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注]務欲進其所能하고 益其所習이라
48.2 爲道[者] 日損이라
[注]務欲反虛無也
48.3 損之又損하여
[注]有爲 則有所失이라
故無爲라야 乃無所不爲也니라
48.4 取天下 常以無事하니
[注]動常因也
48.5 及其有事하여는
[注]自己造也
48.6 不足以取天下
[注]失統本也


제48장은 앞 장에서 논의하였던 도가의 중심 주제 무위無爲를 계속하여 다루고 있다. 를 행한다는 것은 일부 유자儒者들이 하듯 배움과 ‘사물에 대해 알기(knowing-that)’의 증가를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차라리 자기-최소화(self-minimization)이다. 완벽한 성인은 스스로의 생각, 말, 행동을 비워야만 한다.
《노자》가 정치적 관점으로부터 이러한 실천을 본다는 것은 이 장의 마지막 부분에서 명백해진다. 무위란 성인 통치자의 실천이다. 성인 통치자는 국가에서 어떤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유일한 사람이다. 왜냐하면 그는 사회라는 바퀴의 바퀴살이 되지 않기 때문이며, 그는 지도자의 자리 - 이른바 바퀴의 축 - 를 차지할 유일한 자격이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만약 그가 어떤 특수한 의무를 수행한다면 그는 더 이상 지도자로서 적절한 자리에 있지 않게 될 것이다.
그의 입장에서 이러한 무위는 제48장이 명백하게 논의하고 있듯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모든 의무가 실현되고 모든 행위가 조화롭게 수행되기 위한 선결조건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즉 무위함으로써 성인 통치자는 그의 나라에서 어떤 것도 이루어지지 않은 게 없도록 하는 것이다.
배움을 추구하는 것은 날로 보태는 것이요,
〈이와 같이 하는 사람은〉 자신이 능한 것을 증진하고 자신이 익힌 것을 보태고자 힘쓴다는 뜻이다.
도를 추구하는 것은 날로 덜어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 사람은〉 ‘허무虛無’로 돌아가고자 힘쓴다는 뜻이다.
덜어내고 또 덜어내어 무위無爲에 이르면 하는 게 없으나 하지 못하는 게 없다.
함이 있으면 잃는 것이 있다.
따라서 함이 없어야 하지 못하는 것이 없는 것이다.
천하를 취하는 것은 늘 일삼음이 없음으로 하니
〈천하를 취하는 것은〉 움직일 때에 늘 〈상황과 사물에〉 따른다는 뜻이다.
일삼음이 있게 되면
자신으로부터 〈무언가를〉 만들어낸다는 뜻이다.
또한 천하를 취하기에는 부족하다.
〈천하를〉 통솔하는 근본을 잃었다는 뜻이다.


역주
역주1 爲學[者]日益 爲道[者]日損 : 저본, 河上公本 모두 “爲學日益 爲道日損”이라 되어 있으나, 傅奕本에는 “爲學者日益 爲道者日損”으로 되어 있고, 帛書本에는 ‘爲道’가 ‘聞道’로 되어 있다. 竹簡本에는 “學者日益 爲道者日損”이라 하여 板本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런데 注20.1에서 王弼은 “〈《노자》의〉 하편에서 ‘배움을 추구하는 것은 날마다 보태는 것이요, 도를 추구하는 것은 날마다 덜어내는 것이다.’고 했다.[下篇云 爲學者日益 爲道者日損]”라 하였으므로 본래의 文章은 本文과 같았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바그너는 이러한 근거로 이와 같이 수정하였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2 以至於無爲 無爲而無不爲 : 傅奕本에는 “以至於無爲 無爲則無不爲”라 되어 있고, 竹簡本에는 “以至亡爲也 亡爲而亡不爲”로 되어 있다.
역주3 [者] : 저본에는 없으나, 帛書本에는 ‘者’가 있다. 앞의 ‘爲學者’, ‘爲道者’에 맞추어 ‘者’를 넣는 것이 문장의 패턴에 맞으므로 바그너의 견해에 따라 보충하였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