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六韜直解

육도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육도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勵軍者 激勵軍士하여 使前進也
武王欲三軍攻城 爭先登하고 野戰 爭先赴하니 非激勵其軍이면 安能使之如此리오
以勵軍名篇하니라
武王 問太公曰
吾欲三軍之衆 攻城 爭先登하고 野戰 爭先赴하며 聞金聲而怒하고 聞鼓聲而喜하노니 爲之奈何
原注
武王 問太公曰
吾欲三軍之衆 攻人之城 爭先登하고 戰於野 爭先赴하며 聞金聲而止則軍怒하고 聞鼓聲而進則軍喜하노니 爲之奈何
太公曰
將有三勝이니이다
武王曰
敢聞其目하노라
原注
太公對曰
爲將有三勝이라
武王曰
敢問三勝之目하노라
太公曰
冬不服裘하며 夏不操扇하며 雨不張蓋 名曰 禮將이니 將不身服禮 無以知士卒之寒暑니이다
原注
太公對曰
爲將者 隆冬 不服重裘 與士卒同其寒也 盛夏 不操紈扇 與士卒共其熱也 大雨 不張傘盖 與士卒均其濕也
出隘塞하고 犯泥塗 將必先下步 名曰 力將이니 將不身服力이면 無以知士卒之勞苦니이다
原注
出隘塞之險하고 犯泥塗之艱 將必先爲之下步 名曰 效力之將이니 爲將而身不服力이면 則無以知士卒之勞苦
軍皆定次라야 將乃就舍하고 炊者皆熟이라야 將乃就食하며
軍不擧火어든 將亦不擧 名曰 止欲將이니
將不身服止欲이면 無以知士卒之飢飽니이다
原注
軍皆安定幕次라야 將乃方就舍하고 士卒炊者皆熟이라야 將乃方就食하며
軍不擧火以炊 將亦不先擧 名曰 能止私欲之將이니
爲將하여 不身服止欲이면 則無以知士卒之飢飽
將與士卒 共寒暑勞苦飢飽
三軍之衆 聞鼓聲則喜하고 聞金聲則怒하여 高城深池 矢石繁下라도 士爭先登하고 白刃始合 士爭先赴니이다
原注
將與士卒 能共其寒暑, 勞苦, 飢飽
三軍之衆 所以聞鼓聲則喜其進하고 聞金聲則怒其退하여 攻人之高城深池 而矢石繁下로되 士卒相率而爭先登하고 若遇野戰하여 白刃始合이면 士卒踴躍而爭先赴
士非好死而樂傷也
爲其將知寒暑飢飽之審하고 而見寒暑之明也니이다
原注
士卒 非好愛其死而歡樂其傷也
爲其爲將者 能知士卒寒暑飢飽之詳審하고 而見士卒寒暑之昭明也일새라


原注
여군勵軍이란 병사들을 격려하여, 그들로 하여금 전진하게 하는 것이다.
무왕武王삼군三軍이 적의 을 공격할 적에 병사들이 앞을 다투어 먼저 올라가고, 들판에서 싸울 적에 앞을 다투어 달려가게 하려 하였으니, 병사들을 격려하지 않으면 어떻게 이와 같이 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여군勵軍편명篇名으로 삼은 것이다.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나는 삼군三軍의 병사들이 적의 을 공격할 때에 앞을 다투어 올라가고, 들에서 싸울 적에 앞을 다투어 달려가며, 징소리를 들으면 노여워하고 북소리를 들으면 기뻐하게 하고자 하는데, 어찌하면 되겠는가?”
原注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나는 삼군三軍의 병사들이 적의 을 공격할 때에 앞을 다투어 올라가고, 들에서 싸울 적에 앞을 다투어 달려가며, 싸움을 중지하라는 징소리를 들으면 병사들이 노여워하고, 전진하라는 북소리를 들으면 병사들이 기뻐하게 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겠는가?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장수에게는 세 가지 승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무왕武王이 물었다.
“감히 그 조목을 묻노라.”
原注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장수가 되어 세 가지 승리하는 방법이 있다.
무왕武王이 말씀하였다.
감히 승리하는 세 가지 조목을 묻노라.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장수가 겨울에 갖옷을 입지 않으며 여름에 부채를 잡지 않으며 비가 와도 우산을 펴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예의禮儀를 지키는 장수’라 하니, 장수가 몸소 예의를 행하지 않으면 병사들의 추위와 더위를 알지 못합니다.”
原注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장수 된 자가 한겨울에 이중의 갖옷을 입지 않는 것은 병사들과 추위를 함께하는 것이요, 무더운 여름철에 깁으로 만든 부채를 잡지 않는 것은 병사들과 더위를 함께하는 것이요, 큰 비에 우산을 펴지 않는 것은 병사들과 젖음을 함께하는 것이다.
이것을 이름하여 ‘예의가 있는 장수’라 하니, 장수가 되어서 몸소 예의를 행하지 않으면 병사들의 추위와 더위를 알지 못한다.
좁은 요새를 나가고 진흙 길을 지날 적에 장수가 반드시 먼저 수레에서 내려 걷는 것을 이름하여 ‘힘을 바치는 장수’라 하니, 장수가 몸소 힘을 바치지 않으면 병사들의 수고로움과 괴로움을 알지 못합니다.
原注
좁고 험한 요새지를 나가고 어려운 진흙 길을 지날 적에 장수가 반드시 먼저 수레에서 내려 걸어가는 것을 이름하여 ‘힘을 바치는 장수’라 하니, 장수가 되어서 몸소 힘을 바치지 않으면 병사들의 수고로움과 괴로움을 알지 못한다.
병사들이 모두 막사를 정하여야 장수가 비로소 막사에 나아가고, 병사들의 밥이 모두 익어야 장수가 비로소 나아가 밥을 먹으며,
병사들이 불을 피워 밥을 짓지 않았으면 장수 또한 불을 피워 밥을 짓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욕심을 그치는 장수’라 하니,
장수가 몸소 욕심을 그치지 않으면 병사들의 배부름과 굶주림을 알지 못합니다.
原注
병사들이 모두 막사를 편안히 정하여야 장수가 비로소 막사에 나아가고, 병사들의 밥이 모두 익어야 장수가 비로소 나아가 밥을 먹으며,
병사들이 불을 피워 밥을 짓지 않았으면 장수 또한 먼저 불을 피워 밥을 짓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사욕私慾을 그치는 장수’라 하니,
장수가 되어서 몸소 개인의 욕심을 그치지 않으면 병사들의 배부름과 굶주림을 알지 못한다.
장수는 병사들과 더불어 추위와 더위, 수고로움과 괴로움, 배부름과 굶주림을 함께합니다.
그러므로 삼군三軍의 병사가 북소리를 들으면 기뻐하고 징소리를 들으면 노여워하여, 높은 과 깊은 해자에 화살과 포석砲石이 무수히 쏟아지더라도 병사들이 앞을 다투어 올라가고, 흰 칼날이 처음 부딪칠 적에 병사들이 앞을 다투어 달려가는 것입니다.
原注
장수는 병사들과 더불어 추위와 더위, 수고로움과 괴로움, 배부름과 굶주림을 함께한다.
삼군三軍의 병사들이 이 때문에 북소리를 들으면 전진하는 것을 기뻐하고 징소리를 들으면 후퇴하는 것을 노여워하여, 적의 높은 과 깊은 해자를 공격할 적에 적의 화살과 포석이 무수히 쏟아져도 병사들이 서로 솔선하여 앞을 다투어 먼저 올라가며, 만약 들에서 싸워 흰 칼날이 서로 부딪치게 되면 병사들이 날뛰며 앞을 다투어 달려가는 것이다.
이는 병사들이 죽음을 좋아하고 부상당함을 즐거워해서가 아닙니다.
그 장수가 자기들의 추위와 더위, 배부름과 굶주림을 자세히 살펴 알고, 자기들의 추위와 더위를 분명히 보기 때문입니다.”
原注
병사들이 자기가 죽는 것을 좋아하고 자기가 부상당하는 것을 즐거워해서가 아니다.
그 장수 된 자가 병사들의 추위와 더위, 배부름과 굶주림을 자세히 살펴 알고, 병사들의 추위와 더위를 분명히 보고 보살펴주기 때문인 것이다.


역주
역주1 爲將而身不服禮 則無以知士卒之寒暑 : 《兵學指南演義》 〈營陣正彀 2 將禮篇〉에는 ‘각급 지휘관은 자신의 부대가 휴식하고 있던 자리에서 기다리다가 병사들이 民家에 들어가 휴식하는 것을 확인한 뒤에 들어가야 하며, 군대의 최고 지휘관인 主將도 이와 같이 하는 것’이 禮將이 지켜야 할 자세임을 말하면서 이 부분을 인용하여 강조하고 있다.

육도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