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注]天下有道면 知足知止하여 無求於外하고 各修其內而已라
		                            	 
									
                        			
                        			
                        		
	                     		
			                       	
			                       	
	                     		
	                     		
		                        
                        	
                        	
                        	
                        	
                        		
                        		
                        		
                        			
                        			
		                       		
		                       		
		                       		
		                        
		                        	
		                        		
									
                        			
                        			
                        		
	                     		
			                       	
			                       	
	                     		
	                     		
		                        
                        	
                        	
                        	
                        	
                        		
                        			
                        			
                        				
                        				 
                        			
			                        
                        		
                        		
                        		
	                     		
			                       	
			                       	
	                     		
	                     		
		                        
                        	
                        	
                        	
                        	
                        		
                        		
                        		
                        			
                        			
		                       		
		                       		
		                       		
		                       			
		                        			
		                       			
		                       			
		                       			
		                       				注
		                       		
		                        
		                        	
		                        		
		                            	[注]貪欲無厭이면 不修其內하고 各求於外라 故戎馬生於郊也라
		                            	 
									
                        			
                        			
                        		
	                     		
			                       	
			                       	
	                     		
	                     		
		                        
                        	
                        	
                        	
                        	
                        		
                        			
                        			
                        				
                        				 
                        			
			                        
                        		
                        		
                        		
	                     		
			                       	
			                       	
	                     		
	                     		
		                        
                        	
                        	
                        	
                        	
                        		
                        			
                        			
			                        
                        		
                        		
                        		
	                     		
			                       	
			                       	
	                     		
	                     		
		                        
                        	
                        	
                        	
                        	
                   			
                    			
                   			
                        	
                        	
                        	
                        	
	                       	
	                       	
	                       	
	                       	
							                       	
	                        
	                        
	                        	
	                        
	                        	
	                        
	                        	
	                        
	                        	
	                        		
	                        	
	                        
	                        	
	                        
	                        	
	                        
	                        	
	                        
	                        	
	                        
	                        	
	                        
	                        	
	                        		
	                        	
	                        
	                        	
	                        
	                        	
	                        
	                        	
	                        
	                        	
	                        		
	                        	
	                        
	                        	
	                        
	                        	
	                        		
	                        	
	                        
	                        
	                        
                        	
		                        
		                        
		                        
		                        
                        		
                        	
		                        
		                        
		                        
		                        	
		                        	
		                        		
		                        		
		                        	
		                        
		                        
                        		
                        		
                        			
			                        
			                        	제46장은 욕망慾望과 그것들이 초래하는 불리함에 대해 말하고 있다. 첫째 부분은 천하의 두 가지 상이한 상태를 비교하고 있다. 천하에 도道가 있을 때에는 어느 누구든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어디도 가려고 하지 않는다. 그때에는 말이 농경農耕을 위해 사용되지 여행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천하에 도가 없을 때에는 전쟁을 위해서 말을 기른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정情(emotions)이 절제되지 않고 욕망(desires)이 지배하게 된다. 즉 그것은 욕구欲求(want)가 충족되지 않는 상태이다. 
둘째 부분은 첫째 부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데, 군주는 그러한 상태의 욕망과 욕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욕망이란 사람들이 만족을 모르고서 더 많은 것을 갈구할 때 일어난다. 그러한 상태의 욕구는 전쟁, 사회의 무질서 그리고 갈등(strife)의 원인이 된다. 획득의 욕망은 정치적 불안과 국가간 혹은 사회간의 경쟁의 핵심적인 이유이다. 
마지막 부분은 만족이란 소유의 양과는 무관하고 족함을 아는 데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만약 사람이 이러한 기예技藝(art)를 깨우치지 못한다면 그는 늘 더욱 더 많은 것을 열망할 것이다. 그러한 욕망의 상태에서 일어나는 중독의 순환에는 한계가 없다. 오로지 그침을 깨우침으로써 비롯되는 만족감만이 오래갈 수 있다.
			                              
                        			
                        		
                        		
	                     		
			                       	
			                       	
	                     		
		                        
                        	
		                        
		                        
		                        
		                        
                        		
                        	
		                        
		                        
		                        
		                        	
		                        	
		                        
		                        
                        		
                        		
                        			
			                        
			                        	천하에 도道가 있으면 잘 달리는 말을 되돌려 〈밭에〉 거름 주는 〈농사일에 쓰고〉
			                              
                        			
                        		
                        		
	                     		
			                       	
			                       	
	                     		
		                        
                        	
		                        
		                        
		                        
		                        
                        		
                        	
		                        
		                        
		                        
		                        
                        		
                        		
                        		
                        			
                        			
		                       		
		                       		
		                       		
		                       			
		                       			
		                       			
		                       				注
		                       		
		                       		
		                        		
			                            	천하에 도가 있으면 만족할 줄 알고 멈출 줄 알아, 바깥에서 구함이 없고 각각 제 안을 닦을 뿐이다.
			                             
									
                        			
                        			
                        		
	                     		
			                       	
			                       	
	                     		
		                        
                        	
		                        
		                        
		                        
		                        
                        		
                        	
		                        
		                        
		                        
		                        
                        		
                        		
                        		
                        			
                        			
		                       		
		                       		
		                       		
		                       		
		                        		
			                            	그래서 잘 달리는 말을 되돌려 〈밭에〉 거름 주는 〈농사일에 쓰는〉 것이다.
			                             
									
                        			
                        			
                        		
	                     		
			                       	
			                       	
	                     		
		                        
                        	
		                        
		                        
		                        
		                        
                        		
                        	
		                        
		                        
		                        
		                        	
		                        	
		                        
		                        
                        		
                        		
                        			
                        				
                        				 
                        			
			                        
			                        	천하에 도가 없으면 군마軍馬가 군사 훈련장에서 새끼를 낳는다.
			                              
                        			
                        		
                        		
	                     		
			                       	
			                       	
	                     		
		                        
                        	
		                        
		                        
		                        
		                        
                        		
                        	
		                        
		                        
		                        
		                        
                        		
                        		
                        		
                        			
                        			
		                       		
		                       		
		                       		
		                       			
		                        			
		                       			
		                       			
		                       			
		                       				注
		                       		
		                       		
		                        		
			                            	탐욕이 싫증낼 줄 모르면 그 안을 닦지 않고 각각 바깥에서 구한다. 그래서 군마가 군사 훈련장에서 새끼를 낳는 것이다.
			                             
									
                        			
                        			
                        		
	                     		
			                       	
			                       	
	                     		
		                        
                        	
		                        
		                        
		                        
		                        
                        		
                        	
		                        
		                        
		                        
		                        	
		                        	
		                        
		                        
                        		
                        		
                        			
                        				
                        				 
                        			
			                        
			                        	만족할 줄 모르는 것보다 더 큰 재앙이 없고 얻기만 바라는 것보다 더 큰 허물이 없다.
			                              
                        			
                        		
                        		
	                     		
			                       	
			                       	
	                     		
		                        
                        	
		                        
		                        
		                        
		                        
                        		
                        	
		                        
		                        
		                        
		                        	
		                        	
		                        
		                        
                        		
                        		
                        			
			                        
			                        	그래서 만족할 줄 아는 〈데에서 오는〉 만족이야말로 영원한 만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