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周易正義(3)

주역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역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小亨하고 旅貞吉하니라
[注]不足全夫貞吉之道하고 唯足以爲旅之貞吉이라 라하니라
[疏]正義曰:‘旅’者, 客寄之名, 羈旅之稱, 失其本居而寄他方, 謂之爲旅.
旣爲羈旅, 苟求僅存, 雖得自通, 非甚光大, 故旅之爲義, 小亨而已, 故曰“旅, 小亨.”
羈旅而獲小亨, 是旅之正吉, 故曰“旅, 貞吉”也.
彖曰 旅小亨 柔得中乎外하여 而順乎剛하고 止而麗乎明이라 是以 小亨하고 旅貞吉也니라
[注]夫物失其主則散하고 柔乘於剛則乖하나니 旣乖且散하여 物皆羈旅하니 何由得小亨而吉乎
夫陽爲物長하여 而陰皆順陽이라 唯六五乘剛이로되 而復得中乎外하여 以承于上하니
順陽 不爲乖逆이요 止而麗明이면 動不履妄하니
雖不及剛得尊位하여 恢弘大通이나 是以小亨이요 令附旅者 不失其正하니 得其所安也
[疏]‘彖曰’至‘貞吉也’
○正義曰:‘旅 小亨’者, 擧經文也.
‘柔得中乎外 而順乎剛 止而麗乎明 是以小亨 旅貞吉’者, 此就六五及二體, 釋旅得亨貞之義.
柔處於外, 弱而爲客之象, 若所託不得其主, 得主而不能順從, 則乖逆而離散, 何由得自通而貞吉乎.
今柔雖處外, 而得中順陽, 則是得其所託, 而順從於主, 又止而麗明, 動不履妄, 故能於寄旅之時, 得通而正, 不失所安也.
旅之時義 大矣哉
[注]旅者 大散하여 物皆失其所居之時也 咸失其居하여 物願所附하니 豈非知者有爲之時리오
[疏]正義曰:此歎美寄旅之時, 物皆失其所居, 若能與物爲附, 使旅者獲安, 非小才可濟, 惟大智能然. 故曰“旅之時義, 大矣哉.”
象曰 山上有火 旅 君子以明으로 愼用刑而不留獄하나니라
[注]止以明之 刑戮詳也
[疏]正義曰:火在山上, 逐草而行, 勢不久留, 故爲旅象.
初六 旅瑣瑣斯하니 其所取災로다
[注]最處下極하여 寄旅不得所安하여하니 所取致災하여 志窮且困이라
[疏]正義曰:‘旅瑣瑣斯 其所取災’者, 瑣瑣者, 細小卑賤之貌也. 初六當旅之時, 最處下極,
然則爲斯卑賤勞役, 由其處於窮下, 故致此災, 故曰“旅瑣瑣斯, 其所取災”也.
象曰 旅瑣瑣 志窮災也
[疏]正義曰:志窮災, 志意窮困, 自取此災也.
六二 旅卽次하고 懷其資하며 得童僕貞하니라
[注]次者 可以安行旅之地也 來也 得位居中하고 體柔奉上하니 以此寄旅 必獲次舍 懷來資貨하고 得童僕之所正也
旅不可以處盛이라 其美盡於童僕之正也 過斯以往 則見害矣 童僕之正이면 義足而已
象曰 得童僕貞 終无尤也
[疏]正義曰:‘終无尤’者, 旅不可以處盛, 盛則爲物所害. 今惟正於童僕, 則終保无咎也.
九三 旅焚其次하고 喪其童僕貞하여로다
[注]居下體之上하여 與二相得하니 以寄旅之身而爲施下之道 與萌侵權하여 主之所疑也 次焚僕喪하여 而身危也
[疏]‘九三旅焚其次’至‘貞厲’
○正義曰:‘旅焚其次 喪其童僕貞 厲’者, 九三居下體之上, 下據於二, 上无其應, 與二相得, 是欲自尊而惠施於下也.
所疑, 則被黜而見害, 故焚其次舍, 喪其童僕之正, 而身危也.
[疏]○注‘與萌’至‘所疑也’
○正義曰:‘與萌侵權’者, 言與得政事之萌漸, 侵奪主君之權勢, , 故爲主所疑也.
象曰 旅焚其次 亦以傷矣 以旅與下하면 其義喪也
[疏]正義曰:‘亦以傷矣’者, 言失其所安, 亦可悲傷也.
九四 旅于處하여 得其資斧하여 我心不快로다
[注]斧 所以斫除荊棘하여 以安其舍者也 雖處上體之下하여 不先於物이나 然而不得其位하여 不獲平坦之地하니
客于所處하여 不得其次하고 而得其資斧之地 其心不快也
[疏]正義曰:‘旅于處 得其資斧 我心不快’者, 九四處上體之下, 不同九三之自尊.
然不得其位, 猶寄旅之人求其次舍, 不獲平坦之所, 而得用斧之地,
象曰 旅于處 未得位也 得其資斧 心未快也
六五 射雉一矢라가이나 終以譽命이리라
[注]射雉以一矢라가 而復亡之하니 明雖有雉 終不可得矣
寄旅而進하니 雖處于文明之中하여 居于貴位 此位 終不可有也
以其能知禍福之萌하여 不安其處以乘其下하고 而上承於上이라 終以譽而見命也
[疏]‘六五射雉’至‘以譽命’
○正義曰:‘射雉一矢 亡 終以譽命’者, 羈旅不可以處盛位, 六五以羈旅之身, 進居貴位, 其位終不可保,
然處文明之內, 能照禍福之幾, 不乘下以侵權, 而承上以自保, 故得終以美譽而見爵命, 故曰“終以譽命”也.
象曰 終以譽命 上逮也일새라
上九 鳥焚其巢 旅人 先笑後號咷 喪牛于易하니라
[注]居高危而以爲宅 巢之謂也 客旅得上位 先笑也
以旅而處于上極 衆之所嫉也 以不親之身으로 而當被害之地 必凶之道也 曰 後號咷라하니라
牛者 稼穡之資 以旅處上 衆所同嫉이라 喪牛于易하니 이라
物莫之與하여 危而不扶하여 喪牛于易로되 終莫之聞하니 莫之聞이면 則傷之者至矣니라
[疏]正義曰:‘鳥焚其巢 旅人 先笑後號咷 喪牛于易 凶’者, 最居於上, 如鳥之巢,
以旅處上, 必見傾奪, 如鳥巢之被焚, 故曰“鳥焚其巢”也. 客得上位, 所以先笑, 凶害必至, 故後號咷.
物莫之與, 則傷之者至矣, 故曰“凶”也.
象曰 以旅在上하니 其義焚也 喪牛于易하니 終莫之聞也로다


旅는 조금 형통하고 나그네의 貞함이 吉하다.
貞吉한 道를 온전히 하지는 못하고 오직 나그네의 貞吉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특별히 거듭 말하기를 “나그네의 貞함이 吉하다.”라고 한 것이다.
正義曰:[旅] 손님으로 기숙함[客寄]의 이름이요, 나그네로 부쳐 있음[羈旅]의 칭호이니, 본거지를 잃고 다른 지방에 부쳐 사는 것을 ‘旅’라 한다.
이미 羈旅가 되어서 겨우 생존하기를 구하면 비록 스스로 통할 수는 있으나 매우 光大한 것은 아니므로 旅의 뜻이 조금 형통할 뿐이다. 그러므로 “旅는 조금 형통하다.”라고 한 것이다.
羈旅로서 조금 형통함을 얻음은 나그네의 바름이 吉한 것이다. 그러므로 “나그네의 貞함이 길하다.”라고 한 것이다.
〈彖傳〉에 말하였다. “‘旅가 조금 형통함’은 柔가 밖에서 中을 얻어 剛에게 순종하고, 그쳐서 밝음에 붙어 있다. 이 때문에 조금 형통하고 나그네의 貞함이 吉한 것이다.
물건이 그 주인을 잃으면 흩어지고 柔가 剛을 타면 어긋난다. 이미 어긋나고 또 흩어져서 물건이 다 나그네로 부쳐 있으니, 어떻게 조금 형통하고 貞吉함을 얻을 수 있는가?
陽은 물건의 우두머리가 되어서 陰이 모두 陽에게 순종한다. 오직 六五가 剛함을 타고 있으나 다시 밖에서 中을 얻어 윗사람을 받드니,
陰으로서 陽을 순종함은 어긋나고 거스름이 되지 않고, 그쳐서 밝음에 붙어 있으면 動함에 망령됨을 행하지 않으니,
비록 剛이 높은 지위를 얻어서 키우고 넓혀 크게 통함에는 미치지 못하나 이 때문에 조금 형통하고, 나그네로 부쳐 있는 자들로 하여금 그 바름을 잃지 않게 하니 그 편안한 바를 얻은 것이다.
經의 [彖曰]에서 [貞吉也]까지
○正義曰:[旅 小亨] 經文을 든 것이다.
[柔得中乎外 而順乎剛 止而麗乎明 是以小亨 旅貞吉] 이는 六五와 두 體(艮卦ㆍ離卦)를 가지고 旅가 亨貞을 얻은 뜻을 해석한 것이다.
柔가 밖에 처함은 약하여 나그네가 된 象이니, 만약 의탁하는 바에 훌륭한 주인을 얻지 못하고 훌륭한 주인을 얻어도 순종하지 못하면 어긋나고 거슬러서 離散하는데, 어떻게 스스로 통하고 貞吉할 수 있는 것인가?
지금 柔가 비록 밖에 처했으나 中을 얻고 陽에게 순종하니, 이는 의탁할 바를 얻고 주인에게 순종하는 것이며, 또 그쳐서 밝음에 붙어 있어서 動함에 망령됨을 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나그네로 부쳐 있을 때에 통함을 얻고 바루어서 편안한 바를 잃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旅의 때와 義가 크다.”
旅는 크게 흩어져서 물건(사람)이 모두 거처할 바를 잃은 때이다. 모두 그 거처를 잃어서 물건들이 의지하기를 원하니, 어찌 지혜로운 자가 훌륭한 일을 할 때가 아니겠는가.
正義曰:이는 ‘나그네로 부쳐 있을 때에는 물건이 모두 그 거처할 곳을 잃으니, 남에게 의지하여 나그네들로 하여금 편안함을 얻게 할 수 있다면 이는 작은 재주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요 오직 큰 지혜만이 그러할 수 있는 것임’을 탄미한 것이다. 그러므로 “旅의 때와 義가 크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山 위에 불이 있는 것이 旅卦이니, 君子가 보고서 밝음으로써 형벌을 사용함을 신중히 하고 獄訟을 稽留해두지 않는다.”
그치고 밝힘은 형벌과 죽임이 자세한 것이다.
正義曰:불이 산 위에 있으면 풀을 따라 타들어가서 형세가 오래 머물지 않는다. 그러므로 나그네의 象이 된 것이다.
또 上下의 두 體가 艮은 그치고 離는 밝다. 그러므로 君子가 이것을 본받아서 고요히 그치고 밝게 살핌으로써 형벌을 사용함을 살피고 신중히 하며 獄訟을 稽留해두지 않는 것이다.
初六은 나그네가 낮고 천해 奴僕의 勞役을 하니, 재앙을 취한 것이다.
가장 아래의 極에 처하여 나그네로 부쳐 있는 자가 편안함을 얻지 못해서 奴僕의 천한 勞役을 하니, 취하는 바가 재앙을 불러들여 뜻이 窮하고 또 困한 것이다.
正義曰:[旅瑣瑣斯 其所取災] ‘瑣瑣’는 잘고 낮고 천한 모양이다. 初六이 旅의 때를 당하여 가장 아래의 極에 처하였으니,
이는 나그네로 부쳐 있는 자가 편안함을 얻지 못하여 奴僕의 낮고 천한 勞役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노복의 낮고 천한 勞役을 함은 맨 아래에 처하였기 때문에 이 재앙을 부른 것이다. 그러므로 “나그네가 낮고 천해 노복의 노역을 하니, 재앙을 취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나그네가 낮고 천함’은 뜻이 곤궁하여 재앙을 취한 것이다.”
正義曰:‘志窮災’는 의지가 곤궁하여 스스로 이 재앙을 취한 것이다.
六二는 나그네가 머물 곳에 나아가고 물자를 오게 하며 童僕의 바름을 얻었다.
‘次’는 다니는 나그네를 편안히 할 수 있는 자리요, ‘懷’는 오게 하는 것이다. 〈六二가〉 正位를 얻고 中에 거하며 體가 柔여서 윗사람을 받드니, 이런 방식으로 나그네로 부쳐 있으면 반드시 머물 집을 얻고 이용할 재화를 오게 하며 童僕의 바름을 얻는다.
나그네는 盛함에 처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그 아름다움이 童僕의 바름에서 다하는 것이니, 이것을 지난 이후는 害를 당한다. 童僕의 바름이면 의리상 충분하다.
正義曰:[旅卽次 懷其資 得童僕貞] 〈六二가〉 正位를 얻고 中에 거하며 體가 柔여서 윗사람을 받드니,
이런 방식으로 나그네로 부쳐 있으면 반드시 主君이 편안하게 해주는 바가 되어서 나그네가 머물 집을 얻고 이용할 재화를 오게 하며 또 童僕의 바름을 얻어서 初六의 천한 勞役과는 같지 않다. 그러므로 “나그네가 머물 곳에 나아가고 물자를 오게 하며 童僕의 바름을 얻었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童僕의 바름을 얻음’은 끝내 허물이 없는 것이다.”
正義曰:[終无尤] 나그네는 盛함에 처해서는 안 되니, 盛하면 남에게 해를 받는다. 그런데 지금 오직 童僕에 바르니, 끝내 허물이 없음을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九三은 나그네가 머무는 곳을 불태우고 童僕의 바름을 잃어서 위태롭도다.
〈九三이〉 下體의 위에 거하여 六二와 뜻이 서로 맞으니, 나그네로 부쳐 있는 몸으로서 아랫사람에 베푸는 방도를 하면 〈政事의〉 싹에 관여하고 〈主君의〉 권세를 침해하여 주군의 의심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머무는 곳을 불태우고 童僕의 〈바름을〉 잃어서 몸이 위태로운 것이다.
經의 [九三旅焚其次]에서 [貞厲]까지
○正義曰:[旅焚其次 喪其童僕貞 厲] 九三이 下體의 위에 거하여 아래로 六二를 점거하고 위에 應이 없어서 六二와 뜻이 서로 맞으니, 이는 스스로 높이고 은혜를 아랫사람에게 베풀고자 하는 것이다.
나그네로 부쳐 있는 몸으로서 아랫사람에게 은혜를 베푸는 방도를 하면 이는 〈政事의〉 싹에 관여하고 〈主君의〉 권세를 침해하여 주군의 의심을 받게 되는 것이다.
주군의 의심을 받으면 쫓겨나고 해로움을 당한다. 그러므로 머무는 곳을 불태우고 童僕의 바름을 잃어서 몸이 위태로운 것이다.
○注의 [與萌]에서 [所疑也]까지
○正義曰:[與萌侵權] 政事의 싹에 관여하고 主君의 권세를 침탈하여 齊나라의 田氏와 같으므로 군주에게 의심받는 바가 됨을 말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나그네가 머무는 곳을 불태움’은 또한 서글퍼할 만하고, 나그네로서 아랫사람과 더불면 의리가 상실된다.”
正義曰:[亦以傷矣] 편안한 바를 잃으면 또한 슬퍼할 만함을 말한 것이다.
[其義喪] 나그네로서 아랫사람과 더불면 의리가 상실됨을 말한 것이다.
九四는 거처함에 나그네가 되어서 도끼를 사용할 땅을 얻어 내 마음이 불쾌하도다.
‘斧’는 가시나무를 베어 제거해서 그 집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 비록 上體의 아래에 처하여 남보다 먼저 하지 않으나 正位를 얻지 못하여 평탄한 땅을 얻지 못했으니,
거처하는 바에 나그네가 되어서 머물 곳을 얻지 못하고 도끼를 사용할 땅을 얻었다. 그러므로 그 마음이 불쾌한 것이다.
正義曰:[旅于處 得其資斧 我心不快] 九四가 上體의 아래에 처하여 스스로 높이는 九三과는 같지 않다.
그러나 正位를 얻지 못하였으니, 나그네로 부쳐 있는 사람이 머물 집을 구함에 평탄한 곳을 얻지 못하고 도끼를 사용할 땅을 얻은 것과 같으니,
도끼를 사용하여 가시나무를 제거한 뒤에야 비로소 거처할 수 있음을 말하였다. 그러므로 “거처함에 나그네가 되어서 도끼를 사용할 땅을 얻었다.”라고 한 것이다. 편안할 곳을 구하였는데 도끼를 사용할 땅을 얻었으니, 이 때문에 그 마음이 불쾌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거처함에 나그네가 됨’은 제자리를 얻지 못한 것이요, ‘도끼를 사용할 땅을 얻음’은 마음이 快하지 못한 것이다.”
六五는 꿩을 한 화살로 쏘려 하다가 화살을 잃었으나, 끝내 명예로써 爵命을 받으리라.
꿩[雉]꿩[雉]
꿩을 한 화살로 쏘려 하다가 다시 잃었으니, 비록 꿩이 있으나 끝내 잡을 수 없음을 밝힌 것이다.
나그네로 부쳐 있으면서 나아가니, 비록 文明한 가운데에 처하여 귀한 지위에 거하였으나 이 지위를 끝내 보유할 수가 없다.
〈그러나〉 능히 禍福의 싹을 알아서 그 거처함을 편안히 하여 아랫사람을 타지 않고 위로 上을 받든다. 이 때문에 끝내 명예로써 爵命을 받는 것이다.
經의 [六五射雉]에서 [以譽命]까지
○正義曰:[射雉一矢 亡 終以譽命] 나그네로 부쳐 있으면 盛한 지위에 처해서는 안 되니, 六五가 나그네로 부쳐 있는 몸으로서 나아가 귀한 지위에 거하여 그 지위를 끝내 보전할 수가 없는바,
꿩을 쏘아 잡는 것에 비유하면 오직 한 화살이 있어서 쏘려 하다가 다시 그 화살을 잃어서 그 꿩을 끝내 잡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꿩을 한 화살로 쏘려 하다가 화살을 잃었다.”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六五가〉 文明의 안에 처하여 禍福의 기미를 밝게 비추어서 아랫사람을 타서 권세를 침해하지 않고 윗사람을 받들어 스스로 보전한다. 그러므로 끝내 아름다운 명예로써 爵命을 받는 것이다. 이 때문에 “끝내 명예로써 爵命을 받는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끝내 명예로써 爵命을 받음’은 윗사람에게 미쳤기 때문이다.”
正義曰:[上逮] ‘逮’는 미침[及]이니, 능히 윗사람을 받들어 윗사람에게 미친다. 그러므로 끝내 명예로써 爵命을 받는 것이다.
上九는 새가 둥지를 불태우니, 나그네가 먼저는 웃다가 뒤에는 울부짖는다. 소를 쉬움에서 잃으니, 凶하다.
높은 곳에 거하여 집으로 삼음은 새의 둥지를 말한다. 나그네가 높은 자리를 얻었기 때문에 먼저는 웃는 것이다.
나그네로서 上의 極에 처함은 여러 사람이 미워하는 바이니, 친하지 않은 몸으로서 해를 당하는 자리에 있으면 반드시 흉한 道이다. 그러므로 “뒤에는 울부짖는다.”라고 한 것이다.
‘소’는 곡식을 심고 거두는 데에 이용한다. 나그네로서 위에 처함은 여러 사람이 함께 미워하는 바이므로 소를 쉬움에서 잃는 것이니, 어려움에 있지 않은 것이다.
남들이 더부는 이가 없어서 위태로운데도 붙들어주지 아니하여 소를 쉬움에서 잃으나 끝내 알려주는 이가 없으니, 알려주는 이가 없으면 傷하게 하는 자가 이르는 것이다.
正義曰:[鳥焚其巢 旅人 先笑後號咷 喪牛于易 凶] 〈上九가〉 가장 위에 거하여 새의 둥지와 같으니,
나그네로서 윗자리에 처하면 반드시 기울고 빼앗김을 당하여 마치 새 둥지가 불타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새가 둥지를 불태웠다.”라고 한 것이다. 나그네가 높은 지위를 얻으니 이 때문에 먼저는 웃은 것이요, 凶한 害가 반드시 이르므로 뒤에는 울부짖는 것이다.
여러 사람이 함께 미워하는 바여서 곡식을 심고 거두는 물건(소)을 잃으니 그 이치가 어렵지 않음에 있다. 그러므로 “소를 쉬움에서 잃는다.”라고 한 것이다. 남들이 더부는 이가 없으면 상하게 하는 자가 이른다. 그러므로 “흉하다.”라고 한 것이다.
〈象傳〉에 말하였다. “나그네로서 윗자리에 있으니 의리상 불타게 되는 것이요, 소를 쉬움에 잃으니 끝내 알려주는 이가 없는 것이다.”
正義曰:[終莫之聞也] 여러 사람들이 함께 미워하여서 위태로운데도 붙들어주지 아니하여 소를 쉬움에서 잃었으나, 끝내 한마디를 말해주어서 그로 하여금 들어 깨닫게 하는 이가 없는 것이다.


역주
역주1 故特重曰 旅貞吉也 : 다른 卦辭의 例로 보면 “旅 小亨 貞吉”이라고 해야 하는데, 여기서는 “旅貞吉”이라고 하여 ‘旅’를 두 번 썼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2 〈貞〉 : 저본에는 빈칸으로 되어 있으나, 經文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 (凶)[而] : 저본에는 ‘凶’으로 되어 있으나, 글 뜻에 의거하여 ‘而’로 바로잡았다. 北京大 整理本은 ‘凶’으로 되어 있다.
역주4 又上下二體……而不稽留獄訟 : 王弼과 孔穎達은 ‘愼用刑’과 ‘不留獄’을 해석하면서 內卦와 外卦로 나누어 해석하지 않았으나, 朱子는 ‘愼用刑’을 艮卦에, ‘不留獄’을 離卦에 해당시켜 “刑을 삼가기를 〈艮의〉 山과 같이 하고, 지체하지 않기를 〈離의〉 불과 같이 하는 것이다.[愼刑如山 不留如火]”라고 하였다.
역주5 爲斯賤之役 : 王弼은 經文의 ‘斯’를 ‘廝’로 訓한 것으로 보인다. ‘斯’는 ‘廝’자와 통하는바, 廝는 馬夫나 奴僕의 천한 일을 가리킨다. 孔穎達 역시 “爲斯卑賤之役”이라 하여 ‘斯’를 ‘廝’로 訓한 것으로 보이나 아래 〈象傳〉의 疏에서는 이를 언급하지 않았다.
반면 程伊川은 ‘斯’를 ‘廝’로 보지 않고 經文을 ‘斯其所取災’로 句를 끊고서 ‘斯’를 ‘乃其所以’ 즉 ‘이 때문에’로 해석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六이 陰柔로서 旅의 때에 있으면서 卑下한 곳에 처했으니, 이는 유약한 사람이 나그네의 곤궁함에 처하고 비천한 자리에 있는 것이니, 간직한 바가 더럽고 낮은 것이다. 뜻이 낮은 사람이 이미 나그네의 곤궁함에 처하면 야비하고 추잡스러우며 자질구레하여 이르지 않는 바가 없으리니, 이는 뉘우침과 모욕을 부르고 재앙과 허물을 취하는 所以이다.[六以陰柔在旅之時 處於卑下 是柔弱之人 處旅困而在卑賤 所存汚下者也 志卑之人 旣處旅困 鄙猥𤨏細 无所不至 乃其所以致悔辱取災咎也]”
아래의 〈象傳〉 또한 “旅瑣瑣 志窮災也”라 하여 ‘斯’를 어조사로 보았다.
역주6 初六當旅之時……而爲斯卑賤之役 : 王弼과 孔穎達은 初六의 正應인 九四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으나, 程伊川은 初六이 九四의 正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움을 받지 못하는 이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나그네의 곤궁할 때를 당하여 재질이 이와 같으니, 위에 비록 應援이 있으나 큰일을 할 수가 없다. 九四는 陽의 성질이고 離의 體이니 또한 아래로 내려오는 자가 아니며, 또 旅에 있으니 다른 卦에서 大臣의 지위가 된 것과는 다르다.[當旅困之時 才質如是 上雖有援 无能爲也 四 陽性而離體 亦非就下者也 又在旅 與他卦爲大臣之位者異矣]”
역주7 旅卽次懷其資得童僕貞者……得童僕貞 : 王弼과 孔穎達은 ‘得童僕貞’을 ‘六二가 盛함에 처하지 않음이 바로 童僕의 바름을 얻은 것과 같음’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六二가 中正의 德이 있어 童僕들 또한 六二에게 忠信을 다함’으로 해석하였는바, ‘貞’을 ‘貞信’으로 訓한 것이다. ≪程傳≫은 다음과 같다. “六二는 柔順하고 中正한 德이 있으니, 柔順하면 사람들이 도와주고 中正하면 처함이 마땅함을 잃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소유함을 보존하고 童僕들 또한 忠信을 다하는 것이다.[二有柔順中正之德 柔順則衆與之 中正則處不失當 故能保其所有 童僕亦盡其忠信]”
역주8 以羈旅之身而爲惠下之道……而身危也 : 王弼과 孔穎達은 九三을 ‘아랫사람에게 은혜를 베풀고자 하는 자’로 보았는데, 九三이 六二와 뜻이 맞는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반면 程伊川은 九三을 ‘스스로 높은 체하는 자’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나그네로 처하는 道는 柔順함과 謙遜함을 우선으로 삼는데, 九三은 剛하고 中하지 못하며 또 下體의 위와 艮의 위에 거하여 스스로 높은 체하는 象이 있으니, 나그네로 있으면서 지나치게 剛하고 스스로 높은 체함은 곤궁과 재앙을 부르는 方道이다. 스스로 높은 체하면 위에 순하지 못하므로 위가 더불지(친하지) 아니하여 머무는 곳을 불태우니, 이는 편안한 바를 잃은 것이어서 위의 離는 불타는 象이 된다. 지나치게 剛하면 아랫사람들에게 포악하게 하므로 아랫사람들이 離叛하여 童僕의 貞信을 잃는 것이니, 이는 마음을 잃음을 이르는 것이어서 이와 같으면 위태로운 方道이다.[處旅之道 以柔順謙下爲先 三剛而不中 又居下體之上與艮之上 有自高之象 在旅而過剛自高 致困災之道也 自高則不順於上 故上不與而焚其次 失所安也 上離爲焚象 過剛則暴下 故下離而喪其童僕之貞信 謂失其心也 如此則危厲之道也]”
한편 朱子는 ‘喪其童僕貞厲’에서 ‘貞’을 ‘厲’에 붙여 해석하였는바, ≪本義≫는 다음과 같다. “童僕을 잃으면 마음의 〈貞信을〉 잃는 데에만 그치지 않는다. 그러므로 ‘貞’자를 아래 句에 연결하여 뜻을 삼는다.[喪其童僕 則不止於失其心矣 故貞字連下句爲義]” 이 해석을 따르면 經文은 “童僕을 잃었으니, 貞하더라도 위태롭다.”라고 번역해야 한다.
역주9 (君主)[主君] : 저본에는 ‘君主’로 되어 있으나, 監本ㆍ毛本에 의거하여 ‘主君’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0 若齊之田氏 : 田氏는 陳乞을 가리킨다. 춘추시대 齊나라는 景公이 죽은 뒤에 晏孺子가 즉위하자, 公子 陽生은 魯나라로 망명해 있었는데, 田乞은 은밀히 公子 陽生을 데려다가 자기 집에 숨겨놓았으며 끝내 그를 임금으로 세우고 晏孺子를 시해한 다음 國政을 독단하였다. 그의 아들 陳恒 역시 國政을 독단하여 簡公을 시해하였으며, 曾孫인 和에 이르러 齊나라를 簒奪하였는바, 陳乞은 원래 陳 厲公의 後孫으로 본래 姓이 陳氏였으나 뒤에 田氏로 고쳤다.
역주11 其義喪者……理是喪亡也 : ‘以旅與下’를 孔穎達은 ‘九三이 六二와 함께함’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程伊川과 朱子는 이를 ‘나그네의 때에 아래를 대하는 道가 이와 같음’으로 해석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나그네의 때에 아래를 대하는 道가 이와 같으니, 의리상 마땅히 상실할 것이다. 나그네로 있으면서 지나치게 강하고 스스로 높은 체함으로 아랫사람들을 대하면 반드시 忠貞을 잃을 것이니, 그 마음을 잃음을 이른다. 나그네로 있으면서 童僕의 마음을 잃는다면 위태로울 만하다.[以旅之時而與下之道如此 義當喪也 在旅而以過剛自高待下 必喪其忠貞 謂失其心也 在旅而失其童僕之心 爲可危也]”
孔穎達의 해석에서 상실하는 대상은 ‘義理’인데, 程伊川과 朱子의 해석에서 상실하는 대상은 ‘童僕의 忠貞한 마음’인바, 程朱의 해석을 따르면 ‘其義喪也’는 ‘의리상 〈童僕의 마음을〉 상실할 것이다.’로 번역된다.
역주12 旅于處得其資斧我心不快者……所以其心不快也 : 王弼과 孔穎達은 ‘旅于處 得其資斧’를 ‘九四가 편안히 거처할 곳을 얻지 못하고 나그네가 되어서 도끼를 사용할 땅을 얻음’의 의미로 보았는바, ‘도끼를 사용할 땅을 얻음’은 ‘스스로 가시나무 등을 제거하여 살 땅을 개척해야 함’의 뜻이 들어 있는 것이다.
반면 程伊川과 朱子는 ‘得其資斧’를 ‘財貨와 器用을 얻음’의 의미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九四는 陽剛이니, 비록 中에 거하지 못했으나 柔에 처하고 上體의 아래에 있어 柔를 쓰고 몸을 낮추는 象이 있으니, 나그네의 마땅함을 얻은 것이다. 剛明한 재질로 六五의 친하게 상대하는 바가 되고 初六의 應하는 바가 되었으니, 나그네로 있으면서 잘 처신하는 자이다. 그러나 四는 正位가 아니니, 이 때문에 비록 거처할 곳을 얻었으나 머무는 집으로 나아가는 六二만은 못한 것이다. 剛明한 재질이 있어 上下의 친하게 상대하는 바가 되었으니, 나그네로서 財貨의 物資와 器用의 이로움을 얻은 것이니, 비록 나그네에 있어서는 좋음이 되나 위에 剛陽의 도움이 없고 아래에 오직 陰柔가 應하기 때문에 그 재주를 펴고 그 뜻을 행하지 못하여 그 마음이 불쾌한 것이다.[四 陽剛 雖不居中 而處柔 在上體之下 有用柔能下之象 得旅之宜也 以剛明之才爲五所與 爲初所應 在旅之善者也 然四非正位 故雖得其處止 不若二之就次舍也 有剛明之才 爲上下所與 乃旅而得貨財之資器用之利也 雖在旅爲善 然上无剛陽之與 下唯陰柔之應 故不能伸其才行其志 其心不快也]”
역주13 射雉一矢亡終以譽命者……亡也 : ‘射雉一矢亡’을 王弼과 孔穎達은 ‘六五가 旅의 때에 貴한 지위에 거하여 끝내 그 지위를 보전할 수 없음이 마치 꿩을 한 화살로 쏘려 하다가 화살을 잃은 것과 같음’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 程伊川은 이를 ‘꿩을 쏘아서 맞혀 한 화살에 잡음’으로 해석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六五는 文明하고 柔順한 德이 있으며 처함이 中道를 얻어 上下가 더부니, 나그네에 처하기를 지극히 잘하는 자이다. 사람이 나그네에 처함에 文明의 道에 합하면 善하다고 이를 만하다. 나그네로 부쳐 있는 사람은 動하여 혹 잘못하면 곤욕이 뒤따르니, 動하여 잘못이 없는 뒤에야 善함이 된다. 離는 꿩이 되어 文明한 물건이니, 꿩을 쏘아 맞힌다는 것은 文明한 道에서 法을 취하여 반드시 합함을 이른다. 마치 꿩을 쏘아 맞혀 한 화살에 죽게 하여 발사함에 맞지 않음이 없듯이 한다면 끝내 譽命을 이룰 것이니, 譽는 훌륭한 名聲이고 命은 福祿이다.[六五有文明柔順之德 處得中道而上下與之 處旅之至善者也 人之處旅 能合文明之道 可謂善矣 羈旅之人 動而或失 則困辱隨之 動而无失 然後爲善 離爲雉 文明之物 射雉 謂取則於文明之道而必合 如射雉 一矢而亡之 發无不中 則終能致譽命也 譽 令聞也 命 福祿也]”
한편 朱子는 이를 ‘꿩을 쏘아 맞힘이니 화살 하나가 없어짐’으로 해석하였는바, ≪本義≫는 다음과 같다. “꿩은 文明한 물건이니, 離의 象이다. 六五가 柔順하고 文明하며 또 中道를 얻어 離의 주체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 爻를 얻은 자는 꿩을 쏘아 맞히는 象이 되니, 비록 화살을 잃는 허비가 없지 않으나 상실하는 바가 많지 않아 끝내 譽命이 있는 것이다.[雉 文明之物 離之象也 六五柔順文明 又得中道 爲離之主 故得此爻者 爲射雉之象 雖不无亡矢之費 而所喪不多 終有譽命也]”
역주14 上逮者……故得終以譽命也 : 程伊川은 이에 대하여 “逮는 더붊이니, 〈아래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순히 받들어 윗사람이 더붊은 윗사람에게 더부는(친하는) 바가 되는 것이요, 위에 있으면서 아랫사람에게 얻음은 아랫사람에게 위로 더부는 바가 되는 것이다. 나그네로 있으면서 上下가 더부니, 이 때문에 譽命을 이룬 것이다.[逮 與也 能順承於上而上與之 爲上所逮也 在上而得乎下 爲下所上逮也 在旅而上下與之 所以致譽命也]”라고 하였고, 朱子는 “上逮는 譽命이 위에 알려짐을 말한다.[上逮 言其譽命聞於上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15 不在於難 : ‘소를 잃음’이 어려운 일의 범주에 들지 않는다는 말이다. 孔穎達은 이를 “소를 잃는 이치가 어려움에 있지 않음[理在不難]”이라고 바꾸어 썼다.
역주16 衆所同嫉……故曰喪牛于易 : ‘喪牛于易’를 王弼과 孔穎達은 ‘上九가 여러 사람의 미움을 받으므로 資賴할 물건을 잃기가 쉬움’의 의미로 보았는바, ‘易’를 ‘쉬움’으로 訓한 것이다.
반면 程伊川은 ‘소’를 ‘順한 德’으로 보고 ‘易’를 ‘忽易’로 訓하였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가벼이 하고 함부로 하여 순한 德을 잃음은 흉하게 되는 所以이다. 소는 순한 물건이니, 소를 함부로 하여 잃는다는 것은 소홀히 하고 함부로 하여 순함을 잃음을 말한다.[輕易以喪其順德 所以凶也 牛 順物 喪牛于易 謂忽易以失其順也]”
역주17 終莫之聞也者……使聞而悟也 : 孔穎達은 ‘莫之聞’을 ‘말해주는 이가 없음’으로 보았는데, 程伊川은 ‘듣지 못함’으로 보았는바, ≪程傳≫은 다음과 같다. “바야흐로 지나치게 剛함으로 스스로 높은 체하여, 뜻을 얻었다 하여 웃고, 순한 德을 조급하고 함부로 함에서 잃는 줄을 모르니, 이는 끝내 듣지 못하는 것이니, 끝내 스스로 들어 알지 못함을 이른다. 가령 스스로 깨달아 안다면 極에 처하여 울부짖는 데에는 이르지 않으리라.[方以極剛自高 爲得志而笑 不知喪其順德於躁易 是終莫之聞 謂終不自聞知也 使自覺知 則不至於極而號咷矣]”

주역정의(3) 책은 2019.10.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