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有山石瓌奇琬琰之觀하고 後有竹林陰森氷雪之植하며 中置圖史百物하여 而名之曰淸虛라하고 日與其遊하니 賢士大夫 相從於其間이니라
			                         
                        		
                        		
                        		
	                     		
			                       	
			                       	
	                     		
	                     		
		                        
                        	
                        	
                        	
                        	
                        		
                        			
                        			
			                        
			                        	嘯歌吟咏하고 擧酒相屬하며 油然不知日之旣夕이러라
			                         
                        		
                        		
                        		
	                     		
			                       	
			                       	
	                     		
	                     		
		                        
                        	
                        	
                        	
                        	
                        		
                        			
                        			
			                        
			                        	凡遊於其堂者
는 蕭然如入於山林高僧
之居
하여 而忘其
경도京都塵土之鄕也
니라 
                        		
                        		
                        		
	                     		
			                       	
			                       	
	                     		
	                     		
		                        
                        	
                        	
                        	
                        	
                        		
                        			
                        			
			                        
                        		
                        		
                        		
	                     		
			                       	
			                       	
	                     		
	                     		
		                        
                        	
                        	
                        	
                        	
                        		
                        			
                        			
			                        
			                        	凡物自其濁者視之면 則淸者爲淸하고 自其實者視之면 則虛者爲虛니라
			                         
                        		
                        		
                        		
	                     		
			                       	
			                       	
	                     		
	                     		
		                        
                        	
                        	
                        	
                        	
                        		
                        			
                        			
			                        
                        		
                        		
                        		
	                     		
			                       	
			                       	
	                     		
	                     		
		                        
                        	
                        	
                        	
                        	
                        		
                        			
                        			
			                        
                        		
                        		
                        		
	                     		
			                       	
			                       	
	                     		
	                     		
		                        
                        	
                        	
                        	
                        	
                        		
                        			
                        			
			                        
                        		
                        		
                        		
	                     		
			                       	
			                       	
	                     		
	                     		
		                        
                        	
                        	
                        	
                        	
                        		
                        			
                        			
			                        
			                        	雖泥塗之渾이나 而至淸存焉하고 雖山石之堅이나 而至虛存焉이니라
			                         
                        		
                        		
                        		
	                     		
			                       	
			                       	
	                     		
	                     		
		                        
                        	
                        	
                        	
                        	
                        		
                        			
                        			
			                        
                        		
                        		
                        		
	                     		
			                       	
			                       	
	                     		
	                     		
		                        
                        	
                        	
                        	
                        	
                        		
                        			
                        			
			                        
			                        	 하여 棄其綺紈膏粱之習
하고 而跌宕於圖書翰墨之囿
하여 沈酣縱恣
하니 洒然與衆殊好
니라 
			                         
                        		
                        		
                        		
	                     		
			                       	
			                       	
	                     		
	                     		
		                        
                        	
                        	
                        	
                        	
                        		
                        			
                        			
			                        
			                        	 과 도 雜然前陳
하되 贖
왕희지之傾囊而不厭
하니 慨乎思見其人而不得
이면 則旣與
우세남世俗遠矣
니라 
			                         
                        		
                        		
                        		
	                     		
			                       	
			                       	
	                     		
	                     		
		                        
                        	
                        	
                        	
                        	
                        		
                        			
                        			
			                        
			                        	然이나 及其年日益壯하고 學日益篤하여는 經涉世故하고 出入患禍하니 顧疇昔之好에 知其未離乎累也니라
			                         
                        		
                        		
                        		
	                     		
			                       	
			                       	
	                     		
	                     		
		                        
                        	
                        	
                        	
                        	
                        		
                        			
                        			
			                        
			                        	乃始發其箱箧하고 出其玩好하여 投以與人而不惜이니라
			                         
                        		
                        		
                        		
	                     		
			                       	
			                       	
	                     		
	                     		
		                        
                        	
                        	
                        	
                        	
                        		
                        			
                        			
			                        
			                        	將曠焉黜去外累하고 而獨求諸內하니 意其有眞淸虛者在焉이나 而未見之也니라
			                         
                        		
                        		
                        		
	                     		
			                       	
			                       	
	                     		
	                     		
		                        
                        	
                        	
                        	
                        	
                        		
                        			
                        			
			                        
			                        	왕군王君浮沈
경사京師하여 多
하고 而又娶於
양梁하니 
			                         
                        		
                        		
                        		
	                     		
			                       	
			                       	
	                     		
	                     		
		                        
                        	
                        	
                        	
                        	
                        		
                        			
                        			
			                        
			                        	장공張公超達遠騖하여 體乎至道하고 而順乎流俗이니라
			                         
                        		
                        		
                        		
	                     		
			                       	
			                       	
	                     		
	                     		
		                        
                        	
                        	
                        	
                        	
                        		
                        			
                        			
			                        
                        		
                        		
                        		
	                     		
			                       	
			                       	
	                     		
	                     		
		                        
                        	
                        	
                        	
                        	
                        		
                        			
                        			
			                        
			                        	당형천唐荊川曰 此文亦有箴規言이나 其所以爲청허淸虛者는 不足爲청허淸虛也니라
			                         
                        		
                        		
                        		
	                     		
			                       	
			                       	
	                     		
	                     		
		                        
                        	
                        	
                        	
                        	
                        		
                        			
                        			
			                        
                        		
                        		
                        		
	                     		
			                       	
			                       	
	                     		
	                     		
		                        
                        	
                        	
                        	
                        	
                   			
                        	
                        	
                        	
                        	
	                       	
	                       	
	                       	
	                       	
							                       	
	                        
	                        
	                        	
	                        
	                        	
	                        
	                        	
	                        
	                        	
	                        
	                        	
	                        
	                        	
	                        
	                        	
	                        
	                        	
	                        
	                        	
	                        
	                        	
	                        
	                        	
	                        
	                        	
	                        
	                        	
	                        
	                        	
	                        
	                        	
	                        
	                        	
	                        
	                        	
	                        
	                        	
	                        
	                        	
	                        
	                        	
	                        
	                        	
	                        
	                        	
	                        
	                        	
	                        
	                        	
	                        
	                        	
	                        
	                        	
	                        
	                        	
	                        
	                        	
	                        
	                        	
	                        
	                        	
	                        
	                        	
	                        
	                        	
	                        
	                        	
	                        
	                        	
	                        
	                        	
	                        
	                        	
	                        
	                        	
	                        
	                        	
	                        
	                        	
	                        
	                        	
	                        
	                        	
	                        
	                        	
	                        
	                        	
	                        
	                        	
	                        
	                        	
	                        
	                        	
	                        
	                        
	                        
                        	
		                        
		                        
		                        
		                        
                        		
                        	
		                        
		                        
		                        
		                        	
		                        	
		                        
		                        
                        		
                        		
                        			
			                             
                        			
                        		
                        		
	                     		
			                       	
			                       	
	                     		
		                        
                        	
		                        
		                        
		                        
		                        
                        		
                        	
		                        
		                        
		                        
		                        	
		                        	
		                        
		                        
                        		
                        		
                        			
			                        
			                        	글 뜻은 얄팍하지만, 문장은 담백하고 호탕하다.
			                              
                        			
                        		
                        		
	                     		
			                       	
			                       	
	                     		
		                        
                        	
		                        
		                        
		                        
		                        
                        		
                        	
		                        
		                        
		                        
		                        	
		                        	
		                        
		                        
                        		
                        		
                        			
			                        
			                        	왕군王君 정국定國이 그가 거처하는 방 서쪽에 당堂을 만들었다.
			                              
                        			
                        		
                        		
	                     		
			                       	
			                       	
	                     		
		                        
                        	
		                        
		                        
		                        
		                        
                        		
                        	
		                        
		                        
		                        
		                        	
		                        	
		                        
		                        
                        		
                        		
                        			
			                        
			                        	앞에는 아름다운 구슬처럼 구경할 만한 진기珍奇한 산석山石이 있고, 뒤에는 차가운 빙설氷雪처럼 음산하게 심어진 죽림竹林이 있으며, 가운데는 도적圖籍과 사서史書 그리고 온갖 문물文物을 배치해서 이름을 ‘청허당淸虛堂’이라 하고는 날마다 거기서 노니, 어진 사대부士大夫들이 서로 그 사이에서 종유하였다.
			                              
                        			
                        		
                        		
	                     		
			                       	
			                       	
	                     		
		                        
                        	
		                        
		                        
		                        
		                        
                        		
                        	
		                        
		                        
		                        
		                        	
		                        	
		                        
		                        
                        		
                        		
                        			
			                        
			                        	휘파람과 노래도 불고 시詩와 부賦를 읊고, 술잔을 들어 서로 권하기도 하며 유연油然히 해가 이미 석양이 된 줄도 몰랐다.
			                              
                        			
                        		
                        		
	                     		
			                       	
			                       	
	                     		
		                        
                        	
		                        
		                        
		                        
		                        
                        		
                        	
		                        
		                        
		                        
		                        	
		                        	
		                        
		                        
                        		
                        		
                        			
			                        
			                        	무릇 그 청허당淸虛堂에서 노는 자들은 소연蕭然히 산림山林 속에 있는 고승高僧과 일인逸人의 거처에 들어간 것 같아서 경도京都의 진토塵土세계를 까마득히 잊어버렸다.
			                              
                        			
                        		
                        		
	                     		
			                       	
			                       	
	                     		
		                        
                        	
		                        
		                        
		                        
		                        
                        		
                        	
		                        
		                        
		                        
		                        	
		                        	
		                        
		                        
                        		
                        		
                        			
			                        
			                        	혹자或者가 말하기를 “이것이 바로 마음이 맑고 정욕情欲이 없이 허虛한 것인가?”라고 하니, 객客이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
			                              
                        			
                        		
                        		
	                     		
			                       	
			                       	
	                     		
		                        
                        	
		                        
		                        
		                        
		                        
                        		
                        	
		                        
		                        
		                        
		                        	
		                        	
		                        
		                        
                        		
                        		
                        			
			                        
			                        	모든 사물이 그 탁濁한 것으로부터 본다면 맑은 것이 맑은 유세를 하고, 그 실實한 것으로부터 본다면 허虛한 것이 허虛한 유세를 한다.
			                              
                        			
                        		
                        		
	                     		
			                       	
			                       	
	                     		
		                        
                        	
		                        
		                        
		                        
		                        
                        		
                        	
		                        
		                        
		                        
		                        	
		                        	
		                        
		                        
                        		
                        		
                        			
			                        
			                        	그러므로 마음이 맑은 사람은 탁濁한 사물을 더럽게 보고, 마음이 〈정욕情欲 없이〉 텅 빈 사람은 부실富實한 사물이 장애하는 것으로 본다.
			                              
                        			
                        		
                        		
	                     		
			                       	
			                       	
	                     		
		                        
                        	
		                        
		                        
		                        
		                        
                        		
                        	
		                        
		                        
		                        
		                        	
		                        	
		                        
		                        
                        		
                        		
                        			
			                             
                        			
                        		
                        		
	                     		
			                       	
			                       	
	                     		
		                        
                        	
		                        
		                        
		                        
		                        
                        		
                        	
		                        
		                        
		                        
		                        	
		                        	
		                        
		                        
                        		
                        		
                        			
			                        
			                        	대개 사물에는 맑지 않는 것이 없고, 또한 허虛하지 않는 것이 없다.
			                              
                        			
                        		
                        		
	                     		
			                       	
			                       	
	                     		
		                        
                        	
		                        
		                        
		                        
		                        
                        		
                        	
		                        
		                        
		                        
		                        	
		                        	
		                        
		                        
                        		
                        		
                        			
			                        
			                        	비록 진흙의 혼탁한 것도 지극히 맑은 것이 존재하고, 비록 산석山石의 견고한 것도 지극히 허虛한 것이 존재한다.
			                              
                        			
                        		
                        		
	                     		
			                       	
			                       	
	                     		
		                        
                        	
		                        
		                        
		                        
		                        
                        		
                        	
		                        
		                        
		                        
		                        	
		                        	
		                        
		                        
                        		
                        		
                        			
			                        
			                        	그러니 오직 청淸과 탁濁을 하나로 보고 허虛와 실實을 동체同體로 본 연후에야 사물과 더불어 필적함이 없어서 지극한 청淸과 허虛가 나올 것이다.”라고 하였다.
			                              
                        			
                        		
                        		
	                     		
			                       	
			                       	
	                     		
		                        
                        	
		                        
		                        
		                        
		                        
                        		
                        	
		                        
		                        
		                        
		                        	
		                        	
		                        
		                        
                        		
                        		
                        			
			                        
			                        	지금 왕군王君은 세족世族에서 태어나서 비단옷을 입고 고량진미를 먹는 호화스런 생활 습관을 버리고 도서圖書와 한묵翰墨 속에 묻혀서 거기에 심취하여 마냥 즐겼으니, 선연洒然히 여러 사람과 기호嗜好가 달랐다.
			                              
                        			
                        		
                        		
	                     		
			                       	
			                       	
	                     		
		                        
                        	
		                        
		                        
		                        
		                        
                        		
                        	
		                        
		                        
		                        
		                        	
		                        	
		                        
		                        
                        		
                        		
                        			
			                        
			                        	종요鍾繇, 왕희지王羲之, 우세남虞世南, 저수량褚遂良, 안진경顔眞卿, 장욱張旭의 뛰어난 작품과 고개지顧愷之, 육탐미陸探微, 오도자吳道子, 노홍盧鴻, 왕유王維, 한간韓干의 전해오는 그림을 잡다하게 앞에 진열하되, 주머니 속의 돈을 몽땅 떨어서 구매해도 만족을 느끼지 못하였으니, 개연慨然히 그 사람들을 보기를 애타게 생각하였으나 끝내 보지 못했다면 일단 세속世俗과는 멀어진 셈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나이가 날로 장성해지고 그 학문이 날로 심후深厚해지게 되어서는 세간의 변고를 겪고 재화災禍와 우환憂患을 친히 경험하니, 지난날의 기호嗜好를 회고함에 외루外累에서 떠나지 못했던 것을 알았다.
			                              
                        			
                        		
                        		
	                     		
			                       	
			                       	
	                     		
		                        
                        	
		                        
		                        
		                        
		                        
                        		
                        	
		                        
		                        
		                        
		                        	
		                        	
		                        
		                        
                        		
                        		
                        			
			                        
			                        	그래서 그 상자를 열고 그 완호玩好하던 글씨와 그림 등을 꺼내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되 조금도 아까워하지 않았다.
			                              
                        			
                        		
                        		
	                     		
			                       	
			                       	
	                     		
		                        
                        	
		                        
		                        
		                        
		                        
                        		
                        	
		                        
		                        
		                        
		                        	
		                        	
		                        
		                        
                        		
                        		
                        			
			                        
			                        	그가 장차 외루外累를 내쳐버리고 오직 내심內心에서만 구하려고 하니, 그에게는 참다운 청淸과 허虛가 있을 터이나 아직 보지 못했으리라 생각한다.
			                              
                        			
                        		
                        		
	                     		
			                       	
			                       	
	                     		
		                        
                        	
		                        
		                        
		                        
		                        
                        		
                        	
		                        
		                        
		                        
		                        	
		                        	
		                        
		                        
                        		
                        		
                        			
			                        
			                        	왕군王君은 경사京師에서 부침浮沈하여 진세塵世 밖의 교우가 많고, 또한 양梁의 장공씨張公氏에게 장가들었다.
			                              
                        			
                        		
                        		
	                     		
			                       	
			                       	
	                     		
		                        
                        	
		                        
		                        
		                        
		                        
                        		
                        	
		                        
		                        
		                        
		                        	
		                        	
		                        
		                        
                        		
                        		
                        			
			                        
			                        	장공張公은 초탈, 달관하고 심사心思가 고원하여 지도至道를 체득하고 유속流俗을 따르는 훌륭한 사람이다.
			                              
                        			
                        		
                        		
	                     		
			                       	
			                       	
	                     		
		                        
                        	
		                        
		                        
		                        
		                        
                        		
                        	
		                        
		                        
		                        
		                        	
		                        	
		                        
		                        
                        		
                        		
                        			
			                        
			                        	군君은 일찍이 내 말을 가지고 그에게 물었을 터이니, 반드시 이에 얻음이 있었을 것이다.
			                              
                        			
                        		
                        		
	                     		
			                       	
			                       	
	                     		
		                        
                        	
		                        
		                        
		                        
		                        
                        		
                        	
		                        
		                        
		                        
		                        	
		                        	
		                        
		                        
                        		
                        		
                        			
			                        
			                        	당형천唐荊川이 말하기를 “이 글 또한 잠규箴規가 담긴 말이나 그 청허淸虛를 한 것은 청허淸虛가 되기에 부족하다.
			                              
                        			
                        		
                        		
	                     		
			                       	
			                       	
	                     		
		                        
                        	
		                        
		                        
		                        
		                        
                        		
                        	
		                        
		                        
		                        
		                        	
		                        	
		                        
		                        
                        		
                        		
                        			
			                        
			                        	의론議論 또한 《장자莊子》에 근거를 둔 것이다.”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