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馳騁(畋)[田]獵 令人心發狂하고
[注]爽 差失也 失口之用이라 故謂之爽하니라
夫耳目心口 皆順其性也 하여 反以傷自然이라
故曰盲聾爽狂也하니라
12.2 難得之貨 行妨이라
[注]難得之貨 塞人正路 故令人行妨也하니라
12.3 是以聖人 爲腹하되 不爲目이라니라
[注]爲腹者 以物養己하나 爲目者 役己하니
故聖人不爲目也니라


제12장은 동양철학東洋哲學의 욕망과 감각에 대한 독특한 관점이 드러나는 장이다. 특히 도가적道家的 관점에서 보면 사람은 감각을 하게 될 때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금욕주의禁慾主義와는 상관없다. ‘오색五色’ 등으로 표현되는 색깔과 음조, 그리고 맛과 같은 영역을 완벽하게 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사람이 그것들을 탐닉하게 되면 그것들을 향유할 능력마저 잃어버리게 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사람이 늘 향료가 풍부한 요리만 먹으면 나중에는 더 많은 향료를 넣은 요리라야 조금이라도 맛을 느끼게 되는 것과 같다. 이는 다른 감각에 대해서도 똑같다. 이와 반대로 성인은 맛을 간직하되 무미無味함을 지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람이 자그마한 자극조차 알아차릴 수 있으려면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지켜서 미묘한 차이에도 민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 제10장에서 말하듯 갓 태어난 아이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그리로 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비슷하게 말달리기 또는 사냥이나 얻기 어려운 재화를 구하려는 것과 같은 자극적인 활동은 사람의 마음을 지치게 한다.
성인 군주는 이러한 측면의 인간적인 성격을 잘 고려해야 할 것이며 따라서 감각적인 것을 너무 많게 혹은 과다하게 허락하지 않는다. 성인 군주는 백성 모두를 만족스럽게 해주어야만 한다. 즉 배는 채워주어야 하지만 사치스러운 물품은 보이지 않게 한다. 사람들의 감정, 야망 또는 마음을 자극하게 하는 모든 것은 피해야 한다. 도가적 국가는 확실히 소비 사회와는 거리가 멀다. 일반적인 만족을 위해서 구경거리나 흥미거리는 사회의 평화를 해치지 않도록 금지된다.
제12장은 저본, 하상공본河上公本, 백서본帛書本에 큰 차이가 없고, 죽간본竹簡本에는 없다.
다섯 가지 〈아름다운〉 색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하고, 다섯 가지 〈으로 된 화려한 음악〉은 사람의 귀를 먹게 하고, 다섯 가지 맛〈의 온갖 산해진미〉는 사람의 입맛을 상하게 한다.
말 달리며 들판에서 사냥질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미치게 만든다.
은 어긋나서 잃어버린다는 뜻이다. 입이 맛보는 작용을 잃었기에 ‘상했다’고 한 것이다.
대체로 귀와 눈과 마음과 입은 모두 저마다의 본성을 따른다. 그런데 타고난 성명性命을 따르지 않아 도리어 〈본성의〉 자연스러움을 해친 격이다.
그래서 ‘눈이 멀었다’, ‘귀가 먹었다’, ‘입맛을 버렸다’, ‘마음이 미쳤다’고 한 것이다.
얻기 어려운 재화는 사람의 행실을 잘못되게 한다.
얻기 어려운 재화는 사람이 가는 바른길을 막는다. 그래서 사람의 행실을 잘못되게 한다.
그러므로 성인은 배를 위하지 눈을 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
배를 위하는 사람은 외물外物로써 자기 자신을 기르지만, 눈을 위하는 사람은 외물로써 자신을 부리게 만든다.
그래서 성인은 눈을 위하지 않는다.


역주
역주1 五色……令人心發狂 : 저본에는 ‘馳騁田獵’의 ‘田’이 ‘畋’으로 되어 있으나, 뜻은 모두 ‘사냥하다’로 같다. 帛書本은 “五色 使人目盲 馳騁田獵 使人心發狂”으로 되어 있고, “五音 使人耳聾 五味 使人口爽”이 經12.2 뒤에 나온다. 뜻 차이는 없다. 五色이란 靑赤黃白黑을 말하고, ‘馳騁’은 말 달린다는 뜻이고, 田獵이란 사냥한다는 뜻이다. 河上公은 음란과 사치와 방탕이 몸의 氣와 精神을 해치기에 생기는 병으로 풀이하고 있으나 王弼은 性命을 따르지 않았기에 생기는 것으로 다르게 풀이하고 있다. 河上公의 이해가 醫學的이라면 王弼은 義理의 차원에서 말하고 있다.
역주2 不以順性命 : 바그너에 따르면 王弼은 性을 《周易》의 性命과 같은 것으로 이해하는데 注16.5의 ‘性命之常’이나 여기의 ‘性命’, 그리고 《周易注》에서 “옛날 성인께서 《역》을 지으셨으니 장차 이를 통해 性命의 이치를 따르게 하려 한 것이다.[昔者 聖人之作易也 將以順性命之理]” 등의 언급을 통해 알 수 있다.
역주3 令人 : 帛書本에는 ‘使人’으로 되어 있으나, 뜻은 차이가 없다.
역주4 去彼取此 : 《淮南子》 〈道應訓〉에서는 이 부분을 孔子의 제자 宓子의 이야기를 통해 설명하는데, 이 이야기는 《呂氏春秋》 〈開春論 察賢〉에도 보인다. 《회남자》의 이야기는 《노자》의 이 문장과 잘 조응하지는 않는다. 宓子가 亶父를 다스린 지 3년이 되자 巫馬期가 얼마나 잘 다스리고 있는지 살피러 갔다가 어부들이 물고기 잡는 일에서까지 잘 복종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 이야기를 전해들은 공자는 “내가 일찍이 그에게 다스림에 대해 물으니, ‘여기에 정성을 다하면 저기서 효과가 나타난다.’라고 말했다.[丘嘗問之以治言曰 誠於此者 形於彼]”며 찬탄한다. 그리고 《회남자》는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5 以物役己 : 고대 중국에서는 耳目口鼻는 신하가 되는 기관이고 心은 군주가 되는 기관이라 생각하였다. 따라서 心이 이목구비를 주재하는 것이 마땅한데, 배를 위하면 음식물로 몸과 마음을 길러주지만 눈을 위하면 눈이 마음을 지배한다는 뜻이다. 바그너에 따르면 王弼은 ‘役’을 주로 인지(cognition)와 관련하여 사용하는데, 예컨대 注38.1에서 ‘役其智力 以營庶事(자신의 智力을 써서 사소한 일까지 헤아리고자 한다.)’나 ‘役其聰明(자신의 총명함을 다 쓰다.)’이 그러한 사례에 해당한다.
역주6 : 저본에는 ‘物’로 되어 있으나, 일본학자 波多野太郞와 바그너는 道藏集注本을 따라 ‘物’을 ‘目’으로 보는데 참고할 만하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