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78.1 로되 而攻堅强者 莫之能勝하나니
其無以易之니라
[注]以 用也 謂水也
是以聖人云 受國之垢 是謂社稷主 이라하니
正言 若反이니라


물은 의 형상이고 성인聖人의 길잡이이다. 제61장에서 말하듯이 만물萬物은 아래에 처하는 강과 바다로 흘러든다. 이 장에서는 물의 다른 특징으로, 물은 로 이루어진 것 가운데 가장 부드러운 것이지만 또한 단단한 바위조차 이긴다고 말한다. 마치 물은 ‘함이 없으나 하지 못하는 것이 없는[무위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 것처럼 작용한다. 또한 “바른말은 마치 반대로 하는 말과 같다.”는 것은 《노자老子》의 유명한 역설逆說의 언어를 잘 보여준다.
이 장의 첫 부분도 제28장과 제67장처럼 성적性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유약柔弱이 암컷과 연결된다면 강강强剛은 수컷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의 비유에 의존하는 이 장은 제28장의 “수컷다움을 알고서 암컷다움을 지킨다.”는 생각과도 통한다. 《노자老子》는 이와 같이 자웅雌雄의 이미지에서 유약柔弱의 이미지로, 그리고 와 같은 이미지로 다양하게 이동하면서 사유와 실천의 지침을 암시하는 특징적인 수사법을 보여주는 책이다.
또 1930년대에 미국美國에서 활동한 중국中國문인文人 임어당林語堂은 이 장에 나오는 “나라의 더러움을 받아들이는 자를 일컬어 사직社稷의 주인이라 하고, 나라의 상서롭지 못한 일을 받아들이는 자를 일컬어 천하의 왕이라 한다.[수국지구受國之垢 시위사직지주是謂社稷之主 수국지불상受國之不祥 시위천하지왕是謂天下之王]”는 말을, 기독교의 《성경》 〈요한복음〉 1:29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와 유사한 톤으로 번역하여 서구의 독자들을 주목시키기도 했다. 《노자老子》의 경구적警句的이고 시적詩的인 표현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고전이 되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천하에 물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은 없지만 굳고 강한 것을 공격하는 데에는 〈물을〉 이길 수 있는 것은 없다.
물〈의 부드럽고 약한 성질〉을 쓰지만 어떤 것도 그것을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는 ‘쓰다[]’는 뜻이고, 는 ‘물’을 이른다.
물의 부드럽고 약한 〈성질을〉 쓰지만 어떤 것도 그것을 바꿀 수 없다는 말이다.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기는 것과 부드러운 것이 강건한 것을 이기는 것은 천하 사람이 다 알지만 능히 행할 수 있는 자는 없다.
이 때문에 성인의 말씀에 “나라의 더러움을 받아들이는 자를 일컬어 사직社稷의 주인이라 하고, 나라의 상서롭지 못한 일을 받아들이는 자를 일컬어 천하天下의 왕이라 한다.”고 했다.
바른말은 마치 반대로 하는 말과 같다.


역주
역주1 天下莫柔弱於水 : 河上公本은 “天下柔弱莫過於水”라고 되어 있는데 뜻은 같다.
역주2 [以] : 왕필 주에 其의 주석 앞에 ‘以’자가 있으니 왕필이 본 판본에는 ‘以其無以易之’로 되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以’가 있어야 ‘言’ 이하의 풀이도 본문과 이질감이 없다. 帛書甲‧乙本, 華亭張氏原本에 의거하여 ‘以’를 보충하였다.
역주3 言用水之柔弱 無物可以易之也 : 이 부분은 번역자마다 해석이 다르다. 김학목의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 주》에서는 吳澄, 薛蕙처럼 “어떤 것으로도 그것을 대신할 수 없다.”라 하였고, 대부분의 英譯者들 또한 이와 같이 ‘대신하다(replace)’로 보았다. 이와 조금 달리 임채우의 《왕필의 노자주》에는 河上公, 林希逸과 같이 “물과 바꿀 수 있는 것은 없다.”라 하였다. 바그너는 呂惠卿, 董思靖처럼 ‘바꾸다(change)’로 옮기면서 注13.5에서 “어떠한 외물로도 제 몸과 바꿀 수 없다.[無物可以易其身]”는 구절과 ‘身’과 ‘之’만 다른 같은 문장으로 볼 수 있다고 근거를 제시하였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4 弱之勝强……莫能行 : 《淮南子》 〈道應訓〉은 이 부분을 越王 句踐의 이야기로 해설한다. 越王 句踐이 吳나라와 전쟁하여 패하였다. 하지만 오나라 왕의 신하를 자청하고 아내는 첩으로 주고 직접 오나라 왕의 길 안내까지 맡는 치욕을 감당하며 끝내 오나라 왕을 사로잡았다. 이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회남자》는 《노자》의 이 부분을 인용하고서, “이것을 월나라 왕 구천이 몸소 실천했기에 중국의 패자가 되었다.[越王親之 故覇中國]”고 평하며 끝맺는다.
역주5 受國不祥 是謂天下王 : 이 부분을 《淮南子》 〈道應訓〉은 楚 莊王의 이야기로 해설한다. 晉나라가 楚나라를 공격해 오자 초나라 대부들이 반격을 요청한다. 莊王이 예전에는 쳐들어오지 못하던 진나라 쳐들어온 것이 자신이 허물이라 하자, 여러 대부들 또한 자신들의 죄라 하면서 진나라 군대를 공격하게 해달라고 다시 요청하였다. 초왕이 눈물을 흘리며 대부들에게 절을 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진나라 사람들이, 이런 나라는 이길 수 없다고 하며 한밤중에 군대를 거두어 돌아갔다. 이 이야기를 소개하며, 《회남자》는 《노자》의 이 부분을 인용한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