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21.1 孔德之容 唯道是從이니
[注]孔 空也이니 唯以空爲德然後 乃能動作從道하니라
21.2 唯恍唯惚이라
[注]恍惚 無形不繫之歎이라
21.3 惚兮恍兮로다 其中有象이며 恍兮惚兮로다 其中有物이며
[注]以無形始物하고 不繫成物하니
萬物以始以成호대 而不知其所以然이라
故曰 恍兮惚兮로다 이며 惚兮恍兮로다 其中有象也라하니라
21.4 窈兮冥兮로다 其中有精이며
[注]窈冥 深遠之歎이라
深遠不可得而見이나 然而萬物由之하니 其可得見 以定其眞이라
21.5 其精甚眞이로다 其中有信이니라
[注]信 信驗也 物反窈冥이면 則眞精之極得하고 萬物之性定이라
故曰 其精甚眞이로다 其中有信也라하니라
21.6 其名不去하여
[注]至眞之極 不可得名이니 無名 則是其名也
自古及今 無不由此而成이라
故曰 自古及今 其名不去也라하니라
21.7 니라
[注]衆甫 物之始也 以無名萬物始也니라
21.8 吾何以知리오 以此로다
[注]此 上之所云也 言吾何以知萬物之始於無哉리오 以此知之也러라


제21장은 의 원초적 모습에 대한 묘사를 통해 인간 세상의 군주가 어떻게 다스려야 할지를 유비적類比的으로 표현한 문장으로 볼 수 있다.
이석명은 《백서로자帛書老子》에서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황홀恍忽이나 요명窈冥 등은 모두 희미하고 어렴풋한 상태를 표현한 말이다. 즉 있는 듯하나 그 실체를 찾아볼 수 없고, 없는 듯하나 여전히 어떤 조짐이 존재하는 미묘한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 에 대한 표현은 사실상 이상적 통치자가 마땅히 취해야 할 태도에 대한 말로 볼 수 있다. 도가 홀황하고 황홀하여 잘 파악할 수 없듯이 통치자 또한 자신의 속을 함부로 밖에 드러내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홀황한 도 가운데 형상[]이 있고 사물[]이 있고 알맹이[]가 있듯이 통치자 또한 그러한 ‘안개 행보’ 속에 실질적인 통치 내용이 있다. 이렇게 처신할 때 도가 그러하듯이 통치자 또한 그 이름이 영원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왕필王弼은 이러한 통치자의 행동방식에 대한 의미로 풀이하지 않는다. 왕필은 무명無名로부터 만물萬物이 비롯되는데 이 근원의 상태를 형용하는 말들로 홀황忽恍, 요명窈冥 등을 해석하고, 오히려 이들을 통해 본연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한다. 여기서 왕필王弼에게 가장 중요한 말은 소이연所以然으로서의 이다. 만물萬物은 바로 에 의해 시작되고 이루어지므로 만물에 대한 이해는 곧 라는 소이연所以然을 살피는 데에 있다. 이러한 해석은 판본상板本上의 차이와 병행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백서본帛書本왕필본王弼本은 전혀 다른 텍스트가 된다.
텅 빈 의 모습은 오로지 를 따를 뿐이다.
은 텅 비다는 뜻이다. 오로지 텅 빔을 덕으로 삼은 후에야 비로소 행동이 도를 따를 수 있다.
도라는 것은 오로지 하고 오로지 하다.
황홀恍惚’이란 〈구체적〉 형체가 없고 〈어느 것에도〉 매이지 않음을 탄미한 것이다.
홀하고 황하도다. 그 가운데 형상이 있으며, 황하고 홀하도다. 그 가운데 사물이 있으며,
〈도가〉 무형으로 만물을 시작하고 매이지 않음으로 만물을 이루어준다.
만물은 〈이 도에 의해〉 시작하고 이루어지지만 그 까닭을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황하고 홀하도다. 그 가운데 물건이 있으며, 홀하고 황하도다. 그 가운데 형상이 있다.”고 하였다.
그윽하고 아득하도다. 그 가운데 정기가 있으며,
요명窈冥이란 깊고 아득함을 탄미한 말이다.
깊고 아득하여 볼 수가 없지만 만물은 그것을 말미암는다. 〈아마도 우리가 도를〉 볼 수 있는 것은 〈그 도가 만물의〉 참된 본성을 정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윽하고 아득하도다. 그 가운데 정기가 있다.”라고 했다.
정기精氣가 매우 참되도다. 그 가운데 믿음이 있다.
은 믿을 만한 증험이다. 만물이 그윽하고 아득함으로 돌아가면 참된 정기의 극치를 얻고 만물의 본성이 정해진다.
그래서 “그 정기가 매우 참되도다. 그 가운데 믿음이 있다.”고 했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그 이름 사라지지 않아
지극한 참됨의 극치는 이름 지을 수 없으니, ‘무명無名(이름 없음)’은 바로 그 이름이 된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이것으로 말미암아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없다.
그래서 “예로부터 지금까지 그 이름 사라지지 않는다.”라고 했다.
이로써 만물의 태초太初를 살필 수 있다.
중보衆甫’란 만물의 시작이니, 〈이열중보以閱衆甫는〉 이름 없음으로 만물의 시작을 살핀다는 뜻이다.
내가 어떻게 만물의 처음 모습을 알겠는가. 이 〈도〉로써 알 뿐이다.
는 위에서 말한 것을 가리킨다. 내가 어떻게 만물이 ‘’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알겠는가. 이것으로 알 뿐이라는 말이다.


역주
역주1 道之爲物 : 帛書本은 ‘道之物’이라 되어 있다. 두 가지 표현 방식의 의미 차이는 이석명이 《백서노자》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道之爲物’은 ‘道라는 것은’이라고 풀이하거나 ‘道가 物이 되는 것은’이라 풀이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전자의 해석 방식을 따랐다. 이와 달리 ‘道之物’의 경우에도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데, 하나는 ‘도는 물이니’라는 뜻으로 전자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도가 사물을 생하니’라고 풀이할 수 있다.
역주2 [其中有物] : 저본에는 없으나, 兪樾은 이 네 글자가 있어야 經文에 부합되게 온전한 문장이 된다고 하였다. 이를 따라 ‘其中有物’을 보충하였다.
역주3 窈兮冥兮……其中有信 : 《淮南子》 〈道應訓〉은 晉 文公의 이야기로 이 부분을 설명하는데, 이 이야기는 《呂氏春秋》 〈離俗覽 爲欲〉에도 나오며 《春秋左氏傳》 僖公 25년과 《韓非子》 〈外儲說 左上〉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다. 《회남자》에서 晉 文公이 原 땅을 공격하며 3일 안에 끝낼 것을 약속했다. 3일이 지나도 항복하지 않아 문공이 약속을 지키려고 퇴각 명령을 내리자 원 땅의 사람들이 감동하여 항복하고, 溫 땅의 사람까지 항복한다. 이 고사를 소개한 후에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하고 바로 뒤에 다시 經62.4에 보이는 “아름다운 말은 사람의 존경을 받고 아름다운 행동은 사람을 감동시킨다.[故美言可以市尊 美行可以加人]”를 인용한다. 이를 보면 《회남자》는 이 두 구절을 같은 의미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뒤에 인용된 문장 “故美言可以市尊 美行可以加人”은 道藏本에는 “美言 可以市 尊行 可以加於人”(經62.4)이라고 되어 있어 다소 다르다.
역주4 自古及今 : 傅奕本, 帛書本은 ‘自今及古’로 되어 있으며, 馬敍倫은 여기의 문장이 ‘古’, ‘去’, ‘甫’로 이어지는 韻이므로 ‘自今及古’가 맞다고 주장하였다.
역주5 以閱衆甫 : 帛書本은 ‘以順衆父’로 되어 있다. ‘衆甫’와 ‘衆父(보)’는 같은 말로 甫(父)는 본래 남자의 美稱이다. 衆甫(父)는 뭇 남자들이란 뜻인데, 呂惠卿의 《道德眞經傳》에 따르면 이로부터 萬有 또는 萬物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이렇게 보면 帛書本은 “이를 통해 만물에 순응한다.”는 뜻이 된다. 하지만 王弼本은 ‘順(순응하다)’이 ‘閱(살피다)’로 되어 있어 “만물의 시작을 살피다.”는 뜻으로 전혀 다르게 풀이하고 있다.
역주6 (說)[閱] : 저본에는 ‘說’로 되어 있으나, 宇惠의 《王注老子道德經》에 의거하여 ‘閱’로 바로잡는다.
역주7 衆甫之狀哉 : 傅奕本, 河上公本에는 모두 ‘衆甫之然哉’로 되어 있고, 帛書本에는 ‘衆甫之然也’로 되어 있다. 의미상으로 ‘然(그러함)’과 ‘狀(그러한 모습)’은 통하므로 뜻 차이는 없다. 왕필은 이를 ‘만물의 처음 모습’으로 풀이하고 있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