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六韜直解

육도직해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육도직해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絶道者 敵人 絶我粮道어든 吾欲守之固而無所失也
武王 問太公曰
引兵深入諸侯之地하여 與敵相守 敵人 絶我粮道하고 又越我前後하여 吾欲戰則不可勝이요 欲守則不可久인댄 爲之奈何
原注
武王 問太公曰
若引兵深入諸侯之地하여 與敵人兩陣相守 敵人 斷絶我粮道하고 又踰越我前後하여 吾欲與之戰則不可勝이요 欲固守則不可久인댄 將爲之奈何
太公曰
凡深入敵人之境 必察地之形勢하여 務求便利하여 依山林險阻水泉林木하여 而爲之固하고 謹守關梁하고 又知城邑丘墓地形之利 如是 則我軍堅固하여 敵人 不能絶我粮道하고 又不能越我前後리이다
原注
太公對曰
凡引兵深入敵人之境 必審察地之形勢하여 務求取便利之處하여 依倚山林險阻水泉林木하여 而爲之堅固하고 謹守關塞橋梁하고 又要知城邑丘墓地形之利 如此 則我軍堅固하여 敵人 不能斷絶我之粮道하고 又不能絶越我之前後
武王曰
吾三軍 過大林廣澤平易之地 吾候望誤失하여 與敵人相하여 以戰則不勝하고 以守則不固 敵人 翼我兩旁하고 越我前後하여 三軍大恐이면 爲之奈何
原注
武王問曰
吾三軍 過大林廣澤及平易之地 吾候望誤失하여 倉卒與敵人相迫하여 以之戰則不勝하고 以之守則不固 敵人 來翼我兩旁하고 越我前後 吾三軍大恐하리니 則爲之奈何
太公曰
凡帥師之法 常先發遠候호되 去敵二百里하여 審知敵人所在하여 地勢不利어든 則以武衝으로 爲壘而前하고
又置兩踵軍於後호되 遠者 百里 近者 五十里하여 卽有警急이어든 前後相知하면 吾三軍 常完堅하여 必無毁傷하리이다
武王曰
善哉
原注
太公對曰
凡帥師之法 常先發遠候之人호되 離去敵人二百里하여 審知敵人所在之處하여 若地勢不利어든 則以武衝扶胥 爲壘而前하고
又置兩踵軍於後하니 踵軍 收後之軍也 遠者 相去百里하고 近者 相去五十里하여 卽有警急之事어든 前後皆得相知하면 吾三軍 常完堅하여 必無有毁傷者
武王曰 公言 善哉


原注
절도絶道란 적이 우리의 군량 수송로를 끊으려 할 경우, 우리가 굳게 지켜서 손실이 없고자 하는 것이다.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군대를 이끌고 제후諸侯의 땅에 깊숙이 쳐들어가서 적과 서로 대치해있을 적에 적이 우리의 군량 수송로를 끊고 또 우리 진영의 앞뒤를 넘어가서, 우리가 전투하고자 하면 이길 수가 없고 수비하고자 하면 오래 버틸 수가 없을 경우, 어찌해야 하는가?”
原注
무왕武王태공太公에게 물었다.
만약 군대를 이끌고 제후諸侯의 땅에 깊숙이 쳐들어가서 우리와 적 두 진영이 서로 대치해있을 적에, 적이 우리의 군량 수송로를 차단하고 또 우리 진영의 앞뒤를 넘어가서, 우리가 적과 전투하고자 하면 이길 수가 없고 지키고자 하면 오래 버틸 수가 없을 경우, 장차 어찌해야 하는가?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적의 국경에 깊숙이 쳐들어갈 적에는, 반드시 적지의 지형을 잘 살펴 되도록 편리한 곳을 찾아 점령해서 산림山林과 험한 곳과 수택水澤과 숲이 있는 곳에 의지하여 견고하게 하고서, 관문關門요새要塞교량橋梁을 철저히 지키고 또 성읍城邑구묘丘墓 등 지형의 편리한 곳을 알아야 하니, 이와 같이 하면 우리 군영이 견고해져서, 적이 우리의 군량 수송로를 차단하지 못하고 또 우리 진영의 앞뒤로 넘어오지 못할 것입니다.”
原注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군대를 이끌고 적의 국경에 깊숙이 쳐들어갈 적에는, 반드시 적의 지형을 자세히 살펴 되도록 편리한 곳을 찾아 점령해서 산림山林과 험한 곳과 수택水澤과 숲이 있는 곳에 의지하여 진영을 견고하게 하고서, 관문關門요새要塞교량橋梁을 철저히 지키고 또 성읍城邑구묘丘墓 등 지형의 편리한 곳을 알아야 하니, 이와 같이 하면 우리 군영이 견고해져서, 적이 우리의 군량 수송로를 차단하지 못하고 또 우리 진영의 앞뒤로 넘어오지 못할 것이다.
무왕武王이 물었다.
“우리 삼군三軍이 큰 숲과 넓은 늪과 평탄한 지역을 통과할 적에, 우리의 척후병斥候兵정찰偵察을 잘못하여 갑자기 적과 서로 부딪쳐서 전투하면 승리하지 못하고 수비하면 견고하지 못하여, 적이 우리 진영의 양 곁을 충돌하고 우리 진영의 앞뒤로 넘어와서 삼군三軍이 크게 두려워하면 어찌해야 하는가?”
原注
무왕武王이 물었다.
우리 삼군三軍이 큰 숲과 넓은 늪과 평탄한 지역을 통과할 적에, 우리의 척후병이 정찰을 잘못하여 갑자기 적과 부딪쳐서 전투하면 승리하지 못하고 수비하면 견고하지 못하여, 적이 와서 우리 진영의 양 곁을 충돌하고 우리 진영의 앞뒤로 넘어오면, 우리의 삼군三軍이 크게 두려워할 것이니 어찌해야 하는가?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군대를 통솔하는 방법은, 항상 먼저 척후병을 멀리 출동시키되, 적진에서 200리쯤 떨어지게 하여 적이 있는 곳을 자세히 살펴서 지형이 불리하면 무충부서武衝扶胥로 보루를 만들고 전진해야 합니다.
또 두 종군踵軍을 뒤에 배치하되, 멀리 있는 자는 100리 앞에 있게 하고 가까이 있는 자는 50리 앞에 있게 하여, 만일 위급한 경보가 있을 경우 앞과 뒤가 서로 알려주게 하면, 우리 삼군三軍이 항상 견고하고 완전하여 반드시 손상됨이 없을 것입니다.”
무왕武王이 말씀하였다.
“좋은 말씀이다.”
原注
태공太公이 대답하였다.
무릇 군대를 통솔하는 방법은, 항상 먼저 척후병을 멀리 출동시키되, 적으로부터 200리쯤 떨어지게 하여 적이 있는 곳을 자세히 정찰해서 만약 지형이 불리하면 무충부서武衝扶胥로 보루를 만들고 전진해야 한다.
또 두 종군踵軍을 뒤에 배치하니, 종군踵軍은 후미를 수습하는 군대로 멀리 있는 자는 서로의 거리가 100리쯤 떨어지게 하고 가까이 있는 자는 50리쯤 떨어지게 하여, 만일 위급한 경보가 있으면 앞과 뒤가 모두 서로 알려주게 하면, 우리 삼군三軍이 항상 견고하고 완전하여 반드시 손상됨이 없을 것이다.
무왕武王은 “의 말씀이 좋다.” 하였다.


역주
역주1 : 猝과 같다.
역주2 : 迫과 같다.

육도직해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