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心經附註

심경부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中庸 天命之謂性이요 修道之謂敎니라
可離 非道也
乎隱이며 莫顯乎微 君子 愼其獨也니라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이요 發而皆中節 謂之和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和也者 天下之達道也니라
致中和하면 天地位焉하며 萬物育焉이니라
原注
[原註]
○ 朱子曰
子思首明하시니 蓋欲學者於此 反求諸身而自得之하여 以去夫外誘之私而充其本然之善이니라
原注
○ 又曰
君子之心 하여 雖不見聞이라도 亦不敢忽하니 所以存天理之本然하여 而不使離於須臾之頃也니라
原注
○ 又曰
暗處也 細事也 獨者 人所不知而己所獨知之地也
言幽暗之中, 細微之事 하고 하니 則是天下之事 無有著見明顯而過於此者
是以君子旣常戒懼하고 而於此 尤加謹焉하니 所以遏人欲於將萌하여 而不使其潛滋暗長於隱微之中하여 以至離道之遠也니라
原注
[附註]
○ 問莫見乎隱, 莫顯乎微 何也잇가 程子曰
只以耳目所見聞者 爲顯見하고 所不見聞者 爲隱微
然不知理却甚顯이라
且如이라하니 殺在心이어늘 人聞其琴而知之하니 豈非顯乎
人有不善 自謂人不知之 然天地之理甚著하여 不可欺也니라
曰 如然否잇가
亦是
然而若說人與我인댄 固分得이어니와 니라
原注
問程子彈琴殺心事 是就見{人}知處言하고 所說 이어늘 合而論之하시니 是否잇가
兩事只一理 幾纔動則己必知之 己旣知則人必知
原注
愼獨 最爲入道之要 所謂獨者 非獨閒居靜處而已 萌於心之謂獨이니 能於此著力이면 無由有
故中庸 以此言으로 爲篇首하니라
原注
西山眞氏曰
鄒氏之言愼獨 最有深味하니라
原注
○ 蘇昞 問於喜怒哀樂之前 求中 可否잇가 程子曰
不可하다
旣思於喜怒哀樂未發之前하야 求之 又却是思也
旣思 卽是已發이니 이면 謂之和 不可謂之中也니라
言當求中於喜怒哀樂未發之前이라하니 信斯言也인댄 恐無로소니 如之何而可닛고
則可커니와 若言求中於喜怒哀樂未發之前則不可하니라
原注
朱子曰
程子才思卽是已發一句 能發明子思言外之意하시니 蓋言不待喜怒哀樂之發이요 但有所思 卽是已發이니
此意精微하여 十分盡頭하니 不可以有加矣로다
原注
○ 或問喜怒哀樂之前 下動字잇가
下靜字잇가
謂之靜則可커니와이라야 始得이니
學者莫若且先理會得敬이니 能敬則自知此矣리라
原注
未發之前 不可이요 已覺之後 不容安排
但平日莊敬涵養之功하여 而無人欲之私以亂之 則其未發也 鏡明水止하여 而其發也 無不中節矣리니 此是日用
至於隨事省察, 卽物推明에도 亦必以是爲本하여 而於已發之際 觀之 則其具於未發之前者 固可嘿識이라
故程子之答蘇季明 反覆論辨이로되 而卒之 不過以敬爲言하시니 蓋爲此也
向來講論思索 하여 而日用工夫 亦止以察識 爲最初下手處
以故 闕却平日涵養一段工夫하여 使人胸中擾擾하여 無深潛純一之味하고 而發之言語事爲之間 亦常急迫浮露하여 無復雍容深厚之風하니
蓋所見一差 其害至此하니 不可不審也니라
原注
○ 或曰 當靜坐時 物之過乎前者 이닛가
不見이닛가
看事如何 若是大事如祭祀 前旒蔽明하고 充耳 凡物之過者 不見不聞也어니와 若無事時 이니라
原注
謂未有聞, 未有見 爲未發이라한대 朱子曰
子思只說喜怒哀樂이어시늘 今却轉向見聞上去하니
所以說得愈多 愈見支離紛冗하여 都無交涉하니 此乃程門 而後人 亦不善讀也
若必以未有見聞으로 爲未發處인댄 則只是一種神識昏昧底人 睡未足時 被人驚覺하여 頃刻之間 有此氣象이라
聖賢之心 湛然淵靜하여 聰明洞徹하니 決不如此니라
若必如此인댄 當云 貌曰僵이요 言曰啞 視曰盲이요 聽曰聾이요 思曰塞이라야 乃爲得其性이요 而致知居敬하여 費盡工夫 却只養得成리라
原注
○ 又曰
未發 更怎生求리오
只平日涵養 便是 涵養久 則喜怒哀樂 發而中節이니라
原注
問不知無事時 如何戒謹恐懼잇가
若只管如此太過 若不如此 又恐都忘了로소이다 朱子曰
只不要昏了他 便是戒懼니라
原注
○ 又曰
善觀者 却於已發之際 觀之니라
原注
問涵養於未發之初하여 令不善之端旋消 則易爲力이어니와 若發以後則難制로소이다 朱子曰
聖賢 正要就發處制어늘 惟子思說喜怒哀樂未發謂之中이라하시니 孔孟敎人 多從發處說이라
未發時 固當涵養이어니와 發後 便都이니라
原注
與朱子書曰
某曩時 從羅先生學問할새 終日相對靜坐어시늘 某時未有知 退入室中하여 亦只靜坐而已러니
先生 令靜中 看喜怒哀樂未發之謂中 未發 作何氣象고하시니 此意不惟於進學 有力이라 兼亦是養心之要니라
元晦하야 不可思索하니 更於此句內 求之하여 靜坐看如何 往往 不能無補也리라
原注
朱子答書曰
李先生敎人 大抵令於靜中 大本未發時氣象 分明하면 卽處事應物 自然中節이라하시니 乃龜山門下相傳旨訣이라
然當時之時 貪聽講論하고 又方竊好章句訓詁之習하여 不得盡心於此
至今 若存若亡하여 無一的實見處하여 負敎育之意하니 每一念此 未嘗不愧汗沾衣也로라
○ 西山眞氏曰
朱子於呂氏求中之說 楊氏體所謂中之說 皆深非之로되
及爲延平行狀하여는 謂其危坐終日하여 驗未發時氣象而이라하시니 則亦呂氏之說也
又云
先生敎人 於靜中 體認大本未發時氣象이라하시고 其後與學者書
又謂大本達道 蓋屢言之而龜山所謂未發之際 能體所謂中하고 已發之際 能得所謂和라하니 此語爲近之라하사
其說 又不同하니 將何所適從邪
蓋嘗思之컨대 未發之前 但當敬以存養而不可有心求
然思慮未形而知覺不昧하여 性之體段 自有不可揜者하니 程子所謂靜中有物者
蓋謂凡學者深味而實驗之하면 自當有見이니 未可專以言語求也니라
○ [按] 宋儒 嘗類聚程朱所論已發未發者하여 爲中和說集編六卷하니 學者宜詳考之
茲不盡錄하노라
原注
○ 問謹獨 是念慮初萌處否잇가 朱子曰
此是通說이나 不止念慮初萌이라 只自知處
如小可沒緊要處 便是不謹이니 謹獨 是已接物了
戒謹不睹, 恐懼不聞 是未有事在 相在爾室컨대 尙不愧于屋漏之時 謹獨 便已有形迹了 潛雖伏矣 亦孔之昭
詩人言語 只是大綱說이어늘 하시니 又較緊密이니라
原注
○ 又曰
戒愼恐懼 不須說太重이라
孟子曰 操則存이라하시니 亦不是著力把持 只是 便在這裏
所不睹, 所不聞 不是閉耳合眼時 只是萬事 皆未萌芽 自家便先恁地戒愼恐懼
不睹不聞之時 便是喜怒哀樂未發處 常要提起此心在這裏하여 防於未然이니 所謂니라
原注
問喜怒哀樂未發之初 不知戒懼心 이닛고 潛室陳氏曰
此問 最精하니 前輩 於此境界 最難下言語
旣是未發이라 著工夫 便是發了
原注
○ 又曰
謹獨 是就中 有一念萌動處하여 雖至隱微하여 人所不知 而己所獨知 尤當致謹이니 如一片止水 中間 有一點動處
此最緊要著工夫處니라
原注
曰 戒懼者 所以涵養於喜怒哀樂未發之前이요
云 當此之時하여 寂然不動이라
只下得涵養功夫 涵養者 所以存天理也
愼獨者 所以省察於喜怒哀樂已發之後라한대
元注云 當此之時하여 一毫放過 則流於欲矣
判別義利 全在此時하니 省察者 所以遏人欲也
朱子曰 此說甚善이로다
原注
西山眞氏曰
自昔諸儒之釋中庸 皆以戒謹恐懼與謹獨云者 通爲一事러니 至朱子하여 乃析而二之하시니 蓋以爲不睹不聞者 我之所不睹不聞也 獨者 人之所不睹不聞也 其義不容不二
又以見平常之時 要切之處 無所不用其謹이면 則天理存而人欲泯이니 是乃所謂致中和之功也니라


12. 중용中庸 천명지위성장天命之謂性章
중용中庸》에 이르기를 “하늘이 해 준 것을 이라 이르고 을 따르는 것을 라 이르고 품절品節해 놓은 것을 라 이른다.
는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으면 가 아니다.
이러므로 군자君子는 보지 않는 것(않을 때)에도 계신戒愼하며 듣지 않는 것(않을 때)에도 공구恐懼하는 것이다.
(어두운 곳)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이 없으며 (세미한 일)보다 더 잘 나타나는 것이 없으니, 그러므로 군자君子는 그 홀로를 삼가는 것이다.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하지 않은 것을 이라 이르고 발하여 모두 절도節度에 맞는 것을 라 이르니, 은 천하의 대본大本(큰 근본根本)이고 는 천하의 달도達道(공통된 )이다.
를 지극히 하면 천지天地가 제자리를 편안히 하고 만물萬物이 잘 생육될 것이다.” 하였다.
原注
[原註]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자사子思가 첫 번째는 의 본원이 하늘에서 나와 바뀔 수 없음과 그 실체가 자기 몸에 갖추어져 있어 떠날 수 없음을 밝혔고, 다음에는 존양存養성찰省察의 요점을 말씀하였고, 끝에는 성신聖神공화功化을 말씀하였으니, 배우는 자로 하여금 여기에서 자기 몸에 돌이켜 스스로 깨달아서 외유外誘를 제거하여 본연本然을 채우게 하고자 한 것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군자君子의 마음은 항상 경외敬畏하는 마음을 보존하여 비록 보고 듣지 않더라도 또한 감히 소홀히 하지 않으니, 이 때문에 천리天理본연本然을 보존하여 잠시라도 떠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은 어두운 곳이요 는 세미한 일이요 은 남은 알지 못하고 자신만이 홀로 아는 곳이다.
유암幽暗의 가운데와 세미細微한 일은 자취가 비록 드러나지는 않았으나 기미는 이미 동하였고 남은 비록 알지 못하나 자신은 홀로 알고 있으니, 그렇다면 천하의 일 중에 저견著見하고 명현明顯함이 이보다 더한 것이 없다.
이 때문에 군자君子가 이미 항상 계신공구戒愼恐懼하고 이에 더욱더 삼가는 것이니, 인욕人欲을 싹트려 할 때에 막아서 은미隱微한 가운데에 남몰래 불어나고 속으로 자라나 를 떠나기를 멀리함에 이르지 않게 하는 것이다.”
原注
[附註]
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이 없고 보다 더 잘 나타나는 것이 없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하고 묻자,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사람들은 다만 이목耳目으로 보고 듣는 것을 현견顯見으로 여기고, 보고 듣지 않은 것을 은미隱微로 여긴다.
그러나 이것은 이치가 매우 잘 드러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것이다.
우선 예를 들면 옛사람이 거문고를 탈 적에 당랑螳螂(사마귀)이 매미를 잡는 것을 보았는데 거문고 소리를 들은 자가 소리에 살기殺氣가 있다고 말한 것과 같으니, 죽이는 것은 마음속에 있는데 다른 사람이 거문고 소리를 듣고 알았으니, 어찌 드러난 것이 아니겠는가.
사람들은 불선不善이 있을 적에 남들이 알지 못할 것이라고 스스로 생각하나 천지天地의 이치는 매우 잘 드러나서 속일 수가 없는 것이다.”
“이는 양진楊震사지四知와 같은 것입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그것도 옳다.
그러나 만약 남과 나로 말한다면 진실로 나눌 수가 있지만 만약 하늘과 땅으로 말한다면 다만 동일同一한 앎일 뿐이다.”
原注
정자程子가 말씀한 거문고를 탈 적에 죽이려는 마음이 나타난 일은 남이 아는 곳을 가지고 말하였고, 소씨蘇氏(游氏)와 양씨楊氏가 말한 것은 자기가 아는 곳을 가지고 말하였는데, 선생先生(朱子)께서는 이것을 합하여 논하시니, 옳습니까?” 하고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두 가지 일이 다만 한 이치이니, 기미가 조금이라도 동하면 자기가 반드시 알고 자기가 이미 알았으면 남이 반드시 안다.
그러므로 정자程子양진楊震사지四知를 논하기를 ‘하늘이 알고 땅이 아는 것은 다만 동일同一한 앎이다’라고 하신 것이다.”
原注
도향추씨道鄕鄒氏(鄒浩)가 말하였다.
신독愼獨에 들어가는 가장 긴요한 요점이 되니, 이른바 이라는 것은 한가하고 고요하게 거처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마음에 싹트는 것을 이라 이르니, 이때에 힘을 쓰면 잘못되는 일이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중용中庸》에 이 말을 책의 머리로 삼은 것이다.”
原注
서산진씨西山眞氏가 말하였다.
추씨鄒氏가 말한 신독愼獨이 가장 깊은 의미가 있다.”
原注
소병蘇昞이 “희로애락喜怒哀樂을 구하는 것이 합니까?” 하고 묻자, 정자程子가 말씀하였다.
“불가하다.
이미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하기 이전에 생각하여 구한다면 이 또한 생각함이다.
이미 생각하면 곧 이발已發이니, 조금이라도 발하면 라 이르고 이라 이를 수 없다.”
여씨呂氏(呂大臨)가 ‘마땅히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하기 전에 을 구해야 한다’하였으니, 진실로 이 말 대로라면 손을 대어 잡을 곳이 없을 듯하니,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하지 않았을 때에 존양存養한다고 말하는 것은 하지만 만약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하지 않았을 때에 을 구한다고 말한다면 불가하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정자程子의 ‘조금이라도 생각하면 곧 이발已發’이라는 한 자사子思의 말씀 밖의 뜻을 발명發明하였으니,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함을 기다리지 않고 다만 생각하는 바가 있으면 곧 이발已發임을 말씀한 것이다.
이 뜻이 정미精微하여 미발未發계지界至(경계)에 이름이 십분 끝을 다하였으니, 이보다 더함이 있을 수 없다.”
原注
혹자或者가 “희로애락喜怒哀樂에는 동자動字를 놓아야 합니까?
정자靜字를 놓아야 합니까?” 하고 묻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이라고 이르는 것은 가하나 한 가운데에 모름지기 (마음속에 지키는 일)이 있어야 비로소 되니, 이것이 곧 어려운 곳이다.
배우는 자가 우선 먼저 을 이해함만 못하니, 하면 자연 이것을 알게 될 것이다.”
原注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미발未發의 전에 찾아서도 안 되고 이발已發의 뒤에 안배安排해서도 안 된다.
다만 평소 장경莊敬하고 함양涵養하는 공부가 지극해서 인욕人欲로써 어지럽힘이 없으면 미발未發의 때에 거울처럼 밝고 물처럼 잔잔하여, 발할 적에 절도에 맞지 않음이 없을 것이니, 이것이 일상생활에 있어 본령本領의 공부이다.
일을 따라 성찰省察하고 사물에 나아가 미루어 밝힘에 이르러서도 또한 반드시 이것을 근본으로 삼아서 이발已發의 즈음에 이것을 살펴본다면 미발未發의 전에 갖추어져 있음을 진실로 묵묵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정자程子소계명蘇季明에게 답한 글에 반복하여 논변하였으나 끝내는 으로써 말씀함에 불과하셨으니, 이 때문이다.
그 동안 강론하고 사색함에 다만 마음을 이발已發이라고 여겨서 일상생활의 공부를 또한 다만 단예端倪를 살피고 아는 것으로 가장 먼저 하수下手해야 할 곳이라고 여겼었다.
이 때문에 평소에 함양涵養하는 한 단락의 공부를 빠뜨려서 사람으로 하여금 가슴속이 분요紛擾하여 심잠深潛하고 순일純一한 맛이 없고, 언어言語사위事爲의 사이에 발할 적에도 또한 항상 급박急迫하고 부로浮露하여 다시 옹용雍容(여유로움)하고 심후深厚한 기풍이 없게 하였다.
소견이 한 번 잘못됨에 그 폐해가 이에 이르니, 살피지 않아서는 안 된다.”
原注
혹자或者가 말하기를 “정좌靜坐할 때에 앞에 지나가는 사물을 보아야 합니까?
보지 말아야 합니까?” 하고 묻자, 〈정자程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어떠한 일인가를 살펴보아야 하니, 만약 제사祭祀와 같은 대사大事에 면류관의 앞술이 눈을 가리고 귀막이 솜이 귀를 막고 있을 때라면 지나가는 모든 사물을 보지도 않고 듣지도 않아야 하지만 만약 일이 없을 때에는 눈은 마땅히 보아야 하고 귀는 마땅히 들어야 한다.”
原注
여자약呂子約(呂祖儉)이 “들음이 있지 않고 봄이 있지 않은 것이 미발未發이다.” 라고 하자, 주자朱子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자사子思는 단지 희로애락喜怒哀樂만을 말씀하셨는데 이제 다시 보고 듣는 것으로 향하여 간다.
이 때문에 말이 많을수록 더욱 지리하고 분분해져서 모두 교섭交涉(관여)함이 없음을 보게 되니, 이는 바로 정문程門에 묻고 기록한 자의 책임이요 후인後人들이 또한 잘 읽지 못한 부분이다.
만약 반드시 보고 들음이 있지 않은 것을 미발未發한 곳이라고 한다면 단지 일종의 정신精神지식知識이 혼미한 사람이 잠이 부족할 때에 남에게 놀라 깨서 잠깐 동안 사도四到(四方)를 모르는 때에 이러한 기상이 있다.
성현聖賢의 마음은 담연히 깊고 고요하여 총명하고 통철하니, 결코 이와 같지 않다.
만약 이와 같을진댄 홍범洪範오사五事에 마땅히 모습은 뻣뻣하고 말은 벙어리가 되고 보는 것은 소경이 되고 듣는 것은 귀머거리가 되고 생각은 막아야 한다고 말하여야 비로소 그 을 얻음이 될 것이요, 지식知識을 지극히 하고 에 거하여 많은 공부를 허비하는 것이 단지 한 어리석은 망량罔兩의 사람을 양성하게 될 것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미발未發에 다시 어떻게 찾겠는가.
다만 평소 함양涵養하는 것이 곧 이것이니, 함양하기를 오래하면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할 적에 절도에 맞게 된다.”
原注
“일이 없을 때에는 어떻게 하는 것이 계근공구戒謹恐懼인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단지 이와 같이 조관照管(管攝)하면 잡음이 너무 지나칠까 두렵고, 만약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또 모두 잊을까 두렵습니다.” 하고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무슨 긍지矜持함이 있겠는가.
다만 이 마음을 어둡게 하지 않을 뿐이니, 이것이 곧 계구戒懼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잘 관찰하는 자는 이발已發의 즈음에서 관찰한다.”
原注
미발未發의 초기에 함양하여 불선不善한 단서(마음)를 곧 사라지게 하면 힘을 쓰기가 쉬우나 만약 발한 뒤에는 제재하기가 어렵습니다.” 하고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성현聖賢은 바로 발하는 곳에 나아가 제재하려 하였는데, 오직 자사子思가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하지 않은 것을 이라고 이른다’고 말씀하였으니, 공자孔子맹자孟子는 사람을 가르칠 적에 대부분 발한 곳으로부터 말씀하였다.
미발未發의 때에도 진실로 함양涵養을 해야 하지만 발한 뒤에 곧 모두 조관照管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될 수 없다.”
原注
연평이씨延平李氏(李侗)가 주자朱子에게 준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내가 지난날 나선생羅先生(羅從彦)을 따라 배울 적에 종일토록 마주 대하고 정좌靜坐하였는데, 나는 이때 앎이 없어서 물러가 방안에 들어가 또한 다만 정좌할 뿐이었다.
그런데 선생先生이 나로 하여금 ‘고요한 가운데에 희로애락미발지위중喜怒哀樂未發之謂中미발未發을 어떠한 기상으로 지어 보아야 하는가?’하셨으니, 이 뜻은 단지 학문을 진전함에 효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마음을 수양하는 요점을 겸한 것이다.
원회元晦(朱子의 )는 우연히 마음의 병이 있어 사색할 수가 없으니, 다시 이 안에서 찾아 정좌靜坐하며 어떠한가를 본다면 왕왕 도움이 없지 않을 것이다.”
原注
주자朱子하숙경何叔京(何鎬)에게 답한 편지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연평延平 이선생李先生이 사람을 가르칠 적에 ‘대체로 고요한 가운데에 대본大本미발未發일 때의 기상을 체인體認하기를 분명하게 하면 일을 처리하고 사물에 응함에 자연 절도에 맞는다’하셨으니, 이는 바로 귀산龜山(楊時)의 문하門下에서 서로 전해 온 지결旨訣(중요한 말씀)이다.
그러나 당시 친자親炙(직접 수학함)할 때에 강론講論을 듣기를 탐하고 또 장구章句훈고訓詁를 익히기를 좋아하여 여기에 마음을 다하지 못하였다.
지금에는 있는 듯 없는 듯하여 한 가지도 적실的實히 본 곳이 없어서 스승의 교육하신 뜻을 저버리니, 언제나 이것을 한 번 생각할 때마다 부끄러워 땀이 흘러서 옷을 적시지 않은 적이 없노라.”
서산진씨西山眞氏가 말하였다.
주자朱子여씨呂氏의 ‘을 구한다’는 말씀과 양씨楊氏(楊時)의 ‘이른바 을 체인한다’는 말씀을 모두 깊이 비판하였으나
연평延平행장行狀을 지을 때에는 ‘무릎 꿇고 앉아 하루를 마쳐서 미발未發할 때의 기상을 징험하여, 이른바 이란 것을 구하였다’하셨으니, 그렇다면 이 또한 여씨呂氏의 말인 것이다.”
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선생이 사람을 가르칠 적에 고요한 가운데에 대본大本미발未發의 기상을 체인體認하라 하셨고, 그 뒤에 배우는 자들에게 보낸 편지에
또 ‘대본大本달도達道를 두 선생이 여러 번 말씀하였다. 귀산龜山(楊時)이 말씀한 「未發의 즈음에 이른바 이란 것을 체인體認하고 이발已發의 즈음에 이른바 란 것을 터득하여야 한다」는 것이니, 이 말씀이 근리近理하다’하시어
그 말씀이 또 똑같지 않으니, 장차 무엇을 주장하여 따라야 하는가?
일찍이 생각해 보건대 미발未發에는 다만 공경하여 존양存養할 뿐이요 마음을 두어 구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사려思慮가 나타나기 전에 지각知覺이 어둡지 않아서 체단體段이 자연 가릴 수 없으니, 정자程子의 이른바 ‘고요한 가운데에 사물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모든 배우는 자들이 깊이 음미하여 실제로 체험하면 스스로 알게 될 것이니, 오로지 언어로써 찾아서는 안됨을 이른 것이다.”
○ [按]송유宋儒악평樂平 정시등程時登이 일찍이 정자程子주자朱子이발已發미발未發을 논한 것을 종류별로 모아서 《중화설집편中和說集編》 6권을 만들었으니, 배우는 자들은 마땅히 자세히 상고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 다 기록하지는 않는다.
原注
근독謹獨은 생각이 처음 싹트는 곳 〈을 삼가는 것〉입니까?” 하고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이것이 통설通說이나 생각이 처음 싹틀 뿐만 아니라 다만 혼자 알고 있는 곳도 이다.
만일 조금 긴요함이 없는 곳이라도 어지럽게 하면 곧 삼가지 않는 것이니, 근독謹獨은 이미 사물을 접한 것이다.
보지 않을 때에 계근戒謹하고 듣지 않을 때에 공구恐懼한다는 것, 이것은 아직 일이 있지 않을 때이니, 《시경詩經》에 ‘네가 방에 있는 것을 살펴보건대 혹시라도 옥루屋漏에 부끄럽지 않게 한다’는 때이며, 근독謹獨은 이미 형적形迹이 있는 것이니 《시경詩經》에 ‘물 속에 잠겨 비록 엎드려 있으나 또한 심히 밝다’는 것이다.
시인詩人언어言語는 단지 대강만 말하였는데, 자사子思이면裏面에 나아가서 이 말씀을 뽑아 내어 사람을 가르치셨으니, 또 더욱 긴요하고 치밀하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계신戒愼공구恐懼를 굳이 너무 중하게 말할 것이 없다.
맹자孟子가 말씀하기를 ‘잡으면 보존된다’하였으니, 또한 힘을 써서 잡는 것이 아니요 다만 그저 한 번 잡을 뿐이니, 〈한 번 잡으면〉 곧 이 속에 있는 것이다.
예컨대 사람이 숨을 쉬는 것이 불면 곧 나가고 들이마시면 곧 들어오는 것과 같다.
보지 않고 듣지 않는 바라는 것은 귀를 막고 눈을 감고 있는 때가 아니요, 다만 만사萬事가 모두 싹트지 않았을 때에 자신이 곧 먼저 이처럼 계신戒愼하고 공구恐懼하는 것이다.
보지 않고 듣지 않는 때는 곧 희로애락喜怒哀樂미발未發할 때이니, 항상 이 마음을 제기提起(깨워 일으킴)하여 이 속에 있게 해서 미연未然에 방지하는 것이니, 이른바 나타나지 않았을 때에 도모한다는 것이다.”
原注
희로애락喜怒哀樂미발未發한 초기에는 계구戒懼하는 마음을 어느 곳에 붙여 두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하고 묻자, 잠실진씨潛室陳氏가 말하였다.
“이 물음이 가장 하니, 선배들은 이 경계(경지)에 대해서 말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하였다.
이미 미발未發이라서 조금이라도 공부를 하면 곧 발한 것이 된다.
비록 미발未發의 초기이나 는 이미 만 가지 을 포함하여 갖추고서 여기에 있으니, 선가禪家적여寂如공여空如와는 같지 않다.
이 때문에 성성惺惺주인主人(마음)이 항상 어둡고 아득한 가운데에 있어 조관照管하여 모두 일찍이 놓아버리지 않는 것이니, 비록 잡아 지키는 체단體段(상태)이나 흔적을 드러내지 않는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근독謹獨은 이 가운데에 한 생각이 싹터 움직이는 곳이 있어서 비록 지극히 은미隱微하여 남들은 알지 못하고 자신만 홀로 아는 바에 더욱 삼감을 지극히 하는 것이니, 예컨대 한 쪽의 잔잔한 물이 중간에 한 점의 움직이는 곳이 있는 것과 같다.
이것이 가장 긴요하게 공부하여야 할 부분이다.”
原注
호계수胡季隨(胡大時)가 말하기를 “계구戒懼라는 것은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발하기 전에 함양하는 것이요,
원주元注에 이르기를 “이때를 당하여 마음이 고요하여 동하지 않는다.
다만 함양涵養공부를 할 뿐이니, 함양은 천리天理를 보존하는 것이다.” 하였다.
신독愼獨희로애락喜怒哀樂이 이미 발한 뒤에 성찰省察하는 것입니다.” 하였는데,
원주元注에 이르기를 “이런 때를 당하여 털끝만치라도 놓아 버리면 욕심으로 흘러간다.
를 판별하는 것이 전적으로 이 때에 달려 있으니, 성찰함은 인욕人欲을 막는 것이다.” 하였다.
주자朱子가 말씀하기를 “이 말이 매우 좋다.” 하였다.
原注
서산진씨西山眞氏가 말하였다.
“예로부터 여러 유자儒者들이 《중용中庸》을 해석할 때에 모두 계근공구戒謹恐懼근독謹獨을 통하여 한 가지로 여겼는데, 주자朱子에 이르러 마침내 나누어 둘로 만들었으니, 보지 않고 듣지 않는 것은 내 자신이 보지 않고 듣지 않는 것이요, 이라는 것은 남이 보지 않고 듣지 않는 것이니, 그 뜻이 두 가지가 아닐 수 없다.
또 평상시(靜을 가리킴)와 중요하고 간절한 곳(動을 가리킴)에 그 삼감을 쓰지 않는 바가 없으면 천리天理가 보존되고 인욕人欲이 없어짐을 볼 수 있으니, 이것이 바로 이른바 중화中和를 지극히 하는 공부라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天命之謂性章 : 《中庸章句》 1章에 보인다.
역주2 [刊補]率性之謂道 : 朱子가 말씀하기를 “率性은 사람이 그것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하였고, 또 “이 率字는 힘을 쓰는 글자가 아니다.” 하였으며, 또 “循字는 道를 행하는 사람에 나아가 말한 것이 아니다.” 하였다. ○ 살펴보건대 率性이란 말은 人과 物을 통틀어 말한 것으로, 사람의 性을 따르면 사람의 道가 있고 사물의 性을 따르면 사물의 道가 있다는 말이다. 仁의 性을 따르면 親親‧仁民‧愛物의 道가 되고 義의 性을 따르면 忠君‧敬長‧尊賢의 道가 되며, 禮는 恭敬‧辭讓의 道가 되고 智는 是非를 분별하는 道가 되니, 일상생활 사이의 모든 일들이 이러한 性을 따라 이러한 道가 되지 않음이 없다. 벌과 개미의 君臣의 道와 승냥이와 수달의 報本의 道, 그리고 닭이 때를 알아 울고 개가 집을 지키는 데에 이르기까지 知覺과 運動, 榮華와 衰落이 모두 그 性을 따라서 각기 자연스러운 理致가 있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역주3 [刊補]道也者 不可須臾離也 : ‘道는 잠시도 떠날(떨어질) 수 없다.[道也者 不可須臾離]’는 道字는 곧 上文의 ‘率性之道’를 가리킨 것이다. ‘떨어질 수 없다’는 것은 道를 행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말한 것이 아니다. 만약 이 道를 떠나는 것이 불가하다고 말한다면 이는 道를 행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경계하는 말이니, 본뜻이 아니다. ○ 만약 本註의 ‘만약 떨어질 수 있다면[若其可離]’과 《或問》의 ‘만약 잠깐 합쳐졌다가 잠깐 떨어졌다가 할 수 있다면[若其可以暫合暫離云云] …… ’을 따른다면 마땅히 “떠날(떨어질) 수 있다면 道가 아니다[可離則非道也]”라고 해석해야 하며, 만약 《或問》 아래 小註에 나오는 藍田呂氏의 ‘道가 나에게 있는 것은 마치 飮食이나 居處와 같아서 떠나서는 안 되니, 떠나버릴 수 있는 것은 모두 外物이다 …… ’라는 說을 따른다면 마땅히 ‘떠나버릴 수 있는 것은 道가 아니다[可離者 非道也]’라고 해석해야 하는데, 두 가지 說을 겸하여 보는 것이 옳다. ○ 살펴보건대 道라는 것은 물건마다 있지 않은 것이 없고, 그러하지 않은 때가 없어서 본래 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이는 도를 위주로 해서 말한 것이다.) 그러나 사람이 이를 體行하면 합쳐지고 버리면 떨어지는데 떨어지고 합쳐지는 기틀은 나의 한 마음에 달려 있으니, 진실로 잠시라도 떠나서는 안 되는 것이다.(이는 도를 행하는 사람을 위주로 해서 말한 것이다.) 두 가지 說이 모두 있은 뒤에야 그 뜻이 비로소 구비되는데, 《章句》에서는 후자에 비중을 두고 있는 듯하니, 이것이 《講錄》 말단의 뜻이다.
역주4 [譯註]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 不睹와 不聞을 朱子 이전에는 남이 보지 않고 듣지 않는 것으로 해설하여 愼獨에 해당시켰으나, 朱子는 자신이 보지 않고 듣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여 靜할 때를 말한 것으로 보았다. 艮齋 田愚는 이를 더욱 확대 발전시켜 ‘보지 않을 때에도 戒愼하고 듣지 않을 때에도 恐懼한다’로 해석하여, 보고 들을 때에는 말할 것도 없고, 보지 않고 듣지 않을 때에도 조심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역주5 : 현
역주6 [釋疑]道之本原 …… 終言聖神功化之極 : 道의 本原이 하늘에서 나와 바꿀 수 없다는 것은 天命之謂性을 해석한 것이고, 實體가 자기 몸에 갖추어져 있어 떠날 수 없다는 것은 道는 잠시도 떠날 수 없음을 해석한 것이며, 存養은 戒愼恐懼를 해석한 것이고 省察은 愼獨을 해석한 것이다. 聖神功化의 極은 中和를 지극히 하면 天地가 자리를 잡고 萬物이 길러진다는 것을 해석한 것이다.
역주7 [釋疑]常存敬畏 : 戒愼하고 恐懼함을 해석한 것이다.
역주8 [刊補]跡雖未形 而幾則已動 : 程子의 뜻을 취하여 남이 아는 곳을 가지고 말하였다.
역주9 [刊補]人雖不知 而己獨知之 : 游氏(游酢)와 楊氏(楊時)의 뜻을 취하여 자신이 아는 곳을 가지고 말하였다.
역주10 [釋疑]昔人彈琴 …… 而聞者以爲有殺聲 : 螳螂(당랑)은 사마귀(버마재비)이며, 有殺聲은 殺氣가 있는 소리(음악)를 이른다. 後漢의 蔡邕이 陳留에 있을 적에 이웃사람이 술과 음식을 마련하고 초대하므로 蔡邕이 갔었는데, 손님 중에 병풍 사이에서 거문고를 타는 자가 있었다. 蔡邕은 거문고 소리를 듣고 속으로 생각하기를 “거문고 소리에 殺氣(죽이려는 마음)가 있음은 어째서인가?” 하고 마침내 돌아오니, 주인이 좇아와 그 이유를 물었다. 蔡邕이 이러한 사실을 말하자, 거문고를 타던 자가 대답하기를 “거문고를 탈 적에 螳螂이 매미를 잡으려고 다가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매미가 떠나려 하였으나 아직 날아가지 아니하여 螳螂과 一進一退를 거듭하니 나의 마음이 오싹해져서 螳螂이 매미를 놓칠까 두려워하였습니다.” 하였다. 蔡邕은 웃으면서 말하기를 “이것은 충분히 殺氣에 해당된다.” 하였다.
역주11 [釋疑]楊震四知 : 楊震은 자가 伯起이니, 後漢 때 사람이다. 그가 천거한 昌邑令 王密이 밤에 황금 10근을 가지고 와서 양진에게 주었다. 양진은 말하기를 “故人(친구로 자신을 가리킴)은 그대를 아는데 그대는 고인을 알지 못하는구나.” 하였다. 왕밀은 말하기를 “어두운 밤중이어서 이것을 아는 자가 없습니다.” 하니, 양진은 말하기를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내가 알고 그대가 아는데[天知 地知 我知 子知], 어찌 아는 이가 없다고 말하는가.” 하자, 왕밀은 부끄러워하며 나갔다. 四知는 바로 위의 天知, 地知, 我知, 子知의 네 가지를 가리킨 것이다.
역주12 [釋疑]若說天地 只是一箇知也 : 天地와 사람의 앎이 다만 同一한 앎이라는 것을 말한 것이다. 朱子의 詩에 이르기를 “이 마음이 원래 天地와 통한다.[此心元自通天地]” 하였다.
역주13 [釋疑]蘇楊氏 : 蘇昞과 楊時이다. ○ 《語類》를 살펴보면 蘇는 마땅히 游가 되어야 하니, 바로 定夫(游酢)이다. [補註] 《中庸或問》에는 ‘呂游氏’로 되어 있는 바, 呂는 呂大臨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역주14 [釋疑]是就見{人}知處言 …… 是就己知處言 : 《中庸》의 註에 “자취는 비록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미는 이미 동하였다.” 하였으니, 이는 상대방에게 알려지는[見知]苗脈이며, “남은 비록 알지 못하나 자신은 홀로 안다.” 하였으니, 이는 자신이 아는 것이다. [刊補]見知는 내가 남에게 알려짐을 말한다. ○ 《考誤》에 “見은 人字로 쓰는 것이 옳다. 여러 판본이 모두 人字로 되어 있다.” 하였다.
역주15 [刊補]先生 : 朱子를 가리킨다.
역주16 [釋疑]曰 : 曰字 앞에 마땅히 ‘朱子’ 두 글자가 있어야 한다.
역주17 [釋疑]己旣知則人必知 …… 只是一箇知 : 程子는 말씀하기를 “남과 나는 진실로 구분이 된다.” 하였고, 朱子는 말씀하기를 “자기가 이미 알았으면 남이 반드시 안다.” 하여, 정자는 일로 말하였고 주자는 이치로 말하였으니, 두 말씀이 비록 똑같지 않은 듯하나 실은 서로 해롭지 않다. [補註] 물은 자의 뜻은 남과 자기를 가지고 말한 것인데, 대답하는 말은 하늘이 알고 땅이 아는 것을 인용하여 말하였으니, 그 뜻은 하늘이 알고 땅이 아는 것이 同一한 앎이라면 남과 자기가 아는 것도 또한 마땅히 同一한 앎이 됨을 말한 것이다.
역주18 [釋疑]道鄕鄒氏 : 이름은 浩이고 자는 志完이다.
역주19 [刊補]過擧 : 擧는 事와 같다.
역주20 : 纔
역주21 [釋疑]呂氏 : 이름은 大臨이고 자는 與叔이니, 程子와 張子의 門人이다.
역주22 [刊補]著摸 : 著은 著手이다. 摸는 음이 模인데, 莫으로도 읽으며 손으로 잡음이니, 곧 손을 대어 잡는다는 뜻이다.
역주23 [刊補]存養於喜怒哀樂未發之時 : 時字가 《近思錄》에는 前字로 되어 있다. 그러나 《二程遺書》를 따라 時字로 쓰는 것이 옳을 듯하다.
역주24 [釋疑]到未發界至 : 界至는 《語錄解》에 “아무 地界로부터 아무 地界까지이다.” 하였다. [刊補]至字를 아래 구절에 붙이는 것은 옳지 않다. 界至는 곧 地境이다. 어느 경계로부터 어느 경계까지라는 말이니, 이는 未發의 경계에 이름을 말한다.
역주25 [釋疑]靜中須有物 : 지극히 虛한 가운데에 지극히 진실한 것이 있으므로 有物이라 한 것이다. [補註]物은 知覺을 가리킨 것으로, 다만 知覺이 어둡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26 [釋疑]這裏便是難處 : 難은 알기가 어려운 것이다. [刊補]難은 알기가 어렵다는 뜻이고 靜中有物에 이르기도 어렵다는 뜻이다. ○ 살펴보건대 未發의 전에는 형체도 없고 손을 대어 잡을 것도 없으니, 이를 靜이라고 하면 可하지만 靜中에 모름지기 物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우선 먼저 敬을 이해함만 못하니, 敬하면 자연 이것을 알게 될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27 [刊補]朱子曰條 : 이는 湖南의 諸公들에게 보낸 中和를 논한 편지의 내용이다. 精密하고 切實하며 簡潔하고 合當해서 매우 啓發시키는 점이 있다. ○ 湖南의 諸公들이란 南軒을 비롯한 五峯의 여러 門人들이다.
역주28 [刊補]尋覓 : 助長하는 병통이다. ○ 《考誤》에 “곧 이른바 中을 구한다는 뜻이다.” 하였다.
역주29 [釋疑]本領工夫 : 莊敬하여 涵養하는 공부를 가리키니, 나무의 뿌리와 같고 옷의 목부분과 같은 것이다.
역주30 [刊補]直以心爲已發 : 直은 ‘다만’이라는 뜻이다. 묻기를 “程子가 ‘心은 已發이다’하였다가 곧바로 또 말씀하기를 ‘옳지 않다’하였는데,(《遺書》 등의 책에 보인다.) 朱子가 어찌하여 初年에는 이렇게 인식하였다가 뒤에 와서야 바야흐로 잘못을 깨닫고 이러한 의논을 하였습니까?” 하니, 批에 이르기를 “朱子의 初年의 所見이 우연히 程子의 初年說과 합치했었는데, 뒤에 와서야 온당치 않음을 깨달아 과감하게 잘못된 견해를 고치고 선을 따랐으니, 더욱 어려운 점이다.” 하였다. ○ 살펴보건대 程子의 ‘心은 已發이다’라는 말씀은 赤子心을 논한 데에서 나온 것이다.
역주31 [刊補]端倪 : 發端의 즈음을 이르니, 이를테면 仁의 發端이 惻隱之心인 것과 같은 類이다.
역주32 [釋疑]還 : 어조사이다.
역주33 [刊補]黈纊 : 黈는 黃色이며, 또 면류관 옆의 솜을 이른다. 纊은 솜이다.
역주34 [刊補]目須見 耳須聞 : 退溪가 崔見叔(崔應龍)에게 답하기를 “이 말씀은 無聞‧無見의 질문에 대답한 것이기 때문에 부득이 須字를 놓은 것이다. 그러나 굳이 必字의 의미로 깊게 볼 필요가 없고, 단지 當字의 의미로 類推해 보라.” 하였다.
역주35 [釋疑]呂子約 : 이름은 祖儉이고 호는 大愚이니, 東萊 呂祖謙의 아우이다.
역주36 [刊補]請問記錄者之罪 : 살펴보건대 蘇季明(蘇昞)이 伊川에게 배울 적에 未發에 관한 질문을 많이 하였는데, 말단에 이르러 묻기를 “中(未發)일 때에는 귀에 들리는 것이 없고 눈에 보이는 것이 없습니까?” 하니, 답하기를 “비록 귀는 듣는 것이 없고 눈은 보는 것이 없지만 보고 듣는 이치는 있어야 한다. …… ” 하였다.(《考誤》에 “呂子約의 說이 이로 인하여 잘못되었다.”고 하였다.) 《中庸或問》에 “蘇季明의 後章의 記錄은 본래의 뜻이 많이 상실되어 질문과 대답이 서로 맞지 않는다.” 하였다. 아래 문장의 “일이 없을 때에는 마땅히 보아야 하고 마땅히 들어야 한다.”는 내용을 가지고 참고해 보면 잘못됨이 틀림없다. ○ 《考誤》에 “朱子가 말씀하기를 ‘마음에 知覺이 있는 것은 귀에 들리는 것이 있고 눈에 보이는 것이 있는 것과 같이 同時에 일어나는 것이다. 비록 未發의 때라도 마음에 생각이 없는 적이 없으니, 곧 귀에 들리는 것이 있고 눈에 보이는 것이 있는 것과 같이 同時에 일어나는 일이니, 조금이라도 이것이 있으면 未發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程子가 「생각함이 있으면 已發」이라고 한 것은 옳지만, 기록하는 자가 「들리는 것이 없고 보이는 것이 없는 것을 未發」이라고 한 것은 옳지 않다’ 했다.” 하였다. ○ 살펴보건대 思慮가 아직 발하지 않았을 때엔 萬事가 모두 아직 생겨나지 않으니, 이는 곧 볼 만한 것이 없고 들을 만한 것이 없다는 것이요, 귀와 눈으로 보고 듣는 것을 가지고 말한 것이 아니다.
역주37 [釋疑]不識四到時節 : 四到는 四方을 이르니, 정신이 황홀하여 四方의 때를 알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역주38 [刊補]洪範五事 : 《書經》 〈洪範〉에 “모습은 공손하고 말은 이치에 순하고 봄은 밝고 들음은 귀밝고 생각함은 지혜롭다.[貌曰恭 言曰從 視曰明 聽曰聰 思曰睿]” 하였는데, 지혜롭다[睿]는 것은 通明함을 이른다.
역주39 [釋疑]一枚癡獃罔兩漢 : 一枚는 한 개라는 말과 같으며, 癡獃는 미련하고 어리석음이다. 罔兩은 《莊子》의 郭象註에 “그림자 밖의 희미한 그늘이다.” 라고 하였으니, 분명하지 않다는 뜻이다. 漢은 사람의 천한 칭호이니, 세속에서 ‘놈’이란 말과 같다. [補註]罔兩은 그림자 옆에 생기는 엷은 그늘로 곧 半影을 이른다. 전설상 요괴의 이름으로 실제가 없는 허깨비 등을 이른다.
역주40 [釋疑]執持 : 助長하고 속박하고 얽매이는 병통이다.
역주41 [刊補]有甚(삼)矜持 : 矜持는 矜嚴과 矜莊으로 모두 지나치게 엄함을 이른다. ‘무슨 矜持함이 있겠는가’라는 것은 拘迫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역주42 [釋疑]不成 : 아랫글을 가리켜 말한 것이니, 이와 같이 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43 [刊補]不管 : 管은 照管이란 뜻과 같다.
역주44 [釋疑]延平李氏 : 이름은 侗이고 자는 愿仲이니, 羅從彦의 門人이며 朱子의 스승이다.
역주45 [刊補]偶有心恙 : 退溪가 이 부분을 강론하고 이어 李咸亨에게 말씀하기를 “내가 17, 8세 때에 고장에 선배도 없고 찾아가 묻고 배울 데도 없었다. 그리하여 단지 古書를 읽으면서 그 내용을 연구하다가 마음이 바깥으로 달리면 한 마음으로 집중하여 잡아 지키려 하였는데, 때로는 한밤중에 일어나서 꿇어앉아 잡아 지키기도 하였다. 날마다 이와 같이 하다보니, 心力을 너무 써서 도리어 心疾이 생겨 失性할 뻔하였다. 그리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병을 조리하고 다스리느라 젊은 나이에는 전혀 講讀하지 못했었는데, 老年에 이르러 聖學의 길을 분명하게 보고 나서야 겨우 늘그막에 수습할 수 있었다. 그러나 또한 專一하게 힘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내가 그대를 보니, 말하고 행동하는 즈음에 急迫한 병통이 많이 있고, 너그럽고 느긋한 뜻이 없다. 拘迫(얽매이고 급박함)하면 오래하기 어려우니, 敬하여 拘迫함에 이르지 않게 하여 虛明하고 한가로운 心體가 늘 보존되도록 하면 해로움이 없고 공부가 날로 새로워질 것이다. 〈夙興夜寐箴〉에 ‘讀書하는 餘暇에 틈틈이 놀고 바람을 쐬어 精神을 펴고 性情을 쉬게 하라’하였으니, 이것이 본보기가 될 만하다.” 하였다. ○ 退溪가 南時甫(南彦經)에게 답하기를 “心疾을 치료하는 방법은 우선 窮通과 得失, 榮辱과 利害에 관계되는 世間의 일을 일체 버려두고, 酬酌을 줄이고 嗜欲을 절제해서 虛閒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지내야 한다. 圖書와 花草를 玩賞하거나 山水와 魚鳥를 즐김에 있어서도 늘 접하여 心氣를 항상 순한 경지에 있게 하여야 한다. 책을 볼 때에도 절대로 많이 보지 말고 단지 뜻에 따라 그 의미를 즐기며, 이치를 연구할 때에도 되도록 일상생활의 平易하고 明白한 곳에 나아가 간파하여 익숙하게 해서 이미 아는 것에 푹 젖게 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오직 집착하는 것도 아니고 집착하지 않는 것도 아닌 사이에서 살피고 잊지도 않아야 하니, 이렇게 하면 자연 진리를 알게 되어 소득이 있을 것이다. 거기에 집착하고 얽매여 빠른 효험을 보려고 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하였다. ○ 退溪가 鄭子中(鄭惟一)에게 답하기를 “마음의 병을 만약 마음을 가지고 없애려 한다면 없애려 할수록 더욱 얽매이게 되니, 억지로 찾거나 안배할 필요가 없다. 이른바 ‘操存과 省察’이란 것을 우선 염두에 두지 말고, 다만 일상생활의 평범하고 명백한 곳을 보아 느긋한 마음으로 이 사이에서 虛閒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길러야 하니, 오랫동안 쌓고 나면 마음의 병에 효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收斂과 操存 또한 여기에서 힘(효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였다. [補註]心恙은 心疾과 같은 뜻으로, 사람이 수양이나 진리 탐구에 너무 정신을 써서 신경 쇠약이나 정신 이상의 병을 얻음을 이른다. 失性 역시 미친 것을 의미한다.
역주46 [釋疑]何叔京 : 이름은 鎬이고 호는 臺溪이니, 朱子의 門人이다.
역주47 [釋疑]體認 : 體는 곧 이른바 ‘저 骨子가 된다’는 體이고 認은 분변하여 아는 것이다. ○ 살펴보건대 朱子가 延平의 體驗이란 글자를 논하여 말씀하기를 “이는 思量함이 있다.” 하였으니, 이 體認이란 글자는 또한 마땅히 思量으로 보아야 한다. 이른바 ‘저 骨子가 된다’는 것은 여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듯하다.
역주48 [刊補]親炙 : 炙는 훈훈하게 굽는 것이다.
역주49 [釋疑]辜 : 孤와 통하니, 저버린다는 뜻이다.
역주50 [釋疑]求其所謂中 : 羅從彦과 李侗 두 선생은 성품이 본래 침착하고 고요하여 구하지 않는 것으로 구하였으므로 병통이 없는 것이다. ○ 《語類》를 살펴보면 羅先生이 배우는 자들에게 고요한 가운데에 未發之中을 구하도록 가르친 것을 묻자, 朱子가 대답하기를 “羅先生의 말씀은 끝내 병통이 있을 듯하다.” 하였고, 또 延平이 未發의 前에 氣象을 보고자 한 것을 묻자, 朱子가 말씀하기를 “이 또한 약간의 병통이 있다. 體驗이라는 글자는 思量하는 뜻이 있으니, 思量하면 곧 已發이다.” 하였다. 그리고 또 말씀하기를 “다만 이와 같음을 보고자 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역시 병통이 있다.” 하였으니, 이제 이러한 말씀을 가지고 관찰해보면 여기에서 병통이 없다고 말씀한 것은 朱子의 本意가 아닌 듯하다.
역주51 [譯註]二先生 : 羅從彦과 李侗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朱子는 李侗에게 수학하였고, 李侗은 羅從彦에게, 羅從彦은 楊時에게, 楊時는 二程에게 수학하였다.
역주52 [刊補]樂平程時登 : 樂平은 饒州의 屬縣이며, 字는 登庸이다. 鄱陽程氏로 일컬어지며, 朱子의 〈齋居感興〉詩를 註釋하였다.
역주53 [釋疑]胡亂 : 雜亂의 뜻이다.
역주54 [刊補]子思就裏面 剔出這話來敎人 : 裏面은 詩의 가운데(내용)라는 말이다. 剔은 혹 肆字로 쓰기도 한다. 《周禮》에 ‘肆는 고기(살)를 해부하는 것이다’하였고, 《詩經》의 註에는 ‘肆는 뼈를 발라내는 것이다’하였는데, 이는 고기를 해부하여 뼈를 발라낸다는 뜻일 것이다. [補註] ‘相在爾室 尙不愧于屋漏’는 《詩經》 〈大雅 抑〉의 내용이며, ‘潛雖伏矣 亦孔之昭’는 〈大雅 正月〉의 내용인데, 모두 《中庸》의 끝부분에 인용되었는 바, 《中庸》은 子思가 지은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위의 내용은 이 卷 끝부분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55 [刊補]操一操 : 看一看이나 審一審이란 말과 동일한 句法이니, 모두 가벼운 정도의 의미로 쓴 말이다. ○ 단지 그저 한 번 잡는다는 정도의 뜻일 것이다.
역주56 [刊補]如人之氣 …… 吸便入 : 잡기만 하면 보존되고 잡지 않으면 없어진다는 뜻을 비유한 말이다.
역주57 [譯註]不見是圖 : 《書經》 〈五子之歌〉와 《左傳》 成公十五年條에 보인다.
역주58 [刊補]何處著落 : ‘어느 곳에 붙일 것인가’라는 말과 같다. 《語錄解》에 “著落은 歸宿의 뜻이 있다.” 하였다.
역주59 : 纔
역주60 [釋疑]蓋雖是未發之初 …… 在此 : 만 가지 運用하는 이치가 이미 未發의 前에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역주61 [譯註]寂如空如 : 如는 助辭이다.
역주62 [釋疑]惺惺主人 : 主人은 마음을 가리킨다. [補註]惺惺은 마음을 일깨워 어둡지 않게 하는 것이며, 主人은 한 몸을 지휘할 수 있는 마음의 본체를 가리킨다.
역주63 [釋疑]常在冥漠中照管 …… 却不露痕跡 : 冥漠은 고요하여 조짐이 없는 것이니, 비록 조용하여 발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照管하여 그대로 놓아버리지 않는 것이요, 禪家의 寂滅과 같은 것은 아니다.
역주64 [刊補]胡氏季隨 : 名은 大時이며, 五峯(胡宏)의 아들이다. 南軒은 五峯에게 배웠고 季隨는 南軒에게 배웠는데, 南軒이 별세한 뒤에 季隨는 朱子에게 質疑하였다. ○ 이는 季隨가 여러 벗들과 학문을 논한 다음 선생(朱子)에게 質正한 것이다. 살펴보건대 《朱子大全》의 이 조목 아래에 友恭의 字는 恭叔이라 한 말이 있으니, 그렇다면 이는 실로 潘恭叔의 말인데 篁墩이 우연히 살피지 못하고 季隨의 말이라고 한 것이다. ○ 살펴보건대 이 말은 비록 潘恭叔의 말이지만 季隨가 朱子에게 質正한 것이다.
역주65 [刊補]元注 : 本註이다.
동영상 재생
1 1. 천명지위성장(1) 414
동영상 재생
2 1. 천명지위성장(2) 321
동영상 재생
3 1. 천명지위성장(3) 92
동영상 재생
4 1. 천명지위성장(4) 272
동영상 재생
5 1. 천명지위성장(5) 986
동영상 재생
6 1. 천명지위성장(6) 115
동영상 재생
7 1. 천명지위성장(7) 644
동영상 재생
8 1. 천명지위성장(8) 1472
동영상 재생
9 1. 천명지위성장(9) 1015
동영상 재생
10 1. 천명지위성장(10) 352
동영상 재생
11 1. 천명지위성장(11) 308
동영상 재생
12 1. 천명지위성장(12) 1753
동영상 재생
13 1. 천명지위성장(13) 341
동영상 재생
14 1. 천명지위성장(14) 681
동영상 재생
15 1. 천명지위성장(15) 90
동영상 재생
16 1. 천명지위성장(16) 543

심경부주 책은 2019.05.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