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51.1 道生之하고 德畜之하고 物形之하고 勢成之
[注]物生而後畜하고 畜而後形하고 形而後成이라
何由而生이오 道也
何得而畜이오 德也
而形이오 物也
何使而成이오 勢也니라
唯因也 故能無物而不形하고 故能無物而不成이라
凡物之所以生 功之所以成 皆有所由 有所由焉이면 則莫不由乎道也
故推而極之컨댄 亦至道也 隨其所因이라 故各有稱焉이니라
51.2 是以 萬物 莫不尊道而貴德하나니
[注]道者 物之所由也 德者 物之所得也니라
由之乃得이라不得이요 失之則害 不得不貴也니라
51.3 道之尊 德之貴 夫莫之命而常自然이라
51.4 故道生之하고 德畜之하며 長之育之하고 亭之毒之하며 養之覆之니라
[注] 各得其庇蔭하여 不傷其體矣니라
51.5 生而不有하고 爲而不恃하며
[注]爲而不有니라
51.6 長而不宰하니 是謂玄德이라
[注]有德而不知其主也니라
出乎幽冥이라 故謂之玄德也


성인의 완벽한 지배 아래에서 백성들은 어떠한 강제 없이도 저마다 의무를 할 것이다. 해야만 하는 일을 ‘자연스럽게’ 할 것이며, 이렇게 해서 모종의 ‘존재의 가벼움’을 느낌과 동시에 천체天體들이 자신의 궤도에 따라 운행하고 식물이 생장하고 시드는 것과 같이 자신들의 과업을 수행할 것이다. 그들은 어떤 뚜렷한 노력 없이 자신의 일만 할 것이다. 이것이 자연의 결과 즉 ‘스스로 그렇게’ 일어나고 ‘자신의 과정’을 취하는 사물의 효과이다.
자연과 문명文明, 우주와 사회는 마치 영원한 운동계처럼 기능할 때, 즉 어떤 외적인 에너지의 투입이나 내적인 마찰에 따른 에너지의 손실도 없이 그 자신의 과정을 따라가는 기계처럼 기능할 때 가장 잘 기능한다. 외부 에너지의 원천, 말하자면 우주적 배터리에 의존하는 어떠한 기계도 그 배터리와 더불어 멈추게 될 것이다. 오로지 내재적으로 에너지를 자급하는 기계만이 절대로 다함이 없을 것이다. 만약 하나의 유기체가 전적으로 닫혀 있으면서 ‘스스로 그러하다’면 그것은 ‘새지 않을’ 수 있다. 그 힘이나 효력은 방해받지 않는다. 이것이 《노자》의 관점에서 우주와 국가 모두의 이상적인 시나리오이다. 여기의 제51장은 이러한 성격을 잘 보여준다.
도가적 우주나 국가엔 에게 표하는 ‘존경尊敬’이 없다. 만일 존경을 표한다면 그 시나리오의 절대적 내재성을 방해할 것이다. 거기에는 외적인 기원이나 원천, 그 과정을 ‘인도하는’ 적극적인 힘이 없다. 완벽한 역학力學 안의 제요소들은 확실히 자신들의 방해받지 않는 ‘존재의 가벼움’을 소중히 여긴다. 완벽한 국가 안의 백성들은 자신의 왕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존중할 것인데, 마치 자연 속의 만물이 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존중하듯이, 즉 그들이 해야 할 것을 지속적이고 소박하게 하면서 말이다.
는 〈만물을〉 낳고, 은 〈만물을〉 길러주며, 은 〈만물이〉 형체를 갖추게 하고, 는 〈만물을〉 이루어준다.
만물은 낳아진 이후에 길러지고 길러진 이후에 형체를 갖추고 형체를 갖춘 이후에 완성된다.
무엇을 말미암아 낳아지는가? 이다.
무엇을 얻어서 길러지는가? 이다.
무엇을 인하여 형체를 갖추는가? 이다.
무엇이 부려서 이루어지는가? 이다.
오로지 인하기에 어떤 것이든 형체를 갖추지 못하게 하는 일이 없고, 오로지 부리기만 하기에 어떤 것도 이루지 못하게 하는 일이 없다.
무릇 만물이 생겨나는 까닭, 공이 이루어지는 까닭에는 모두 말미암는 바가 있으니, 말미암는 바가 있다면 도를 말미암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이를 끝까지 미루어보면 또한 도에 이른다. 〈만물은〉 저마다 인하는 바에 따르기 때문에, 각각 그에 적절한 칭호가 주어진다.
이런 까닭에 만물은 를 받들고 을 귀하게 여기지 않음이 없으니,
도란 만물이 말미암는 것이고, 덕이란 만물이 얻는 것이다.
이 〈도를〉 말미암아 〈덕을〉 얻기 때문에 받들지 않을 수 없고, 그 〈덕을〉 잃으면 해롭기 때문에 귀하게 여기지 않을 수 없다.
가 높고 이 귀한 것은 대저 누가 명령하지 않아도 항상 자연스럽게 된다.
(‘’은 〈다른 곳에는〉 모두 ‘’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도는 〈만물을〉 낳고 덕은 〈만물을〉 기르며, 자라게 하고 기르며, 형체를 주고 바탕을 이루어주며, 먹을 것을 주고 덮어준다.
은 형체를 품부한다는 뜻이고, 은 바탕을 이루어준다는 뜻이니, 각각 저마다 의지할 곳을 얻어 그 몸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낳으면서 가지지 않고, 하되 의지하지 않으며,
하면서도 가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자라게 하되 다스리지 않으니 이것을 일컬어 ‘신묘한 덕’이라 한다.
덕이 있으나 그 주인을 알지 못한다.
그윽하고 어두운 데에서 나오는 까닭에 이를 일컬어 ‘신묘한 덕’이라 했다는 뜻이다.


역주
역주1 (由)[因] : 저본에는 ‘由’로 되어 있으나, 陶鴻慶의 설에 따라 ‘因’으로 바로잡는다.
역주2 (勢)[使] : 저본에는 ‘勢’로 되어 있으나, ‘唯因也’에 짝하는 ‘唯使也’가 되어야 한다고 본 바그너의 견해에 따라 ‘使’로 바로잡는다.
역주3 (曰) : 저본에는 ‘曰’이 있으나 陶鴻慶의 설에 따라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4 (失)[不] : 저본에는 ‘失’로 되어 있으나, 樓宇烈은 문의가 통하지 않으므로 陶鴻慶을 따라 교정하였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5 [故] : 저본에는 없으나, 樓宇烈은 앞의 ‘故不得不尊’과 일치하도록 陶鴻慶을 따라 보충하였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6 (命 幷作爵) : 經51.3 ‘夫莫之命而常自然’의 命이 다른 판본에는 모두 ‘爵’으로 되어 있는데, 樓宇烈은 板本상의 차이를 가리키면서 이 注文을 校勘者가 쓴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했다. 이를 따라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7 (謂成其質)[亭謂品其形 毒謂成其質] : 저본에는 ‘謂成其實’로 되어 있으나, 易順鼎‧宇惠 등의 학자들이 《初學記》에 인용된 王弼의 注文에 의거하여 ‘亭謂品其形 毒謂成其質’이라고 하였는데, 이를 따른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