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心經附註

심경부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心經附註序
嘗摭取聖賢格言하야 爲心經一編호되 首危微精一十有六言하고 而以尊德性之銘으로 終焉하니 每敬誦之 蓋儼乎若上帝之下臨하고 聖師之在目也
然猶疑其註中 或稱로되 而凡程朱大儒開示警切之言 多不在卷하니 意此經 本出先生이나 而註則後人雜入之故邪
之暇 謹爲之參校하고 且附註其下하고 而識其首曰
嗚呼
人之得名爲人하야 可以參而出 以能不失其本心而已
顧其하야 聖狂舜蹠 於是焉分하니 其可畏如此
古之人 所以爲本原之計者至하야 而廢于左右하야
使하야之極功
性學不明이라 人心하야 하고 騰理于口舌하니 此先生之所深悲而心經所由述也
然則學者宜何所用力而後 于人之名哉
蓋嘗反覆하야 得程子之說하니 曰 天德王道 其要只在謹獨이라하시고
又曰 學者須是將이니 直內是本이라하시고
朱子亦曰 程先生 有功于後學 最是敬之一字
敬者 聖學始終之要也라하시니 蓋是經所訓 不出敬之一言이라
故其語約而義精하고 其功簡而效博하니 誠所謂 이라
大有功于斯道하야 而造次顚沛 不可忽焉者也
何所知識이리오 輒手錄成帙하야 以告同志者호되 而於言敬之說 特加詳焉하노니 豈敢以是求多于先生之書哉
寘心于聖經賢傳之中하야熟複之地云爾
五年壬子七月望 後學 謹序하노라


심경부주서心經附註序
서산선생西山先生 진문충공眞文忠公이 일찍이 성현聖賢격언格言을 뽑아 《심경心經》 한 편을 만들면서 를 앞에 놓고 자주자子朱子의 〈존덕성재명尊德性齋銘〉으로 끝마쳤으니, 나는 공경히 이것을 욀 때마다 엄숙하여 상제上帝하강下降한 듯하고 성사聖師가 눈앞에 계신 듯하였다.
그러나 그 가운데에 《서산독서기西山讀書記》라고 칭하였으나 모든 정주程朱 대유大儒들이 열어 보여주고 간절히 경계한 말씀은 대부분 이 에 들어 있지 않은 점이 의심스러우니, 생각하건대 이 《심경心經》은 본래 선생先生에게서 나왔으나 후인後人들이 뒤섞어 넣었기 때문인가 보다.
서재에 거처하는 여가에 삼가 이것을 참고參考하여 교정校正하고 또 그 아래에 를 붙이고는 그 머리에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아!
사람이 사람이라는 이름을 얻어서 삼재三才에 참여되어 만 가지 조화造化를 낼 수 있는 것은 본심本心을 잃지 않았기 때문일 뿐이다.
다만 한번 생각하는 잠깐 사이에 〈마음을〉 잡아 보존하고 놓아 버리며 얻고 잃어서 성인聖人광인狂人, 임금과 도척盜蹠이 여기에서 나누어지니, 두려워할 만함이 이와 같다.
옛사람은 이 때문에 본원本原함양涵養하는 계책이 지극하여 감히 거문고와 비파를 거두지 않고 좌우左右에 경계하는 글을 폐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가 확립되고 이 넓어지며 드러남과 은미함이 두 가지가 되지 않게 하여 성인聖人을 바라고 하늘을 바라는 지극한 공부에 이르렀으니, 바로 이 때문이다.
성리학性理學이 밝지 못하므로 사람들의 마음이 빠져서 성명性命의 올바름을 귀와 눈의 욕망에 맡겨두고, 입과 혀로만 이치理致를 말하고 있으니, 이것이 선생이 깊이 슬퍼하여 《심경心經》을 지으신 이유이다.
그렇다면 배우는 자가 어디에 힘을 쓴 뒤에야 사람이라는 이름에 욕됨이 없겠는가.
일찍이 반복하여 생각해서 정자程子의 말씀을 얻었으니, 말씀하기를 ‘천덕天德왕도王道는 그 요점이 다만 근독謹獨에 있다’ 하였고,
또 말씀하기를 ‘배우는 자는 모름지기 을 가지고 마음을 곧게 하여 함양涵養하여야 하니, 마음을 곧게 하는 것이 근본根本이다’ 하였고,
주자朱子 또한 말씀하기를 ‘정선생程先生후학後學들에게 가장 이 있는 것은 이라는 한 글자이다.
성학聖學의 요점이다’ 하였으니, 이 《심경心經》에서 가르친 것은 한 글자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말이 간략하면서도 뜻이 정밀하고 그 공부가 쉬우면서도 효과가 넓으니, 진실로 이른바 ‘냇물을 막는 지주산砥柱山이요 남쪽을 가리키는 수레요 어둠을 밝히는 거울’이란 것이다.
그리하여 이 에 크게 이 있어서 조차造次전패顚沛에도 소홀히 할 수 없다.
만생晩生 말학末學이 무엇을 알겠는가마는 곧 손수 기록하여 책을 완성해서 동지同志들에게 하되 을 말한 내용을 특별히 상세하게 하였으니, 어찌 감히 이것을 가지고 선생先生의 책보다 더 낫기를 바라겠는가.
성경현전聖經賢傳의 가운데에 마음을 두어서 몸을 검속檢束하여 욕심을 막고 익숙히 반복하는 터전으로 삼기를 꾀할 뿐이다.
홍치弘治 5년(1492) 임자壬子 7월 보름에 후학後學 신안新安 정민정程敏政은 삼가 쓰다.


역주
역주1 [釋疑]西山先生眞文忠公 : 이름은 德秀이고 자는 希元이며 南宋 理宗 때 사람으로 學者들이 西山先生이라 칭하였다. 本姓은 愼인데 孝宗의 諱를 피하여 眞으로 썼다. 西山은 建寧府 浦城縣에 있는 山으로 粤(越)山이라고도 칭한다.
역주2 [釋疑]子朱子 : 앞에 子字를 붙인 것은 後學이 스승을 높이는 칭호이다. 그러나 孔子의 앞에는 子字를 붙이지 않았으니, 혹은 붙이고 혹은 붙이지 않은 것은 또한 우연일 뿐이다.
역주3 [釋疑]走 : 《史記》에 司馬遷이 자신을 牛馬走라 칭하였으니, 走는 僕(마부)과 같은 말로 자신의 겸칭이다.
역주4 [譯註]西山讀書記 : 西山 眞德秀가 독서하며 중요한 부분을 기록한 것으로 모두 40권이며 《四庫全書》 子部 儒家類에 수록되어 있다.
역주5 [釋疑]齋居 : 齋戒하는 집에 거처함을 이른다. 朱子는 일찍이 스스로 말씀하기를 “재계하는 집에 거처하여 일이 없다.” 하였다.
역주6 [刊補]三才 : 才는 才質과 才能을 겸하여 말한 것으로, 곧 天‧地‧人을 가리킨다.
역주7 [釋疑]萬化 : 萬物과 萬事를 變用하고 酬應함을 이른다.
역주8 [釋疑]操縱得失于一念俄頃之間 : 朱子가 말씀하기를 “마음은 잡아서 보존하면 이곳에 있고 놓아버리면 잃어버려서 나가고 들어오는 것이 일정한 때가 없고 또한 일정한 곳이 없다.” 하였다.
역주9 [釋疑]涵養 : 물건을 물속에 담가서 기르는 것과 같으니, 義理 가운데에 沈潛하여 깊이 玩味하고 충분히 기르는 것이다.
역주10 [刊補]不敢撤琴瑟 : 《禮記》 〈曲禮〉에 “선비는 이유 없이 琴瑟을 거두지 않는다.[士無故不撤琴瑟]” 하였는데, 註에 “琴은 禁함이니, 그 邪心을 금하는 것이다.” 하였다.
역주11 [刊補]箴儆 : 湯王은 盤銘이 있었고, 武王은 刀劒‧戶牖‧几杖‧席四端 등의 銘이 있었으며, 衛武公은 抑戒의 詩를 지어 左右를 경계하였다.
역주12 [釋疑]體立用宏 顯微不二 : 體는 大本인 中을 이르고 用은 達道인 和를 이르며, 顯은 象을 이르고 微는 理를 이른다. [補註]本書 4권 32, 〈聖可學章〉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13 : 지
역주14 [刊補]希聖希天 : 周濂溪의 《通書》에 “賢人은 聖人을 바라고 聖人은 天道를 바란다.[賢希聖 聖希天]” 하였다.
역주15 [刊補]有以 : 以는 까닭 또는 이유의 뜻이다.
역주16 [釋疑]陷溺 : 함정에 빠지고 물에 빠지는 것이다.
역주17 [釋疑]寄命于耳目 : 命은 性命이니, 性命의 올바름을 耳目의 욕망에 붙여둠을 이른다.
역주18 [刊補]無忝 : 忝은 더럽힘이며 욕됨이다. 《詩經》 〈小雅 小宛〉에 “너를 낳아주신 분을 욕되게 하지 말라.[無忝爾所生]” 하였다.
역주19 [釋疑]紬繹 : 紬는 뽑는 것이니 故事를 뽑아 차례로 기술하는 것이고, 繹은 다스리고 찾는 것이다.
역주20 [釋疑]敬以直內 : 《周易》 〈坤卦 文言傳〉의 내용이다. [補註]本書 1권 5, 〈敬以直內章〉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21 [刊補]涵養 : 退溪先生이 洪胖에게 답하기를 “涵養은 義理에 涵泳하여 養成함을 이르니, 先儒들이 涵養을 설명한 곳에는 모두 動과 靜을 구분하지 않았다.” 하였다. ○ 살펴보건대 이 책의 上段(頭註)에 “操存을 省察과 상대해서 말하면 靜할 때의 工夫이고, 범연히 말하면 動과 靜을 通한다.”라고 말한 내용이 있다.
역주22 [釋疑]障川之柱 : 柱는 砥柱山으로 黃河 가운데 우뚝 솟아 있는 돌산[石山]이니, 敬으로 人欲을 대적함이 마치 지주산이 황하 가운데에 우뚝히 서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역주23 [刊補]指南之車 : 越裳의 使者가 길을 잃자 周公이 指南車(남쪽을 가리키는 수레)를 만들어 그에게 주었다 한다.
역주24 [刊補]燭幽之鑑 : 묻기를 “사람이 物欲에 빠지면 愚昧하고 頑固하여 신령스럽지 못하므로 알지도 못하고 행하지도 못하지만, 敬을 주장하는 공부가 지극하면 人欲의 사사로움으로 어지럽힘이 없어서 上面에 天德이 있게 될 것이니, 이는 敬이 行에 있어서는 남쪽을 가리켜 주는 수레와 같고, 知에 있어서는 어둠을 밝히는 거울과 같은 것입니까?” 하니, 批에 이르기를 “옳다.” 하였다. ○ 살펴보건대 어둠을 밝히는 거울이란 秦나라의 方鏡이나 周나라의 火齊鏡 같은 것인 듯하다.
역주25 [譯註]晩生末學 : 늦게 태어나서 훌륭한 스승의 가르침을 받지 못해 학식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자신을 낮추어 칭한 것이다.
역주26 [刊補]圖 : 謀字와 같은 뜻이다.
역주27 [刊補]檢防 : 몸을 檢束하여 욕심을 막는 것이다.
역주28 [刊補]弘治 : 明나라 孝宗의 年號이다.
역주29 [刊補]新安 : 晉나라 때 徽州의 명칭이다.
역주30 [刊補]程敏政 : 字는 克勤이며 休寧 사람이다. 일찍이 神童으로 천거되었으며 成化 연간에 급제하여 관직이 禮部侍郞에 이르렀다. 弘治 12년(1499) 李東陽과 함께 會試의 考官이 되었는데, 給事中 華昶 등이 뇌물을 받고 科題를 팔았다고 탄핵하여 마침내 下獄되었다. 華昶과 조정에서 論辨하기를 청하였는데, 華昶 등이 말이 막혀 罪를 받게 되자,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였다. 享年이 55세였으며, 號는 篁墩이다. 나머지는 退溪先生의 〈心經後論〉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31 [譯註]‘危微精一’ 열 여섯 글자 : ‘危微精一’은 《書經》 〈大禹謨〉에 나오는 ‘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 16자를 축약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심경부주서(1) 2643

심경부주 책은 2019.05.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