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

주역정의(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同人于野하리니 利涉大川이며 利君子貞하니라
[疏]正義曰:‘同人’, 謂和同於人.
‘于野亨’者, 野是廣遠之處, 借其野名, 喩其廣遠, 言和同於人, 必須寬廣, 无所不同.
用心无私, 處非近狹, 遠至于野, 乃得亨進,
故云“同人于野亨.”
與人同心, 足以涉難,
故曰“利涉大川”也, 與人和同, 義涉邪僻, 故利君子貞也.
此利涉大川, 假物象以明人事.
彖曰
同人 柔得位得中而應乎乾할새 曰同人이라
[注]二爲同人之主
[疏]正義曰:此釋所以能同於人之義.
‘柔得位得中’者, 謂六二也, 上應九五, 是應於乾也.
同人曰 同人于野하리니 利涉大川 乾行也
[注]所以乃能同人于野하리니 利涉大川 非二之所能也 是乾之所行이라
特曰同人曰이라하니라
[疏]‘同人曰’至‘乾行也’
○正義曰:釋同人于野亨利涉大川之義, 所以能如此者, 由乾之所行也.
言乾能行此德, 非六二之所能也,
[疏]○注‘故特曰同人曰’
○正義曰:‘故特曰同人曰’者, 謂卦之彖辭, 發首卽疊卦名, 以釋其義,
則以例言之, 此發首應云“同人于野亨”, 今此同人于野亨之上, 別云“同人曰”者, 是其義有異.
此同人卦名, 以六二爲主, 故同人卦名繫屬六二,
故稱同人曰, 猶言同人卦曰也.
‘同人于野亨, 利涉大川’, 雖是同人卦下之辭, 不關六二之義,
故更疊‘同人于野亨’之文, 乃是乾之所行也.
文明以健하고 中正而應 君子正也
[注]行健不以武하고 而以文明用之하며 相應不以邪하고 而以中正應之하니 君子正也
曰 利君子貞이라하니라
[疏]正義曰:此釋君子貞也.
此以二象明之, 故云“文明以健.”
‘中正而應’, 謂六二‧九五皆居中得正, 而又相應, 是君子之正道也,
故云“君子正也.”
若以威武而爲健, 邪僻而相應, 則非君子之正也.
唯君子라야 爲能通天下之志하나니라
[注]君子 以文明爲德이라
[疏]‘唯君子爲能通天下之志’
○正義曰:此更贊明君子貞正之義.
唯君子之人, 於同人之時, 能以正道通達天下之志,
[疏]○注‘君子以文明爲德’
○正義曰:若非君子, 則用威武, 今卦之下體爲離, 故彖云“文明.” 又云“唯君子能通天下之志.”
是君子用文明爲德也, 謂文理通明也.
象曰
天與火 同人이니
[注]天體在上이어늘 而火炎上 同人之義也
[疏]正義曰:天體在上, 火又炎上, 取其性同, 故云“天與火同人.”
君子以類族辨物하나니라
[注]君子小人 各得所同이라
[疏]正義曰:‘族’, 聚也, 言君子法此同人, 以類而聚也.
初九 同人于門이니 无咎리라
[注]居同人之始하니 爲同人之首者也
无應於上하여 心无係吝하여 通夫大同하여 出門皆同이라
曰 同人于門也
出門同人이면 誰與爲咎리오
[疏]正義曰:‘同人于門’者, 居同人之首, 无應於上, 心无係吝, 含弘光大, 和同於人, 在於門外, 出門皆同,
故云“无咎”也.
象曰
出門同人 又誰咎也리오
[疏]正義曰:‘又誰咎’者, 釋出門同人无咎之義.
言旣心无係吝, 出門逢人皆同, 則誰與爲過咎.
六二 同人于宗이니하니라
[注]應在乎五하여 唯同於主하고 過主則否하여 用心하니 鄙吝之道
[疏]正義曰:係應在五, 而和同於人, 在於宗族, 不能弘闊, 是鄙吝之道,
故象云“吝道”也.
象曰
同人于宗 吝道也
九三 伏戎于莽하고 升其高陵하여 三歲不興이로다
[注]居同人之際하여 履下卦之極하여 不能包弘上下하여 通夫大同하고 物黨相分이어늘 欲乖其道하여 貪於所比하여 據上之應이나
其敵剛健하여 非力所當이라 伏戎于莽하니 不敢顯亢也
升其高陵하여 望不敢進하고 量斯勢也하여 三歲不能興者也
三歲不能興이면 則五道亦以成矣리니 安所行焉이리오
[疏]‘九三伏戎于莽’至‘三歲不興’
○正義曰:‘伏戎于莽’者, 九三處下卦之極, 不能包弘上下, 通夫大同, 欲下據六二, 上與九五相爭也.
但九五剛健, 九三力不能敵, 故伏潛兵戎於草莽之中.
‘升其高陵 三歲不興’者, 唯升高陵, 以望前敵, 量斯勢也, 縱令更經三歲, 亦不能興起也.
[疏]○注‘不能包弘上下’至‘安所行焉’
○正義曰:‘不能包弘上下 通夫大同’者, 初九出門皆同, 无所係著, 是包弘上下, 通夫大同.
今九三欲下據六二, 奪上之應, 是不能包弘也.
‘物黨相分’者, 謂同人之時, 物各有黨類而相分別也, 二則與五相親, 與三相分別也.
‘欲乖其道 貪於所比 據上之應’者,
言此九三欲乖其同人之道, 不以類相從, 不知二之從五, 直以苟貪, 與二之比近而欲取之, 據上九五之應也.
象曰
伏戎于莽 敵剛也 三歲不興이어니 安行也리오
[注]安 辭也
[疏]正義曰:‘伏戎于莽 敵剛’者, 釋伏戎于莽之義, 以其當九五之剛, 不敢顯亢, 故伏戎于莽.
‘三歲不興 安行’者, 釋三歲不興之義. 雖經三歲, 猶不能興起也.
安, 語辭也, 猶言何也.
旣三歲不興, 五道亦已成矣, 何可行也,
故云“安行也.”
此假外物以明人事.
九四 乘其墉하되 弗克攻이니하니라
[注]處上攻下하여 力能乘墉者也
履非其位하여 以與人爭하니 二自五應하고 三非犯己어늘 攻三求二하여 尤而效之하니 違義傷理하여 衆所不與
雖乘墉이나 而不克也
不克則反이니 反則得吉也
不克乃反 其所以得吉이니 困而反則者也
[疏]正義曰:‘乘其墉’者, 履非其位, 與人鬬爭, 與三爭二, 欲攻於三.
旣是上體, 力能顯亢, 故乘上高墉, 欲攻三也.
‘弗克攻吉’者, 三欲求二, 其事已非, 四又效之, 以求其二, 違義傷理, 衆所不與, 雖復乘墉, 不能攻三也.
吉者, 旣不能攻三, 能反自思愆, 以從法則, 故得吉也.
此爻亦假物象也.
象曰
乘其墉 義弗克也 其吉 則困而反則也
[疏]正義曰:‘乘其墉 義弗克也’者, 釋不克之義.
所以乘墉攻三, 不能克者, 以其違義, 衆所不從,
故云“義不克也.”
‘其吉則困而反則’者, 釋其吉之義.
所以得其吉者, 九四則以不克, 困苦而反歸其法則, 故得吉也.
九五 同人先號咷라가 而後笑하니 大師克이라야 相遇리라
[注]彖曰 柔得位得中하여 而應乎乾할새 曰同人이라하니 然則體柔居中 衆之所與 執剛用直 衆所未從이라
近隔乎二剛하여 未獲厥志 是以 先號咷也 居中處尊하여 戰必克勝이라 後笑也
不能使物自歸하고 而用其强直이라
必須大師克之 然後相遇也
[疏]正義曰:‘同人先號咷’者, 五與二應, 用其剛直, 衆所未從,
故九五共二, 欲相和同, 九三‧九四與之競二也.
五未得二, 故志未和同於二,
故先號咷也.
‘而後笑’者, 處得尊位, 戰必克勝,
故後笑也.
‘大師克相遇’者, 不能使物自歸己, 用其剛直, 必以大師與三‧四戰克, 乃得與二相遇.
象曰
同人之先 以中直也 大師라야 相遇 言相克也
[疏]正義曰:‘同人之先 以中直’者, 解先號咷之意.
以其用中正剛直之道, 物所未從, 故先號咷也.
但象略號咷之字, 故直云“同人之先以中直”也.
‘大師相遇 言相克’者, 釋相遇之義.
所以必用大師, 能相遇也, 以其用大師, 與三‧四相伐, 而得克勝, 乃與二相遇,
故言相克也.
上九 同人于郊 无悔니라
[注]郊者 外之極也 處同人之時하여 最在於外하여 不獲同志 而遠於內爭이라
雖无悔吝이나 亦未得其志
[疏]‘上九同人于郊无悔’
○正義曰:‘同人于郊’者, 處同人之極, 最在於外, 雖欲同人, 人必疎己, 不獲所同, 其志未得.
[疏]○注‘不獲同志’至‘未得其志’
○正義曰:‘不獲同志’者, 若彼此在內相同, 則獲其同志意也, 若己爲郊境之人, 而與相同, 人未親己, 是不獲同志也.
‘遠于內爭’者, 以外而同, 不於室家之內, 是遠于內爭也.
以遠內爭, 故无悔吝. 以在外郊, 故未得志也.
象曰
同人于郊 志未得也
[注]凡處同人而不泰焉이면 則必用師矣 不能大通이면 則各私其黨而求利焉이라
楚人亡弓 不能하니 愛國愈甚하여 益爲它災
是以 同人不弘이니 剛健之爻 皆至用師也
[疏]‘象曰同人于郊志未得也’
○正義曰:釋同人于郊之義.
同人在郊境遠處, 與人疎遠, 和同之志, 猶未得也.
[疏]○注‘凡處同人’至‘用師也’
○正義曰:‘凡處同人而不泰焉 則必用師矣’者, 王氏注意非止上九一爻, 乃總論同人一卦之義.
去初上而言, 二有同宗之吝, 三有伏戎之禍, 四有不克之困, 五有大師之患, 是處同人之世, 无大通之志, 則必用師矣.
[疏]‘楚人亡弓 不能楚 愛國愈甚 益爲它災’者, 案,
“楚昭王出游, 亡烏號之弓, 左右請求之, 王曰‘楚人亡, 楚得之, 又何求焉.’
孔子聞之, 曰‘惜乎, 其志不大也.
不曰人亡弓, 人得之, 何必楚也.’”
昭王名軫, 哀六年, 吳伐陳, 楚救陳, 在城卒, 此愛國而致它災也.
引此者, 證同人不弘, 皆至用師矣.


사람과 함께하기를 들에서 하면 형통할 것이니, 대천大川을 건넘이 이롭고 군자君子함이 이롭다.
정의왈正義曰:[同人] 남과 화동和同함을 이른다.
[于野亨] ‘’는 바로 광원廣遠한 곳인바 의 이름을 빌려서 광원廣遠함을 비유하였으니, 사람과 화동和同함을 반드시 넓게 하여 함께하지 않는 바가 없게 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마음을 씀에 사사로움이 없고 처함이 가깝거나 좁지 않아서 멀리 들에 이르러야 형통하게 나아갈 수 있다.
그러므로 “사람과 함께하기를 들에서 하면 형통하다.[同人于野亨]”라고 한 것이다.
사람과 마음을 함께하면 충분히 환난患難을 건널 수 있다.
그러므로 “대천大川을 건넘이 이롭다.[利涉大川]”라고 하였고, 사람과 화동和同함은 뜻이 사벽함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군자君子함이 이로운[利君子貞]’ 것이다.
여기의 ‘대천大川을 건넘이 이로움’은 물건의 을 빌려서 사람의 일을 밝힌 것이다.
단전彖傳〉에 말하였다.
동인同人가 지위를 얻고 을 얻고 에 응하므로 동인同人이라 하였다.
육이六二동인同人의 주체가 된다.
정의왈正義曰:이는 남과 함께할 수 있는 뜻을 해석한 것이다.
[柔得位得中]육이六二를 이르니, 위로 구오九五에 응하는 것이 바로 ‘에 응하는 것’이다.
동인괘同人卦에 말하기를 ‘사람과 함께하기를 들에서 하면 형통할 것이니, 대천大川을 건넘이 이롭다.[同人于野亨 利涉大川]’ 한 것은 의 행함이요,
‘마침내 사람과 함께하기를 들에서 하여 형통할 것이니, 대천大川을 건넘이 이로운’ 까닭은 육이六二가 능히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요, 이는 이 행하는 바이다.
그러므로 특별히 ‘동인왈同人曰’이라고 말한 것이다.
의 [同人曰]에서 [乾行也]까지
정의왈正義曰:‘사람과 함께하기를 들에서 하면 형통할 것이니, 대천大川을 건넘이 이로움’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능히 이와 같이 할 수 있는 까닭은 이 행하는 바이기 때문이다.
이 이 을 행할 수 있는 것이요, 육이六二가 능히 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특별히 ‘동인왈同人曰’이라고 말하고서 이에 “사람과 함께하기를 들에서 하면 형통하다.” 하였으니, 여러 와 다른 것이다.
의 [故特曰同人曰]
정의왈正義曰:[故特曰同人曰]단사彖辭에, 첫 번째에 곧바로 의 이름을 중첩하여 그 뜻을 해석하였음을 말한 것이니,
준례準例로 말하면 이 첫머리에 마땅히 “동인우야형同人于野亨”이라고 말해야 하는데, 지금 여기에 ‘동인우야형同人于野亨’ 위에 별도로 “동인왈同人曰”이 있는 것은 그 뜻이 다름이 있는 것이다.
동인괘同人卦의 이름은 육이六二를 위주로 하므로 동인괘同人卦의 이름을 육이六二에 소속시킨다.
그러므로 ‘동인왈同人曰’이라고 하였으니, ‘동인괘왈同人卦曰’이라고 말한 것과 같다.
동인우야형同人于野亨 이섭대천利涉大川’은 비록 동인괘同人卦 아래에 있는 괘사卦辭이나 육이六二의 뜻과는 관련이 없다.
그러므로 ‘동인우야형同人于野亨’의 글을 중첩한 것이니, 이것이 바로 이 행하는 바이다.
문명文明하여 굳세고 중정中正하여 응함이 군자君子정도正道이다.
행하기를 굳세게 하되 무력武力으로써 하지 않고 문명文明을 사용하며, 서로 응하되 간사함으로써 하지 않고 중정中正으로써 응하니, 군자君子정도正道이다.
그러므로 “군자君子함이 이롭다.” 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이는 ‘군자君子함’을 해석한 것이다.
이는 두 을 가지고 밝혔으므로 “문명文明하여 굳세다.[文明以健]”라고 한 것이다.
[中正而應]육이六二구오九五가 모두 에 거하고 정위正位를 얻었으며 또 서로 응함을 말하였으니, 이는 군자君子정도正道이다.
그러므로 “군자君子정도正道이다.[君子正也]”라고 말한 것이다.
만약 위엄과 무력으로 굳셈을 행하고 간사함과 사벽함으로 서로 응하면 이는 군자의 정도正道가 아니다.
오직 군자君子라야 천하 사람의 뜻을 능히 통할 수 있는 것이다.”
군자君子문명文明으로 삼는다.
의 [唯君子爲能通天下之志]
정의왈正義曰:이는 다시 ‘군자정정君子貞正’의 뜻을 찬양하여 밝힌 것이다.
오직 군자인 사람만이 동인同人의 때에 정도正道로써 천하 사람의 뜻을 통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군자의 함이 이로운’ 것이다.
의 [君子以文明爲德]
정의왈正義曰:만약 군자가 아니면 위엄과 무력을 쓸 것인데, 지금 하체下體가 되므로 〈단전彖傳〉에 “문명文明”이라고 말하였고, 또 “오직 군자君子라야 천하 사람의 뜻을 능히 통할 수 있다.[唯君子能通天下之志]”라고 하였으니,
이는 군자가 문명文明을 사용하여 으로 삼는 것이니, 〈문명文明은〉 문리文理통명通明함을 이른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하늘과 불이 동인괘同人卦이니,
하늘의 가 위에 있는데 불이 타 올라감이 동인同人의 뜻이다.
정의왈正義曰:하늘의 는 위에 있는데, 불이 또 타 올라가니, 그 성질이 같음을 취하였다 그러므로 “하늘과 불이 동인괘同人卦이다.[天與火同人]”라고 말한 것이다.
군자가 보고서 같은 로 모여 물건을 분별한다.”
군자君子소인小人이 각각 같은 바를 얻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族] ‘모임’이니, 군자君子가 이 동인괘同人卦를 본받아서 같은 끼리 모임을 말한 것이다.
[辨物] 사물을 분별하여 각각 그 을 함께해서, 스스로 같게 하여 떨어져 있거나 뒤섞이지 않게 함을 이른다.
초구初九는 남과 함께하기를 밖에서 하니, 허물이 없으리라.
동인同人의 시초에 거하였으니, 동인同人의 첫머리가 되는 자이다.
위에 이 없어서 마음에 매이거나 인색함이 없으므로 대동大同과 통하여 문을 나가면 모두 함께한다.
그러므로 “남과 함께하기를 문 밖에서 한다.”고 말한 것이다.
문을 나가 남과 함께하면 누구와 함께한들 허물이 되겠는가.
정의왈正義曰:[同人于門]동인同人의 첫머리에 거하여 위에 이 없어서 마음에 매이거나 인색함이 없고, 포용하고 너그러우며 광대光大하여 남과 화동和同하며 문 밖에 있어서 문을 나가면 모두 함께한다.
그러므로 “허물이 없다.[无咎]”라고 말한 것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문을 나가 남과 함께하는 것을 또 누가 허물하겠는가.”
정의왈正義曰:[又誰咎] ‘문을 나가 남과 함께하니 허물이 없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이미 마음에 매이거나 인색함이 없고 문을 나가 사람을 만나서 모두 함께하면 누구와 함께한들 허물이 되겠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육이六二는 남과 함께하기를 종족宗族(집안)끼리 하니, 부끄럽다.
구오九五에 있어서 오직 주인과 함께하고, 주인을 지나면 함께하지 않아서 마음을 씀이 편협하니, 비린鄙吝한 방도이다.
정의왈正義曰:계응係應구오九五에 있어서 남과 화동和同함이 종족宗族에게만 있으므로 넓고 크지 못하니, 이는 비린鄙吝한 방도이다.
그러므로 〈상전象傳〉에 “인도吝道”라고 말한 것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남과 함께하기를 종족宗族들끼리 함은 비린鄙吝한 방도이다.”
구삼九三은 군대를 풀 속에 매복시키고 높은 언덕에 올라가서 〈관망하나〉 3년이 되어도 일어나지(출동시키지) 못한다.
동인同人의 즈음에 거하여 하괘下卦을 밟고 있어서 상하上下를 넓게 포용하여 대동大同을 통하지 못하고, 물건의 이 서로 나뉘는데 동인同人를 어겨 가까이 있는 바(六二)를 탐해서 위(九五)의 을 점거(차지)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 상대가 강건하여 자기의 힘으로 감당할 바가 아니므로 군대를 풀 속에 매복하였으니, 감히 드러나게 항거하지 못하는 것이다.
높은 언덕에 올라가서 멀리서 바라보며 감히 나아가지 못하고, 이러한 형세를 헤아려서 3년이 되어도 출동시키지 못한다.
3년이 되어도 출동시키지 못하면 구오九五가 또한 이루어질 것이니, 어찌 행할 수 있겠는가.
의 [九三伏戎于莽]에서 [三歲不興]까지
정의왈正義曰:[伏戎于莽]구삼九三하괘下卦에 처해서 상하上下를 넓게 포용하여 대동大同을 통하지 못하고, 아래로 육이六二를 점거하고자 위로 구오九五와 서로 다툰다.
다만 구오九五가 강건하여 구삼九三의 힘이 상대하지 못하므로 군대를 풀 속에 잠복시키는 것이다.
[升其高陵 三歲不興] 오직 높은 언덕에 올라가 앞의 적을 바라보면서 이러한 형세를 헤아릴 뿐이니, 가령 3년이 지나더라도 출동시키지 못할 것이다.
의 [不能包弘上下]에서 [安所行焉]까지
정의왈正義曰:[不能包弘上下 通夫大同]초구初九는 문을 나가 모두 함께해서 매이거나 집착하는 바가 없으니, 이는 상하를 크게 포용하여 대동大同을 통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구삼九三은 아래로 육이六二를 점거하여 위(九五)의 을 빼앗고자 하니, 이는 넓게 포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物黨相分]동인同人의 때에는 물건이 각각 당류黨類가 있어서 서로 분별됨을 말한 것이니, 육이六二구오九五와 서로 친하고 구삼九三과는 서로 분별된다.
[欲乖其道 貪於所比 據上之應]
‘이 구삼九三동인同人를 어겨 같은 끼리 서로 따르지 않고, 육이六二구오九五를 따름을 알지 못하고서 다만 구차히 탐욕을 부려 가까이 있는 육이六二를 취해서 위의 구오九五을 점거하고자 함’을 말한 것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군대를 풀 속에 매복함은 (상대)이 강하기 때문이요, 3년이 되어도 출동시키지 못하니 어찌 갈 수 있겠는가.”
’은 어조사이다.
정의왈正義曰:[伏戎于莽 敵剛] ‘군대를 풀 속에 매복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구오九五의 강함을 상대하여 감히 드러나게 항거하지 못하므로 군대를 풀 속에 매복하는 것이다.
[三歲不興 安行] ‘3년이 되어도 출동시키지 못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니, 비록 3년이 지나더라도 출동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은 어조사이니, ‘어찌[何]’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이미 3년을 출동시키지 못하여 구오九五가 또한 이미 이루어졌으니, 어찌 갈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어찌 갈 수 있겠는가.[安行也]”라고 말한 것이다.
이것은 밖의 물건을 빌려 사람의 일을 밝힌 것이다.
구사九四는 담에 올라가되 능히 공격하지 못하니, 길하다.
위에 있으면서 아래를 공격하여 힘이 담을 오를 수 있는 자이다.
밟은 것이 정위正位가 아니면서 남과 다투니, 육이六二는 본래 구오九五와 응하고 구삼九三은 자기를 침범하지 않는데, 구삼九三을 공격하고 육이六二를 구하여 〈구삼九三의〉 잘못을 본받으니, 를 어기고 이치를 손상하여 사람들이 도와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담에 올라가나 이기지 못하는 것이다.
이기지 못하면 돌아오니, 돌아오면 길함을 얻는다.
이기지 못하여 비로소 돌아옴은 길함을 얻는 까닭이니, 곤궁하여 법칙으로 돌아온 자이다.
정의왈正義曰:[乘其墉] 밟고 있는 것이 정위正位가 아니면서 남과 다투니, 구삼九三과 더불어 육이六二를 다투어 구삼九三을 공격하고자 하는 것이다.
육사六四는〉 이미 상체上體여서 힘이 드러나게 항거할 수 있으므로 높은 담에 올라가서 구삼九三을 공격하고자 하는 것이다.
[弗克攻吉]구삼九三육이六二를 구하고자 하니 그 일이 이미 잘못되었는데, 구사九四가 또 이것을 본받아서 육이六二를 구하니, 를 어기고 이치를 손상하여 사람들이 도와주지 않으므로 비록 다시 담에 올라가나 구삼九三을 공격하지 못하는 것이다.
’은 이미 구삼九三을 공격하지 못하고 능히 돌이켜 스스로 잘못을 생각해서 법칙을 따르기 때문에 길함을 얻는 것이다.
도 물건의 을 빌렸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담에 올라감은 의리상 이기지 못하는 것이요, 길함은 곤궁하여 법칙으로 돌아왔기 때문이다.”
정의왈正義曰:[乘其墉 義弗克也] ‘이기지 못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담에 올라가서 구삼九三을 공격해도 이기지 못하는 까닭은 의리를 어겨서 사람들이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의리상 이기지 못한다.[義不克也]’라고 말한 것이다.
[其吉則困而反則] ‘길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길함을 얻는 까닭은 구사九四가 이기지 못해서 곤궁하여 법칙으로 돌아왔기 때문에 길함을 얻는 것이다.
구오九五동인同人이 먼저 울부짖다가 뒤에 웃으니, 큰 군대로 이겨야 서로 만나리라.
단전彖傳〉에 “〈동인同人은〉 가 지위를 얻고 을 얻고 에 응하므로 ‘동인同人’이라 한다.” 하였으니, 그렇다면 하고 에 거함은 사람들이 함께하는 바이고, 강함을 잡아 지키고 정직함을 씀은 사람들이 따르지 않는 바이다.
그러므로 가까이 두 (九三과 구사九四)에게 막혀서 자신의 뜻을 얻지 못하니, 이 때문에 ‘먼저 울부짖는 것’이요, 에 거하고 존위尊位에 처하여 싸우면 반드시 이기므로 ‘뒤에 웃는 것’이다.
물건(사람)이 스스로 자기에게 돌아오게 하지 못하고, 그 강함과 정직함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큰 군대로 이기는 것이니, 이렇게 한 뒤에야 서로 만나는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同人先號咷]구오九五육이六二와 응하는데 강직剛直함을 써서 사람들이 따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구오九五육이六二와 함께하여 서로 화동和同하고자 하는데, 구삼九三구사九四구오九五와 더불어 육이六二를 다투는 것이다.
구오九五육이六二를 얻지 못하였으므로 뜻이 육이六二화동和同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먼저 울부짖는 것’이다.
[而後笑] 처함이 존위尊位를 얻어서 싸우면 반드시 승리한다.
그러므로 ‘뒤에 웃는 것’이다.
[大師克相遇] 물건이 스스로 자기에게 돌아오게 하지 못하고 그 강직剛直함을 써서 반드시 큰 군대를 동원하여 구삼九三구사九四와 싸워 승리하여야 비로소 육이六二와 서로 만날 수 있는 것이다.
는 물건의 을 빌려 사람의 일을 밝혔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동인同人이 먼저 울부짖음은 중정中正하고 강직剛直하기 때문이요, 큰 군대로 서로 만남은 서로 이김을 말한 것이다.”
정의왈正義曰:[同人之先 以中直] ‘먼저 울부짖음’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중정中正하고 강직剛直를 써서 물건이 따르지 않는 바이므로 먼저 울부짖은 것이다.
다만 〈상전象傳〉에는 ‘호도號咷’라는 글자를 생략하였으므로 단지 “동인同人이 먼저 울부짖음은 중정中正하고 강직剛直하기 때문이다.[同人之先 以中直]”라고 한 것이다.
[大師相遇 言相克] ‘서로 만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반드시 큰 군대를 사용하여야 서로 만날 수 있는 까닭은, 큰 군대를 사용해서 구삼九三구사九四와 서로 공격하여 승리를 얻어야 육이六二와 서로 만난다.
이 때문에 ‘서로 이김을 말한 것[言相克]’이다.
상구上九는 남과 함께하기를 교외郊外에서 하니, 뉘우침이 없다.
교외郊外는 밖의 지극함이니, 동인同人의 때에 처하여 가장 밖에 있어서 동지同志를 얻지 못하나 안에서 다투는 것과 멀다.
이 때문에 비록 뉘우침과 부끄러움이 없으나 또한 그 뜻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의 [上九同人于郊无悔]
정의왈正義曰:[同人于郊]동인同人에 처하여 가장 밖에 있으니, 비록 남과 함께하고자 하나 사람들이 반드시 자기를 소원히 해서 함께하려는 바를 얻지 못하여 그 뜻을 얻지 못한다.
그러나 비록 이 밖에 있더라도 안의 다툼과 멀기 때문에 뉘우침과 부끄러움이 없는 것이다.
의 [不獲同志]에서 [未得其志]까지
정의왈正義曰:[不獲同志] 만약 피차가 안에 있으면서 서로 함께하면 그 뜻이 같은 사람을 얻을 수 있는데, 만약 자기가 교외의 국경에 있는 사람이 되어서 서로 함께하려 하면 사람들이 자기와 친하지 않으니, 이것이 ‘동지를 얻지 못함[不獲同志]’이다.
[遠于內爭] 밖에 있으면서 함께하려 하여 실가室家의 안에서 하지 않으니, 이것이 ‘안에서 다투는 것과 멂’이다.
안에서 다투는 것과 멀기 때문에 뉘우침과 허물이 없고, 교외에 있기 때문에 뜻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상전象傳〉에 말하였다.
“남과 함께하기를 교외에서 함은 뜻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무릇 동인同人에 처하여 통태通泰하지 못하면 반드시 군대를 사용하게 되니, 크게 통태通泰하지 못하면 각각 자기 을 사사로이 하여 이로움을 구한다.
나라를 사람이 활을 잃자 초나라를 잊지 못하였으니, 나라 사랑하기를 더욱 심하게 하여 더욱 다른 재앙이 된 것이다.
이 때문에 남과 함께하되 넓게 하지 못하니, 강건한 는 모두 군대를 사용함에 이르는 것이다.
의 [象曰同人于郊志未得也]
정의왈正義曰:‘남과 함께하기를 교외에서 함’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동인同人이 교외의 국경인 먼 곳에 있어서 사람과 소원하여 화동和同하려는 뜻을 아직도 얻지 못한 것이다.
의 [凡處同人]에서 [用師也]까지
정의왈正義曰:[凡處同人而不泰 則必用師矣]왕씨王氏(王弼) 의 뜻은 상구上九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바로 동인同人의 뜻을 총론한 것이다.
초구初九상구上九를 제외하고 말하면, 육이六二는 종족과 함께하는 비린鄙吝함이 있고, 구삼九三은 군대를 잠복시키는 가 있고, 구사九四는 이기지 못하는 곤궁함이 있고, 구오九五는 큰 군대를 동원하는 환난患難이 있으니, 이는 동인同人의 세상에 처하여 크게 통태通泰하는 뜻이 없으면 반드시 군대를 사용하는 것이다.
[楚人亡弓 不能(亡)[忘]楚 愛國愈甚 益爲它災] 살펴보건대, 《공자가어孔子家語》 〈제자호생弟子好生〉篇에 이르기를
소왕昭王이 나가 유람하다가 오호烏號라는 명궁名弓을 잃었는데 좌우에서 찾을 것을 청하자, 왕이 ‘나라 사람이 활을 잃음에 나라 사람이 이것을 얻을 것이니, 또 어찌 찾을 것이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공자孔子는 이 말을 듣고 말씀하시기를 ‘애석하다, 그 뜻이 크지 못함이여.
「사람이 활을 잃음에 사람이 얻을 것이다.」라고 하지 않고 하필 나라라고 하는가.’라고 하셨다.” 하였다.
소왕昭王은 이름이 이니, 애공哀公 6년에 나라가 나라를 정벌하자 나라가 나라를 구원하다가 〈소왕昭王이〉 성보城父에서 죽었으니, 이는 나라를 사랑하여 다른 재앙을 불러온 것이다.
이것을 인용한 것은 남과 함께하기를 넓게 하지 못하면 반드시 군대를 씀에 이름을 증명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言乾能行此德……與諸卦別也 : 王弼과 孔穎達은 ‘同人曰’이 한 번 더 나오는 이유를, ‘同人于野亨 利涉大川’의 주체가 이 卦의 主爻인 六二가 아니라 上卦인 乾卦이기 때문에 특별히 한 번 더 말한 것이라고 하였으나, 程伊川과 朱子는 모두 이 글자를 衍文이라 하여 해석하지 않았다.
역주2 (爲主) : 저본에는 ‘爲主’가 있으나, 錢本‧宋本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阮刻本 참조]
역주3 唯君子之人……故利君子之貞 : 程伊川은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천하 사람들의 마음이 만 가지로 다르나 이치는 하나이다. 군자는 이치를 밝게 알므로 천하의 마음을 통할 수 있는 것이니, 聖人이 억조 만백성의 마음 보기를 한 마음처럼 하는 것은 이치에 통달하기 때문일 뿐이다. 文明하면 이치를 밝게 알므로 大同의 뜻을 밝힐 수 있고, 剛健하면 자신의 私慾을 이길 수 있으므로 大同의 道를 다하는 것이니, 이렇게 한 뒤에야 中正하여 乾의 행실에 합한다.[天下之志萬殊 理則一也 君子明理 故能通天下之志 聖人視億兆之心 猶一心者 通於理而已 文明則能燭理 故能明大同之義 剛健則能克己 故能盡大同之道 然後能中正 合乎乾行也]”
역주4 族聚也……不間雜也 : 孔穎達은 ‘類族’을 군자 자신이 같은 類끼리 모이는 것으로, ‘辨物’을 사물을 분별하여 물건들도 각각 같은 것끼리 모이도록 하는 것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朱子도 ‘類族’과 ‘辨物’을 두 가지로 보아, 전자는 사람을 가지고 말한 것으로, 후자는 물건을 가지고 말한 것으로 보았으나, 孔穎達처럼 군자 자신과 사물로 나누지는 않고 이 둘을 모두 ‘서로 다른 것을 분별해서 같은 것끼리 모음’의 뜻으로 보았다.
반면 程伊川은 ‘類族辨物’을 ‘類族으로 辨物함, 즉 같은 부류와 종족으로 사물을 분별함’의 뜻으로 보았다.
역주5 : 褊(좁다)과 같다.
역주6 [敵] : 저본에는 缺字로 되어 있으나, 阮刻本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同人先號咷者……此爻假物象以明人事 : 程伊川은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九五는 六二와 함께하나 九三과 九四 두 陽爻에게 막히는 바가 되었으니, 九五는 스스로 義理가 곧고 이치가 우세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분함과 억울함을 이기지 못해서 울부짖음에 이른 것이다. 그러나 邪는 正을 이기지 못하므로 비록 막히는 바가 되었더라도 끝내는 반드시 합함을 얻는다. 그러므로 뒤에는 웃는 것이다. ‘큰 병력으로 이겨야 서로 만난다.’는 것은 九五가 六二와 正應인데, 九三과 九四의 두 陽이 도리가 아닌 방법으로 막고 빼앗으니, 반드시 큰 병력을 동원하여 이겨야 비로소 서로 만남을 얻는 것이다. ‘大師’라 말하고 ‘克’이라고 말한 것은 두 陽이 강함을 나타낸 것이다. 九五는 군주의 자리인데, 爻에서 人君이 남과 함께하는 뜻을 취하지 않은 것은 九五가 오로지 사사로이 친함으로 六二에 응하여 中正의 德을 잃었기 때문이다. 人君은 마땅히 천하와 大同을 하여야 하는데, 홀로 한 사람과 사사로이 함은 군주의 도리가 아니며, 또 먼저 막혔을 때에는 울부짖다가 뒤에 만나면 웃는 것은 私昵의 情이요 大同의 體가 아니다. 六二는 아래에 있는데도 오히려 宗族과 함께한다 하여 부끄러움이 되었는데, 하물며 人君에게 있어서랴.[九五同於二 而爲三四二陽所隔 五自以義直理勝 故不勝憤抑 至於號咷 然邪不勝正 雖爲所隔 終必得合 故後笑也 大師克相遇 五與二正應 而二陽非理隔奪 必用大師克勝之 乃得相遇也 云大師云克者 見二陽之强也 九五君位 而爻不取人君同人之義者 蓋五專以私暱應於二 而失其中正之德 人君當與天下大同 而獨私一人 非君道也 又先隔則號咷 後遇則笑 是私暱之情 非大同之體也 二之在下 尙以同於宗爲吝 況人君乎]”
역주8 (力)[乃] : 저본에는 ‘力’으로 되어 있으나, 宋本에 의거하여 ‘乃’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9 同人于郊者……故无悔吝也 : 程伊川은 뉘우침이 없는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郊는 밖에 있고 먼 지역이다. 함께하기를 구하는 자는 반드시 서로 친하고 서로 함께하는데, 上九는 밖에 거하고 應이 없어서 끝내 더불어 함께하는 자가 없다. 처음에 함께하는 이가 있으면 종말에 혹 괴리되어 뉘우침이 있을 것인데, 먼 곳에 처하고 함께하는 자가 없으므로 비록 함께하는 이가 없으나 또한 뉘우침이 없으며, 비록 함께하고자 하는 志願을 이루지 못하나 종말에 뉘우치는 바가 없는 것이다.[郊 在外而遠之地 求同者 必相親相與 上九居外而无應 終无與同者也 始有同 則至終 或有睽悔 處遠而无與 故雖无同 亦无悔 雖欲同之志不遂 而其終无所悔也]”
역주10 (亡)[忘] : 저본에는 ‘亡’으로 되어 있으나, 監本‧毛本에 의거하여 ‘忘’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1 (亡)[忘] : 저본에는 ‘亡’으로 되어 있으나, 監本‧毛本에 의거하여 ‘忘’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2 孔子家語弟子好生篇 : 《呂氏春秋》 〈孟春紀 貴公〉과 《說苑》 〈至公〉에도 이와 유사한 내용이 보인다.
역주13 (之)[弓] : 저본에는 ‘之’로 되어 있으나, 閩本‧監本‧毛本‧《孔子家語》에 의거하여 ‘弓’으로 바로잡았다.[阮刻本 참조]
역주14 : 보

주역정의(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