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四字小學

사자소학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사자소학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주술구조(主述構造) - 주어(主語)∥서술어(敍述語)의 구조.
‘무엇이 어떠하다’는 의미를 가진 문장으로, 주어(명사)+술어(동사, 형용사)의 형태를 이룬다.
① 명사+동사
◦ 兄∥友, 弟∥恭 :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손하다.
◦ 夫∥唱, 婦∥隨 : 남편이 선창하고 부인이 따르다.
② 명사+형용사.
◦ 恩∥高 : 은혜가 높다.
◦ 年∥長 : 나이가 많다.
◦ 年∥少 : 나이가 어리다.

2) 술목구조(述目構造) - 서술어(敍述語)∣목적어(目的語)의 구조.
‘무엇을 어찌하다’는 의미를 가진 문장으로, 서술어(동사)+목적어(명사)의 구조를 이룬다. 어순이 간혹 도치될 때도 있다.
◦ 使∣我 : 나를 부리다.
◦ 俯∣首 : 머리를 숙이다.
◦ 倚∣身 : 몸을 기대다.

3) 술보구조(述補構造) - 서술어(敍述語)∕보어(補語)의 구조.
‘무엇이 되다’, ‘무엇에 어찌하다’는 의미를 가진 문장으로 서술어(동사, 형용사)+보어(명사)의 형태를 이룬다.
◦ 爲∕本 : 근본이 되다.
◦ 無∕異 : 다름이 없다.
◦ 有∕別 : 구별이 있다.
◦ 如∕天 : 하늘과 같다.
◦ 施∕於人 : 남에게 베풀다.

4) 수식구조(修飾構造) - 수식어(修飾語) 피수식어(被修飾語)의 구조.

‘어떠한 무엇’ 또는 ‘어떠하게 무엇하다’는 의미를 가진 문장으로 수식어(관형어, 부사어)+피수식어(용언, 체언)의 형태를 이룬다. 어순은 간혹 도치될 때도 있다. 관형어구조(冠形語構造)와 부사어구조(副詞語構造)로 유별된다.
① 관형어구조(冠形語構造)
◦ 良 饌 : 좋은 음식.
◦ 美 味 : 맛있는 음식.
◦ 餘 慶 : 남은 경사.
② 부사어구조(副詞語構造)
◦ 必 食. : 반드시 먹다.
◦ 始 習. : 처음으로 익히다.
◦ 至 高. : 지극히 높다.




사자소학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