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注]雄 先之屬이요 後之屬也 知爲天下之先 必後也
谿 不求物하나 而物自歸之하며 嬰兒 不用智 而合自然之智하니라
[注]式
[注]忒 差也
28.4 이라
[注]不可窮也
[注]此三者 言常反終이라야 後乃德全其所處也
云 反者道之動也라하니 功不可取하고 常處其母也니라
28.6 樸散則爲器 聖人 이라
[注]樸 眞也
眞散則百行出하니 殊類生 若器也
聖人因其分散이라 故爲之立官長하니라
以善爲師하고 不善爲資하여 移風易俗하여 復使歸於一也니라
28.7 이니라
[注]大制者 以天下之心爲心이라


제28장은 왕필본王弼本, 하상공본河上公本백서본帛書本 사이에 내용상의 차이差異는 크지 않으나 문장文章순서順序에 조금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왕필본王弼本, 하상공본河上公本웅자雄雌, 백흑白黑, 영욕榮辱이 대구를 이루며 나오지만 백서본은 영욕榮辱백욕白辱이라 하여 아직 온전한 대구를 이루지 못한다. 이는 《노자老子》가 백서본帛書本에서 하상공본河上公本, 왕필본王弼本으로 전승傳承되는 과정을 거치며 정리整理가 이루어졌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이 장은 제6장과 연결되어 에 대해 을 강조한다거나 남성성에 대해 여성성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노자》의 언급들은 이른바 현대의 페미니즘 사상가들에 의해 《노자》를 높이 평가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묄러는 《도덕경의 철학(The Philosophy of Daodejing)》에서 《노자》가 자웅雌雄, 빈모牝牡 등 여성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실제 인간의 을 구분하는 남녀男女라는 표현이 아니라 동물적動物的 표현에 국한된다는 점을 들어 인간의 영역에까지 확장해서 해석할 근거는 적다고 본다.
오히려 최근에는 《노자》의 성인聖人이 남성이지만 여성처럼 부드럽고 낮추며 뒤에 자신을 둠으로써 오히려 강해지고 높아지며 앞서게 된다는 역설적 결과에 근거한 처세로 보아야 한다는 해석이 부상하고 있다. 최근 발굴된 《황로백서黃老帛書》 〈수컷의 절도와 암컷의 절도[자웅절雌雄節]〉라는 편의 내용은 이런 맥락을 잘 보여준다.
“황제는 부단히 길흉吉凶의 일정함을 헤아려서 이를 통해 암컷과 수컷의 절도를 가려낸다. 그러고 나서 화복의 향방을 구분한다. 뻔뻔스러울 정도의 오만함과 교만한 태도를 일컬어 수컷의 절도라 하고, □□하고 공손히 낮출 줄 아는 자세를 일컬어 암컷의 절도라 한다. 무릇 수컷의 절도는 거침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암컷의 절도는 겸허하게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무릇 사람이 수컷의 절도를 쓰기 좋아하는 것을 일컬어 생명을 함부로 한다고 말한다. 대인大人은 무너질 것이고 소인小人은 스스로를 망치게 된다. 무릇 암컷의 절도를 쓰기 좋아하는 것을 일컬어 봉록을 잇는다고 말한다. 부자는 더욱 창성할 것이고, 가난한 자는 먹는 것이 충족될 것이다.[황후둔력길흉지상皇后屯歷吉凶之常 이변자웅지절以辨雌雄之節 내분화복지향乃分禍福之向 헌오교거憲傲驕倨 시위웅절是謂雄節 □□공검恭儉 시위자절是謂雌節 부웅절자夫雄節者 영지도야浧之徒也 자절자雌節者 겸지도야兼之徒也……범인호용웅절凡人好用雄節 시위방생是謂妨生 대인즉훼大人則毁 소인즉망小人則亡 범인호용자절凡人好用雌節 시위승록是謂承祿 부자즉창富者則昌 빈자즉곡貧者則穀]”
이와 같은 예시를 통해 보면 여성성에 대한 강조는 현대의 일부 학자들이 여성주의적 사상으로 보는 것과 달리 남성 군주에게 포용적이고 부드러운 처세를 요구하는 정치적 지침으로 볼 여지가 많다.
수컷다움을 알고 암컷다움을 지키면 천하의 계곡이 된다. 천하의 계곡이 되면 늘 그 덕이 떠나지 않아 어린아이로 되돌아가고
수컷은 앞에 나서는 부류이고 암컷은 뒤따르는 부류이다. 천하에 앞서는 법을 아는 사람은 반드시 뒤따른다.
이런 까닭에 성인은 그 몸을 뒤로 하지만 몸이 앞세워지고, 계곡은 만물을 구하지 않지만 만물이 저절로 그에게 돌아오며, 어린아이는 지혜를 쓰지 않지만 스스로 그러한 지혜에 합치한다.
그 흼을 알고 검음을 지키면 천하의 모범이 되니,
이란 모범이다.
천하의 모범이 되면 늘 그 덕이 어긋나지 않아
은 어긋난다는 뜻이다.
다시 다함이 없는 데로 돌아간다.
다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 영화로움을 알고 그 욕됨을 지키면 천하의 계곡이 되니, 천하의 계곡이 되면 늘 그 덕이 넉넉하여 다시 통나무로 돌아간다.
이 세 가지 〈수컷다움, 흼, 영화로움은〉 늘 마칠 곳으로 되돌아와야 뒤에 덕이 〈얻어져〉 자신이 처하는 곳을 온전케 함을 말한 것이다.
뒷장에서 “되돌아오는 것이 도의 움직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란 취할 만한 것이 못 되고 늘 그 어미에 처하는 법이다.
통나무가 흩어져 그릇이 되니 성인은 그것을 써서 〈본받을 만한 모델로서 조정의〉 관리와 〈마을의〉 어른[관장官長]을 세운다.
은 참된 본성[]이다.
참된 본성이 흩어져 온갖 행동이 나오니 갖가지 종류가 생겨나는 것이 마치 〈통나무를 깎아 만든 갖가지〉 그릇과 같다.
성인은 그러한 나뉘고 흩어짐에 따라 그것들을 위해 관장官長을 세운다.
선한 사람은 스승으로 삼고 선하지 않은 사람들은 〈버리지 않고〉 취하니 풍속을 바꾸어 다시 〈통나무가 흩어지기 전의 참된 본성이 보전된〉 하나로 돌아가게 한다.
그러므로 크게 재단하는 것은 자르지 않는다.
크게 재단한다는 것은 천하 백성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기 때문에 잘라내는 것이 없다는 뜻이다.


역주
역주1 知其雄 守其雌 : 저본, 河上公本, 帛書本이 모두 같다. 林希逸은 “능히 할 수 있으면서도 그렇게 하지 않는다는 뜻[有能爲而不爲之意]”이라 하였는데, 풀이하면 수컷답게 행동하는 게 어떤 것인지 알고 그렇게 할 수 있지만 그렇게 행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老子》에서 雌雄, 牝牡와 같은 수컷과 암컷의 은유는 예컨대 河上公처럼 ‘수컷의 강하고 굳셈[雄之强梁]’과 ‘암컷의 유연하고 화기애애함[雌之柔和]’이라고 하거나, 呂惠卿은 《道德眞經傳》에서 “수컷이 활동적이라면 암컷은 가만히 있고, 수컷이 강하다면 암컷은 부드럽고, 수컷이 선창한다면 암컷은 화답한다.[雄動而雌靜 雄剛而雌柔 雄倡而雌和]”고 하듯 대비되는 행동 방식을 가리킨다. 王弼은 ‘앞에 나서는 것[先]’과 ‘뒤따르는 것[後]’으로 보았으니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러한 사상은 《老子》의 가장 주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역주2 爲天下谿 : 帛書本에는 ‘谿’가 ‘溪’로 되어 있는데 뜻 차이는 없다. 제6장의 ‘谷’과 같은 함축을 갖는다. 《淮南子》 〈道應訓〉에서는 “知其雄 守其雌 其爲天下谿”라 인용하면서 趙襄子의 고사를 통해 설명한다. 趙簡子가 출신이 천한 襄子를 후계자로 삼자 董閼于가 그 까닭을 묻는다. 조간자는 無卹(조양자)이 “종묘사직을 위해 부끄러움을 참을 줄 안다.”고 답한다. 그 후 知伯이 조양자와 술을 마시다 양자의 머리를 치자 신하들이 지백을 죽이자고 하지만 조양자는 끝내 참는다. 그 후 지백을 공격하여 승리한 뒤 그의 머리를 잘라 물그릇으로 사용한다. 이 이야기를 소개한 후 《회남자》는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이에 따르면 ‘암컷다움을 지킨다’는 말은 부끄러움을 견딜 줄 아는 처세훈에 해당한다.
역주3 常德不離 復歸於嬰兒 : 帛書本은 “恒德不離 恒德不離 復歸嬰兒”로 되어 있어 ‘常德’이 ‘恒德’으로 되어 있고 ‘恒德不離’라는 구가 하나 더 있다.
역주4 (也)[者] : 저본에는 ‘也’로 되어 있으나, 道藏集注本에 의거하여 ‘者’로 바로잡는다.
역주5 是以……而身先也 : 이 문장은 經7.2에서 가져온 것이다. 또 經66.1에도 “是以 聖人欲上民 必以言下之 欲先民 必以身後之”라는 유사한 문장이 나온다. 즉 몸이 앞선다는 것은 백성들의 위에 선다는 말이며, 성인이 윗자리에서 다스리지만 백성들이 무겁다고 느끼지 않고 해를 당하는 일도 없기에 즐거워하면서 싫어하지 않게 된다는 의미이다. 달리 말해 몸이 앞선다는 것은 백성들의 추앙과 지지를 받는다는 뜻이다.
역주6 知其白……爲天下式 : 帛書本에는 ‘黑’이 ‘辱’으로 되어 있고 ‘式’이 ‘谷’으로 되어 있다. 經41.7에서 “크게 흰 것은 마치 욕된 듯하다.[大白若辱]”라고 했듯이 ‘욕되다’는 뜻이다. 계곡에는 온갖 것이 다 흘러들어 오기에 더러운 것들과 함께할 수 있어야 천하의 모범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역주7 模則也 : 王弼은 注22.6에서 “式이란 그것을 본받는다는 뜻과 같다.[式 猶則之也]”라고 비슷한 정의를 하고 있다.
역주8 爲天下式 常德不忒 : 帛書本에는 “爲天下谷 常德乃足”으로 되어 있다. 풀이하면 ‘천하의 골짜기가 되면 언제나 덕이 족하다.’는 뜻이 된다.
역주9 復歸於無極 : 帛書本에는 ‘復歸於樸’으로 되어 있다. 김홍경은 《노자》에서 여기의 ‘無極’은 ‘다함이 없다’는 뜻으로, 道敎와 性理學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과 달리 커다란 의미를 갖지 않는다고 보았다. 河上公은 ‘궁하고 다함이 없다.[無窮極]’라 주석하였으니 王弼과 차이가 없다.
역주10 知其榮……爲天下谷 : 帛書本에는 “知其白 守其黑 爲天下式”으로 되어 있으니 ‘谷’이 ‘式’으로 되어 있고 앞의 經28.4와 바뀌어 있다. 《淮南子》 〈道應訓〉은 文王의 이야기를 통해 이 구절을 설명한다. 文王이 德을 닦아 天下의 民心이 그에게 돌아가자 紂王이 崇侯 虎의 제안에 따라 屈商을 시켜 문왕을 羑里에 감금한다. 그러자 散宜生이 주왕에게 뇌물을 바쳐 문왕이 풀려나는데, 그 후 문왕은 靈臺를 세우고 歌舞를 즐기며 주왕의 눈을 속였다. 이에 주왕은 마음 놓고 폭정을 저지르게 되었다는 고사를 소개한 후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11 爲天下谷 常德乃足 : 帛書本에는 “爲天下式 常德不忒”으로 되어 있으니 ‘谷’이 ‘式’으로 되어 있고 앞의 經28.5와 바뀌어 있다.
역주12 復歸於樸 : 帛書本에는 “復歸於無極”으로 되어 있고 ‘恒德不忒’ 四字句가 하나 더 있다.
역주13 下章 : 經40.1을 가리킨다.
역주14 用之則爲官長 : 帛書本에는 ‘之’가 없이 ‘用則爲官長’이라 되어 있다. 이는 聖人이 백성들의 官長(최고 통치자)이 된다고 풀이할 수도 있는데 반해 王弼은 注에서 ‘爲之立官長’이라 하여 聖人이 百姓들을 위해 聖人을 도와 敎化를 펼치는 스승으로서 조정의 관리와 마을의 어른을 세운다는 뜻으로 풀이하였으니 官長의 주체는 士가 된다.
역주15 故大制 不割 : 帛書本에는 ‘故’가 ‘夫’로 되어 있다. 이 부분은 《呂氏春秋》 〈士容論 士容〉 에도 보이는데, 《淮南子》 〈道應訓〉에서 薄疑와 衛 嗣君, 杜赫과 周 昭文君의 이야기로 설명한다. 薄疑가 衛나라 嗣君에게 왕의 통치술[王術]을 가르치는데, 사군이 千乘의 나라에 맞는 가르침을 구한다. 그러자 박의는 “烏獲은 千鈞의 무게를 들 수 있었는데 한 斤 정도는 말할 나위가 없다.[烏獲擧千鈞 又況一斤乎]”는 말로 응답한다. 또 周의 昭文君이 杜赫에게 천하를 안정시킬 방법을 묻자 두혁은 자신의 말을 따를 것을 요구하면서 “이른바 안정되지 않음으로 안정되게 하는 것[所謂弗安而安者]”을 가르친다. 이 이야기를 소개한 후 《회남자》는 《노자》의 이 구절과 經39.4 “자주 〈스스로를〉 명예롭게 하면 〈오히려〉 명예가 없어진다.[致數譽 無譽]”는 구절을 연이어 인용한다. 그런데 《회남자》가 인용한 문장 經39.4는 “致數輿 無輿”라 되어 있어 ‘輿’가 ‘譽’로 되어 있는 底本과 다르다.
역주16 故無割也 : ‘잘라내어 버리는 것이 없다.’는 뜻이다. 즉 백성들의 마음을 모두 담아내니 어떤 백성도 버림받는 일이 없다는 뜻이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