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注]持 謂不失德也 旣不失其德이로되 又盈之하니 勢必傾危
라하니라 不如其已者 謂乃更不如無德無功者也
9.2 揣而銳之 不可長保
[注]旣揣末令尖이로되 又銳之令利하면 勢必摧衂하리니 故不可長保也라하니라
9.3 金玉 滿堂이면 莫之能守하고
[注]不若其已
9.4 富貴而驕 自遺其咎
[注]不可長保也
[注]四時更運하니 功成則移니라


하늘에 대해서 모든 것은 ‘하늘 아래[천하天下]’에 있다. 그러므로 천하는 종종 ‘세계世界’로 번역된다. ‘세계’는 ‘하늘 아래’ 기능하는 삼라만상森羅萬象의 구체적 영역, 즉 문자 그대로 해와 달의 운행과 나란히 밤에 어둡고 낮에 밝은 모든 것이다. 하늘 그리고 그 ‘아래에’ 있는 모든 것은 분리될 수 없다. 인간 사회는 물론 ‘하늘 아래’에 존재하는 것 가운데 중요한 부분이다. 전기가 들어오기 이전에 우리는 〈불가피하게〉 밤에는 자고 낮 동안에 일을 했다. 하늘 아래에 있으면서 사람들은 그에 맞추어서 행동해야만 한다.
대부분의 다른 고대 중국철학 텍스트와 비슷하게 《노자老子》는 일반적으로 하늘 아래에 있을 때 하늘의 운행을 따를 것을 추천한다. 그것은 특히 하늘의 역학을 거스르는 어떤 종류의 행동을 그만두게끔 한다. 그러한 행동들은 실패하기 마련이거나 적어도 수고스럽거나 소모적이다. - 궁극적으로 그것은 효과적일 수 없다. 가장 효율적인 행동 방식은 하늘과 어울리게 행동하는 것이다. 하늘에 짝한다는 것은 상고上古시대의 이상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것이 함축적으로 암시하는 바는 사람이 이렇게 소박하지만 가치 있는 전략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하늘의 질서는 단지 거기에 있다. - 그리고 늘 있어왔다. 인간이 해야만 하는 모든 것은 제59장에서 지적하듯이 ‘아끼면서’ 행동하는 것이다.
인간들의 질서를 다스리기 위해선 하늘의 를 따르는 것이 가장 좋다. 하늘 그 자체는 ‘아끼면서’ 행동하고 그래서 하늘을 ‘섬기는’ 것은 그에 반하는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않는 것이다. 하늘은 ‘가야 할 곳’에 대해 어떤 특정한 목적도 어떤 특정한 의도도 갖지 않는데, 동일한 것이 왕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하늘은 사사롭지 않다. 사사로움이 제거될 때, 사물은 부드럽게 진행되어 나간다. 제9장은 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가지고 있으면서 더 채우고자 하는 것은 그만두느니만 못하다.
란 덕을 잃지 않으려 애쓰는 것을 말한다. 이미 자신의 덕을 잃지 않았는데 또 그것을 채우고자 하니 세력이 반드시 기울고 위태로워질 것이다.
그래서 “그치느니만 못하다.”고 한 것이다. ‘불여기이不如其已’는 오히려 덕이 없고 공이 없는 것만도 못함을 이른다.
〈뾰족한 것을〉 다듬어서 그것을 더 날카롭게 하고자 하는 것은 오래도록 보전할 수 없다.
이미 끝을 다듬어서 뾰족하게 하였는데 다시 그것을 날카롭게 하여 더욱 예리하게 하면 세력이 꺾여 위축될 것이니, 그래서 “오래도록 보전할 수 없다.”고 한 것이다.
이 집안을 가득 채우면 능히 그것을 지킬 수가 없고,
그치느니만 못하다는 뜻이다.
부유하고 귀하면서 교만하면 스스로 허물을 남기게 된다.
오래 보전할 수 없다는 뜻이다.
공이 이루어지면 자신은 물러나는 것이 하늘의 도이다.
사계절이 번갈아 운행하니 공이 이루어지면 옮겨간다.


역주
역주1 持而盈之……不可長保 : 이 구절은 《呂氏春秋》 〈分職〉과 《淮南子》 〈道應訓〉에서 百公 勝과 올빼미의 비유를 통해 설명되고 있다. 《淮南子》에서는 百公 勝이 의롭게 얻지 못한 재물을 독식하려다가 葉公에게 사로잡힌 이야기를 소개한다. 그리고 백공이 올빼미가 자기 새끼를 아끼듯 너무 인색하다고 비판하면서 《老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2 不如其已 : 河上公本은 ‘不知其已’라고 되어 있고, 傅奕本‧저본은 ‘不如其已’로 되어 있고, 帛書本은 ‘不若其已’로 되어 있다. 바그너는 注9.3에 ‘不若其已’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따라야 한다고 보았는데, 참고로 밝혀둔다.
역주3 故[不如其已也] : 저본에는 ‘不如其已也’가 없으나, 波多野太郞은 아래 注9.3의 “故 不可長保也”에 상응하여 보완하였는데, 이를 따라 보충하였다.
역주4 功遂身退 天之道 : 河上公本과 《淮南子》 〈道應訓〉은 ‘功成名遂 身退 天之道’로 되어 있다. 《淮南子》 〈道應訓〉은 魏 武侯와 李克의 이야기로 이 구절을 설명하는데, 이 고사는 《呂氏春秋》 〈離俗覽 適威〉에도 보인다. 《회남자》는 魏 武侯가 李克에게 吳나라가 망한 까닭을 묻자, 이극이 오나라가 잦은 전쟁을 벌여 승리하니 백성은 지치고 군주는 교만해져서 夫差가 干遂에서 스스로 자결했다고 답하였다는 이야기를 소개한다. 그리고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