵네.[玉佩丁東別後 悵佳期參差難]” 하였으며, 또 “하늘이 아신다면 하늘도 수척해질 것이니, 꽃아래 이중문과 버드나무 가의 깊은 골목에 머리를 돌릴 수 없네.[天還知道 和天也瘦 花下重門 柳邊深巷 不堪回首]” 하였다. [刊補]退溪가 金彦遇(金富弼)에게 답하기를 “이는 두 가지 해설이 있다. 하나는 ‘吉凶禍福이 오는 것은 天運이니, 사람이 참여하여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하늘 또한 어쩔 수가 없는 것이다. 만약 사람이 미리 길흉화복이 올 것을 안다면 기도하여 복을 구하고 화를 면하려고 하여 분분함을 다 말할 수 없을 것이니, 하늘도 그 고통을 견디지 못하여 수척해진다’ 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秦少游가 말한 일을 하늘도 만약 안다면 하늘도 슬퍼하고 괴로워 이 때문에 수척해진다’는 것인 바, 앞의 말이 옳은 듯하다.” 하였다. ○ 살펴보건대 秦少游가 기생에게 준 글의 뜻을 자세히 음미해 보면 뒤의 말에서 나온 듯하다. 和는 ‘아울러’ ‘더불어’의 뜻이다.
역주8 [刊補]上穹 : 하늘이다.
역주9 [刊補]騂然 : 얼굴이 붉은 모양이다.
역주10 [刊補]孔子必放之 : 《論語》 〈衛靈公〉에 보이는 孔子의 말씀으로 “鄭나라의 음탕한 음악을 추방하라.[放鄭聲]” 하였다. [補註]放之의 之는 위에 말한 鄭衛之音을 가리킨다. 《禮記》 〈樂記〉에 “治世의 음악은 편안하고 즐거우니 정사가 화평하기 때문이고, 亂世의 음악은 원망하고 분노하니 정사가 괴리되기 때문이고, 亡國의 음악은 애처롭고 그리워하니 백성이 곤궁하기 때문이다.[治世之音 安以樂 其政和 亂世之音 怨以怒 其政乖 亡國之音 哀以思 其民困]” 라고 하였으며, 또 “鄭‧衛의 音은 亂世의 음이니 태만함에 가까우며, 桑間‧濮上 지역의 音은 亡國의 음이니 정사가 산만하여 백성들이 流離한다.[鄭衛之音 亂世之音也 比於慢矣 桑間濮上之音 亡國之音也 其政散 其民流]” 하였다. 또 孔子는 治國의 大道를 물은 顔淵의 질문에 “鄭나라의 음악을 추방하고 말을 잘하는 사람을 멀리해야 하니, 鄭나라의 음악은 음탕하고 말을 잘하는 사람은 위태롭다.[放鄭聲 遠佞人 鄭聲淫 佞人殆]” 하였는 바, 여기서는 위에 소개한 〈樂記〉와 《論語》의 내용을 합하여 말한 것이다. 桑間과 濮上 역시 衛나라 땅으로 뽕나무숲 사이와 濮水 가를 이르는데, 이들 지역에 음탕한 음악이 유행하였다 한다.
역주11 [刊補]聖人經歷過 : 張橫渠는 일찍이 “孔子는 태어나면서부터 안 분이 아니고 또한 배움을 통해서 이르신 분이다. …… ” 하였는데, 이 뜻 또한 그러하다.
역주12 [釋疑]武夷胡氏 : 바로 文定公(胡安國)이다.
역주13 [釋疑]公孫敖奔莒 從己氏也 : 公孫敖는 春秋時代 魯나라의 宗室인 仲孫敖이다. 魯나라 大夫 襄仲이 莒나라 己氏에게 장가들었는데, 미처 그녀를 데려오지 못하였다. 公孫敖가 國事 때문에 莒나라에 사신을 가자, 襄仲은 그에게 己氏를 데려다 줄 것을 부탁하였는데, 公孫敖는 그녀의 미모에 반하여 그녀와 간통하였다. 뒤에 사람들의 비난을 받자, 公孫敖는 그녀를 莒나라로 送還하였으나 얼마후 국가를 버리고 己氏를 따라갔다.
역주14 [釋疑]色出於性 : 告子가 말하기를 “食色은 性이다.” 하였으니, 이 性은 氣質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역주15 [刊補]目之所視 有同美焉 : 《孟子》 〈告子〉에 나오는 말로 “눈이 色에 있어서 똑같이 아름답게 여김이 있다.[目之於色也 有同美焉]” 하였다.
역주16 : 궤
역주17 : 수
역주18 [刊補]於敖與 何誅 : 誅는 질책으로, 公孫敖는 질책할 가치조차 없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19 [釋疑]致堂胡氏 : 이름은 寅이고 자는 明仲이니, 文定公(胡安國) 아우의 아들인데, 文定公의 養子가 되었다.
역주20 [刊補]唯酒無量不及亂 : 《論語》 〈鄕黨〉에 보이는 내용으로 ‘無量’을 世儒들은 ‘술을 마시는데 한량이 없다’고 해석하나 옳지 않다. 몇 잔으로 한량을 삼지 않고 오직 기운에 맞게 마실 뿐인 것이다.
역주21 [釋疑]班伯所謂淫亂之原 皆在於酒也 : 班伯은 班彪의 叔父이다. ‘淫亂’ 이하는 班伯이 漢 成帝에게 간한 말이다.
역주22 [譯註]從心所欲不踰矩 : 從心은 마음을 따른다는 뜻으로, 孔子는 일찍이 “나는 15세에 학문에 뜻하였고 30세에 확립하였고 40세에 의혹하지 않았고 50세에 천명을 알았고 60세에 귀로 남의 말을 들으면 저절로 알아졌고 70세에 마음에 하고싶은 것을 따라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하였다. 《論語 爲政》
역주23 [釋疑]知誘於外 : 지각이 外物에게 유혹 당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24 [刊補]樂記云 …… 天理滅矣 : 살펴보건대 朱子가 林擇之(林用中)에게 답한 편지에 이르기를 “《中庸》과 《禮記》 〈樂記〉의 말은 疎略하고 緻密한 차이가 있다. 《中庸》은 처음부터 끝까지 謹獨工夫를 말하였으니, 곧 이른바 恭敬하여 잃음이 없다는 것으로 평소에 涵養하는 뜻이고, 〈樂記〉는 好惡에 절도가 없음을 들어 자신에게 돌이키지 못하면 天理가 소멸됨을 곧바로 말하였다. 그러나 事物에 感應하기 전에 만약 主宰가 없다면 또한 靜함을 편안히 여기지 못할 것이니, 이렇게 되면 곧 절로 天性을 어둡게 하여 外物이 誘引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잘못된다. 그러나 사람들이 이것을 전혀 알지 못한다.” 하였다.
역주25 [釋疑]覺知 : 《朱子大全》에는 知覺으로 되어 있다.
역주26 [譯註]警切 : 警策과 같은 뜻으로 경계하고 策勵(채찍질)함을 이른다.

심경부주 책은 2019.05.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