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四字小學

사자소학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사자소학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勿登高樹하라
높은 나무에 올라가지 말라
父母憂之시니라
부모님께서 근심하시느니라.
勿泳深淵하라
깊은 연못에서 헤엄치지 말라
父母念之시니라
부모님께서 염려하시느니라.
勿與人鬪하라
남과 더불어 다투지 말라
父母不安이시니라
부모님께서 불안해 하시느니라.




신습
한자
[登]癶 총12획, 오를 등; 登山, 躐登.
[樹]木 총16획, 나무 수; 樹木, 植樹.
[泳]水 총8획, 헤엄칠 영; 泳之游之, 水泳.
[深]水 총11획, 깊을 심; 深海, 幽深.
[淵]水 총11획, 못 연; 淵海, 淡淵.
[念]心 총8획, 생각할 념; 念願, 想念.
염려할 념; 念慮, 制念.
[鬪]鬥 총20획, 싸울 투; 鬪爭, 擊鬪.
[安]宀 총6획, 편안할 안; 安康, 平安.
문장의
구조
한자의
구실
[與]더불다, 참여하다.
◦ 吾不祭면 如不祭니라 : 내가 제사에 참여하지 않으면 마치 제사지내지 않은 것과 같다.
◦ 志於道而恥惡衣惡食者는 未足議也니라 : 도에 뜻을 두고서 나쁜 옷과 나쁜 음식을 부끄러워하는 자는 더불어 도를 논의할 수 없다.
참고자료
◦ 不登高하며 不臨深하며 不苟訾하며 不苟笑니 孝子不服闇하며 不登危는 懼辱親也니라《禮記ㆍ曲禮上》
높은 곳에 오르지 않고, 깊은 곳에 가지 않으며, 구차하게 남을 헐뜯지 않으며, 남을 비웃지 말아야 하니, 효자가 어두운 곳에서 일을 하지 않으며, 위태한 곳에 오르지 않는 것은 어버이를 욕되게 할까 두렵기 때문이다.
동영상 재생
1 20. 물등고수하라 53

사자소학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